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644B1 -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644B1
KR101385644B1 KR1020120117723A KR20120117723A KR101385644B1 KR 101385644 B1 KR101385644 B1 KR 101385644B1 KR 1020120117723 A KR1020120117723 A KR 1020120117723A KR 20120117723 A KR20120117723 A KR 20120117723A KR 101385644 B1 KR101385644 B1 KR 10138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ganoderma lucidum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이기무
조영호
이계원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에 의해 생물전환된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병꽃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영지버섯 균사체 또는 영지버섯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한 후, 본 배양하는 단계; 상기 본 배양 후 영지버섯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로부터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모발 생장을 촉진하고 모근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염증 발현으로 인한 탈모의 경우는 항염증 작용을 통하여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AN EXTRACT OF WEIGELA SUBSESSILIS BY BIOCONVERSION}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병꽃나무 추출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포유동물만이 가지고 있으며 단단하게 밀착된 각화된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고형의 원추섬유(cylindrical fiber)이다. 모발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하고 잠시 동안 성장을 멈추었다가는 빠지고 다시 대체된다. 즉, 주기적으로 생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반복하는데 성인에서 두피의 모발의 생장기는 약 3년, 퇴행기는 3주, 휴지기는 약 3개월이다. 이를 모발의 주기(모주기)라 하며 인간의 모발은 각각 독자적인 모주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털갈이 없이 항상 일정한 모발 수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노화의 진행, 약물 복용, 방사선 치료 및 중병 후 스트레스 등이 있고,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관점에서 탈모 현상의 주요 원인은 과다 활동, 두피 혈액 순환의 문제 및 모발 대사에 필수적인 영양소 결핍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요인들이 단독으로 탈모를 유발할 수 있지만, 탈모 요인들이 복합되어 상승작용이 일어나 탈모증이 가속화되고 증상이 더 심해질 수도 있다.
최근 들어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중, 장년층 남성뿐만 아니라 20~30대의 젊은 남성 심지어 여성에게까지 탈모 증상이 발생하고 있고, 샴푸, 무스, 파마, 염색, 드라이 열에 의한 모발과 두피손상이 일어나 커다란 탈모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다양한 내복약과 외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 FDA의 공인을 받은 내복약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 호르몬인 5α-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시 탈모억제 또는 발모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고,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와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외용제로 미국 FDA의 공인을 받은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써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 하고,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물러야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그에 상응하는 효과도 미미하고, 가려움증이나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따라서 신체 부작용이 없으며 일반인에게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천연 탈모방지 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서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병꽃나무 추출물의 효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 노력한 결과 병꽃나무 추출물을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로 생물전환시킬 경우 항산화 효과, 항균효과 및 항염증 효과와 모발 생장 촉진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추출물을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로 생물전환시켜 수득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병꽃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영지버섯 균사체 또는 영지버섯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한 후, 본 배양하는 단계; 상기 본 배양 후 영지버섯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로부터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병꽃나무를 용매로 단순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생체 외에서는 유효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이를 피부 화장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병꽃나무 추출물에서 효능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성분이 플라보노이드임을 확인하였다. 식물에 풍부한 페놀성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류, 탄닌 및 안토시아닌 등은 자외선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우수한 항산화 후보물질이며, 특히, 플라보노이드류 또는 이들의 유도체 성분들은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한 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 생성 억제능 등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친수성 물질보다는 소수성 물질이 피부투과에 효과적인데, 각질층 중에 분포되어 있는 세라마이드라는 성분이 소수성 물질로 친수성 물질보다는 소수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더 효과적이어서 소수성 물질이 좀더 용이하게 피부 최외각 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플라보노이드류는 대부분 당이 한 분자 이상 결합된 배당체로서 자연계에 존재하고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크며, 수용성 성질도 일부 지니기 때문에 각질층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피부 내부로의 유입이 어렵게 되어 효과적으로 흡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투과가 용이하여 피부 외용제로서의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병꽃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영지버섯 균사체 또는 영지버섯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한 후, 본 배양하는 단계; 상기 본 배양 후 영지버섯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로 부터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데, 상기의 단계를 통해 수득된 여과액은 병꽃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것을 본 발명자들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여과액이 항산화 효과,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모발성장과 모근세포활성을 촉진하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항염증 작용을 통해 모발생장 촉진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물의 함량이 피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이 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모발생장 효과가 거의 없으며, 3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시 추출용매로 에탄올이 40~95%(v/v) 함유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추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암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추출물이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에 0.001~30.0중량%로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배양시 배양액의 pH를 5.0~7.0으로 조정하고, 영지버섯 균사체를 4.0~6.0%(v/v)되도록 접종한 후, 온도 22~32℃, 회전수 120~180rpm, 통기량 1.2~1.8vm 조건에서 5~7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 또는 두피 관련 제품의 형태, 일예로는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 중에서 선택된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라디칼 소거효과, 항균효과, 모발 생장 및 모근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며 염증 발현으로 인한 탈모의 경우, 항염증 작용을 통하여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화장품 기재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는 피부세포사멸 억제효과와 피부자극 완화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시료 미처리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3% 미녹시딜)과 비교하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의 도포에 따른 모발 생장 과정을 나타내는 회부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도 2는 시료 미처리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3% 미녹시딜)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의 도포에 따른 모낭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병꽃나무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병꽃나무 500g을 뜨거운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한 후 78g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감압 농축물 및 동결 건조물이 15.0중량% 함유되게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병꽃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의 제조
영지버섯 균사체를 포테이토덱스트로오즈 한천배지가 든 시험관에 사면배양하여 4℃에 보관하고 1개월마다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사면배지에서 계대배양된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균질화하여, 비교예 1에서 수득한 병꽃나무 추출물과 효모-맥아즙이 혼합된 배지에 영지버섯 균사체가 5%(v/v) 되도록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온도 25℃, 회전수 150rpm, 통기량 1.5vm, pH 7.0의 조건으로 6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으로부터 영지버섯 균사체를 제거한 다음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 및 함량 측정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병꽃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의 주요 성분 중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등의 정성분석 및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정량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먼저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등의 정성분석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1) 페놀성 물질 및 플라보노이드 정성분석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추출물에 각각 2.5% FeCl3 에탄올 용액을 1~2 방울 떨어뜨려 방치할 때, 암녹색으로 정색하거나 침전의 생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2)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정성분석
진한 황산법을 이용,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추출물에 각각 5㎖의 진한 황산을 침적하여 황색 및 황적색 침전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3) 당 정성분석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추출물에 각각 5% α-나프톨 알콜 시액 2~3방울을 넣은 후 농황산을 기벽을 통하여 가할 때 경계면에 적자색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4) 총 페놀 함량 측정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추출물 1㎖에 각각 증류수 10㎖를 첨가한 후, 2㎖의 Folin-Ciocalteu 페놀 제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탄닌산(tannic acid)을 사용하였다.
(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추출물 0.5㎖에 각각 10% 질산화 알루미늄(aluminum nitrate) 0.1㎖, 1M 초산 칼륨 0.1㎖, 에탄올 4.3㎖씩 넣고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시료명 총 페놀 함량
(㎕/㎖ of extract)
총 플라보이드 함량
(㎕/㎖ of extract)
비교예 1 719.91 644.87
실시예 1 929.00 733.13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표 1), 실시예 1의 추출물이 비교예 1의 추출물보다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단순 추출에 의해 제조된 병꽃나무 추출물을 영지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시킴으로써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영지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2> DPPH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물질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Yoshida 등(1989)이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라디칼에 대한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시료가 라디칼을 소거함에 따라 보라색이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DPPH를 1×10-4M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이 용액 0.15㎖를 시험관에 넣었다. 여기에 각 농도의 시료 0.15㎖을 넣고, 상온에서 20분간 반응 후 56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의 물질 대신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를 구하여 SC50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액의 반응 흡광도로 하였다.
Figure 112012086189694-pat00001
시료명 SC50(㎕/㎖)
실시예 1 35
녹차 추출물 400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제인 녹차 추출물과 비교할 때 녹차 추출물에 비해 약 10배 정도의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활성산소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물질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Furuno 등(2002)이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크산틴-크산틴옥시다제 시스템(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 라디칼(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므로, 시료가 활성산소를 소거함에 따라 줄어든 청색의 진하기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각 농도별 시료에 3×10-3M 크산틴, 3×10-4M EDTA, 7.5×10-4M NBT(nitroblue tetrazolium), 0.15㎎/㎖의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반응하였다. 그 후 각 시험관에 크산틴옥시다제(0.25U/㎖) 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한 다음, 56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의 물질 대신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활성산소 라디칼 소거효과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를 구하여 SC50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액의 반응 흡광도로 하였다.
Figure 112012086189694-pat00002
시료명 SC50(㎕/㎖)
실시예 1 20
녹차 추출물 340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녹차 추출물과 비교할 때 약 16배 정도의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항균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항균효과는 Cho 등(2001)이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시험법으로 평가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의 농도를 2배씩 연속희석하면서 MIC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듬과 지루성 피부염의 원인균인 M. 레스트릭타(M. restricta), M. 푸르푸르(M. furfur)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다. 전 배양한 시험균을 약 1×106 CFU/㎖이 되도록 액체배지로 희석하여 균주 현탁액을 준비한 다음, 2배씩 연속 희석하여 시료를 96-well U-형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씩 넣고, 시험균을 각 웰에 100㎕씩 첨가한 후 35℃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UV/Vis 형광광도계로 630㎚에서 균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는 농도를 시료의 MIC로 결정하였다.
균주명 MIC(%)
M. restricta 0.2
M. furfur 0.4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5- 리포옥시게네이즈 (5- LO ) 저해활성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Block 등(1988)이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반응 완충액(0.1M Tris-HCl, pH8.5) 1000㎕에 시료 20㎕와 콩 리포옥시게네이즈 (Type V, 200 units/final concentration) 20㎕를 넣고 25℃에서 2분간 전 반응시킨 후 최종 농도가 110μM이 되도록 30㎕의 리놀레산(linoleic acid)을 넣고 이것이 첨가된 시간을 기점으로 25℃에서 3분간 20초 간격으로 23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초기 반응 속도를 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의 물질 대신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항염증 효과는 수학식 3를 이용하여 5-LO의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액의 반응 흡광도로 하였다.
Figure 112012086189694-pat00003
시료명(㎕/㎖) 5-LO 억제율(%)
실시예 1 500 82.5
250 76.9
NDGA 500 98
250 90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강력한 5-LO 활성 저해제인 NDGA와 비교할 때 매우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6> 모발 생장 촉진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와 일반적으로 탈모예방 및 발모 생장 촉진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inoxidil)을 3% 함유하는 양성 대조군의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등쪽 피부의 색이 핑크색을 보이는 휴지기 체모인 6주령의 검은 마우스(C57BL/6, male)를 7일 동안 순화시킨 후, 등 부위 털을 깎아내고, 실험군당 6마리씩 배정하였다. 그 다음날 털이 깎인 등 중앙 부분에 붓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와 양성 대조군을 0.2㎖씩 충분히 도포하였다. 각각의 시료들을 도포한 후 약 3분 동안 마시지해주고 증류수로 충분히 헹궈주었다. 시료 처리는 매일 2회씩 실시하였고, 3주 동안 상태를 관찰하였다. 더 이상 발모가 진행되면 효능을 검증할 수 없기 때문에 3주 정도 실험을 수행하여 효능이 가장 우수한 시료의 발모가 95% 이상 진행되었을 때 실험을 종료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생장을 비교하기 위해 음성 대조군은 시료를 도포하지 않고 자연 생장 상태로 관찰하였다.
시료명 지표 경과 일수
1주차 2주차 3주차
실시예 1 모발길이(mm) 1.11±0.13 2.49±0.17 3.95±0.29
성장률(%) 27.1 60.7 96.3
양성 대조군(3% 미녹시딜) 모발길이(mm) 1.38±0.16 2.91±0.32 3.73±0.40
성장률(%) 33.6 71.0 91.0
음성 대조군 모발길이(mm) 0.55±0.15 1.30±0.25 2.13±0.34
성장률(%) 13.4 31.7 51.9
표 6과 도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모발 생장 촉진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보다 뛰어난 발모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7> 모근 세포 활성 촉진 정도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험예 6에서 모발 생장 촉진 실험을 진행하면서 시험개시 7일 종료 시점에서 3마리, 시험 종료일(21일)에 3마리씩 부검하여 각 시료의 모근 세포 활성 촉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도포 부위를 해부기를 이용하여 적출하고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한 후, 단계별로 알콜(alcohol)과 자일렌(xylene)으로 탈수 처리하여 파라핀을 제거한 후, 조직 절편기를 이용하여 5㎛의 절편을 만들어 다시 알콜과 자일렌으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조직을 H&E(Hematoxylin & Eosin)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모낭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근 세포 활성 촉진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모발 생장 촉진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보다 모근 세포 활성 촉진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8> 피부 자극성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의 피부 자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하였고, 피부에 대한 자극의 정도를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Draize의 PII (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0; 무자극, 5; 강한 자극).
각 시료를 처리하기 24시간 전에 토끼의 제모를 실시하여 정상 피부와 상처피부의 처치 구획 및 대조 구획으로 구분하였다. 도포 방법은 토끼 1마리당 시료 1g씩 도포부위에 1회 도포하였다. 대조군은 멸균 생리식염수를 같은 양으로 도포하고 거즈를 덮었다. 그리고 시료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침투성과 반응성이 없는 고형재질의 박지로 덮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24시간, 72시간, 120시간 동안 적용시켰다.
시료명 PII 결과치
24시간 48시간 120시간
실시예 1 0.3(무자극) 0.1(무자극) 0.1(무자극)
대조군 0.1(무자극) 0.1(무자극) 0.1(무자극)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24시간 적용시 PII가 0.3으로 저자극을 나타내었고, 72시간 적용시 0.1, 120시간 적용시 0.1로 무자극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 또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한 후, 본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본 배양 후, 본 배양액으로부터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로부터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시 추출용매로 에탄올이 40~95%(v/v) 함유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3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에 0.001~30.0중량%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 배양단계는 배양액의 pH를 5.0~7.0으로 조정하고,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균사체를 4~6%(v/v)되도록 접종한 후, 온도 22~32℃, 회전수 120~180rpm, 통기량 1.2~1.8vm 조건에서 5~7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17723A 2012-10-23 2012-10-23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23A KR101385644B1 (ko) 2012-10-23 2012-10-23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23A KR101385644B1 (ko) 2012-10-23 2012-10-23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644B1 true KR101385644B1 (ko) 2014-04-15

Family

ID=5065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723A KR101385644B1 (ko) 2012-10-23 2012-10-23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021A (ko) 2020-09-25 2022-04-04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428A (ko) * 2004-07-01 2007-03-19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태닝제와 리포좀 캡슐화된 우르솔릭 애시드를 함유하는화장용 조성물 및 방법
KR20070046027A (ko) * 2004-05-21 2007-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사토무라 카이하츠센터 두피두발용 조성물
KR20100114673A (ko) * 2009-04-16 2010-10-26 (주)휴럼 미백 화장품 소재용 알로에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품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027A (ko) * 2004-05-21 2007-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사토무라 카이하츠센터 두피두발용 조성물
KR20070031428A (ko) * 2004-07-01 2007-03-19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태닝제와 리포좀 캡슐화된 우르솔릭 애시드를 함유하는화장용 조성물 및 방법
KR20100114673A (ko) * 2009-04-16 2010-10-26 (주)휴럼 미백 화장품 소재용 알로에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품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021A (ko) 2020-09-25 2022-04-04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왕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801B1 (ko)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045669B2 (en) Hydroalcoholic extract of Schinus molle,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cosmetic uses thereof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WO2016046848A2 (en) Novel formulation of concentrated natural actives in oil-water microemulsion for hair fall prevention and increase in hair density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0415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94175B1 (ko) 프로폴리스, 모링가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5644B1 (ko) 발효 병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1080A (ko)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3434329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39;un extrait de tulipe sur les cheveux
KR101951649B1 (ko)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증가된 호장근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EP3042662A1 (fr) Extraits de salade,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KR101182743B1 (ko) 잎새버섯 균사체을 이용한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나무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1027A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3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93493B1 (ko)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100066743A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8194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864B1 (ko) 손상모발 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