KR102632760B1 -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760B1
KR102632760B1 KR1020180135169A KR20180135169A KR102632760B1 KR 102632760 B1 KR102632760 B1 KR 102632760B1 KR 1020180135169 A KR1020180135169 A KR 1020180135169A KR 20180135169 A KR20180135169 A KR 20180135169A KR 102632760 B1 KR102632760 B1 KR 10263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layer
layer
layers
intermediate layers
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865A (ko
Inventor
비. 콜슨 웬델
세얌 압델-파타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8Ladder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직물에 관한 것으로, 제1 외부층; 제2 외부층;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중간층; 및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중간층과 분리된 제2 중간층을 포함하되; 제1 중간층은,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과 함께 직조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과 함께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로 분리 가능하고, 선택된 영역에서 직조된 스티치(woven stitch)에 의해 접합된, 상부 또는 전방 층, 하나 이상의 중간층, 및 하부 또는 후방 층을 갖는 3차원 다층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다층 직물을 갖거나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패널 및/또는 덮개 그리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전체 내용이 병합된 2017년 11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62/582,012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부 또는 전방 표면(또는 외부) 층; 하부, 배면 또는 후방 표면 (또는 외부) 층; 및 하나 이상의 중간층으로 형성된 다층 직물은 많은 용도 및 응용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 직물의 사용 및 응용은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로서, 룸 디바이더 또는 파티션,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 특징부는 창문, 도어 프레임, 아치 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다층 직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덮개는 미관을 제공하고 원하는 가림(shading), 뷰-스루(view-through), 및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창문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예를 들어, 창문 덮개에 사용되는 다층 직물은 전방 층, 후방 층, 및 바람직하게는 이 전방 층 또는 후방 층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갖고,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 연장되고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된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전방 층, 중간층 및 후방 층이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접힌 위치 또는 상태, 및 전방 층과 후방 층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중간층이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확장된 위치 또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전방 외부층 및 후방 외부층은 중간층의 움직임 및 각도 배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다층 직물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한 전방 층 및 후방 층이 측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 중간층이 이동하여 회전하거나 선회할 수 있고, 다층 직물이 접힌 위치로부터 확장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층은 다층 직물의 구조에 따라 베인 요소(vane element) 또는 슬랫(slat)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 직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인기 있는 창문 덮개는 헌터 더글라스(Hunter Douglas)사에 의해 실루엣(Silhouette)이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시판되는 쉬어(sheer) 가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중간층을 다수의 방식으로 및 다수의 위치에서 전방 층 및 후방 층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창문 덮개로서 적용될 수 있는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식은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전방 층 및 후방 층과 직조(weaving)(또는 스티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층 직물은 직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EP 2216 433 A2는 전방 표면 층, 후방 표면 층,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을 갖는 다층 직물을 기술한다. 중간층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고, 직조된 스티치를 사용하여 표면 층에 연결된다. 다층 직물은 2차원(2D) 형상 또는 위치로 접힐 수 있고, 전방 표면 층과 후방 표면 층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3차원(3D) 형상 또는 확장된 위치로 개방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창문 덮개를 위한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EP 2216 433 A2는, 2개의 중간층을 정면 표면 층과 스티칭하는 것이 특정 길이만큼 계속되고 나서 2개의 중간층이 단일 점 또는 위치에서 표면 층으로부터 함께 분리되어 있는 다층 직물을 설명한다. 2개의 중간층은 서로 스티칭함이 없이 (예를 들어, 함께 직조함이 없이) 또는 특정 길이만큼 임의의 다른 층과 스티칭하고 연장되고 나서, 두 중간층을 동일한 지점에서 시작하여 후방 층과 스티칭하는 것이 이어진다. 다시 말해, EP 2216 433 A2의 실시예에서 중간층들은 하나의 동일한 지점 또는 영역에서 표면 층에 연결되고, 반복적인 방식으로 하나의 동일한 지점 또는 영역에서 후방 층에 연결된다.
중간층들을 분리하고 동일한 지점에서 표면층과 스티칭하면 EP 2216 433 A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중간층이 분리되어 셀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중간층들은 서로 가깝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어서 중간층들 사이에 셀이 형성되는 것과 및/또는 형성되는 셀의 크기를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2개의 중간층은 약간 분리될 수는 있지만, 적절한 정도로 또는 제어된 방식으로 분리될 수는 없다.
개시된 다층 직물, 건축물 패널 및 덮개 그리고 그 제조 방법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제시되고 이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란은 다층 직물, 패널 및 덮개 그리고 그 제조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 또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 각각은 일부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특징과 조합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시되었지만, 임의의 실시예의 개별 양태는 개별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이 실시예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 및 특징과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층 직물, 건축물 패널 또는 덮개 및 그 제조 방법에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선택된 영역에서 직조된 스티치에 의해 접합되는 분리 가능한 층들을 갖는 다층 직물을 생성하기 위해 직조 공정,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직조 공정을 사용하여 다층 직물 또는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층 직물은 하나 이상의 외부층 및 하나 이상의 내부 또는 중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 또는 직물은 상부 또는 전방 층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제1 외부층, 후방, 배면 또는 하부 층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제2 외부층, 및 상기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더 짧은 중간층으로 형성된 확장 가능하고 접을 수 있는 패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창문, 출입구, 아치 길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건축물 특징부의 덮개로서 다층 직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 제품의 전방 층 및 후방 층은 각각 지지 부재 또는 전방 지지 부재 및 후방 지지 부재라고도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에서 베인 요소라고도 지칭되는 복수의 중간층은 상기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상기 전방 (상부) 층과 후방 (배면) 층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거나 상기 지지 부재와 직조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는 상기 다층 패널 또는 직물을 확장시키거나 접기 위해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간층은, 접힌 상태에서 외부층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부터, 확장된 상태에서 외부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소정의 각도로 각진 배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수직 지지 부재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중간층의 움직임 및 각도 배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셀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이 개시되고, 상기 다층 직물은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 후방 또는 제2 외부 층; 상기 전방 외부층과 후방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1 내부 또는 중간층; 및 상기 전방 외부층과 후방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2 내부 또는 중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중간층은 상기 제1 중간층과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형성하도록 제2 중간층과 쌍을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은 서로 근접해 있고, 각각의 중간층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제1 (전방) 외부층 및 제2 (후방) 외부층과 스티칭되는데, 예를 들어, 직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에서 제1 중간층은 제2 외부층이 제1 외부층과 직조되는 위치 또는 영역과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제1 외부층과 직조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중간층은, 상기 제2 외부층이 상기 제1 외부층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직조되고) 또한 연결되지 않는 (예를 들어, 직조되지 않은) 위치 또는 영역과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제1 외부층에 연결될 수 있고(예를 들어, 직조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직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층 직물의 제1 중간층은, 상기 제2 중간층이 상기 제2 외부층에 연결되고(예를 들어, 직조되고),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직조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중간층이 상기 제2 외부층과 직조된 위치 또는 영역과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중간층이 상기 제2 외부층에 연결되고(예를 들어, 직조되고),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직조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외부층과 직조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중간측 및 제2 중간층 각각은 길이만큼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및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간층이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층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 중간층이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층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다층 직물은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층 직물은 복수의 제1 중간층 및 복수의 제2 중간층을 포함하고, 근접한 제1 및 제2 중간층은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쌍을 이루는 미들(middle) 층을 형성한다.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1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의 제2 중간층이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1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2 중간층이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다른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다른 층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층들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그 사이에 셀을 형성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쌍을 이루는 중간층의 층들은 상기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분리하는 거리에 비해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고 분리된다. 상기 다층 직물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은 상기 제1 및 제2 중간층 각각보다 더 개방된 직조 구조를 갖고 더 많은 광 투과를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덮개가 개시되고, 상기 덮개는 롤러; 하부 레일; 및 다층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직물의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 및 후방 또는 제2 외부 층 각각의 제1 단부는 상기 롤러와 관련되고,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의 제2 단부는 상기 하부 레일과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층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쉬어 시트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층(짝을 이루는 미들층)의 상기 제1 중간층, 제2 중간층 또는 이들의 조합은 광이 투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다층 직물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을 직조하는 단계; 제1 영역에서 제5 날실 시트(warp sheet) 및 제7 날실 시트를 상기 제1 외부층의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제2 영역에서 제6 날실 시트 및 상기 제5 날실 시트를 상기 제1 외부층의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상기 다층 직물의 제1 및 제2 중간층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2 외부층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7 날실 시트 및 상기 제8 날실 시트를 상기 후방 층의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방 층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6 날실 시트 및 상기 제8 날실 시트를 상기 제2 외부층의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위치에서 제1 세트의 날실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제2 위치에서 제2 세트의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는 직조 공정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다층 직물의 제1 및 제2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상기 다층 직물의 제1 및 제2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는 단계; 및 제2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의 다른 조합을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일 양태에서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서 또 다른 더 작은 서브세트의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는 단계, 및 제5 영역 및 제6 영역에서 또 다른 서브세트의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층 직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다른 조합 및 다른 양의 층이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층 직물, 그 구조, 제조 방법, 및 이를 건축물 덮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양태, 특징 및 실시예는 제공된 도면과 함께 판독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다층 직물 및 건축물 덮개의 양태, 특징 및/또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 제공되었지만, 청구 범위는 도시된 정확한 배열, 구조, 서브 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디바이스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고, 도시된 배열, 구조, 서브 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디바이스는 다른 배열, 구조, 서브 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디바이스와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며 임의의 방식으로 청구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며, 다층 직물 또는 구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건축물 덮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양태 및 특징을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단지 예시하고 설명하려고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확장된 상태의 다층 직물의 측면 사시도.
도 2a는 확장된 상태의 다층 직물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2b는 접힌 상태 및 제조 상태의 다층 직물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3a는 날실 시트를 형성하는 날실의 평면 개략도.
도 3b는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날실 시트의 개략도.
도 4는 다층 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확장된 상태의 다층 직물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다층 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a는 다층 직물로 형성된 패널이 확장된 상태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의 측면 사시도.
도 7b는 다층 직물로 형성된 패널이 폐쇄된 상태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의 측면 사시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층 직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건축물 커버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상세가 제시된다. 그러나,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층 구조, 그 제조 방법, 및 건축물 덮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다수의 실시예는 이들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고, 청구 범위 및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 서브 조립체, 특정 특징, 공정, 방법, 또는 상세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하며, 상황에 따라, 잘 알려진 방법, 절차, 제조 기술, 구성 요소 및 조립체는 다층 직물, 그 제조 방법 또는 건축물 덮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른 양태 또는 특징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 양태, 특징, 요소, 제조 기술, 공정 및 서브 조립체는 설명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고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쉽게 이해된다. 다층 직물 및 덮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특정 환경 및 동작 요건에 특히 적합할 수 있는 형태, 구조, 배열, 비율, 재료, 구성 요소 및 제조 기술의 많은 추가, 대체 또는 변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해 의도된 것이며, 단순히 다층 직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특정 선택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층 직물은 2개의 중간층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될 수 있지만, 중간층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층으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건축물 덮개는 광, 가림, 프라이버시 및 뷰-스루를 제어하기 위해 창문 덮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지만, 다층 직물 또는 덮개는 또한 다른 응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 범위는 청구된 발명을 제시하는 것이고, 다층 직물, 패널, 덮개, 제조 기술 및/또는 동작 모드에 대한 실시예, 요소 및/또는 특징부를 배제하는 것으로 더 좁게 해석되는 것으로 명확히 지시되지 않는 한, 다층 직물, 제조 방법, 다층 패널, 건축물 덮개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참조 부호는 다층 직물, 덮개 또는 제조 기술의 일반적인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형태, 형상, 구조 등에서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기능 또는 장점을 제공하는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요소나 특징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추가적인 참조 부호(예를 들어, 숫자와 달리 문자, 프라임 또는 위첨자)가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층 직물, 패널, 덮개의 모든 구성 요소 또는 제조 기술의 모든 단계를 항상 나타내거나 나열한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요소, 부재 또는 구조의 단수 언급, 예를 들어, 층, 날실 시트, 지지 부재, 베인 등의 단수 언급은, 문맥 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층 직물, 패널 또는 건축물 덮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모든 방향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측, 하측,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정면, 배면, 후방, 상부, 하부, 위, 아래, 수직, 수평, 반경방향, 축방향, 내부, 외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은, 청구범위에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을 독자가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식별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일 뿐, 특히 본 발명의 위치, 배향 또는 사용에 관해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일반적으로 명시 적으로 지시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연결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부착된, 결합된, 연결된, 접합된 및 스티칭된)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요소의 집합 사이에 중간 부재 및 요소들 간에 상대적인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에 관한 언급은 반드시 두 요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서로 고정된 관계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식별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1차, 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이나 우선순위를 나타내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특징부를 다른 특징부와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반영된 치수, 위치, 순서 및 상대적 크기는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직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직물은 예를 들어 창문, 아치 길 등과 같은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덮개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많은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덮개는 미관, 원하는 가림 및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창문에 사용 가능하다. 다층 직물은 예를 들어 룸 디바이더, 파티션, 스크린 및/또는 필터와 같은 다른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층 직물에 다른 용도가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이 개시되고, 이 다층 직물은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 후방 또는 제2 외부 층; 상기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1 내부 또는 중간 층; 및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2 내부 또는 중간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간층과 분리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제2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형성하도록 제1 중간층과 쌍을 이룬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의 각 층은 쌍을 이루는 중간층의 다른 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은 서로 근접하여 있고, 각각의 중간층의 일부는 제1 (전방) 외부층과 제2 (후방)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와 스티칭되는데, 예를 들어, 직조된다.
다층 직물에서 제1 중간층은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직조되는 위치 또는 영역과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제1 외부층과 직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중간층은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에 연결되고 또한 연결되지 않은 위치와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제1 외부층에 연결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다층 직물의 제1 중간층은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이 제2 외부층과 직조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제1 중간층이 제2 외부층에 연결되고,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되지 않도록 제2 외부층과 직조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실시예에서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은 복수의 제1 중간층 및 복수의 제2 중간층을 포함하고, 근접한 제1 및 제2 중간층은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또는 쌍을 이루는 미들층들을 형성한다.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1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의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1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다른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다른 층으로부터 연장된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미들층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층들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분리되어 그 사이에 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은 복수의 제1 중간층과 복수의 제2 중간층을 갖고, 근접한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은 쌍을 이루는 미들층을 형성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의 제1 중간층은 쌍을 이루는 제2 중간층이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쌍을 이루는 미들층은 외부층들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을 함께 직조하면 개방 단부를 갖는 세장형 관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공간을 완전히 에워싸는 직물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은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는 3개 이상의 날실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및 제2 중간층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날실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중간층 각각은 길이만큼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며, 제1 중간층의 개별 길이는 제2 중간층의 개별 길이와 동일하다.
다층 직물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간층은 1/8 인치만큼 작은 거리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거리만큼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에 스티칭될 수 있으며, 1/16 인치씩 증감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중간층은 1/8 인치만큼 작은 거리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거리만큼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다른 하나에 스티칭될 수 있으며, 1/16 인치씩 증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간층은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중간층은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이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의 일 양태에 따라, 제1 및 제2 외부층은,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 중 하나 또는 각각보다 더 개방된 직조 구조를 갖고 더 많은 광 투과를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덮개가 개시되고, 이 덮개는 롤러; 하부 레일; 및 다층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직물은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 및 후방 또는 제2 외부 층을 갖고, 상기 다층 직물의 상기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 및 상기 후방 또는 제2 외부 층 각각의 제1 단부는 상기 롤러와 관련되고,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의 제2 단부는 상기 하부 레일과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직물은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중간층; 및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2 중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간층은 상기 제1 중간층과 분리되어 있다. 다층 직물에서 제1 중간층은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직조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직조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의 제1 중간층은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이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직조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함께 직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덮개가 개시되고, 여기서 다층 직물이 롤러로부터 풀린 후에 롤러가 더 회전하면 제1 외부층이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고 제1 중간층이 제2 중간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 사이에 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간층은 셀형 베인이라고도 지칭되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중간층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중간층에 인접한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셀형 베인은 외부층의 길이를 따라 서로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중간층들 사이의 간격은 인접한 쌍을 이루는 중간층(셀형 베인)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더 작다.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예를 들어,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중간층들 사이의 간격은 인접한 쌍을 이루는 중간층(예를 들어, 셀형 베인)들 사이의 간격보다 1배 내지 12배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8배 더 작다. 덮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은 광이 통과할 수 있는 쉬어 시트를 형성하고, 제2 외부층은 광이 통과할 수 있는 쉬어 시트를 형성하고,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이 통과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외부층은 바람직하게는 중간층들의 적어도 하나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보다 더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적어도 제1 및 제2 날실 시트를 갖는 다층 직물의 제1 외부층을 직조하는 단계; 적어도 제3 및 제4 날실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 직물의 제2 외부층을 직조하는 단계; 제1 영역에서 제5 날실 시트 및 제7 날실 시트를 상기 제1 외부층의 제1 및 제2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제2 영역에서 제6 날실 시트 및 상기 제5 날실 시트를 상기 제1 외부층의 제1 및 제2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과는 분리된 상기 제7 날실 시트 및 제8 날실 시트로부터 다층 직물의 제1 중간층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5 날실 시트 및 상기 제6 날실 시트로부터 다층 직물의 제2 중간층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2 외부층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7 날실 시트 및 상기 제8 날실 시트를 상기 후방 층의 상기 제3 및 제4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방 층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6 날실 시트 및 상기 제8 날실 시트를 상기 제2 외부층의 제3 및 제4 날실 시트와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중간층을 직조하는 단계는 제7 날실 시트와 제8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른 양태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은 제5 날실 시트와 제7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른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중간층은 추가적인 날실 시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중간층은 추가적인 날실 시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의 제1 및 제2 영역은 추가적인 날실 시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외부층의 전방 영역 및 제2 영역은 추가적인 날실 시트를 포함한다.
제1 외부층의 제1 영역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의 제1 및 제2 날실 시트, 제5 날실 시트 및 제7 날실 시트를 포함하고, 일 양태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의 제2 영역은 제1 외부층의 제1 및 제2 날실 시트, 제5 날실 시트 및 제6 날실 시트를 포함하며, 일 양태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외부층의 제1 영역은 제2 외부층의 제3 및 제4 날실 시트, 제7 날실 시트 및 제8 날실 시트를 포함하며, 일 양태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외부층의 제2 영역은 제2 외부층의 제3 및 제4 날실 시트, 제6 날실 시트 및 제8 날실 시트를 포함하며, 일 양태에서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된다.
상기 방법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에서 제5 날실 시트 및 제7 날실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일 양태에서 제2 위치에서 제6 날실 시트 및 제8 날실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은 제1 위치에서 제5 및 제7 날실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 및 제2 위치에서 제6 및 제8 날실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위치는 제2 위치와는 다르다. 하나의 양태에 따른 절단은 직조 공정 동안 및 다른 양태에서 직조 공정 직후에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적어도 제1 날실 시트와 제2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여 다층 직물의 제1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3 날실 시트와 제4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여 다층 직물의 제2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5 날실 시트 및 제6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여 다층 직물의 제1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7 날실 시트와 제8 날실 시트를 함께 직조하여 다층 직물의 제2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 제5, 제6, 제7 및 제8 날실 시트를 제1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 제4 영역, 제5 영역, 제6 영역, 제7 영역 및 제8 날실 시트를 제2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영역에서 상이한 날실 시트들을 직조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날실 시트들 및 적절한 경우 다른 층들을 결합시킨다. 영역들은 1/8 인치만큼 작은 거리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거리일 수 있으며 1/16 인치씩 증감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층 직물의 원하는 목적을 위해 영역들에서 날실 시트의 적절한 조밀성(tightness)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방법은 일 양태에서 제1, 제2, 제5 및 제6 날실 시트들을 제3 영역과 제4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영역과 제4 영역은 제1 영역에서 인접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3, 제4, 제7 및 제8 날실 시트를 제5 영역 및 제6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영역과 제6 영역은 일 양태에서 제2 영역에서 인접한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다층 직물(100)은 일반적으로 제1 외부 (표면) 층(110) 및 제2 외부 (표면) 층(125)을 갖는다. 제1 외부층은 또한 상부 또는 전방 층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외부층은 하부 또는 후방 또는 배면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내부, 미들 또는 중간층을 가질 수 있다. 중간 또는 미들 층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110)과 제2 외부층(125) 사이에서 연장되고, 일 양태에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에 결합된다(예를 들어, 직조 스티치에 의해 접합된다). 일 양태에서, 중간층(140)은 제1 외부층(110)보다 더 짧고 및/또는 제2 외부층(125)보다 더 짧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은 제1 및 제2 외부층(110, 125)보다 더 짧다. 일 양태에서, 중간층은 선택된 영역에서 외부층에 직접 결합되고 외부층과 직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으로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중간층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은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덮개(3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가요성 패널 또는 서브조립체(335)를 형성한다. 다층 직물이 덮개에서 패널로 사용될 때, 복수의 중간층은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미들층을 형성하도록 쌍을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보다 더 짧고, 이들 외부층 사이에 연장되고, 일 양태에서 이들 외부층에 결합되고, 및/또는 이들 외부층과 직조되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베인 또는 슬랫이 형성된다. 일 양태에서, 중간층은 하나의 외부층으로부터 다른 외부층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길이는 0.5 인치만큼 작은 길이에서부터 5 인치만큼 큰 길이이고, 바람직하게는 2 인치 내지 4 인치 길이이지만 다른 길이도 고려된다.
다층 직물은 접힌 및 확장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접힌 구성에서, 도 2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직물의 층들은 일반적으로 인접하고 서로 평행하다. 확장된 구성에서, 도 1, 도 2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으로도 지칭되는 전방 층 및 후방 층은 (바람직하게 주름(crease) 또는 접힘 선 없이)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중간층은 전방 층과 후방 층 사이에 연장되고 전방 층과 후방 층에 대해 경사지게 배향된다. 전방 층 및 후방 층이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층 직물이 확장되거나 접히고, 복수의 중간층, 예를 들어, 덮개의 맥락에서 베인의 각도 배향이 제어된다. 중간층, 예를 들어, 덮개의 맥락에서 베인의 각도 배향을 조절하면 다층 직물 또는 덮개의 뷰-스루 및 불투명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들은 함께 쌍을 이룰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중간 또는 미들 층들은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장된 구성에서 서로 분리되어, 쌍을 이루는 미들층들 사이에 셀(160, 260)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의 맥락에서, 이들 쌍을 이루는 중간층은 셀형 베인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은 분리되지만 서로 근접한다.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미들층들은 함께 연속적인 벽을 형성해서, 외부층들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쌍을 이루는 미들 층들이 분리될 때 셀(160)을 에워싸거나 둘러싸서 개방 단부를 갖는 대체로 관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중간/미들 층의 2개의 중간층(예를 들어, 실(yarn))을 형성하는 물질은 도 1에서 참조 부호 178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에워싼다. 일 양태에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미들층은 외부층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외부층을 따라 확산되어 인접한 관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관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구조물은 외부층을 따라 이격되어서, 외부층들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쌍을 이루는 미들층들 사이에 인접한 관형 구조물이 공동(165, 265)을 형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또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중간층들 사이의 상대 거리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또는 셀형 베인)들을 분리시키는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깝다. 쌍을 이루는 조합을 형성하는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 사이의 거리(180)는 약 3 인치(3")의 길이를 갖는 중간층에 대해 일반적으로 0.5 인치(1/2") 미만인 반면, 인접한 쌍을 이루는 조합들 사이의 거리(185)는 중간층의 길이보다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더 크고, 일반적으로 대략 같고, 바람직하게는 중간층의 길이보다 더 작고, 예를 들어, 3 인치의 길이를 갖는 중간층에 대해 3 인치보다 약간 더 작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의 외부층 및 내부층 각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직조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층은 직조 공정을 거치며, 다층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층들을 연속적으로 직조하고 층들의 일부를 함께 상호 연결(예를 들어, 직조)하는 공정으로부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된다. 날실 시트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나란하고 평행한 복수의 실이다. 날실 시트에서 실의 수는 필요한 직물 폭과 날실 개수 밀도 또는 날실 밀도(단위 길이당 날실의 수, 예를 들어, 실의 개수/인치로 정의됨)에 의존한다. 도 3b에 도시된 날실 시트(1, 2, 3, 4, 5, 6, 7 및 8)는 직조되어 직물(395)을 형성한다. 더 많은(또는 더 적은) 날실 시트가 각 직물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날실 시트(1, 2, 3, 4, 5, 6, 7 및 8)는 직조기의 하니스(harness)(370, 371, 372, 373, 374, 375, 376 및 377)에 할당된다(예를 들어, 이 하니스에 의해 제어된다). 하니스는 복수의 실로 형성된 날실 시트를 취급하는 직조기의 일부이며, 날실 시트(실)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여 날실 시트(복수의 실)를 씨실(weft yarn)과 직조하거나 엇갈리게 한다. 하니스는 일반적으로 헤들 와이어(Heddle wire)(380)를 포함하고, 각 헤들 와이어는 헤들 아이(Heddle eye)(385)를 갖는다. 도 3b에서, 하니스(370, 371, 372, 373, 374, 375, 376 및 378) 및 날실 시트(1, 2, 3, 4, 5, 6, 7 및 8)는 명료함을 위해 중심선(390)으로부터 시프트되어 있다. 날실 시트(1, 2, 3, 4, 5, 6, 7 및 8)는 도 3b에서 화살표(392)의 방향으로 직조기에 공급된다. 씨실은 일반적으로 날실에 대해 경사지게 배향되고 날실을 횡단하거나 교차한다. 일 실시예에서, 씨실은 날실에 수직이다. 씨실은 일 양태에서 시퀀스로 하나씩 삽입된다. 명확함을 위해 씨실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지 않았다.
일 실시예에서, 4개의 층 각각의 직조 방식은 평직(plain weave)(예를 들어, 1x1 직조) 또는 평직 유도체(plain weave derivative)(예를 들어, 날실 리브(warp rib), 충전 리브 및 바스켓 직조체)이다. 제1 외부층(110) 및 제2 외부층(125) 각각은 광이 통과하거나 투과할 수 있는 쉬어 직물을 형성하도록 낮은 조밀성(개방형 또는 스크림(scrim)형 구조)으로 직조될 수 있다. 개방형으로 직조된 구조 또는 쉬어 직물 층은 날실 및 씨실의 크기, 날실 및 씨실 밀도(실의 밀도는 실의 개수/단위 직물 길이로 정의됨), 날실 및 씨실의 간격, 및 직조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날실과 씨실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개구를 생성하도록 느슨하게 이격되어 있다. 2개의 중간층(140, 150)은 제1 외부층(110) 및 제2 외부층(125)보다 훨씬 더 조밀하게 직조될 수 있다. 2개의 중간층(140, 150)의 조밀성 정도는 날실 및 씨실의 크기, 날실 및 씨실 밀도, 추가적인 날실 시트, 날실 및 씨실 간격, 및 직조 구조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a는 1, 2, 3, 4, 5, 6, 7, 및 8로 표시된 8개의 날실 시트로 제조된 4개의 층을 갖는 다층 직물(1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직물 두께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각각에서 화살표는 직조 공정 동안 실이 직기(loom)(직조기)로 공급되는 방향인 날실 시트의 방향을 나타낸다. 직물(100)은 직조 공정 동안 스티치 또는 직조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제조된다. 다층 직물(100)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직조 공정으로 제조된다. 직조 공정은 많은 반복 단위, 사이클 또는 셀을 형성하여 대형 패널 또는 다층 직물 구조를 형성하도록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이 외부층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수평 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쌍을 이루는 미들층을 형성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직조 공정은 이후에 다수의 패널을 형성하도록 절단될 수 있는 대형 패널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직조 공정은 미리 결정된 길이 및 폭의 맞춤 크기 패널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다층 직물(100)의 구조 및 다층 직물(100)의 형성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하나의 완전한 반복 사이클 또는 패턴(셀), 즉 좌측의 선행 사이클 또는 패턴의 일부 및 우측의 후속 사이클 또는 패턴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런 점에서, 도 2a는, 인접한 수평 튜브(175, 175') 또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170, 170')과 외부층(110, 125)으로 형성된 제1 셀(160) 및 추가적으로 제2 공동(165)을 생성하기 위해 중간층들로 형성된 연속적인 벽(178)을 포함하는 수평 튜브(175)를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미들층(170)을 형성하는 중간층(140, 15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사이의 거리(185)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중간층들 사이의 간격(180)보다 더 크고, 실시예에서 거리가 2배 이상 더 크고(및 1배, 2배, 3배 또는 4배 더 클 수 있고), 그럼에도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인접한 중간층들 사이의 간격(180)은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사이에 셀형 공간(160)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유지된다.
층들 및 날실 시트들이 도 2a에서 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층들 및 시트들은 다수의 날실 및 씨실로 형성된 2차원 시트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직조 공정에서, 정면 층(110)은 날실 시트들이 씨실(도시되지 않음)과 엇갈림으로써 날실 시트(1, 2)로부터 직조되고, 후방 층(125)은 날실 시트들이 씨실(도시되지 않음)과 엇갈림으로써 날실 시트(3 및 4)로부터 직조되고, 제1 중간층(140)은 날실 시트들이 씨실(도시되지 않음)과 엇갈림으로써 날실 시트(5 및 6)로부터 직조되고, 제2 중간층(150)은 날실 시트들이 씨실(도시되지 않음)과 엇갈림으로써 날실 시트(7 및 8)로부터 직조된다. 다음 절에서, 2개 이상의 날실 시트가 함께 직조되거나 스티칭된다는 것은 날실 시트들이 씨실과 엇갈리는 것에 의해 날실 시트가 직조되거나 스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씨실과 엇갈리는 것에 의해"라는 어구가 생략된 것이다. "직조되지 않은"이라는 어구는 날실 시트들이 씨실과 직조되지 (엇갈리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시트(1, 2, 3, 4, 5, 6, 7 및 8)는 다층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 공정 동안 여러 위치에서 및 여러 날실 시트와 직조되거나 및/또는 함께 상호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층(11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1, 2)는 특정 위치(부분)에서 및 특정 배열에서 날실 시트(5, 6, 7 및 8)와 직조되고, 후방 층(125)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3, 4)는 다층 직물의 일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후술된 바와 같이 여러 위치(부분)에서 및 특정 배열에서 날실 시트(5, 6, 7 및 8)와 직조된다. 내부 또는 중간 층(140, 15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5, 6, 7 및 8)는 전방 층(11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1 및 2)에 직조된 스티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여러 위치에서 전방 층(11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1 및 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중간층(140, 15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5, 6, 7 및 8)는 다층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 공정 동안 후방 층(125)의 날실 시트(3 및 4)에 직조된 스티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여러 위치에서 후방 층(125), 예를 들어, 날실 시트(3 및 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직조 공정은 반복 공정이다. 직조하는 동안, 전방 층(110), 후방 층(125), 및 2개의 중간층(140 및 150)의 날실 시트들이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매우 가깝다(및 접촉할 수 있다)(즉, 셀들이 접힌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2a에서, 좌측으로부터 시작하는 직조 공정 동안, 날실 시트(1, 2)는 (씨실과) 함께 직조되고, 날실 시트(3, 4)는 (씨실과) 함께 직조되고, 날실 시트(5, 6)는 (씨실과) 함께 직조되고, 날실 시트(7, 8)는 (씨실과) 함께 직조되어, 별개의 층, 즉 전방 층(110), 후방 층(125), 중간층(140) 및 중간층(150)이 각각 형성된다. 도 2a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120)에서, 날실 시트(3, 4, 7, 8)는 모두 함께 직조(스티칭)된다. 후방 층(125)과는 별개인, 도 2a의 선행 부분(120)에 점선으로 도시된 2개의 날실 시트(5, 7)는 씨실과 직조되지 않고, 전방 층(110)의 날실 시트(1, 2)를 향하여 연장되고, 도 2a의 상부에 도시된 영역(130)에서 전방 층(110)의 날실 시트(1, 2)와 직조된다. 2개의 날실 시트(5, 7)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직조 동안 또는 직조 후에 절단된다. 2개의 날실 시트(6 및 8)는 도 2a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122)에서 후방 층(125)의 날실 시트(3, 4)와 직조(스티칭)되며, 도 2a의 파선으로 도시된 날실 시트(6, 8)는 후방 층(125)으로부터 분리되고, 씨실과 직조되지 않고, 전방 층(110)을 향하여 연장된다.
날실 시트(1, 2)만으로 직조된 전방 층의 길이 및 날실 시트(3, 4)만으로 직조된 후방 층의 길이는 인접한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들 사이의 거리(185, 185')(도 1에 도시됨)를 한정한다. 날실 시트(1, 2)만으로 직조된 길이 및 날실 시트(3, 4)만으로 직조된 길이는, 영역(120, 124, 132 및 136)들 사이에서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인접한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들 사이의 거리(185, 185')를 변화시키기 위해 인접한 영역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영역(122 및 130)들이 직조된 후에, 날실 시트(7)는 전방 층(110)(날실 시트(1,2))으로부터 분리되고, 중간층(150)을 형성하기 위한 거리를 두고 날실 시트(8)와 직조된다. 한편, 중간층(140)의 날실 시트(5 및 6)는 도 2a의 상부에 도시된 영역(132)에서 전방 층(110)의 날실 시트(1 및 2)와 직조된다. 날실 시트(7 및 8)들은 원하는 길이(L150)(도 1 참조)를 두고 별개의 층(150)으로서 함께 직조된다. 층(150)의 길이(L150)는 임의의 원하는 길이일 수 있고, 결과적인 다층 직물의 원하는 특성, 크기 및 고려된 사용에 의존할 수 있다.
영역(132) 후에, 날실 시트(5 및 6)들은 전방 층(110)으로부터 분리되고, 원하는 길이(L140)(도 1 참조)를 두고 중간층(140)을 형성하도록 거리(길이)를 두고 함께 직조된다. 층(140)의 길이(L140)는 임의의 원하는 길이일 수 있고, 결과적인 다층 직물의 원하는 특성, 크기 및 고려된 사용에 의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날실 시트(5 및 6)들은 층(15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중간층(140)을 형성하도록 함께 직조된다. 날실 시트(7, 8)들이 중간층(150)을 형성하도록 직조된 길이(L150)는 날실 시트(5, 6)들이 중간층(140)을 형성하도록 직조된 길이(L140)와 동일할 수 있지만, 길이(L150)는 길이(L140)보다 더 길거나 더 작을 수 있고, 길이(L140 및 L150)의 이러한 변화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사이에 및 다층 직물(100) 내에 및 다층 직물이 개방 또는 확장될 때 형성되는 임의의 셀의 크기 및 형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날실 시트들이 중간층을 형성하도록 직조되는 길이(L)는 다층 직물이 롤링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주름 또는 웜 트랙(worm track)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크기 정해지고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날실 시트(1, 2)들은 전방 층(110)을 형성하도록 길이만큼 직조되고, 날실 시트(3, 4)들은 후방 층(125)을 형성하도록 거리만큼 함께 직조된다. 이후, 날실 시트(7, 8)들은 도 2a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124)에서 후방 층(125)의 날실 시트(3, 4)와 직조(스티칭)된다. 다음에, 날실 시트(6 및 8)는 도 2a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126)에서 후방 층(125)의 2개의 날실 시트(3 및 4)와 직조된다.
이 직조 패턴에 의해, 날실 시트(5, 6)(중간층(140))들은 영역 또는 부분(132, 136)에서 날실 시트(1, 2)(전방 층(110))에 결합되고, 이와 스티칭되고 그리고/또는 함께 직조된다. 날실 시트(6, 8)들은 영역(122, 126)에서 후방 층(125)의 날실 시트(3, 4)에 결합되고, 이와 스티칭되고 및/또는 함께 직조된다. 날실 시트(5, 7)들은 영역(130, 134)에서 전방 층(110)의 날실 시트(1, 2)에 결합되고, 이와 스티치되고 그리고/또는 함께 직조된다. 중간층(150)의 날실 시트(7, 8)들은 도 2a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120, 124)에서 후방 층(125)의 날실 시트(3, 4)에 결합되고, 이와 스티칭되고 그리고/또는 함께 직조된다.
반복 사이클은 함께 직조된 것과 동일한 날실 시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영역(12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는 영역(124)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영역(122)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는 영역(126)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와 동일하다. 영역(13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는 영역(134)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와 동일하다. 또한 영역(132)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는 영역(136)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와 동일하다. 영역(120, 122, 124 및 126)은 중간층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들이 후방 층(125)에 부착되는 곳인 반면, 영역(130, 132, 134 및 136)은 중간층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들이 전방 층(110)에 부착되는 곳이다. 영역(120, 124); 영역(122, 126); 영역(130, 134); 및 영역(132, 136)을 반복함으로써, 직조 공정은 제1 외부 또는 상부 층 및 제2 외부 또는 후방 층에 부착되는 복수의 중간층을 갖는 다층 직물을 형성하고, 접힌 및 확장된 구성을 갖는데, 확장된 구성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들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들 사이의 셀(160)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인접한 중간층(140, 150)들 사이의 셀(165)을 형성한다.
영역(120, 122, 124, 126, 130, 132, 134 및 136)의 길이에 대한 대표적인 값은 1/8 인치만큼 작은 값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값일 수 있고 약 1/16 인치씩 증감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영역(120, 122, 124, 126, 130, 132, 134 및 136)은 약 1/4 인치일 수 있다. 영역(120, 122, 124, 126, 130, 132, 134 및 136)의 길이에 대해 더 크고 더 작은 다른 값들도 고려된다. 영역(120, 122, 124, 126, 130, 132, 134 및 136)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날실 시트에 신뢰성 있고 충분히 강한 연결 또는 조밀성을 제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다. 영역(120, 122, 124 및 126)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영역(130, 132, 134 및 136)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영역(130, 132, 134 및 136)의 길이는 영역(120, 122, 124 및 126)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영역(120, 124, 132 및 136)의 길이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및 150)들 사이에 형성된 셀의 크기 및 형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일 양태에서 영역(120, 124, 132, 136)의 길이는 각각의 외부층(110, 125)을 따라 중간층들 사이의 분리 거리를 한정한다. 영역(120, 124, 130, 134)의 길이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 또는 셀형 베인의 중간층(140, 150)들 사이의 간격(180)에 대응한다. 영역(120, 124, 132, 136)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들 사이에 형성된 셀(160)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셀(160)의 크기는 광 확산도에 영향을 미치고, 중간층의 길이 및 그 구조, 예를 들어, 실 밀도, 색상, 두께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직조 영역(130) 및 이들 영역에서 직조 공정 영역(예를 들어, 성긴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은 영역(132)(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과 접하거나, 이에 인접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이와 중첩될 수 있고; 직조 공정 영역(134)(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은 영역(136)(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과 접하거나, 이에 인접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이와 중첩될 수 있고; 직조 영역(120)(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은 영역(122)(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과 접하거나, 이에 인접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이와 중첩될 수 있고; 및/또는 영역(124)(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은 영역(126)(및 이 영역에서 날실 시트들이 직조된 부분)과 접하거나, 이에 인접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거나, 이와 중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직조 영역(120, 122, 124, 126, 130, 132, 134 및 136)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US 2014/01380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형성되어 다양하게 구성된 셀형 베인을 형성할 수 있다.
EP 2216 433 A2에서와는 달리, 표면 또는 외부 층으로부터 중간층이 분리되는 곳이 동일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경우,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 전방 층(110)으로부터 2개의 중간층(140, 150)이 분리되는 곳은 각각 상이한 위치(지점)(104, 106)에 있어서, 후술된 바와 같이 셀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2개의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셀(160)의 크기와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셀 크기는 층(140 및 150)의 강성, 및 층(140 및 150)의 형상을 제어하는 셀의 높이(예를 들어, 영역(132)의 길이)에 의존한다. 층(140 및 150)의 강성은 직조 후 및/또는 직조 전에 구조적 파라미터(날실과 씨실의 크기, 날실과 씨실의 재료, 날실과 씨실의 밀도, 및 직조 방식) 및 직물 처리 및 열 설정(heat setting)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 후방 층(125)으로부터 2개의 중간층(140, 150)이 분리되는 곳은 각각 상이한 지점(128, 129)에 있어서, 셀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셀(160)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셀의 크기 및 형상은 층(140, 150)의 강성 및 셀의 높이(예를 들어, 영역(124)의 길이)에 의존한다. 중간층이 상이한 위치에서 외부층들 사이에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외부층에 결합되면 쌍을 이루는 중간층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유리하게는 개선된 열 특성(R-값), 광 확산 및 미적 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이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다층 직물이 확장될 때 층(140 및 150)은 S-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구조화될 수 있다.
날실 시트(5, 7 및 6, 8)들이 정면 층(110)으로부터 후방 층(125)으로 연장될 때 이 날실 시트들은 직조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런 점에서, 도 2a에서 점선과 파선으로 도시된 날실 시트(5, 7 및 6, 8)의 길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직조되지 않은 날실 시트(5, 7 및 6, 8)의 길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다. 정면 층(110)과 후방 층(125)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조되지 않은 날실 시트(5, 7 및 6, 8)는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단된다.
셀(160, 165)이 개폐되게 하기 위해 날실 시트(5, 7, 6 및 8)들은 일 실시예에서 절단된다. 도 2b는 날실 시트(5, 7, 6 및 8)를 절단하는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직조 동안, 날실 시트(5 및 7)는 위치(170)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상승되고, 일 단부에서 나이프 블레이드(knife blade)를 갖는 가는 와이어(fine wire)가 제1 그룹의 날실 시트로서의 날실 시트(5 및 7)와 제2 그룹의 날실 시트로서의 날실 시트(1, 2, 3, 4, 6 및 8) 사이에 삽입된다. 이후, 직물이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날실 시트(5 및 7)가 도 2b의 상부에 도시된 영역(130)에 고정된 후, 와이어는 직물로부터 인출되고, 블레이드는 시트(5 및 7)의 날실을 절단한다. 동일한 절차가 날실 시트(6 및 8)를 절단하기 위해 후속되고 여기서 제1 그룹으로서의 날실 시트(6, 8)와 제2 그룹으로서의 날실 시트(1, 2, 3, 4, 5 및 7) 사이의 위치(180)에 나이프 블레이드를 갖는 와이어를 삽입하여 날실 시트(6 및 8)를 절단한다. 직물이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되고, 날실 시트(6, 8)가 고정된 후, 와이어는 직물로부터 인출되고, 블레이드는 시트(6 및 8)의 날실을 절단한다. 날실 시트(5, 7, 6 및 8)를 절단하는 다른 방법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블라인드를 준비하는 동안, 작업자는 전방 층(110)과 후방 층(125)을 서로 멀어지게 당김으로써 전방 층(110)과 후방 층(125)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것은 일 양태에서 직물 평면에 평행한 극히 짧은 실 프린지(yarn fringe)를 남겨서 바람직하게는 덮개의 기능 및/또는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절단 공정은 직조 공정 동안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날실 시트(5, 7)는, 영역(130)을 직조한 후에, 영역(130) 및 중간층(140 및 150)을 직조한 후에, 및/또는 반복 단위를 직조한 후에 도 2b의 위치(170)에서 절단된다. 날실 시트(5, 7)를 절단하는 것은 직조 공정 동안 상이한 영역을 직조한 후에, 직조 공정 후에, 및/또는 건축물 덮개 또는 다른 완제품을 제조하기 전 또는 동안을 포함하여 다른 시간에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날실 시트(6, 8)는 영역(132)을 직조한 후에, 영역(132) 및 중간층(140, 150)을 직조한 후에 및/또는 반복 단위를 직조한 후에 위치(180)에서 절단된다. 날실 시트(6, 8)를 절단하는 것은 직조 공정 동안 다른 영역을 직조한 후에, 직조 공정 후에, 및/또는 건축물 덮개 또는 다른 완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또는 동안을 포함하여 다른 시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직조 공정으로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방법(190)은 편의상 설명된 것일 뿐, 일련의 및/또는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지만, 공정은 일련의 단계로 수행될 필요는 없고 및/또는 단계들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고, 공정은 통합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함께, 동시에, 동일한 시간에, 시퀀스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들은 개시된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직조 방식은 연속적, 순차적 및/또는 다른 방식일 수 있다. 특히, 도 4의 박스 및 다이어그램은 직조 이벤트 및 공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및 공정은 가변 시퀀스로 및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원하는 다층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191에서, 날실 시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8개의 날실 시트가 제공되지만, 원하는 다층 직물에 따라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날실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192에서, 제1 외부 또는 전방 층은 제1 및 제2 날실 시트들을 직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날실 시트들을 직조하는 것은 날실 시트들을 씨실과 직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193에서, 제2 외부 또는 후방 층은 제3 및 제4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된다. 194에서, 제1 영역은 제1, 제2, 제5 및 제7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된다. 195에서, 제2 영역은 제1, 제2, 제5 및 제6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92에서 공정은 (예를 들어, 상부층의 전체 길이를 형성하는) 완료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지만, 192, 193, 194 및 195의 각각은 예를 들어 시퀀스로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196에서, 제1 중간층이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197에서, 제2 중간층은 제5 및 제6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198에서, 제3 영역은 제3, 제4,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199에서 제4 영역은 제3, 제4, 제5 및 제6 영역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단계는 다층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다시, 196의 공정은 임의의 다른 공정 전에 (예를 들어, 제1 중간층의 전체 길이를 형성하는) 완료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다양한 공정(196, 197, 198, 199) 각각은 원하는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 원하는 시퀀스로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수의 제1 및 제2 중간층이 다층 직물을 위해 형성될 수 있고, 191 내지 199에 도시된 공정이 원하는 다층 직물을 준비하기 위해 다양한 순서로 및 다수의 시간에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고 최좌측에서 시작하는 도 2에서, 공정(192, 193, 196 및 197)은, 도 2a의 영역(120)의 시작까지, 상부 층의 일부, 하부 층의 일부, 제1 중간층의 일부 및 제2 중간층의 일부를 직조하기 위해 특정 수의 씨실을 삽입하도록 이 시퀀스로 또는 다른 시퀀스로 반복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192, 196 및 198의 공정은 도 2a의 영역(122 및 130)의 시작까지 이 시퀀스로 또는 다른 시퀀스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은 동일한 시간에 직조되지 않는다. 씨실은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들이 분리되는 도 2a의 최좌측에서 시작하여, 시퀀스는, 하나의 씨실이 상부층의 2개의 날실 시트(1, 2)와 직조되고 나서, 하나의 씨실이 제1 중간층의 2개의 날실 시트(5, 6)와 직조되고 나서, 하나의 씨실이 제2 중간층의 날실 시트(7, 8)와 직조되고 나서, 하나의 씨실이 하부층의 날실 시트(3, 4)와 직조되는 시퀀스일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의 직조 또는 스티칭 공정은 영역(120)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각 층이 스티칭되고 있는 동안, 다른 층의 날실 시트는 스티칭되는 날실 시트 아래(또는 위에)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은 제2 영역에 인접할 수 있고 및/또는 제3 영역은 제4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직조 공정은 이후에 다수의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될 수 있는 대형 패널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직조 공정이 미리 결정된 길이 및 폭의 맞춤 크기 패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날실 시트가 상부층, 하부층 및 중간층 중 임의의 층에 추가될 수 있고 및/또는 추가적인 날실 시트가 추가적인 층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인 날실 시트는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또는 제4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영역에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날실 시트가 중간층에 추가되어 중간층이 보다 불투명한 (광 투과율이 더 낮은) 직물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다층 직물(200)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임의의 공정 부분에서 직조되지 않은 날실 시트가 있는 것을 방지하고 직조 동안 또는 직조 후에 임의의 날실 시트를 절단할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대칭으로 배향된 중간층(240, 250)을 갖는 8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된 다층 직물(200)이 확장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날실 시트들이 직조되지 않은 공정 부분을 제거하는 직조 공정을 사용하면 보다 신뢰성 있는 공정 및 보다 우수한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다층 직물(200)은 4개의 층, 즉 제1, 정면 또는 외부 층(210); 제2, 후방 또는 외부 층(225), 및 2개의 중간층(240 및 250)으로 형성된다. 직물(200)은 8개의 날실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날실 시트는 하니스에 할당된다. 각각의 층(210, 225, 240 및 250)은 2개 이상의 날실 시트로 형성된다. 상이한 (더 많은) 수의 층이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더 많은) 수의 날실 시트가 각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수의 날실 시트를 사용하거나 더 많은 층을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특성을 갖는 상이한 다층 직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층 직물은 1, 2, 3, 4, 5, 6, 7 및 8로 표시된 8개의 날실 시트로 만들어진다. 직물(200)은 개방된(확장된) 및 폐쇄된(접힌) 것일 수 있는 반복 단위(셀)를 연속적으로 직조하여 제조된다. 도 5에서 화살표는 직조 동안 직기에서 재료 흐름인 날실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반복 사이클 또는 반복 단위가 형성되는 방식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제시된 하나의 완전한 직조 사이클 또는 반복 단위(이 경우 2개의 셀을 형성함), 즉 좌측의 선행 사이클 또는 반복 셀의 일부 및 우측의 후속 반복 사이클 또는 셀의 일부를 도시한다. 정면 층(210)은 날실 시트(1 및 2)로부터 직조되고, 후방 층(225)은 날실 시트(3 및 4)로부터 직조되고, 중간층(240)은 날실 시트(5 및 6)로부터 직조되고, 중간층(250)은 날실 시트(7 및 8)로부터 직조된다.
중간층(240 및 250) 각각은 직조된 스티치에 의해 정면 층(210)에 연결되고 나서 정면 층(210)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반복된 방식으로 직조된 스티치에 의해 후방 층(225)에 연결된다. 다음은 각 층 및 다층 직물(200)이 하나의 반복 단위에서 형성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직조 공정은, 많은 반복 단위를 형성하고 대형 패널 또는 다층 직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직조 공정은 이후에 다수의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될 수 있는 대형 패널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직조 공정은 미리 결정된 길이 및 폭의 맞춤형 크기 패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면 층(210)은 날실 시트(1 및 2)로부터 직조되고, 이 층 및 날실 시트는 전체 공정에 걸쳐 직물(200)의 외부(상부)에 유지된다. 후방 층(225)은 날실 시트(3 및 4)로부터 형성되고, 이 층 및 날실 시트(3, 4)는 전체 공정에 걸쳐 직물(200)의 외부(하부)에 유지된다. 중간층(240)을 형성하는 날실 시트(5 및 6)는 도 5의 상부를 따라 도시된 영역(232, 234, 236)에서 정면 층(210)의 날실 시트(1 및 2)와 직조(스티칭)된다. 이후 날실 시트(5 및 6)(중간층(240))는 정면 층(210)으로부터 분리되고, 날실 시트(5 및 6)는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함께 직조된다. 이후 날실 시트(5 및 6)(중간층(240))는 도 5의 하부를 따라 도시된 영역(224)에서 후방 층(225)의 날실 시트(3 및 4)와 스티칭된다. 이후 중간층(240)의 날실 시트(5 및 6)는 층(225)의 후방 날실 시트(3 및 4)로부터 분리되고, 시트(5 및 6)는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함께 직조된다. 이 시퀀스는 다층 직물의 원하는 길이를 직조하기 위해 반복된다.
중간층(250)은 유사하지만 미러 이미지인 시퀀스를 거친다. 층(250)의 날실 시트(7 및 8)는 도 5의 상부를 따라 도시된 영역(234)에서 정면 층(210)의 날실 시트(1 및 2)와 직조되고, 이후 중간층(250)의 날실 시트(7 및 8)는 정면 층(210)으로부터 분리되고, 특정 길이를 두고 (예를 들어, 중간층(250)의 원하는 길이를 두고) 함께 직조된다. 이어서, 날실 시트(7 및 8)는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영역(222, 224, 226)에서 후방 층(225)의 날실 시트(3 및 4)와 직조된다. 이후, 중간층(250)의 날실 시트(7 및 8)는 후방 층(225)으로부터 분리되고, 날실 시트(7 및 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길이만큼 함께 직조된다. 마지막으로, 중심 층(250)의 날실 시트(7 및 8)는 영역(234)에서 정면 층(210)의 날실 시트(1 및 2)와 스티칭(직조)되어 하나의 단위가 완성된다.
스티칭된 영역(222, 224, 226, 232, 234 및 236)의 날실 시트는 도 5의 상부 및 하부에 도시된다. 스티칭된 영역들 사이의 중간층(240 및 250)들의 길이는 일 실시예에서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영역(222, 224 및 226)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영역(232, 234 및 236)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역(222, 224, 226, 232, 234 및 236)의 길이는 1/8 인치만큼 작은 길이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길이이고, 1/16 인치만큼씩 증감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약 1/4 인치일 수 있지만, 더 크고 더 작은 다른 값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영역(222, 224, 226, 232, 234 및 236)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날실 시트에 신뢰성 있고 충분히 강한 조밀성 또는 결합을 생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다. 일 양태에서 스티칭된 영역의 길이는 다층 직물이 확장하는 것에 응답하여 중간층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고,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사이에 형성된 셀(260, 265)의 크기 및 형상에 영향을 미치고, 및/또는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이 쉽게 분리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6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직조 공정으로 다층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방법(400)은 편의상 설명된 것일 뿐, 일련의 및/또는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지만, 이 공정은 일련의 단계들로서 수행될 필요는 없고 및/또는 단계들은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고, 공정은 통합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함께, 동시에, 동일한 시간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들은 개시된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직조 과정은 연속적, 순차적 또는 다른 방식일 수 있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도 4의 박스 및 다이어그램은 직조 이벤트 및 공정을 나타내며, 이러한 이벤트 및 공정은 다양한 시퀀스로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원하는 다층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410에서, 날실 시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8개의 날실 시트가 제공되지만, 원하는 다층 직물에 따라 더 많거나 더 적은 날실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날실 시트가 많을수록 직물의 불투명도 및/또는 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420에서, 제1 및 제2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1 외부 또는 상부 층을 형성한다. 430에서, 제3 및 제4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2 외부 및 하부 층을 형성한다. 440에서, 제5 및 제6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1 중간 또는 내부 층을 형성한다. 450에서,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2 중간 또는 내부 층을 형성한다. 460에서, 제1, 제2, 제5, 제6,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1 영역을 형성한다. 470에서,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함께 직조하여 제2 영역을 형성한다. 480에서, 제1, 제2, 제5 및 제6 날실 시트들을 제3 영역에서 및 별개의 제4 영역에서 함께 직조한다. 제3 및 제4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490에서, 제3, 제4, 제7 및 제8 날실 시트들을 제5 영역과 별개의 제6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여 이들 영역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5 및 제6 영역들은 제2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공정은 다층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420 내지 490의 공정은 다층 직물을 준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양한 순서로 및 다수의 시간에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최좌측에서 시작하여, 공정(420, 430, 440 및 450)이 도 5의 영역(232)의 시작까지 상부 층의 일부, 하부 층의 일부, 제1 중간층의 일부, 및 제2 중간층의 일부를 직조하기 위해 특정 수의 씨실을 삽입하도록 이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반복된다. 영역(232)의 직조 시작 시에 및 직조 지속 시간 동안, 430, 450 및 480의 공정은 영역(234)의 시작까지 이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진행된다. 영역(234)의 직조 시작 시에 및 직조 지속 시간 동안, 공정(430 및 460)은 영역(236)의 시작까지 진행된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공정(420 내지 490)이 도 5의 다층 직물 또는 다른 다층 직물을 생성하기 위해 가변 시퀀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날실 시트가 상부층, 하부층 및/또는 중간층 중 임의의 층에 추가될 수 있고 및/또는 추가적인 날실 시트가 추가적인 층을 형성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인 날실 시트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방식으로 제1, 제2, 제3, 제4, 제5 또는 제6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영역에 통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층 직물(200)에서, 전방 층(210)으로부터 2개의 중간층(240, 250)이 분리되고 스티칭되는 곳은 의도적으로 각각 상이한 지점(204, 206)에 있어서, 2개의 중간층(240, 250) 사이에 셀(260)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형성되는 셀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후방 층(225)으로부터 2개의 중간층(240, 250)이 분리되고 스티칭되는 곳은 또한 상이한 위치(228, 229)에 있어서, 중간층(240, 250)들 사이에 셀(260)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형성되는 셀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셀(260) 및 중간층(240, 250)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층(240 및 250)의 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층(240 및 250)의 강성은 직조 후 및/또는 직조 전에 그 구조적 파라미터(날실 및 씨실 크기, 날실 및 씨실 재료, 날실 및 씨실 밀도 및 직조 방식) 및 직물 처리 및 열 설정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240, 250)들 사이에 셀(260)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형성되는 셀의 크기 및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인자는 영역(232, 236, 222, 및 226)의 높이(예를 들어, 길이)를 포함한다. 다층 직물(200)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중간층(240, 240)들 및 인접한 중간층(250, 250)들 사이에 공동(265)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 직물은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에 통합될 수 있는 패널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다층 직물(340)을 포함하는 가요성 서브 조립체 또는 패널(335)은 도 7a 내지 도 7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덮개(300)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덮개(300)는 일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헤드 레일, 이 헤드 레일과 관련된 롤러(도시되지 않음), 광 제어 다층 직물(340), 하부 레일 또는 웨이트, 및 덮개를 동작시키고, 광이 패널(335)을 투과하거나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 품질 및 방식뿐만 아니라 덮개의 미관 및 외관을 제어하는 기구(예를 들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335)은 제1 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348)를 형성하는 전방 또는 제1 외부 층을 포함하고, 제2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350)를 형성하는 제2 또는 후방 외부 층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또는 내부 층이 수직 지지 부재(348, 350)들 사이에 연장되고(예를 들어, 지지 부재(348)로부터 지지 부재(350)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베인 요소(342)를 형성한다. 전방 및 배면의 대체로 수직인 지지 부재(348, 350) 및 베인 요소(342)는,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a 내지 도 2b 및 도 4의 제조 기술에 따라 도시되고 제조된 다층 직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348, 350) 및 베인 요소(342)는 도 5 및 도 6에 따라 도시되고 제조된 다층 직물로 형성된다. 패널(335)에 다른 다층 직물 구성도 고려된다.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다층 직물은 때로는 광 제어 패널, 서브 조립체 또는 간단히 "패널"로도 지칭된다.
롤러는 패널(335)의 상부 단부(376)를 지지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레일(360)은 패널(335)의 하부 단부(375)와 관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에 연결된다. 헤드 레일(370)은 롤러(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고, 패널(335)은 일 양태에서 건축물 개구부를 통해 롤러에 연결된다. 헤드 레일(370)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상부의 형상 및 치수(예를 들어, 폭)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300)는, 광 제어 패널(335)의 인입(retraction) 및 신장을 제어하여 개구부에서 덮개의 높이, 투과되는 광의 성질 및 품질, 뷰-스루 특성, 및 패널(335)의 형상 및 미적 특성을 제어하는 기구(380)를 포함한다. 움직임 또는 제어 기구(380)는 일 양태에서 지지 부재(348, 350)의 움직임 및 측방향 분리, 및 지지 부재(348, 350)에 대한 베인 요소(342)의 각도 배향을 더 제어하여, 투과되는 광의 성질 및 품질, 뷰-스루 특성, 베인(342)의 형상, 및 패널(335)의 미적 매력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롤업식 창문 덮개에서, 움직임 또는 제어 기구(380)가 롤러를 회전시키면 광 제어 패널(335)의 베인(342)이 인입되거나 연장되거나 각도 배향될 수 있다. 일례에서, 움직임 기구(380)는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코드(382) 및/또는 코드 없는 기구, 코드 있는 기구, 풀리(384), 직접 구동 배열체, 기어 트레인 및/또는 클러치 기구를 포함한다.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기구는 일 양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원격 제어와 같은 미리 프로그래밍되거나 프로그래밍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제어 기구(380)는 또한 현재 개발된 것이거나 미래에 개발될 제어 기구를 포함하는 다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덮개(30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도 1a,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다층 직물(100)에서, 베인(342)(예를 들어, 베인 층(344, 346))을 형성하는 중간층(140, 150)의 각도 배향 및 움직임은 수직 지지 부재(348, 350)를 형성하는 전방 층(110)과 후방 층(125)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배면 지지 부재(348, 350)는 전방 및 배면 지지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원주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상이한 위치들에서 롤러에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된다. 특히, 베인 요소(342)는 광, 뷰-스루, 가림 효과 및/또는 룸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해 베인 요소들이 일반적으로 수평이고 지지 부재(348, 350)(도 7a)에 대체로 수직인 개방된 위치로부터, 베인 요소들이 대체로 수직이고 지지 부재(348, 350)(도 7b)에 평행한 폐쇄된 위치로 다른 각도 배향들 간에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되거나 선회될 수 있다. 창문 덮개가 롤러로부터 완전히 연장되고 풀린 후, 롤러가 더 회전하면 전방 층(348) 및/또는 배면 층(350)은 서로 멀어지게 측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고, 또한 전방 층(348) 및 배면 층(350)이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로에 대해 전방 층(348) 및 배면 층(350)이 이렇게 수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 부재(348, 350)들 사이에 중간층(344, 346)들이 선회하거나 또는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덮개(300)에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다층 직물을 사용하면 바람직하게는 외부 지지 부재(348, 350)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342), 바람직하게는 셀형 베인(347)을 갖는 패널(335)이 형성된다. 셀형 베인(347)은 일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2a의 다층 직물(100)에서 중간층(140)은 중간층(150)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342), 특히 셀형 베인(347)의 상부층(344)과 하부층(346)이 형성된다. 셀(349)은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중간층으로 형성된 셀형 베인(347)의 상부층(344)과 하부층(346) 사이에 형성된다. 공간 또는 공동(345)은 전방 층(348), 후방 층(350), 제1 셀형 베인(347)의 상부층(344), 및 제2 인접한 셀형 베인(347')의 하부층(346) 사이에 형성된다. 인접한 셀형 베인(347, 347')(예를 들어, 인접한 쌍의 중간층들) 사이의 거리(332)는 일 양태에서 공동(345)의 크기를 결정한다. 거리(332)는 또한 덮개의 뷰-스루 특성을 한정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들 또는 셀형 베인(347)들 사이의 거리(332)는 패널(335)에 의해 얼마나 잘 보이는지 및 얼마나 많이 보이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인접한 셀형 베인(347, 347')들 사이의 거리(332)는 셀형 베인(347, 347')을 형성하는 층(344, 346)들 사이의 간격(333)보다 더 크고, 일반적으로 2배 이상 (예를 들어, 2배 초과, 3배 또는 4배 초과) 더 크다. 간격(333)은 일반적으로 1/2 인치보다 더 작고, 통상적으로 1/8 인치만큼 작은 거리에서부터 3/8 인치만큼 큰 거리이지만, 다른 값들도 원하는 특성에 따라 고려된다.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날실 시트)이 더 이상 후방 층(125)과 직조되지 않은 영역(124 및 132) 및 위치 또는 지점(128, 129), 및 쌍을 이루는 중간층(140, 150)이 더 이상 전방 층(110)과 직조되지 않는 위치 및 지점(104, 106)에서 직조하고 스티칭하면 셀형 베인(347)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형성되는 셀형 베인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층 베인을 사용하면 단층 베인보다 개선된 열 특성 및 차광 특성(예를 들어, 광 차단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체로 수직인 지지 부재(348, 350)는 일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일 양태에서 임의의 접힘 선, 주름 등을 갖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힘 선, 주름 등이 지지 부재(348, 350)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부 층(110, 210) 및 하부 층(125, 225)에 대응하는 대체로 수직인 지지 부재(348, 350)는 예를 들어 시트, 패널, 테이프, 스트립 등 및 이들 요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348) 및/또는 배면 수직 지지 부재(350)의 높이 및 폭은 패널의 높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패널(335)의 적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건축물 개구부의 내부를 향하는 전방(또는 정면) 지지 부재(348) 및 개구부의 외부를 향하는 배면(또는 후방) 지지 부재(350)는 일 실시예에서 각각 전방 쉬어 및 배면 쉬어이다.
건축용 덮개에 사용되는 수직 지지 부재(348, 350)는 높이(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며, 여기서 그 두께(일반적으로 높이 및 폭에 수직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얇다. 수직 지지 부재(348, 350)는 일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길이(높이) 및/또는 폭보다 훨씬 더 얇게 형성된다. "길이"로도 지칭되는 수직 지지 부재(348, 350)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덮개(300) 또는 패널(335)의 높이 또는 수직 치수에 대응하고 관련되는 반면, 수직 지지 부재(348, 350)의 폭은 일반적으로 덮개(300) 또는 패널(335)의 폭 및 건축물 구조부/특징부의 폭에 일반적으로 대응한다. 수직 지지 부재(348, 350)의 폭은 베인 요소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인 요소(342)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베인 요소(342)는 그 폭보다 더 큰 길이를 갖고, 일반적으로 덮개의 폭에 대응한다. 베인 요소(342)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 및 폭에 수직인) 두께를 갖고, 그 두께는 비교적 얇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훨씬 더 얇게 형성된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건축물 덮개가 많은 응용을 갖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리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실시예의 특징들 중 임의의 수의 특징은 단일 실시예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된 영역과 직조되지 않은 영역과 같은 특정 요소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에 더하여 특징을 갖거나 또는 설명된 모든 특징보다 더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기능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현재 알려진 방식으로 또는 알려질 방식으로 다수의 구성 요소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넓은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에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된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건축물 덮개의 개시된 실시예의 형태 및 상세에 생략,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 요소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고 향후 개발될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한다.
청구 범위에서, "포함하고/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다른 요소, 특징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나열되지만, 복수의 수단, 요소 또는 방법 단계는 예를 들어 단일 유닛, 요소, 구성 요소 또는 단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개별적인 특징이 상이한 청구항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유리하게는 결합될 수 있고, 상이한 청구항에 개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의 조합이 실현 가능하지 않다거나 및/또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수 언급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요소", "제1 요소", "제2 요소" 등의 용어는 복수의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또는 청구 범위에서 참조 부호 또는 문자는 단지 명확화를 위한 예로서 제공된 것일 뿐, 임의의 방식으로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설명은 광범위한 적용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것에 더하여 많은 유형의 다층 직물, 패널 및/또는 덮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임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 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을 암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하게 구현되고 사용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6)

  1. 다층 직물로서,
    제1 외부층;
    제2 외부층;
    하나 이상의 제1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상기 제1 중간층의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상기 제2 중간층의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로부터 분리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가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과 쌍을 이루어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와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셀을 완전히 둘러싸는 연속적인 벽을 함께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모든 날실 시트는 상기 제1 외부층과 제1 길이로 함께 직조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외부층과 함께 직조되는, 다층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모든 날실 시트는 상기 제2 외부층과 제2 길이로 함께 직조되고,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과 함께 직조되지 않는, 다층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제1 중간층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은 복수의 제2 중간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각각의 근접 및 인접한 하나와 쌍을 이루어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과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각각의 인접한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셀을 완전히 둘러싸는 연속적인 벽을 함께 형성하는, 다층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되는, 다층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되는, 다층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 및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과 분리되고, 베인 길이에 대해 상기 제1 외부층 또는 상기 제2 외부층과 상호 연결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베인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베인 길이와 동일한, 다층 직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최소 1/8인치에서 최대 3/8인치까지인, 다층 직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길이는 최소 1/8인치에서 최대 3/8인치까지인, 다층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상기 연장부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다층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상기 연장부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다층 직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 각각보다 더 개방적이고 밀도가 낮은 직조 구조를 갖고, 더 많은 광 투과를 허용하는, 다층 직물.
  12.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덮개로서,
    롤러;
    하부 레일; 및
    제1항의 다층 직물을 포함하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 각각의 제1 단부는 상기 롤러와 관련되고,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층의 제2 단부는 상기 하부 레일과 관련된, 덮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직물이 상기 롤러로부터 완전히 풀린 후에 상기 롤러의 추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고, 나아가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가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중간층과 상기 제2 중간층 사이에 셀이 형성되는, 덮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은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쉬어 시트(sheer sheet)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층은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쉬어 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 또는 상기 제2 외부층보다 더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덮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의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된, 다층 직물.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상기 제2 외부층,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및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상기 제2 중간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에 인접한, 다층 직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복수의 상기 공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의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된, 다층 직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광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고(impinge), 상기 셀을 횡단하고,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의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는, 다층 직물.
  19.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로서,
    복수의 씨실과 엇갈리게 된(interlaced)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된 제1 외부층;
    복수의 씨실과 엇갈리게 된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된 제2 외부층;
    복수의 제1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은 복수의 씨실과 엇갈리게 된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및
    복수의 제2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은 복수의 씨실과 엇갈리게 된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와 분리되고 다른,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은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과 쌍을 이루어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 각각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 및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셀을 완전히 둘러싸는 연속적인 벽을 함께 형성하고, 쌍을 이루는 베인 각각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베인 각각의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복수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직조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직조되는, 덮개.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베인 각각의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 다른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덮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각각은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 각각은 최소 1/8인치에서 최대 1/2인치까지인, 덮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된, 덮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 상기 제2 외부층 및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상기 제2 외부층,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상기 제1 중간층, 및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상기 제2 중간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에 인접한, 덮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복수의 상기 공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되는, 덮개.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광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고(impinge), 상기 셀을 횡단하고,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의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는, 덮개.
  26. 다층 직물로서,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를 구비하는 제1 외부층;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를 구비하는 제2 외부층;
    하나 이상의 제1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및
    하나 이상의 제2 중간층으로서,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중간층 각각의 상기 연장부와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의 하나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과 쌍을 이루어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셀이 형성되고,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층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광은 상기 셀을 횡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고,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의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에 충돌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상기 제1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함께 제1 길이로 직조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직조되는, 다층 직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상기 제2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적어도 제2 길이로 함께 직조되고,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직조되는, 다층 직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최소 1/8인치에서 최대 1/2인치까지인, 다층 직물.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 및 상기 제2 중간층의 상기 연장부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과 분리되고, 베인 길이에 대해 상기 제1 외부층 또는 상기 제2 외부층과 상호 연결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중간층의 베인 길이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베인 길이와 동일한, 다층 직물.
  30. 제2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연장부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연장부가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제1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다층 직물.
  31. 제3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의 연장부는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연장부가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다층 직물.
  32. 제2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제1 중간층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은 복수의 제2 중간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각각의 근접 및 인접한 하나와 쌍을 이루어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 각각과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각각의 인접한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셀을 완전히 둘러싸는 연속적인 벽을 함께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의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된, 다층 직물.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층, 상기 제2 외부층,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 중 하나, 및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으로부터의 상기 제2 중간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쌍을 이루는 베인에 인접한, 다층 직물.
  34. 제3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제1 중간층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중간층은 복수의 제2 중간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중간층은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각각의 근접 및 인접한 하나와 쌍을 이루어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쌍을 이루는 베인은, 상기 제1 외부층이 상기 제2 외부층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수평 튜브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 튜브 각각은 복수의 상기 공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인접한 수평 튜브로부터 분리된, 다층 직물.
  35.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복수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와 직조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중간층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날실 시트는 전부는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부층의 적어도 2개의 날실 시트와 직조되는, 덮개.
  36. 제3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최소 1/8인치에서 최대 1/2인치까지인, 덮개.
KR1020180135169A 2017-11-06 2018-11-06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KR10263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2012P 2017-11-06 2017-11-06
US62/582,012 201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65A KR20190051865A (ko) 2019-05-15
KR102632760B1 true KR102632760B1 (ko) 2024-02-02

Family

ID=6417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169A KR102632760B1 (ko) 2017-11-06 2018-11-06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21260B2 (ko)
EP (1) EP3480348B1 (ko)
KR (1) KR102632760B1 (ko)
CN (2) CN115161840A (ko)
AU (1) AU2018256598A1 (ko)
BR (1) BR102018072712B1 (ko)
CA (1) CA3023165A1 (ko)
MX (1) MX20180135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2270B1 (en) 2016-10-28 2022-08-10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CN210598386U (zh) * 2019-01-15 2020-05-22 Jg和Am史密斯投资有限公司 便携式遮阳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7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12835A (en) * 1938-03-17 1939-09-27 French & Sons Thom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netian blind ladder webbing and the like
FR1381472A (fr) * 1963-10-28 1964-12-14 Griesser Et Cie Store à lames orientables et procédé pour le fabriquer
US6001199A (en) * 1990-10-24 1999-12-14 Hunter Dougla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6289964B1 (en) * 1997-04-02 2001-09-18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435252B2 (en) * 1998-06-22 2002-08-20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152068A (en) * 1998-06-22 2000-11-28 Hunter Douglas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jus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582794B1 (en) * 1999-10-01 2003-06-24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rchitectural covering
IL151766A0 (en) * 2000-04-24 2003-04-10 Hunter Douglas Ind Bv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US7128126B2 (en) * 2003-03-04 2006-10-31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KR100815579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364B1 (ko) * 2008-04-23 2009-04-17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US8261807B2 (en) * 2008-04-28 2012-09-11 Hunter Douglas Inc. Dual fabri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562043B1 (ko) 2009-02-09 2015-11-20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SE534293C2 (sv) * 2009-03-16 2011-06-28 Siw Eriksson Flerlagertextil
KR101122674B1 (ko) * 2009-03-19 2012-03-09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766261T3 (es) 2009-05-18 2020-06-12 Youil Corp Co Ltd Tejido tridimensional con estructura de tres capas
KR101060721B1 (ko) * 2009-05-18 2011-08-31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294439A1 (en) * 2009-05-21 2010-11-25 Ching Feng Home Fashion Co., Ltd. Cellular Shade
EP2325357A2 (en) 2009-11-23 2011-05-25 Ok-Ja Kim Integrated weaving-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18378A (ko) * 2012-01-20 2012-03-02 차기철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9512672B2 (en) * 2012-11-19 2016-12-0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
SG10201608256WA (en) 2013-03-15 2016-11-29 Hunter Douglas Roll-up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and relat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JP2017531111A (ja) * 2014-09-10 2017-10-19 ハンター ダグラ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建築物開口部用の巻き上げカバリング並びに関係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829109B1 (ko) * 2015-12-29 2018-02-13 권구중 3차원 입체형상 직물
TWM532819U (en) * 2016-04-11 2016-12-01 zhe-wen Zhou Shared curtain fabric structure
EP3532270B1 (en) * 2016-10-28 2022-08-10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EP3369886A1 (en) * 2016-10-28 2018-09-0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having cellular flexible slats attaced to elongate tapes
US10597935B2 (en) * 2017-01-25 2020-03-24 Hunter Douglas Inc. Vertical cellular drape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FI128366B (en) * 2017-05-04 2020-04-15 Dewellton Oy 3-fabric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and arrangement for its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7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61840A (zh) 2022-10-11
KR20190051865A (ko) 2019-05-15
BR102018072712B1 (pt) 2023-09-26
EP3480348B1 (en) 2020-09-09
EP3480348A3 (en) 2019-08-21
BR102018072712A2 (pt) 2019-06-04
MX2018013530A (es) 2019-07-04
CA3023165A1 (en) 2019-05-06
CN109750405A (zh) 2019-05-14
EP3480348A2 (en) 2019-05-08
CN109750405B (zh) 2022-08-05
US20190136614A1 (en) 2019-05-09
AU2018256598A1 (en) 2019-05-23
US11821260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313B1 (ko)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EP2325357A2 (en) Integrated weaving-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32760B1 (ko)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US9140061B2 (en)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798334B1 (ko) 망사 허니콤 블라인드
KR101457971B1 (ko)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527414B1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691746B1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91745B1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TW202415851A (zh) 用於建築特徵之覆蓋物、相關系統及製造方法
KR20170064983A (ko) 입체형상 다층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입체형상 다층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