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246B1 -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 Google Patents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46B1
KR100712246B1 KR1020070009807A KR20070009807A KR100712246B1 KR 100712246 B1 KR100712246 B1 KR 100712246B1 KR 1020070009807 A KR1020070009807 A KR 1020070009807A KR 20070009807 A KR20070009807 A KR 20070009807A KR 100712246 B1 KR100712246 B1 KR 10071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creen
blind
woven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재
Original Assignee
오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재 filed Critical 오창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46B1/ko
Priority to PCT/KR2007/0029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1454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블라인드원단의 제조시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이 겹직조부를 통해 결합되는 2겹 직조를 동시에 실시하여 제조공정을 간략화하였으며, 상기 스크린원단의 절단 후 커버원단과의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스크린원단에 그려지는 다양한 무늬 모양 및 그림의 정렬이 고르며, 커버원단과의 결합이 견고한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차로 원단판을 직조할 시에 바탕원단과 스크린원단을 별개로 직조하는 것이 아니고, 동시에 겹직조부를 형성한 상태로 일체형으로 직조하기에 그 내구성이 높고,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별도의 접착이 필요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로 직조된 원단판의 스크린원단 끝단에 커버원단을 초음파 융착의 방식으로 결합시키기에 그 결합력이 우수하고, 매끈하며 생산성이 높다.
원단판, 바탕원단, 스크린원단, 겹직조부, 블라인드원단

Description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 The screen blind and product method of blind for a double picturing}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조하는 공정 중 바탕원단에 스크린을 접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조하는 공정 중 상기 스크린에 커버원단을 접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 블라인드 제조공정 중 원단판을 직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직조된 원단판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원단판에서 스크린원단을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원단의 끝단에 커버원단을 초음파 융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원단이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크린 블라인드로 완성된 닫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원단이 프레임에 결합되어 스크린 블라인드로 완성된 편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원단판 11; 바탕원단
12; 스크린원단 20; 겹직조부
30; 커버원단 44; 무늬나 그림
50; 블라인드원단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블라인드원단의 제조시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이 겹직조부를 통해 결합되는 2겹 직조를 동시에 실시하여 제조공정을 간략화하였으며, 상기 스크린원단의 절단 후 커버원단과의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스크린원단에 그려지는 다양한 무늬 모양 및 그림의 정렬이 고르며, 커버원단과의 결합이 견고한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또는 배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는 얇고 좁은 금속판, 나무판, 플라스틱판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엮어 늘어뜨려 햇빛을 가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창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커튼 박스에 매달아 사용되고 있으며 종이, 천과 같은 밀폐형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상 및 재질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유통되는 롤 블라인드는 상부에 권취봉이 구비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에 커튼이 말아지거나 풀어지는, 즉 상하로 권취 및 해제가 되면서 커튼을 개방 및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의 안내가이드를 통해 좌우로 커튼이 이동되는 방식인 버티컬 블라인드 역시 애용되고 있으며 수평 블라인드 방식 역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외부의 햇빛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광선 차단 역할을 하거나 외부에서 내부로의 시선을 막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블라인드는 외풍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도 한다.
그럼 종래 본 발명과 같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제조방법과 그 스크린 블라인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집어 본다.
우선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종래의 스크린 블라인드에서는, 바탕원단(1)을 준비하고, 스크린원단을 준비하여 스크린원단을 아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절단된 스크린(2)을 상기 바탕원단(1)에 접착하게 되는데, 그 끝단만 약간 접착될 수 있게 주의하여 접착을 유도한다.
그리고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스크린(2)의 일측단이 접착이 완료되고 난 후, 타측단에도 도시된 커버원단(3)을 접착하여 일체화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블라인드원단(5)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창문에 걸려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블라인드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상기 스크린원단을 일단 일일이 절단하여 바탕원단(1)에 접착하여야 하기에 작업이 번거롭다. 즉, 스크린(2)이 될 수 있게 스크린원단을 모두 절단하여야하고, 이를 정확하게 수평이 되도록 잡아서 상기 바탕원단(1)에 접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만일 상기 스크린원단에 무늬나 그림 등의 도안이 도시되어 있다면 이것이 오려져 다시 붙여졌을 경우 도안이 정확하게 맞지 않을 소지가 많다.
둘째, 일일이 부착하는 방식이기에 접착력이 약하고 작은 힘에 의해서도 그 결합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 내구성이 약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블라인드원단의 제조시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이 겹직조부를 통해 결합되는 2겹 직조를 동시에 실시하여 제조공정을 간략화하였으며, 상기 스크린원단의 절단 후 커버원단과의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스크린원단에 그려지는 다양한 무늬 모양 및 그림의 정렬이 고르며, 커버원단과의 결합이 견고한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 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직조기를 통해 바탕원단과 스크린원단을 동시에 2겹 직조를 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겹치서 붙은 겹직조부가 형성되게 원단판을 직조하는 단계와; 제2단계: 상기 직조된 원단판에서 상기 스크린원단의 겹직조부의 상단을 절단하는 단계와; 제3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원단의 끝단에 바탕원단과 크기가 동일한 커버원단을 결합시켜 블라인드원단을 제조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에 있어서 원단을 겹으로 직조하되, 전면에 위치되게 직조되는 스크린원단과, 후면에 위치하게 직조되는 바탕원단; 상기 쌍의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일체로 결합된 직조부위가 형성된 겹직조부위와; 절단된 상기 겹직조부위의 상단 즉, 스크린원단의 끝단부들과 일렬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전면의 커버원단이; 결합하여 햇빛의 직접적인 투사율을 조절하되, 상기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이 겹직조부위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직조된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우선 선 특허출원된 10-2006-54117호(2006. 6. 16.)에 대한 국내 우선권을 주장하는 국내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원단판의 직조시 바탕원단과 스크린원단을 일체된 상태로 2겹 직조방식을 사용한다는 점, 그에 따라 블라인드원단의 내구성이 높고 수평이 잘 맞추어 진다는 점 및 만일 스크린원단에 도안이 도시되어 있다면 그 도안이 잘 맞추어 진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단계: 직조기를 통해 바탕원단(11)과 스크린원단(12)을 동시에 2겹 직조를 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겹치서 붙은 겹직조부(20)가 형성되게 원단판(10)을 직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도 3과 4에서와 같이,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을 동시에 직조하게 된다. 사실상 예전의 직조기계로는 한 번의 직조로 단 한 장의 원단을 직조할 수밖에 없었지만, 요즘의 경우는 종강의 승하강이 각자 프로그램된 전자석을 통해 그 높이와 시간 및 횟수마저도 제어될 수 있기에 두 장 이상의 원단도 직조가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직조되는 원단은 그 재질을 달리하여 직조할 수도 있고 같은 종류로도 직조될 수 있는 것이 당업계에서는 아주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자제하겠지만,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2겹의 직조기술을 사용하여 원단판(10)을 직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렇게 2겹의 원단판(10)을 직조할 때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일체되는 형태 즉, 일정간격만큼 서로 겹쳐서 직조된 겹직조부(20)를 형성한 상태로 직조가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직조법도 상부의 스크린원단(12)과 하부의 바탕원단(11)의 위사를 인젝트시킬 때, 종강을 이용하여 경사를 같이 들어주고 내리는 작업으로 얼마든지 달성할 수 있는 작업이기에 별도의 설명은 자제한다.
아무튼 본 발명에서 아주 중요한 점은 이렇게 종래에는 2겹으로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을 동시에 직조하려고 생각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과, 그에 따라 별도로 스크린원단(12)을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없어졌다는 점에서 아주 이점이 많다.
결국 본 발명은 이러한 제1단계를 거치며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이 일부에서 일체된 겹직조부(20)로 결합된 상태로 동시에 2겹 직조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 상기 직조된 원단판(10)에서 상기 스크린원단(12)의 겹직조부(20)의 상단을 절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것처럼 겹직조부위(20)의 상측을 절단해 내는 것이다. 물론 하측을 절단하여 돌리는 것도 무방하다. 단지, 시각적인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렇게 절단해내게 되면 종래의 스크린을 접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일측은 접착을 안 하고 직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에 스크린의 수평유지가 용이하다. 즉, 일일이 접착을 해야 할 때에는 접착되는 스크린이 바탕원단(11)에 수평되게 접착이 이루어졌나 확인하여야하고, 또 일측이 더 많이 접착되지 않도록 상당히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데, 본 발명은 직도된 상태에서부터 일체로 직조되기에 수평은 당연히 맞추어진 상태이고, 일체형이기에 접착의 필요성도 없어진다.
그리고 다음으로 제3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원단(12)의 끝단에 바탕원단(11)과 크기가 동일한 커버원단(30)을 결합시켜 블라인드원단(50)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도 5에서처럼, 상기 원단판(10)에서 절단되어 올라온 스크린원단(12)의 끝단과 상기 커버원단(3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원단(30)과 바탕원단(11)은 그 크기가 동일해야하고, 상기 커버원단(30)에 부착되는 스크린원단(12)은 배후에 바탕원단(11)과 일체로 결합된 부분과 동일한 간격을 형성시키면서 결합되어야 타당하다. 따라서 이렇게 결합함으로 본 발명의 블라인드원단(50)은 완성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원단이 완성되고 나서는 도 7과 8에 도시된 것처럼 블라인드 프레임(61)에 결합되어 창문 앞에 걸려 사용이 된다. 즉, 도시된 도 7과 같이 블라인드를 접어 상기 스크린원단(12)이 햇빛을 차단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이를 약간 조절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시킨다면, 그 열린 각도만큼 햇빛은 상기 커버원단(30)과 바탕원단(11)을 통과하고 집안으로 입사되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제1단계의 겹직조부(20)는, 그 폭이 0.3-3㎝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겹직조되어 서로 일체로 결합된 겹직조부위(20)를 약 0.3-3㎝까지 겹치도록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 이 겹직조부위(20)는 햇 빛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 부위이기에 너무 폭이 넓어도 좋지 않다. 그렇다고 너무 좁아도 내구성 면에서나 투과된 빛이 방의 내부를 치장하는 그림자의 질감면에서 미려하지 못함으로 상기한 폭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스크린원단(12)의 끝단에 커버원단(30)을 결합시키는 방식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상기 커버원단(30)과 스크린원단(12)을 부착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종래와 같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는 방식과, 열을 이용해서 융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융착 방식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달성한다. 이 초음파 융착의 방식은 강한 진동을 통해서 매질과 매질 간을 서로 용융시켜 결합시키는 방식인데, 결합력이 우수하고 결합부위가 매끈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접착방식의 결합의 약한 문제점과 열 융착방식에서 발생되는 결합부위가 타는 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된 블라인드원단(50)의 제조방법만이 그 청구의 대상이 아니다. 즉, 그로부터 제조된 블라이드원단(50)도 그 청구의 대상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50)에 있어서, 원단을 겹으로 직조하되, 전면에 위치되게 직조되는 스크린원단(12)과, 후면에 위치하게 직조되는 바탕원단(11)이 있고, 상기 쌍의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일체로 결합된 직조부위가 형성된 겹직조부위(20)가 있다. 또한 절단된 상기 겹직조부위(20)의 상단 즉, 스크린원단(12)의 끝단부들과 일렬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전면의 커버원단(30)이 있다. 따라서 햇빛의 직접적인 투사율을 조절하되, 상기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이 겹직조부위(20)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직조된 것이다.
즉, 전술된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은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이 서로 겹직조부위(20)를 통해서 결합된 상태로 직조된다. 그리고 그 직조된 스크린원단(12)의 상단이 절개되어 수평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원단(30)이 그 끝단에 견고히 결합된다. 물론 이렇게 결합되어 완성된 블라인드원단(50)은 도 7과 8에 도시된 블라인드 프레임(61)에 체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블라인드(100)로 완성된다. 그 사용의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61)에 체결된 상태에서 만일 상기 블라인드의 스크린원단(12)이 상승하여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의 간격도 넓어진다. 물론 햇빛을 막고 있던 상기 스크린원단(12) 부위로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비치는 햇빛을 적게 막게 된다. 따라서 햇빛이 창문과 이 블라인드를 통해 입사되어 밝은 기운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상기 스크린원단(12)을 내려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도 서로 근접하게 접히게 되고, 그 사이에 스크린원단(12)도 겹쳐 포개진 상태가 되기에 햇빛의 투과를 대부분 차단한다. 따라서 햇볕이 따가운 날에는 이러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은, 햇빛 투사율이 높은 망사 형태의 원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상기 망사 형태로 제작되어야 햇빛의 투과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스크린원단(12)은, 햇빛 투사율이 낮은 조밀한 원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만일 햇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원단(12)으로 그 빛을 차단시키게 하기 위해 조밀한 원단을 사용하며, 햇빛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원단(12)을 접고 망사형태의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을 통해 햇빛의 투과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겹직조부위(20)는 그 폭이 0.3-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크린원단(12)의 끝단부와 커버원단(30)의 결합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전술된 제조방법을 통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한편 상기 스크린원단(12)의 표면에는, 무늬나 그림(44)이 그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상기 무늬나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란 의미는 상기 스크린원단(12)이 바탕원단(11)과 함께 직조되는 과정에서 그 직조술을 통해 원단에 입혀지는 무늬나 그림일 수도 있고, 원단의 직조가 끝나고 난 후, 상기 스크린원단(12)에 프린트되거나 도안되는 무늬나 그림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은 종래의 스크린원단(12)처럼 선 직조되고 스크린의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바탕원단(11)에 접착되는 방식이 아니라 직조된 표면에 무늬나 그림(44)이 새겨져 있거나, 직조된 상태에서 무늬나 그림(44)이 새겨지며 바로 그 새겨진 상태에서 위치 이동 없이 겹직조부위(20)의 상단만 절단되기에, 절단되고 난 후에도 그 무늬나 그림(44)이 틀어지는 일이 없이 서로 가지런히 맞추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의 표면에는, 무늬나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크린원단(12)에만 무늬나 그림이 도안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에 도안 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일차로 원단판을 직조할 시에 바탕원단과 스크린원단을 별개로 직조하는 것이 아니고, 동시에 겹직조부를 형성한 상태로 일체형으로 직조하기에 그 내구성이 높고,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별도의 접착이 필요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로 직조된 원단판의 스크린원단 끝단에 커버원단을 초음파 융착의 방식으로 결합시키기에 그 결합력이 우수하고, 매끈하며 생산성이 높다.

Claims (10)

  1.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직조기를 통해 바탕원단(11)과 스크린원단(12)을 동시에 2겹 직조를 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겹치서 붙은 겹직조부(20)가 형성되게 원단판(10)을 직조하는 단계와;
    제2단계: 상기 직조된 원단판(10)에서 상기 스크린원단(12)의 겹직조부(20)의 상단을 절단하는 단계와;
    제3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원단(12)의 끝단에 바탕원단(11)과 크기가 동일한 커버원단(30)을 결합시켜 블라인드원단(50)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겹직조부(20)는,
    그 폭이 0.3-3㎝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스크린원단(12)의 끝단에 커버원단(30)을 결합시키는 방식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
  4.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에 있어서
    원단을 겹으로 직조하되, 전면에 위치되게 직조되는 스크린원단(12)과, 후면에 위치하게 직조되는 바탕원단(11);
    상기 쌍의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일체로 결합된 직조부위가 형성된 겹직조부위(20)와;
    절단된 상기 겹직조부위(20)의 상단 즉, 스크린원단(12)의 끝단부들과 일렬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전면의 커버원단(30)이; 결합하여 햇빛의 직접적인 투사율을 조절하되, 상기 스크린원단(12)과 바탕원단(11)이 겹직조부위(20)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은,
    햇빛 투사율이 높은 망사 형태의 원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 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원단(12)은,
    햇빛 투사율이 낮은 조밀한 원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겹직조부위(20)는,
    그 폭이 0.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원단(12)의 끝단부와 커버원단(30)의 결합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원단(12)의 표면에는,
    무늬나 그림(44)이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원단(11)과 커버원단(30)의 표면에는,
    무늬나 그림이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KR1020070009807A 2006-06-16 2007-01-31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KR10071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2900 WO2007145479A1 (en) 2006-06-16 2007-06-15 Fabric for screen bli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117 2006-06-16
KR20060054117 200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246B1 true KR100712246B1 (ko) 2007-04-27

Family

ID=3818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807A KR100712246B1 (ko) 2006-06-16 2007-01-31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4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871062B1 (ko) * 2008-03-19 2008-11-27 박선숙 버티칼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871061B1 (ko) * 2008-05-30 2008-11-27 박선숙 버티칼 커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1052B1 (ko) * 2009-03-27 2009-08-06 김옥자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WO2009116820A1 (ko) * 2008-03-19 2009-09-24 Park Sun Sook 버티칼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932657B1 (ko) * 2009-03-09 2009-12-21 김동식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KR100971399B1 (ko) 2008-06-10 2010-07-20 최창식 블라인드용 주름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982888B1 (ko) * 2009-07-22 2010-09-16 신장희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KR100984116B1 (ko) * 2010-02-05 2010-09-28 하수용 망사지에 무늬 형성된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569B1 (ko) 2009-03-23 2011-03-31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120698B1 (ko) 2009-04-22 2012-03-23 신장희 로만쉐이드용 직물지의 제조 방법
KR101169458B1 (ko) 2010-07-13 2012-07-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외 작업복의 제조 장치 및 옥외 작업복의 제조 방법
KR101320068B1 (ko) 2013-01-22 2013-10-18 김삼수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 원단
KR101457971B1 (ko) * 2013-02-25 2014-11-05 주식회사 윈플러스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363A (en) 1993-11-09 2000-12-26 Hunter Douglas Inc. Fabric window covering with looped fabric vanes
WO2005019584A2 (en) 2003-08-20 2005-03-03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363A (en) 1993-11-09 2000-12-26 Hunter Douglas Inc. Fabric window covering with looped fabric vanes
WO2005019584A2 (en) 2003-08-20 2005-03-03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062B1 (ko) * 2008-03-19 2008-11-27 박선숙 버티칼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WO2009116820A1 (ko) * 2008-03-19 2009-09-24 Park Sun Sook 버티칼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871061B1 (ko) * 2008-05-30 2008-11-27 박선숙 버티칼 커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1399B1 (ko) 2008-06-10 2010-07-20 최창식 블라인드용 주름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932657B1 (ko) * 2009-03-09 2009-12-21 김동식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KR101026569B1 (ko) 2009-03-23 2011-03-31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0911052B1 (ko) * 2009-03-27 2009-08-06 김옥자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1120698B1 (ko) 2009-04-22 2012-03-23 신장희 로만쉐이드용 직물지의 제조 방법
KR100982888B1 (ko) * 2009-07-22 2010-09-16 신장희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KR100984116B1 (ko) * 2010-02-05 2010-09-28 하수용 망사지에 무늬 형성된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69458B1 (ko) 2010-07-13 2012-07-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외 작업복의 제조 장치 및 옥외 작업복의 제조 방법
KR101320068B1 (ko) 2013-01-22 2013-10-18 김삼수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 원단
KR101457971B1 (ko) * 2013-02-25 2014-11-05 주식회사 윈플러스 버티컬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246B1 (ko)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블라인드원단
CA2253780C (en)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JP7014916B2 (ja) 単位遮光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0288B2 (en) Vertical blind having a face of parallel threads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JP2010509523A (ja) 製織で結合された織物ブラインド
KR102659313B1 (ko)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090118008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US20070010147A1 (en) Flexible glass fiber weave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BR112014022533B1 (pt) Conjunto de cortina de rolo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 conjunto de cortina de rolo
JP2016529429A (ja) 単位セル、その単位セルを接合したブラインドおよびそのブラインドを含むブラインドアセンブリ
KR20110131611A (ko) 이중 층을 가지는 블라인드
KR101320068B1 (ko)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 원단
KR100859437B1 (ko) 이중층을 가지는 블라인드
KR101318073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20160014825A (ko)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1527414B1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JP3487579B2 (ja) ロールカーテン又はシェードカーテン用カーテン布地、ロールカーテン及びシェードカーテン
EP1114234B1 (en) Window blind for decoration and sun protection
KR20120004035A (ko) 블라인드
KR101136993B1 (ko) 베네치안 블라인드
WO2007145479A1 (en) Fabric for screen bli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0062B1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