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743A -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743A
KR20100066743A KR1020080125191A KR20080125191A KR20100066743A KR 20100066743 A KR20100066743 A KR 20100066743A KR 1020080125191 A KR1020080125191 A KR 1020080125191A KR 20080125191 A KR20080125191 A KR 20080125191A KR 20100066743 A KR20100066743 A KR 2010006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extract
scalp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185B1 (ko
Inventor
임갑영
나달수
김소연
정한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2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1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함유함으로써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현상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탈모방지와 모발생장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극완화, 탈모방지, 모발 성장촉진

Description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hair and scalp contain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함유함으로써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현상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탈모방지와 모발생장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 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고, 이로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들의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과 더불어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0839648호에는 아카란 황산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0755983호에는 대나무를 180 내지 40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한 후 냉각시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8-120742호에는 대나무를 에탄올에 침지하고 얻어지는 대나무 성분 추출액을 포함하는 육모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공개 제2007-031340호에는 대나무의 잎을 달인 즙을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에서의 부작용과 같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모발 및 두피에 사용시 자극완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대나무수액을 함유하거나 대나무수액에 작약 뿌리에서 추출한 작약 추출물,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뿌리에서 추출한 하수오 추출물, 녹차에서 추출한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할 경우, 염색 및 퍼머 등과 같은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여 가늘어진 모발에 힘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발 및 두피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대나무수액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대나무수액에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색 및 퍼머 등과 같은 화학적 시술 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현상과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화학적 시술로 발생하는 모발 및 두피 손상으로부터 모발이 가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나아가 두피의 탈모 현상의 감소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제공한다.
대나무수액은 대나무재배과정에서 성장을 도와주기 위해 주기적으로 잘라주는 가운데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보통 재배되는 지역이나 대나무의 수종, 채취시기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함유성분 조성비가 달라지지만, 단백질(0.08~0.7%), 칼슘(422㎎/ℓ), 당(1.6~2.7g/ℓ) 및 아미노산(7.6~30㎎/ℓ)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pH는 약 4.5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대나무 수액은 모든 대나무에서 얻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채취량이 많은 유용죽종인 왕대, 솜대 및 맹종죽에서 채취하는 것이 수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채취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대나무 뿌리부에서 첫째마디 혹은 둘째마디(높이: 10∼20㎝)의 마디 바로 윗부위를 절단하고 용기를 부착하여 채취하고, 이를 여과포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상기 여과물은 멸균처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대나무 수액의 채취는 5∼6월 경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대나무수액을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직접 사용하거나, 사용전 보관상 변색 및 변취되지 않도록 전처리를 먼저 하고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처리 방법은 채취 직후의 대나무수액을 0.001~0.45㎛의 공극 크기(pore size), 바람직하게는 0.2㎛의 공극 크기를 갖는 여과막으로 여과시킨 후, 여액에 무수 에탄올을 7.0중량% 이상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7.0∼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다. 이때, 여과막의 크기가 0.001㎛미만일 경우는 여과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0.45㎛ 초과에서는 여과 효율이 떨어져 효과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여과막으로 여과하는 것에 의해 대나무수액에 존재하는 균, 미생물 및 미생물의 영양분의 장기 보존시 침전, 변성의 가능성이 있는 분자량이 큰 단백질을 제거한 다음, 무수 에탄올을 부가하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변색 및 변취를 방지한다.
전처리된 대나무수액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바로 밀봉하여, 외부의 균이나 미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한 후, 실제 사용시 개봉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전처리된 대나무수액은 피부자극이 없고, 모발 및 두피에 사용시 자극완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대나무수액의 모발 및 두피 케어 조성물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적의하게 선정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0.01~99.5중량%, 바람직하게는 1.0~90.0 중량%의 범위내에서 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약 뿌리에서 추출한 작약 추출물,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백자인 추출물 및 하수오 뿌리에서 추출한 하수오 추출물, 녹차 잎, 줄기 및 꽃에서 추출한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작약은 모란과 Paeoniaceae에 속한 Paeonia Lactiflora 품종으로서, 그 재배역사가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특히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작약의 효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작약의 뿌리는 진통, 복통,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였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피와 모발에서는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제공해 주며,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억제하는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능과 효과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작약 추출물은 작약뿌리를 초임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모란과(Paeoniaceae)에 속한 작약 (Paeonia Lactiflora)의 뿌리를 CO2 초임계 추출용매와 조용매인 부틸렌글리 콜(Butylene Glycol)을 이용해 추출한 다음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5% 수용액에 희석을 하여 작약 추출물을 얻는다.
백자인(Thujae semen)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occidentalis)) 측백나무과 Curpressaceae의 종자로써 난원형에서 긴 타원형 또는 긴 원주형이고 길이는 3∼5mm, 지름은 2∼3mm이다. 바깥 면은 엷은 황색 내지 황백색이고, 오래된 것은 점차 변하여 황갈색이 되며 많은 유지(fatty oil)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자의 바깥 면은 흔히 얇은 막질의 내종피로 싸여있고, 끝은 대개 뾰족하며 원삼능형으로 진한 갈색의 점이 있으며 아래쪽은 둔한 원형으로 색이 엷다. 백자인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백색 내지 황백색이고 배유가 많으며 풍부한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다(대한약전외 한약 규격집). 백자인은 양심안신(養心安身), 윤장통편(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으며(동양학개론), 동의보감의 모발편 삼성고(三聖膏) 처방에는 부자, 만형자 및 백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콧수염이나 머리털이 빠진 것을 다시 나오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백자인은 육모 활성을 높게 하는 5α-리덕타아제(5 α-reductase) 저해활성도 있어 탈모증상에 유용한 물질로써 사용될 수 있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3) 31, 91-98).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백자인 추출물은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백자인을 2배 용량의 95% 에탄올로 추출하여 여과, 농축한 후 5배 용량의 물과 5배 용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진탕하여 층을 분리한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의 수분을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여과, 농축하여 백자인 추출물을 얻는다.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초로서 뿌리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옥시메틸안트라키논 유도체들인 크리소파놀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레시틴(lecithin) 등이 있다. 일부 고서의 기록에서 적자와 백자가 있다고 하여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라고 부르며, 정확한 명칭은 하수오와 백수오이지만 민간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수오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두피와 모발의 노화방지제로서 효과적이며 항산화 작용과 수렴 작용 등을 통한 피부와 두피 노화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수오 뿌리를 50% 에탄올에 가온 추출하여 여과 후,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과 냄새를 제거하고 필터페이퍼(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는다.
녹차(Green tea / Thea sinensis Linnaeus)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 또는 관목이다. 녹차는 물 다음으로 널리 소비되는 음료로 그 효능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그 잎으로부터 녹차, 홍차, 우롱차등이 생산된다. 상기 녹차는 차잎과 줄기, 꽃을 증기시킴으로서 산화 관련 효소들을 불활성 시키고, 폴리페놀 성분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녹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 성분은 플라보놀과 카테킨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균 등의 다양한 효능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 원료로서도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 추출물은 녹차 잎, 줄기, 꽃으로부터 얻은 추출 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녹차에 30% 에탄올에 25도에서 4일 동안 담가 둔 후,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여 두피의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생장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의 각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5∼5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대나무 수액 제조
대나무의 뿌리로부터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마디 부위를 잘라내고, 잘라낸 부위에 밀착된 연결관을 사용하여 뿌리로부터 올려지는 대나무수액을 채취하였다. 채취 직후의 대나무수액을 0.2㎛의 공극 크기를 갖는 여과막을 통과시킨 후, 여액에 무수 에탄올을 7.0중량%를 첨가하여 전처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대나무 수액 100g을 통상적인 감압 농축 방법에 준하여 분말화하여 1.05g을 얻었다.
[참고예 2] 작약 추출물의 제조
작약뿌리 100g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이산화탄소 및 부틸렌글리콜 100g을 넣어 40℃, 300기압에서 초임계 추출한 다음, 압력을 낮추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작약 추출물을 얻었다. 여기에 부틸렌글리콜 45g 및 물 225g을 넣어 섞어 초임계 작약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참고예 3] 백자인 추출물의 제조
백자인 1.5kg을 추출기에 넣고 95% 에탄올 3kg을 첨가하였다. 리플럭스(reflux)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상온 냉각 후 필터 페이퍼(filter paper)로 감압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농축액 양의 5배씩의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농축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교반 후 층분리를 시켜 물층은 폐기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농축 감압하여 약 12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4]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였다. 50℃에서 24시간동안 하수오 뿌리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하수오 뿌리 50kg을 50% 에탄올(EtOH) 250kg에 혼합하여 60℃에서 3시간내지 5시간 가온하여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5] 녹차 추출물의 제조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였다. 30% 에탄올에 담가 25℃에서 4일 동안 두어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참고예1 10.0 10.0 10.0 10.0 10.0
참고예2 - 1.0 - - -
참고예3 - - 1.0 - -
참고예4 - - - 1.0 -
참고예5 - - - - 1.0
에탄올 50 50 50 - -
정제수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시험예 1] 자극완화 효능시험
염모제의 자극에 의한 자극완화 트리트먼트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쥐(mouse)를 이용한 MEST법을 응용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6주령의 BALB/c mouse를 구입하여 10일간의 검역 및 적응 기간을 갖고 시험계를 구성하였다. 시험군은 하기와 같이 구성하였다.
쥐의 복부 부위에 털을 제거하고, 2.5%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diamine;PPD)을 3~5일간 적용하였다. 1주일간 휴지기를 두고 난 후 염모제를 쥐의 귀에 도포하고 30분 후에 닦아내었다. 다시 1주일의 휴지기를 가진 다음,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1시간 간격으로 2회 적용하였다. 다시 염모제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2회 적용하였다. 24시간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H&E 염색법에 의해 병리 조직한 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염모제의 처방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측정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
1제 성분 정제수 To 100
소듐설파이트 0.5
아스보킥애씨드 0.5
폴리옥시에틸렌우릴에텔 4.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텔 4.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8.0
p-페닐렌디아민 0.5
레조시놀 0.5
모노에탄올아민 적량
암모니아 적량
2제 성분 정제수 0.1
과산화수소(30%) 17.0
인산 0.1
처리군 귀 무게(mg) 귀 두께(㎛)
비교예 1 15.92 ±0.225 457.13 ±13.462
실시예 1 9.74 ±0.984 258.20 ±25.572
실시예 2 9.38 ±0.758 261.37 ±25.337
실시예 3 9.25 ±0.483 266.56 ±18.102
실시예 4 9.54 ±0.249 253.72 ±21.485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경우 귀 무게와 귀 두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염모제에 의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인비보(in vivo) 가려움 억제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가려움 억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피부 적용을 쉽게 하기 위해서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무모생쥐는 모두 7주령의 수컷을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과 비교를 위하여 모든 군은 각각 8마리의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외용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150㎕씩 취하여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넓게 펴 바르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1일간 처리하였고, 2일째 오전 가려움 유발 물질 주사 30분 전에 마지막으로 처리하였다.
가려움 시험은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하기 30분 전에 관찰용 투명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어 30분간 적응하는 시간을 주었다. 적응 시간이 끝나면 생리식염수에 1㎎/㎖ 농도로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을 녹인 다음, 적응이 끝난 시험용 무모생쥐의 등 부위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를 하였다. 주사가 끝나면 곧바로 다시 관찰용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은 후 30분간 비디오 촬영하여, 뒷다리로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여 숫자로 표시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하기 도 1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가려움 유발물질 30분간 긁은 평균 횟수
음성 대조군 생리식염수 15.2 ±35.2
비교예 1 C48/80 151.2 ±25.2
실시예 1 C48/80 113.2 ±27.0
실시예 2 C48/80 115.3 ±29.2
실시예 3 C48/80 118.6 ±22.8
실시예 4 C48/80 119.2 ±21.6
도 1 및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처리군은 가려움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예 3] 탈모 방지 효과 시험
본 발명이 발모효과가 있는 것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두피모발의 탈모방지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탈모방지효과를 시험하였다. 시험의 방법으로서는 다음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환자만을 연구대상으로 등록하였다.
1) 20세 이상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가 양호한 남성으로서 탈모가 진행되는 자
2) 연구시간 동안 동일한 머리모양을 유지할 환자
3) 연구기간동안 염색하지 않을 환자
4) 연구기간동안 특별한 모발용품이나 모발관리 및 조작을 하지 않을 환자
상기의 조건에 해당하는 자발적 피험자 20명을 엄선하여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구체적인 환자 개인별 현황을 파악해 가면서 평가시트에 기록하고 시험하였다.
탈모방지효과 평가방법은 머리감을 때 빠지는 모발 개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및 실시예1 ~ 실시예4에 해당하는 샴푸 사용 전과 샴푸 사용 3개월 후를 비교하였다. 머리감을 때 빠지는 모발 개수를 매일 1일1회 기록하였으며, 탈모수량을 1개월 단위로 평균화하였다.
구분 샴푸 후 탈모 평균 개수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개월차 사용 후 17.78 13.20 13.28 12.73 13.11
2개월차 사용 후 14.22 10.42 9.82 11.24 11.32
3개월차 사용 후 12.74 7.38 7.34 6.76 6.64
이와 같이 실시예1~ 4에 해당하는 샴푸 사용한 후 개월 수가 지남에 따라 탈모수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대나무수애과 생약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여 생체에 안전하면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모발 생장 효과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모발 생장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생후 7주된 마우스(C57BL/6)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등 부위 피부가 깨끗한 것을 골라 물질군마다 8마리씩을 선정하여 매일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의 마우스 그룹 개체 당 150㎕씩 21일간 도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작약 추출물을 0.5중량%가 되도록 하여 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5/3/2)로 구성된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23일 후에 새롭게 자라 올라온 털의 무게를 측정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모발무게(mg)
음성대조군 26 ± 17
비교예 1 60 ± 12
실시예 1 73 ± 15
실시예 2 71 ± 9
실시예 3 72 ± 15
실시예 4 78 ± 13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경우 휴지기 모발주기의 마우스에 작용하여 성장기 모발주기로의 이행을 촉진하여 더 뛰어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헤어 토닉
성분 중량비(%)
에탄올 50
멘톨 0.02
글리세린 3
살리실산 0.05
대나무수액 10.0
백자인 추출물 0.5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2] 헤어 로션
성분 중량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EDTA 2Na 0.2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미네랄오일 5.0
대나무 수액 10.0
하수오 추출물 1.0
녹차 추출물 0.5
방부제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3] 모발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비(%)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
미네랄 오일 10.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대나무수액 20.0
작약 추출물 1.0
녹차 추출물 0.5
방부제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4] 헤어샴푸
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대나무수액 30.0
녹차 추출물 0.5
소디윰라우릴설파이트 36.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8.0
팔미티딘말레이트 2.0
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1.5
폴리쿼터니윰 10 0.5
사이트릭애씨드 0.1
글리세린 2.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5] 헤어린스 및 트리트먼트
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대나무수액 5.0
백자인 추출물 0.5
하수오 추출물 1.0
녹차 추출물 0.5
프로필렌글라이콜 2.0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
세틸알코올 3.0
스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0.5
사이트릭애씨드 0.2
폴리디메칠실록산 1.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Claims (6)

  1. a) 대나무수액; 및
    b)작약 추출물(Paeonia Lactiflora), 백자인 추출물(Thujae semen), 하수오 추출물(Polygonum multiflo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녹차 추출물의 각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가려움 감소 또는 두피의 염증완화를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 자극은 염색 또는 퍼머 시술과 같은 화학적 시술로 인한 자극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생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양모용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및 헤어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080125191A 2008-12-10 2008-12-10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5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91A KR101558185B1 (ko) 2008-12-10 2008-12-10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91A KR101558185B1 (ko) 2008-12-10 2008-12-10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43A true KR20100066743A (ko) 2010-06-18
KR101558185B1 KR101558185B1 (ko) 2015-10-07

Family

ID=4236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91A KR101558185B1 (ko) 2008-12-10 2008-12-10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44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45B1 (ko) 2016-12-01 2019-08-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보습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88B1 (ko) 2006-07-18 2008-06-1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39648B1 (ko) 2008-03-04 2008-06-19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모근의 진피층 보강과 보습을 통한 탈모방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44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185B1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606393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8019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189838B1 (ko)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41599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9A (ko)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2162904B1 (ko) 항균, 피부 자극 완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제거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3993A (ko) 독도해국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741138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0708B1 (ko)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984284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