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412B1 -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412B1
KR102617412B1 KR1020200125098A KR20200125098A KR102617412B1 KR 102617412 B1 KR102617412 B1 KR 102617412B1 KR 1020200125098 A KR1020200125098 A KR 1020200125098A KR 20200125098 A KR20200125098 A KR 20200125098A KR 102617412 B1 KR102617412 B1 KR 10261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loss
cosmetic composition
ceramid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021A (ko
Inventor
권성필
김지안
김홍유
장나연
김지원
박민구
Original Assignee
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구 filed Critical 박민구
Priority to KR102020012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호장근을 이용하여 탈모 방지, 개선 또는 완화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with 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ex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생장기(3년), 퇴행기(3주), 휴지기(3개월)의 성장주기를 가진다. 탈모는 모발이 탈락하는 것을 말하며, 휴지기의 모발이 자연스럽게 탈락되는 자연탈모와 발열성 질병, 임신,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생장기의 모발이 갑자기 휴지기에 들어가 다량 탈락되는 비정상적인 탈모로 구분된다.
모발의 성장은 보통 15~30세 사이에 가장 활발하고, 40~50세에 점진적으로 퇴보되며, 50세 이상이 되면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탈모가 시작되어 70세 이후부터는 진행이 빨라진다. 모발은 보통 하루에 50~100개 정도로 탈락되어 정상적인 퇴행기 탈모가 일어나는데 이를 초과하여 탈모가 발생할 경우에는 원인과 증상에 따라 탈모를 의심할 수 있다.
남성형 탈모증은 사춘기 이후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연모화, 군모의 단모화, 모공의 위축 등 일종의 탈모 패턴을 형성한다. 남성형 탈모증은 20~30세쯤 주로 발생한다. 5알파 리덕타아제(5α-reductase)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 testosterone, DHT)으로 변화시키며, 선천적으로 5알파 리덕타아제(5α-reductase)가 부족하면 탈모 발생이 적다.
남성 탈모는 경모가 연모화 되면서 모발 탈락이 발생하는데 반해, 여성은 경모가 연모화 상태에서 멈추는 것이 특징이며, 여성은 탈모를 유발시키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보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성들처럼 완전한 대머리가 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644호(2014.04.09.)에는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712호(2020.01.17.)에는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완화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탈모 방지, 개선 또는 완화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왕호장근을 이용하여 탈모 방지, 개선 또는 완화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생합성을 유도하여 탈모 방지, 개선 또는 완화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왕호장근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총 세라마이드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라마이드 종류별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총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스핑고지질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 기능은 화학 물질, 대기오염 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과 체내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다.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Stratum corneum,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is)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가장 외부에 존재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 면에서도 가장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바로 표피이다. 표피에서도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각질세포와 피부지질이다. 피부지질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와 같은 피부의 장벽기능은 각질의 세포분열과 분화를 조절하여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체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며 피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피부장벽기능을 담당하는 주된 지질은 표피의 각화세포(keratinocytes)가 분화되면서 생성되는 지질로서, 이 지질은 분화한 각질세포(corneocytes)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어서 세포간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지질층 지질 전체의 약40~65%, 10% 및 25%를 차지하며, 소량의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스핑고신(sphingosine)이 함께 존재한다.
세라마이드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로 1개의 극성 머리 부분과 2개의 비극성 꼬리 부분을 가지고 있으나 글리세로인지질(glycerophospholipid)과 갈락토지질(galactolipid)과 달리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스핑고지질은 18개 탄소로 구성된 스핑고신(아미노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 1분자, 긴 사슬의 지방산 1분자, 글라코사이드 결합 또는 인산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극성 머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장벽기능과 보습기능을 모발에 제공한다.
세라마이드 합성에는 3가지 주요 합성 경로가 존재한다. 드노보 합성(de novo synthesis)경로는 소포체 안에서 전이효소, 환원효소에 의해 세라마이드 합성효소가 되며 이는 다른 사슬 길이의 성분과 결합하여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로 합성되고, 이는 불포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세라마이드로 생성된다. 스핑고마이엘린 가수분해에 의한 세라마이드 합성 경로로서, 스핑고마이엘린 분해효소(sphingomyelinase) 경로는 세포막, 라이소좀, 골지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며, 세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반응에 의해 활성화된 sphingomyelinase가 스핑고마이엘린을 가수분해하여 세라마이드 생성을 가역적으로 촉매한다. 셀비지 경로는 엔도좀(late endosome)과 라이소좀(lysosome)에서 일어나며, 세라마이드 합성효소가 긴사슬의 스핑고이드 베이스(sphingoid base)를 세라마이드로 전환시킨다.
한편, 피부 각질층 내 세라마이드 손실로 인해 피부장벽이 손상될 경우, 장벽 기능 저하로부터 지루성 두피염이나 건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루성 두피염이나 건선은 증상에 따라 탈모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피부각질세포의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라마이드 생산증가를 통해 피부각질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지만, 세라마이드 합성의 핵심 대사산물중 하나인 스핑고신일인산(S1P)은 피부각질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한다(NADPH Oxidase-Mediated Activation of Neutral Sphingomyelinase Is Responsible for Diesel Particulate Extract-Induced Keratinocyte Apoptosis). 이에 따라, 스핑고신일인산(S1P)의 함량 증가는 세라마이드 과발현에 의한 피부각질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할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은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을 인체 두피에 적용하여 세라마이드를 생합성함에 따라 탈모 예방, 방지, 완화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추출물이 세라마이드와 스핑고신일인산 생합성을 유도하여 탈모 완화 또는 방지,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은 세라마이드와 그 대사체인 스핑고신일인산을 생합성에 따라 두피의 보습효과, 각질세포간 결합력 강화 등 두피를 건강하게 한다.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은 호장근과 비슷하지만 호장근에 비해 전초가 크며, 잎의 뒤가 백색인 특징이 있다. 타박상, 화상 등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류마티즘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v/v)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추출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능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억제, 모근 및 모낭 세포 활성화, 모낭세포 혈류 증강, 살균 및 각질 용해, 보습, 비듬방지 효과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 시, 세라마이드와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 시, 스핑가닌, 스핑고신, 스핑고신일인산을 증가시키는 점을 확인하였다.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에 따라 스핑고신일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혈류량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세라마이드 함량의 증가 역시 확인되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 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 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라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례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리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부능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젤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왕호장근 추출물의 제조]
울릉도에서 채집한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을 세척 및 절단 과정을 거친 뒤 음건하여, 건조된 시료를 분쇄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쇄시료 100 g에 70 %(v/v) 에탄올 1,000 ml을 첨가하여 24시간 상온에서 교반 추출하고, 추출물을 ADVANTEC paper(No. 4)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은 감압농축기에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5α-reductase 활성 억제력 평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는 쥐의 전립선(Sprague-Dawley male rat, 6 weeks old) 및 피부(C57BL/6J male mouse, 6 weeks old)에서 분리한 마이크로솜(microsome)을 사용하였으며, 반응기질(substrate)은 테스토스테론-d3(testosterone-d3)을 사용하였다.
반응기질 200μM이 포함된 효소반응용액을 동일량의 마이크로솜 및 왕호장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 제조) 100㎍/㎖과 7:2:1의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진공농축기로 건조한 뒤, 메탄올에 재용해 후 LC-MS/MS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d3으로부터 전환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3(dihydrotestosterone-d3)을 정량하였다.
양성대조약물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억제제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사용하였다. 무처리군 시료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3(dihydrotestosterone-d3) 함량은 58.54 ng/mg protein 이고, 10 nM 피나스테리드 처리군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3(dihydrotestosterone-d3) 함량은 26.80 ng/mg protein으로, 무처리 대조군 대비 54.2 %의 효소 활성 억제가 확인되었다.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 시험군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3(dihydrotestosterone-d3) 함량은 36.33 ng/mg protein으로,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활성은 무처리 대조군 대비 37.9 % 감소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왕호장근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 x 105 cells/ml가 되도록 96-well plate에 200 ㎕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뒤 새로운 배지 180 ㎕에 각 농도별(10-200 ㎍/㎖)로 희석한 시료를 20 ㎕씩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MTT(500 ㎍/㎖)를 포함한 배지를 100 ㎕씩 넣고 4시간 배양한 뒤 MTT 시약이 함유된 배지를 제거하였다. 각 well에 DMSO 100 ㎕씩 첨가한 후, 30분간 용해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왕호장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 제조) 은 100 ㎍/㎖ 이하의 농도까지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200 ㎍/㎖의 농도에서는 80 % 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다.
[실험예 3 :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세라마이드 함량 분석]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0 cm dish에 1 x 106 cells/dish로 분주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상기 실시예 1의 왕호장근 추출물을 농도별(10-200 ㎍/㎖)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모아 lysis 시킨 후, 세포 lysates (100 ㎍ protein)으로부터 지질추출용매 (800 ㎕의 클로로포름, 400㎕의 메탄올, 0.1M 염화나트륨 용액 300㎕, 1N HCl 30㎕ 및 내부표준물질 [d17:1/C18:0 세라마이드와 C17:1 스핑고신, C17:1 스핑고신 일인산, 각각 100pmol])를 이용하여 스핑고지질을 추출하였다. 이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300㎕의 메탄올 및 아세토니트릴(1:1, v/v)에 재용해하여 LC-MS/M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상 A는 1mM 암모티움 포메이트와 0.05%의 개미산이 포함되어있는 80 %(v/v) 메탄올이며, 이동상 B는 1mM 암모티움 포메이트 및 0.05 %(v/v)의 개미산이 포함되어있는 99 %(v/v)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1 %(v/v) 메탄올이 포함되어있는 용액을 사용하였다. 스핑고지질 및 세라마이드의 분석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조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Min A (%) B (%)
0 100 0
9 0 100
13 0 100
14 100 0
20 100 0
정량 분석을 위하여 다중 반응 모니터링(M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중 반응 모니터링을 위한 조각내기 패턴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는 protein mg 당 측정된 세라마이드 및 스핑고지질 pmol으로 나타내었다.
  N-acyl chain length [M+H]+ product ion CE (eV)
d18:1/acyl chain C14 510.2 264.2 33
C16 538.3 264.2 35
C18 566.3 264.2 35
C20 594.4 264.2 38
C22 622.5 264.2 40
C24:1 648.6 264.2 43
C24 650.6 264.2 43
C26:1 676.7 264.2 45
C26 678.7 264.2 45
d18:0/acyl chain C14 512.2 284.3 33
C16 540.3 284.3 35
C18 568.3 284.3 35
C20 596.4 284.3 38
C22 624.5 284.3 40
C24:1 650.6 284.3 43
C24 652.6 284.3 43
C26:1 678.7 284.3 45
C26 680.7 284.3 45
d17:1/C18:0 (IS) 552.5 250.2 33
sphingoid bases sphingosine 300.2 252.3 24
sphinganine 302.3 60.1 27
S1P 380.2 264.3 23
Sa1P 382.2 284.3 26
C17 So (IS) 286.2 238.2 24
C17 S1P (IS) 366.2 250.2 23
도 2에서 보듯이, 왕호장근 추출물 (실시예 1)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세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왕호장근 추출물 (실시예 1) 처리 시, 특히 C16 및 C24, C24:1의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 함량 분석]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0 cm dish에 1 x 106 cells/dish로 분주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상기 실시예 1의 왕호장근 추출물을 농도별(10-200 ㎍/㎖)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의 함량 변화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시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무처리 대비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왕호장근 추출물을 50 ㎍/mL 이상 처리할 경우 유의적으로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스핑고지질 함량 분석]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0 cm dish에 1 x 106 cells/dish로 분주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상기 실시예 1의 왕호장근 추출물을 농도별(10-200 ㎍/㎖)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스핑고지질(스핑고신(So), 스핑가닌(Sa), 스핑고신일인산(S1P) 및 스핑가닌일인산(Sa1P) 함량 변화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왕호장근 추출물 처리시 스핑고신(So)과 스핑가닌(Sa)의 함량이 무처리 대비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왕호장근 추출물을 50 ㎍/mL 이상 처리할 경우 스핑고신(So)과 스핑가닌(Sa)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왕호장근 추출물 100 ㎍/mL 처리 시 스핑고신의 함량(139.46 pmol/mg protein)은 무처리군(102.55 pmol/mg protein) 대비 약 50%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핑고신일인산(S1P)과 스핑가닌일인산(Sa1P)의 함량이 왕호장근 추출물처리시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추출물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를 억제하고, 모유두세포에서 세라마이드 또는 스핑고지질의 생합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근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호장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25098A 2020-09-25 2020-09-25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1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98A KR102617412B1 (ko) 2020-09-25 2020-09-25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98A KR102617412B1 (ko) 2020-09-25 2020-09-25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021A KR20220042021A (ko) 2022-04-04
KR102617412B1 true KR102617412B1 (ko) 2023-12-29

Family

ID=8118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098A KR102617412B1 (ko) 2020-09-25 2020-09-25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44B1 (ko) 2012-10-23 2014-04-1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0404A (ko) * 2018-08-17 2020-02-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그랜자임 b 억제용 조성물
KR102069712B1 (ko) 2019-06-21 2020-01-23 주식회사 티에스트릴리온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완화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021A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72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rose flower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92196B1 (ko) 백복령, 유백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734250B2 (ja) ソホロリピッ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脱毛防止または発毛促進用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7412B1 (ko)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25393B1 (ko) 소계 추출물의 생물전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1239B1 (ko) 세라마이드 생합성을 유도하는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15222B1 (ko) 연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16140B1 (ko)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S61194008A (ja) 化粧料
KR20200011781A (ko) 천연 카페인 및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199B1 (ko) 로즈바나나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3447B1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7080B1 (ko)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7221A (ko) 독새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7427008A (zh) 昙花提取物及其应用
KR20140076758A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