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971B1 -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 Google Patents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971B1
KR101457971B1 KR1020130019855A KR20130019855A KR101457971B1 KR 101457971 B1 KR101457971 B1 KR 101457971B1 KR 1020130019855 A KR1020130019855 A KR 1020130019855A KR 20130019855 A KR20130019855 A KR 20130019855A KR 101457971 B1 KR101457971 B1 KR 10145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vane
bag
forming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983A (ko
Inventor
변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1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97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을 풀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공정과;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성형날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성형되게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소정깊이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재위치에서 개방된 베인 성형 주머니의 입구로 슬랫을 삽입하는 슬랫 삽입공정 및 슬랫이 삽입된 후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과; 차폐공정 후 원단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베인 주머니의 일단 주머니 입구에 필름지를 끼워 삽입하는 필름지 삽입공정과; 필름지 삽입공정 후 원단, 슬랫 및 필름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초음파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공정과; 초음파 융착공정 후 설정된 간격만큼 원단을 이동시켜 헤드레일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과; 타공공정이 완료된 커튼지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 보관하는 권취공정; 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으로써, 망사 원단과 베인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베인의 수평각 및 수직각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원단의 로스를 절감하고 유리창의 원활한 차폐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A BLINDCLOTH AND VERTICAL BLINDCLOTH MAKING METHOD}
본 발명은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 원단과 베인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베인의 수평각 및 수직각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원단의 로스를 절감하고 유리창의 원활한 차폐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 및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차단, 외부의 시선 차단, 방음,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용성 이외에도 내부의 벽이나 유리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커튼 및 블라인드는 그 형태에 따라 중앙에서 양 측면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일반적인 커튼과,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조각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와, 1겹 또는 2겹의 블라인드지가 회전하는 권취봉에 감겨지거나 풀리는 롤 베인 블라인드와, 길이를 조정하는 코드 줄의 권취동작에 의해 커튼지가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접혀지는 방식의 로만쉐이드 커튼, 망사로 형성된 커튼부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직물루버가 일체로 제직된 버티컬 블라인드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된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지는, 망사인 커튼부(1)에 길이가 긴 주머니형상의 베인(2)을 일체로 고정(봉제 또는 접착)하되, 설정된 간격마다 다수의 베인(2)이 상호 평행되게 고정한다.
그 후, 각 베인(2)에 슬랫(3)을 끼워 넣어 유리창 차폐용 날개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커튼지와 베인들을 각각 별개로 제직한 뒤 상호 일체화되게 봉제 또는 접착해야 하는 공정과 슬랫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측방에서 끼워 넣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커튼지와 베인의 제직이 서로 달라 일체감이 없어 디자인면에서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 출원된 특허등록 10-857260호에는 다음과 같은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제조공정을 보면, 1중의 커튼부에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머니가 형성된 2중의 직물부를 설정된 간격마다 덧대게 제직하며, 직물부의 제직시 일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커튼부에 일체로 제직하고 타단부는 이웃하는 직물부에 위사 없이 경사로만 연결되게 제직하는 원단제조공정과,
탄력, 경도, 강도 등을 보강하기 위한 텐타공정과,
경사를 절단 및 제거하는 샤링공정과,
직물부의 타단을 절취하여 커튼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직물부의 일단은 커튼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베인 역할을 하도록 하는 커팅공정,
베인에 슬랫을 끼워 버티칼 블라인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슬랫끼움 공정,
을 통해 버티컬 블라인드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1중의 커튼부가 망사로 되어 전체적으로 제직되기 때문에 일체감은 있으나 2중의 직물부가 덧대게 제직(3중)되어야 하므로 제직시 반드시 경사가 통과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경사가 통과됨에 의해서는 경사의 제직방향에 의하여 직물부는 항상 최초 제직방향으로 존재하려는 성질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인으로써 작동시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좌, 우 방향성이 자유롭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1중의 커튼지와 2중의 직물부를 함께 제직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커튼지와 직물부를 서로 다른 메쉬로 제직하여야 함으로써 디자인이 보기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도 3a, b와 같이 커팅된 직물부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커튼지에 매달린 상태에서 텐타기를 통해 이동할 때 정확하게 수평방향(수평각)으로 직각(90°)을 유지하여야 하는바, 도 4a와 같이 약간이라도 틀어져서(skew 또는 bow) 이동하는 경우 생산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하여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조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직물부와 절단하고자 하는 방향이 직각이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된 길이(ℓ)범위내에서 점선(C)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단면도 같이 틀어서 절단하어야 되므로 도 4b와 같이 점선(C)내의 원단만 사용하고 그 나머지 원단(C')은 폐기처분하여야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가공로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절단시 커튼지가 경사지게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면상의 경사실이 노출되어 완제품의 제작 후 올이 풀리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2중의 직물부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측방에서 슬랫을 끼워 넣어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불필요한 샤링공정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사 원단과 베인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베인의 수평각 및 수직각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원단의 로스를 절감하고 유리창의 원활한 차폐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은, 롤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을 풀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공정과;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성형날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성형되게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소정깊이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재위치에서 개방된 베인 성형 주머니의 상부 입구로 슬랫을 삽입하는 슬랫 삽입공정 및, 슬랫이 삽입된 후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과;
차폐공정 후 원단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베인 주머니의 일단 주머니 입구에 필름지를 끼워 삽입하는 필름지 삽입공정과;
필름지 삽입공정 후 원단, 슬랫 및 필름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초음파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공정과;
초음파 융착공정 후 설정된 간격만큼 원단을 이동시켜 레일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과;
타공공정이 완료된 커튼지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 보관하는 권취공정;
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및 버티컬 블라인드지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은,
롤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을 풀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공정과;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성형날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성형되게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소정깊이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재위치에서 개방된 베인 주머니의 입구로 슬랫을 삽입하는 슬랫 삽입공정 및, 슬랫이 삽입된 후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과;
차폐공정 후 원단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원단과 슬랫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초음파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공정과;
초음파 융착공정 후 설정된 간격만큼 원단을 이동시켜 헤드레일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과;
타공공정이 완료된 커튼지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 보관하는 권취공정;
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및 버티컬 블라인드지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상에는 베인 주머니 성형날을 통해 주머니가 성형될 때 수평각 및 수직각이 각각 직각으로 유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차폐공정, 초음파 융착공정, 타공공정은 콘트롤부에 의해 각각 제어되며, 슬랫 삽입공정과 필름지 삽입공정은 각각 자동 또는 수작업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슬랫 삽입공정과 필름지 삽입공정을 자동화 할 경우 콘트롤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슬랫 삽입 및 차폐공정, 필름지 삽입공정, 초음파 융착공정 및 타공공정 등은 베인의 설계 개수와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며, 상술한 공정들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시 2이상의 베인 주머니 성형은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베인 성형날을 상, 하 왕복운동 시켜 성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방된 입구의 원단을 차폐하는 차폐공정은, 봉제, 접착, 융착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망사 원단과 베인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베인의 수평각 및 수직각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원단의 로스를 절감하고 유리창의 원활한 차폐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a, b는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을 보인 개략도.
도 5의 ① 내지 ⑥ 및 도 6의 ① 내지 ④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베인 주머니 성형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가 권취롤에 권취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조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조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의 ① 내지 ⑥ 및 도 6의 ① 내지 ④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베인 주머니 성형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가 권취롤에 권취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조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인 성형날(40)을 1개조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현장상황에 따라서 2개조 또는 2개조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베인 성형공정, 차폐공정, 초음파 융착공정, 타공공정 등은 콘트롤부에 의해 각각 제어 구동되는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각 구동부는 각각 또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베인 성형공정과 동일한 개수만큼 차폐공정, 초음파 융착공정 및 타공공정 등도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설비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타 공정을 거쳐 롤(10)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망사)(20)을 풀어서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으로 이송한다.(도 5의 ①, 도 6의 ①)
이송된 커튼지 원단(20)에 소정깊이의 베인 주머니(30)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이 행하여지는 바, 이는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20)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성형날(40)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5의 ②,③ 및 도 6의 ②)
이때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상에는 베인 성형날(40)을 통해 주머니가 성형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각 및 수직각이 각각 직각(90°)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수평각이라 함은 베인 주머니가 skew 또는 bow 상태로 성형되지 않고 원단의 양끝단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유지되게 한다는 의미이고, 수직각이라 함은 베인 주머니가 하방으로 늘어져 원단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유지되게 한다는 의미임을 말한다.
또한 베인 주머니가 수직각으로 유지되게 성형되므로 좌, 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침이 없어 버티컬 블라인드로 제조되어 각도 조정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인 주머니(30) 성형공정은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베인 성형날(40)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성형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 위치에서 도 5의 ③,④와 같이 베인 주머니(30)에 수작업으로 부직포 또는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슬랫(50)을 개방된 베인 주머니(30)의 입구로 삽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슬랫(50)을 부직포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는 슬랫(50)을 아크릴로 사용하였다.
그 후 슬랫(50)의 삽입 후 도 5의 ⑤ 와 같이 베인 주머니(30) 입구를 차폐공정에서 재봉기(80)로 봉제하여 슬랫(5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슬랫 삽입 및 차폐공정 후 도 5의 ⑥ 및 도 6의 ③과 같이 설정된 간격(s)만큼 원단(20)을 이동시켜 베인 주머니(30) 일단의 입구에 필름지(60)를 끼워 삽입하는 필름지 삽입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s)만큼이란 일반적으로 버티컬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는 원단(20)에 베인 주머니(30)를 일정한 간격 및 반복적으로 제직하는 간격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필름지(60)는 실시예 1에서는 필요한 공정이나 실시예 2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필름지 삽입공정 후 실시예 1에서는 원단(20)과 부직포인 슬랫(50) 및 필름지(6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융착(90)하며, 실시예 2에서는 원단(20)과 아크릴인 슬랫(50)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융착(90)하는 초음파 융착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된 간격(s)만큼 이동시켜 헤드레일(미도시)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H)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을 도 6의 ④와 같이 수행한 후, 도 7a, b, c와 같이 권취롤(70)에 감는 권취공정을 수행하게 되어 버티컬 블라인드지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차폐공정, 초음파 융착공정, 타공공정은 도 8a, b와 같이 콘트롤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인 성형날(40)을 통해 주머니(30)를 성형할 때 원단(20)에 대하여 도 7a와 같이 수평 및 수직(90°)으로 성형됨으로써, 스큐(skew) 나 보우(bow)가 발생될 염려가 없어 원단의 로스(loss)가 현저히 줄어들고 또한 베인이 좌, 우 중립을 유지하기 때문에 유리창 개폐시 좌, 우 작동성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원단(20)과 베인의 표면이 일체형의 망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물론이고, 슬랫(50)의 고정을 위한 재봉작업만으로 버티컬 블라인드지를 제조할 수가 있어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20: 커튼지 원단 30: 베인 주머니
40: 베인 성형날 50: 슬랫
60: 필름지

Claims (7)

  1. 롤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을 풀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공정과;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성형날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성형되게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소정깊이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재위치에서 개방된 베인 성형 주머니의 입구로 슬랫을 삽입하는 슬랫 삽입공정 및, 슬랫이 삽입된 후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과;
    차폐공정 후 원단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베인 주머니의 일단 주머니 입구에 필름지를 끼워 삽입하는 필름지 삽입공정과;
    필름지 삽입공정 후 원단, 슬랫 및 필름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초음파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공정과;
    초음파 융착공정 후 설정된 간격만큼 원단을 이동시켜 헤드레일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과;
    타공공정이 완료된 커튼지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 보관하는 권취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2. 롤에 감겨진 커튼지 원단을 풀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공정과;
    이송되는 커튼지 원단의 수직 상부에서 베인 주머니 성형날을 상, 하 왕복 운동시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성형되게 원단을 눌러 접히게 함으로써 소정깊이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과;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 후 현재위치에서 개방된 베인 성형 주머니의 입구로 슬랫을 삽입하는 슬랫 삽입공정 및 슬랫이 삽입된 후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과;
    차폐공정 후 원단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원단과 슬랫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초음파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공정과;
    초음파 융착공정 후 설정된 간격만큼 원단을 이동시켜 레일의 루버고리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공정과;
    타공공정이 완료된 커튼지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 보관하는 권취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베인 주머니 성형공정상에는 베인 성형날을 통해 주머니가 성형될 때 수평각 및 수직각이 각각 직각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공정, 타공공정은 콘트롤부에 이해 개별 또는 동시에 제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주머니의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공정은, 봉제, 접착, 융착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30019855A 2013-02-25 2013-02-25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45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855A KR101457971B1 (ko) 2013-02-25 2013-02-25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855A KR101457971B1 (ko) 2013-02-25 2013-02-25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83A KR20140105983A (ko) 2014-09-03
KR101457971B1 true KR101457971B1 (ko) 2014-11-05

Family

ID=5175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855A KR101457971B1 (ko) 2013-02-25 2013-02-25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71B1 (ko) * 2018-08-09 2019-10-21 서은섭 문틈 밀폐용 방풍구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6B1 (ko) * 2006-06-16 2007-04-27 오창재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KR20120131922A (ko) * 2011-05-27 2012-12-05 세원섬유(주) 해중합 리사이클 직물과 고주파 접합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6B1 (ko) * 2006-06-16 2007-04-27 오창재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KR20120131922A (ko) * 2011-05-27 2012-12-05 세원섬유(주) 해중합 리사이클 직물과 고주파 접합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71B1 (ko) * 2018-08-09 2019-10-21 서은섭 문틈 밀폐용 방풍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83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2859B1 (en) Window covering having faces of parallel threads
EP2325357A2 (en) Integrated weaving-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9313B1 (ko)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0988591B1 (ko)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9140061B2 (en)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EP2363568A2 (en) Bli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57971B1 (ko)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CN109750405B (zh) 用于建筑特征的多层织物和覆盖物和制造方法
KR20160016294A (ko) 블라인드 직물지
KR101390723B1 (ko)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4766A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28099A1 (en) Fabric for use as a lining material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1173355B1 (ko)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CN101111657B (zh) 织物的无磨损易断连接和包括该连接的垂直百叶窗系统
KR101527414B1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577665B1 (ko)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155B1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KR101691745B1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91746B1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TW448266B (en) Continuous Venetian blind and its manufacture method
CN203462985U (zh) 卷帘
KR20070053956A (ko) 커튼지
IL140696A (en) A window shade and a fabric for use in a window s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