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109B1 - 3차원 입체형상 직물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형상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109B1
KR101829109B1 KR1020150188796A KR20150188796A KR101829109B1 KR 101829109 B1 KR101829109 B1 KR 101829109B1 KR 1020150188796 A KR1020150188796 A KR 1020150188796A KR 20150188796 A KR20150188796 A KR 20150188796A KR 101829109 B1 KR101829109 B1 KR 10182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layer
inclination
contact portion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356A (ko
Inventor
백규열
Original Assignee
권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중 filed Critical 권구중
Priority to KR102015018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1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중간층을 2중으로 분리 구성하되 2개의 중간층이 확실한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연결 경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제직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이 개시된다.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복수의 표면부와 복수의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표면부와 표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 표면층과, 복수의 이면부와 복수의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면부와 이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 이면층과, 일측은 상기 표면층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면층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중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표면접결부와 제2 표면접결부가 순차 구성되고; 상기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이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가 순차 구성되며; 상기 중간층은 제1 표면접결부와 제1 이면접결부를 연결하는 제1 중간층과, 제2 표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를 연결하는 제2 중간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형상 직물{3Dimension fabric}
본 발명은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각 층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직포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직기로 짜여지며,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짜여 만들어지는 천이다. 직물은 경사와 위사의 교차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직물조직을 형성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2043호(2015.10.14)에는 빛의 차단율을 높여 블라인드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표면층(500)과, 이면층(600)과, 상기 표면층(500)과 이면층(600)을 연결하는 중간층(300)으로 형성된다. 표면층(500)에는 표면접결부(510)와 표면부(520)가 형성되고, 이면층(600)에는 이면접결부(610)와 이면부(620)가 형성된다. 표면부(520) 및 이면부(620)는 각각 2개 이상의 표면 경사 및 이면 경사만으로 제직되며, 표면접결부(510) 및 이면접결부(610)는 표면 경사와 이면 경사 및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다.
표면부(520)와 이면부(620)는 다른 경사의 관여없이 독립된 경사(표면 경사 및 이면 경사)로서 제직된다. A 구간부터 각각의 경사가 관여하는 층을 중심으로 제직의 원리를 설명하면, 표면 경사와 제1 중간층(310,312)을 형성하는 경사(제1 중간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 표면접결부(511)를 형성한다. 이후에, 제1 중간 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300)을 이루는 제1 중간층(310,312)을 형성하고 나면, 이면 경사와 함께 직조되어 이면층(600)에 제2 이면접결부(613)를 형성한다.
이후에, 제1 중간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며, B 구간의 이면부에서 이면 경사만이 관여하여 이면부(620)를 형성한다. 이후 제3 표면접결부(515)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제1 중간 경사(연결 경사:311)는 제3 이면접결부(615)의 시작점과 제3 표면접결부(515)를 서로 연결하고, 표면 경사와 함께 제3 표면접결부(515)를 형성한다. 제1 중간 경사(311)는 제2 이면접촉부(631)과 제3 이면접결부(615)사이에서 이면층(600)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1 이면접결부(611)와 제1 표면 접촉부(511) 사이의 제1 중간 경사(1311)부분은 연결 경사로 칭하였다. 이후 과정은 제1 표면접결부(511)를 형성한 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제1 표면접결부(511)와 서로 다른 층에 동일한 위치에서, 이면층(600)에서는 제1 이면접결부(611)가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이면층(600)은 이면 경사만으로 제직되는바 이는 표면층과 동일하다. 제1 이면접결부(611)는 이면 경사와 제2 중간 경사(연결 경사:321)로 형성된다. 이후에, 제2 중간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며 이 영역에서는 이면 경사만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620)를 형성한다(A 구간).
이후에,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제2 중간 경사는 제2 이면접결부(613)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표면층(500)의 제2 표면접결부(513)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 경사와 함께 직조된다. 연결 경사(321)는 제2 표면접결부(513)와 제2 이면접결부(61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표면접결부(513)와 제2 이면접결부(613)는 서로 다른 층에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직조될 수 있다. 제2 표면접결부(513)를 형성한 제2 중간 경사는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중간 경사만으로 직조되고 다시 이면 경사와 함께 제3 이면접결부(615)를 형성한다. 제2 중간 경사(321)는 제1 이면접촉부(611)와 제2 이면접촉부(613) 사이에서 이면층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후 과정은 A 구간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실제 제직의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A 구간의 제1 표면접결부(511)부터 시작된다. 표면 경사와 제1 중간 경사가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제1 표면접결부(511)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한다. 이후에, 이면 경사와 제2 중간 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제1 이면접결부(611)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한다. 제1 표면접결형성단계와 제1 이면접결형성단계는 미리 설계된 접결부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각각의 접결부를 모두 직조할 때까지 계속된다.
접결부(511,611)가 모두 형성되면, 표면 경사만이 관여하여 A 구간의 표면부(520)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고, 제1 중간층(310,31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중간 경사인 각각의 직물층 경사만 위사와 교차한다. 이면층(600)에서는 이면 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620)를 직조하기 시작한다. 표면부 형성 - 제1 중간층 형성 - 이면부 형성이 순차 반복적으로 계속되면서 미리 설계된 길이만큼 각각의 제2 접결부의 직전까지 계속된다.
이제 B 구간의 제직 순서를 설명하면, A 구간과 관여하는 경사만이 차이있을 뿐 제직방법은 동일하다. 제2 표면접결부(513)는 제2 중간 경사와 표면 경사로 직조되며, 제2 이면접결부(613)는 제1 중간 경사와 이면 경사로 직조된다. 이후에, 표면부(520)는 표면 경사로, 제2 중간층(320,322)은 제2 중간 경사로, 이면부(620)는 이면 경사로서 A 구간과 동일하게 순차 반복적으로 제직된다.
이와 같이 제직된 직물은 연결 경사(311,321)에 의해 표면층(500)과 이면층(600)이 결합되어 있어 3차원적 입체형상을 발현할 수 없으며, 3차원적 입체형상 발현을 위해서는 연결 경사(311,321)를 제거하여야 한다. 연결 경사(311,321)가 제거됨으로써 표면층(500)과 이면층(600)은 중간층(300)으로 서로 교차된 형태로 연결되어 3차원적 입체적 형상 발현이 가능해진다. 즉, 제1 표면접결부(511)는 제2 이면접결부(613)와 제1 중간층(310,312)으로 연결되고, 제2 표면접결부(513)는 제3 이면접결부(615)와 제2 중간층(320,322)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상기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3차원 입체형상 발현을 위해 연결 경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전모(Shearing:털깍기)법을 사용하여 노출된 경사를 절단한 후 흡입식으로 제거하거나, 연결 경사의 일 지점을 절단한 후 잡아당겨 타 지점에서 다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연결 경사의 제거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 구간과 이와 인접한 B 구간에서의 제직 작업을 별도로 병행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제직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블라인드에 적용될 경우 중간층을 2중으로 하여 차광 효과를 높이고 있으나, 실제 직물의 제직 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층이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지 않고 2개의 층이 서로 붙어 마치 1개의 층으로 형성되므로 실질적인 차광 향상 효과는 발생하지 않으며, 제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5579호(2008.03.1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2043호(2015.10.1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을 2중으로 분리 구성하되 2개의 중간층 사이에 확실한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연결 경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제직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복수의 표면부와 복수의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표면부와 표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 표면층과, 복수의 이면부와 복수의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면부와 이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 이면층과, 일측은 상기 표면층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면층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중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표면접결부와 제2 표면접결부가 순차 구성되고; 상기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이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가 순차 구성되며; 상기 중간층은 제1 표면접결부와 제1 이면접결부를 연결하는 제1 중간층과, 제2 표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를 연결하는 제2 중간층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일부가 오버랩되어 형성되고;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를 순차로 연결하되, 길이 방향으로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 간을 연결하는 일구간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 간을 연결하는 다른 구간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며, 상기 일구간과 이웃하는 다른 구간의 경사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경사를 절단하여 중간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표면접결부와 제2 표면접결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에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제1 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 표면접결부를 형성하고,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제2 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2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며; 이면층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제1 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 이면접결부를 형성하고, 이면층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제2 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2 이면접결부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되며, 이면층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연결 경사의 절단 및 제거의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간을 줄여 생산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아울러, 직물의 길이 방향으로 제직 작업을 별도로 병행 실시하지 않고 연속적인 제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블라인드에 적용될 경우, 중간층을 2중으로 하여 차광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실제 직물의 제직 시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이 이격 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게 되어 차광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경사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연결 경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경사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표면층(110)과, 이면층(120)과, 중간층(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면층(110)은 복수의 표면부(115)와 복수의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표면부(115)와 표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다. 이면층(120)은 복수의 이면부(125)와 복수의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면부(125)와 이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된다. 중간층(130)은 일측이 표면층(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면층(12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표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표면접결부(111)와 제2 표면접결부(113)가 순차 구비된다.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이면접결부(121)와 제2 이면접결부(123)가 순차 구비된다. 중간층(130)은 제1 표면접결부(111)와 제1 이면접결부(121)를 연결하는 제1 중간층(131)과, 제2 표면접결부(113)와 제2 이면접결부(123)를 연결하는 제2 중간층(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일부가 오버랩되어 형성된다. 중간층(130)을 구성하는 경사는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를 순차로 연결한다. 길이 방향으로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 간을 연결하는 일구간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 간을 연결하는 다른 구간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다.
일구간과 이웃하는 다른 구간의 경사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표면층(110)과 이면층(120)사이에서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경사를 절단하여 중간층(130)이 형성된다.
제1 표면접결부(111)와 제2 표면접결부(1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미소 거리 이격 형성된다. 또한, 제1 이면접결부(121)와 제2 이면접결부(123)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미소 거리 이격 형성된다. 제1 중간층(131)과 제2 중간층(13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경사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 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한다.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한다. 또한,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 이면접결부(121)를 형성하고,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한다.
다시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제직 순서를 설명한다. 표면부(115) 및 이면부(125)는 복수의 이상의 표면 경사 및 이면 경사만으로 제직된다. 이하에서 2개의 표면 경사 및 이면 경사를 예로 설명한다.
표면 경사는 제1 표면 경사(1101) 및 제2 표면 경사(1102)로 이루어지고, 이면 경사는 제1 이면 경사(1201) 및 제2 이면 경사(1202)로 이루어진다. 제1 중간층(131)은 제1 중간 경사(1311) 및 제2 중간 경사(1312)로 이루어지며, 제2 중간층(132)은 제3 중간 경사(1321) 및 제4 중간 경사(1322)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모든 경사들은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되며, 특별히 위사와 교차하지 않고 경사만 제직되는 경우에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라는 표현을 쓰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 예의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면접결부(111)는 제1 표면 경사(1101), 제2 표면 경사(1102), 제1 중간 경사(1311) 및 제2 중간 경사(1312)를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되며, 제2 표면접결부(113)는 제1 표면 경사(1101), 제2 표면 경사(1102), 제3 중간 경사(1321) 및 제4 중간 경사(1322)를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이면접결부(121)는 제1 이면 경사(1201), 제2 이면 경사(1202), 제1 중간 경사(1311) 및 제2 중간 경사(1312)를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되며, 제2 이면접결부(123)는 제1 이면 경사(1201), 제2 이면 경사(1202), 제3 중간 경사(1321) 및 제4 중간 경사(1322)를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다.
표면부(115) 및 이면부(125)는 다른 경사의 관여없이 독립된 경사로 제직된다. 즉, 표면부(115)는 제1 표면 경사(1101)와 제2 표면 경사(1102)로 제직되며, 이면부(125)는 제1 이면 경사(1201)와 제2 이면 경사(1202)로 제직된다. 아울러, 제1 중간층(131)은 제1 중간 경사(1311)와 제2 중간 경사(1312)로 제직되고, 제2 중간층(132)은 제3 중간 경사(1321)와 제4 중간 경사(1322)로 제직된다.
상기 경사들의 제직 순서를 도 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 이면 경사(1201), 제2 이면 경사(1202), 제1 중간 경사(1311) 및 제2 중간 경사(1312)를 위사와 교차하여 제직함으로써 이면층(120)에 제1 이면접결부(121)를 형성한다(제1 단계).
이후에, 제1 중간 경사(1311)와 제2 중간 경사(1312)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한다. 이후에, 제1 표면 경사(1101) 및 제2 표면 경사(1102)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됨으로써 표면층(110)에 제1 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한다(제2 단계).
이후에, 제1 중간 경사(1311) 및 제2 중간 경사(1312)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어 제1 연결 경사(133)를 형성한다. 제1 연결 경사(133)는 제1 이면 경사(1201) 및 제2 이면 경사(1202)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제1 이면접결부(121)를 형성한다(제3 단계).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제2 단계 및 제3 단계의 제직 순서를 반복한다.
한편, 도 3에서 제1 이면접결부(121)의 길이 방향 우측에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한다. 제2 이면접결부(123)는 제1 이면 경사(1201), 제2 이면 경사(1202), 제3 중간 경사(1321) 및 제4 중간 경사(1322)를 위사와 교차하여 제직함으로써 이면층(120)에 형성된다(제4 단계).
이후에, 제3 중간 경사(1321)와 제4 중간 경사(1322)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한다. 이후에, 제1 표면 경사(1101) 및 제2 표면 경사(1102)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됨으로써 표면층(110)에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한다(제5 단계).
이후에, 제3 중간 경사(1321) 및 제4 중간 경사(1322)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어 제2 연결 경사(134)를 형성한다. 제2 연결 경사(134)는 제1 이면 경사(1201) 및 제2 이면 경사(1202)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한다(제6 단계).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제5 단계 및 제6 단계의 제직 순서를 반복한다.
상기에서, 제1 표면접결부(111) 및 제2 표면접결부(113)가 모두 형성되면, 제1 표면 경사(1101) 및 제2 표면 경사(1102)만이 관여하여 표면부(115)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한다. 표면부(115)의 형성은 길이 방향으로 그 다음 제1 표면접결부(111)까지 계속된다.
아울러, 제1 이면접결부(121) 및 제2 이면접결부(123)가 모두 형성되면, 제1 이면 경사(1201) 및 제2 이면 경사(1202)만이 관여하여 이면부(125)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한다. 이면부(125)의 형성은 길이 방향으로 그 다음 제1 이면접결부(121)까지 계속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연결 경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제직된 직물에서 제1 연결 경사(133) 및 제2 연결 경사(134)를 표면층(110)과 이면층(120) 사이의 커팅 부위(C)에서 절단하여 제거한다. 상기 커팅 부위(C)는 표면층(110)과 이면층(120) 사이의 중간 부위가 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연결 경사(133) 및 제2 연결 경사(134)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의 3차원 입체 형상을 발현한 직물을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종래의 외부로 노출된 위치에서 연결 경사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연결 경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연결 경사를 절단 후 잡아당기는 등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연결 경사의 절단 및 제거의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간을 줄여 생산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아울러, 직물의 길이 방향으로 제직 작업을 별도로 병행 실시하지 않고 연속적인 제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블라인드에 적용될 경우, 중간층을 2중으로 하여 차광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실제 직물의 제직 시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이 이격 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게 되어 차광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경사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되며,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된다.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경사는 제1 경사(1), 제2 경사(2), 제3 경사(3) 및 제4 경사(4)로 구성되며,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경사는 제5 경사(5), 제6 경사(6), 제7 경사(7) 및 제8 경사(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경사(1), 제2 경사(2), 제3 경사(3) 및 제4 경사(4)는 독립적으로 위사와 교차하여 표면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제5 경사(5), 제6 경사(6), 제7 경사(7) 및 제8 경사(8)는 독립적으로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125)를 형성한다. 도 7에서 도면 부호는 15는 위사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이면접결부(121)는 제5 경사(5), 제6 경사(6), 제7 경사(7) 및 제8 경사(8)에 제9 경사(9)와 제10 경사(10)를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형성한다. 제1 이면접결부(121)의 제직이 완료되면, 제9 경사(9) 및 제7 경사(7)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한다. 이후에, 제9 경사(9) 및 제7 경사(7)는 제1 경사(1), 제2 경사(2), 제3 경사(3) 및 제4 경사(4)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제1 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한다.
제1 표면접결부(111)의 제직이 완료되면, 제1 경사(1), 제2 경사(2), 제3 경사(3), 제4 경사(4), 제7 경사(7) 및 제9 경사(9) 중 제2 경사(2) 및 제7 경사(7)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후, 이면층(120)에서 제6 경사(6), 제10 경사(10), 제12 경사(12) 및 제8 경사(8)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전술한 제1 이면접결부(121)의 형성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후의 제직 과정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된다. 제1 연결 경사(133)를 형성한 제2 경사(2) 및 제7 경사(7)는 절단되어 제거된다.
한편, 제2 이면접결부(123)는 제5 경사(5), 제6 경사(6), 제8 경사(8) 및 제10 경사(10)에 제11 경사(11) 및 제12 경사(12)를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형성한다. 제2 이면접결부(123)의 제직이 완료되면, 제5 경사(5) 및 제11 경사(11)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한다. 이후에, 제5 경사(5) 및 제11 경사(11)는 제1 표면접결부(111)에서 연장되는 제1 경사(1), 제9 경사(9), 제3 경사(3) 및 제4 경사(4)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한다.
제2 표면접결부(113)의 제직이 완료되면, 제1 경사(1), 제9 경사(9), 제5 경사(5), 제3 경사(3), 제11 경사(11) 및 제4 경사(4) 중 제1 경사(1) 및 제5 경사(5)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후, 이면층(120)에서 제2 경사(2), 제10 경사(10), 제12 경사(12) 및 제8 경사(8)와 함께 위사와 교차하여 전술한 제2 이면접결부(121)의 형성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후의 제직 과정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된다. 제2 연결 경사(134)를 형성한 제1 경사(1) 및 제5 경사(5)는 절단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되고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됨으로써, 직물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표면층 111: 제1 표면접결부
113: 제2 표면접결부 1101: 제1 표면 경사
1102: 제2 표면 경사 115: 표면부
120: 이면층 121: 제1 이면접결부
123: 제2 이면접결부 1201: 제1 이면 경사
1202: 제2 이면 경사 125: 이면부
130: 중간층 131: 제1 중간층
132: 제2 중간층 1311: 제1 중간 경사
1312: 제2 중간 경사 1321: 제3 중간 경사
1322: 제4 중간 경사 133: 제1 연결 경사
134: 제2 연결 경사

Claims (5)

  1. 복수의 표면부(115)와 복수의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표면부(115)와 표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표면접결부는 표면부(115)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표면층(110)과, 복수의 이면부(125)와 복수의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면부(125)와 이면접결부가 교대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이면접결부는 이면부(125)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면층(120)과, 일측은 상기 표면층(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면층(12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중간층(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제1 표면접결부(111)와 제2 표면접결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제1 이면접결부(121)와 제2 이면접결부(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130)은 서로 이격된 제1 중간층(131)과 제2 중간층(132)으로 이루어지며;
    이면접결부를 이루는 제1 이면접결부(121)는 이면경사와 제1 중간층(131)을 이루는 경사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형성되고; 제1 이면접결부(121)가 직조된 후 제1 중간층(131)을 이루는 경사는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면접결부(123)는 이면경사와 제2 중간층(132)을 이루는 경사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형성되며;
    제2 이면접결부(123)가 형성된 후 이면경사는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이면부(125)를 형성하고, 제2 중간층(132)을 이루는 경사는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중간층(131)을 이루는 경사는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한 후 표면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1 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고, 제1 표면접결부(111)가 형성된 후 상기 제2 중간층(132)을 이루는 경사가 표면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며;
    제1 표면접결부(111) 형성을 마친 제1 중간층(131)을 이루는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제1 연결경사(133)를 형성한 후 이면부(125)를 이루는 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이면부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이면접결부를 이루는 제1 이면접결부(121)를 형성하며,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을 마친 제2 중간층(132)을 이루는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제2 연결경사(134)를 형성한 후 제1 이면접결부(121)의 형성을 마친 이면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하며, 제2 표면접결부(113) 형성을 마친 표면 경사는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표면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이면접결부(121)를 형성한 제1 중간층(131)을 이루는 경사는 제1 이면접결부(121) 형성 후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다른 중간층(130)을 이루는 제1 중간층(131)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표면부(115)를 형성한 표면 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표면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다른 표면접결부를 이루는 제1 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한 제2 중간층(132)을 이루는 경사는 제2 이면접결부(123)를 형성한 후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다른 중간층(130)을 이루는 제2 중간층(132)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다른 표면접결부의 제1 표면부(111)를 형성한 표면 경사와 함께 위사와 교차 직조되어 제2 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직조되며;
    상기 제1 중간층(131)은 제1 표면접결부와 제1 이면접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중간층(132)은 제2 표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를 연결하여 구비되며, 제1 표면접결부와 제1 이면접결부 사이에서 제1 연결경사(133)가 절단되고, 제2 표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 사이에서 제2 연결경사(134)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일부가 오버랩되어 형성되고; 중간층(130)을 구성하는 경사가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를 순차로 연결하되, 길이 방향으로 표면접결부와 이면접결부 간을 연결하는 일구간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하여 직조되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접결부와 제2 표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면접결부와 제2 이면접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표면층(110)을 형성하는 표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되며, 이면층(120)을 형성하는 이면 경사와 중간층(130)을 형성하는 중간 경사가 서로 엇갈려 혼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KR1020150188796A 2015-12-29 2015-12-2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KR10182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96A KR10182910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96A KR10182910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56A KR20170078356A (ko) 2017-07-07
KR101829109B1 true KR101829109B1 (ko) 2018-02-13

Family

ID=5935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796A KR10182910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56598B2 (en) * 2017-11-06 2024-06-13 Hunter Douglas Inc. 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7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445B1 (ko) * 2014-01-10 2014-06-10 (주)제일윈도텍스 다층 직물 구조의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7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445B1 (ko) * 2014-01-10 2014-06-10 (주)제일윈도텍스 다층 직물 구조의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56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6214T3 (es) Método para tejer sustratos con paredes laterales integrantes
JP5021776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
JP5178929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8040A3 (fr) Structure fibreuse tissee en une seule piece par tissage 3d et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piece en materiau composite
KR20110091707A (ko) 가변 폭 클레비스를 갖는 pi-모재 및 그 형성방법
WO2002066733A8 (en) Paper machine fabric
EP3402917B1 (en) Fabric, in particular carpet, and method of weaving a fabric
JP2000355849A (ja) 立体構造材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基布
KR10182910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DE50102430D1 (de) Verbundgewebe
US10655252B2 (en) Fabric and method of weaving a fabric, in particular a carpet
US3327738A (en) Double face connected carpet structure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63490A3 (en) Method for weaving floor coverings
KR20120093431A (ko) 웹 물질, 특히 종이 또는 카톤을 위한 제조 기계용 직물 스트립
CN201695142U (zh) 编有高弹丝的多层结构面料
KR101661284B1 (ko) 입체무늬층이 형성되는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JP6322432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6994124B2 (en) Three dimensional waffleweave and stitching method thereof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077405U (ja)
JP6606805B2 (ja) 写真風多重織物及び写真風多重織物の製織方法
US144752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lace with a gauzelike ground
JP3121580U (ja) 布巾
KR20170069412A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직조방법 및 그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