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163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163B1
KR102617163B1 KR1020200128858A KR20200128858A KR102617163B1 KR 102617163 B1 KR102617163 B1 KR 102617163B1 KR 1020200128858 A KR1020200128858 A KR 1020200128858A KR 20200128858 A KR20200128858 A KR 20200128858A KR 102617163 B1 KR102617163 B1 KR 10261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674A (ko
Inventor
김성균
김서화
최은정
강병일
신동건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4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30Applications used for therm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금속성 안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사출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금속성 안료를 첨가하여 플라스틱이 금속과 같은 색상을 낼 수 있는 메탈릭 수지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금속성 안료를 첨가하면 수지의 유동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성 안료와 고분자 유체 간의 유동 속도 차이가 커서 메탈릭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의 두께가 변하는 구간이나 성형품의 말단부에서 외관 품질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수지 자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수지를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때의 조건을 조절하여 성형품 자체만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금속성 안료를 첨가하더라도 수지의 유동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외관 품질,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CN109836683A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사출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금속성 안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할 수 있고,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사출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금속성 안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베이스 수지
1)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열성, 내충격성, 가공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중합체에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엔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 중합체는 디엔계 단량체의 중합물일 수 있고,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페릴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고무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충격성,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또는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충격성,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2)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투명성, 광택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내열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 비닐 시안계 화합물을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1.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단량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대하여 60 중량부 이상 8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77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상 77 중량부 이하 또는 70 중량부 이상 7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광택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내열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3)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후성, 내충격성, 신율, 착색성, 내화학성, 가공성, 표면 광택 특성 및 백화 특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C4 내지 C1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를 가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1.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단량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6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고무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내충격성, 신율, 착색성, 내화학성, 가공성, 표면 광택 특성 및 백화 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 또는 8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신율, 내후성, 내화학성, 착색성, 가공성, 표면 광택 특성, 백화 특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2.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유동성이 우수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성형품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금속성 안료와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 및 성형품의 외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후술할 금속성 안료에 포함될 수 있는 고분자 캐리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열가소성 수지 내에서 금속성 안료의 배향과 분산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결정성 단위는 에틸렌 단위 및 프로필렌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아세테이트기 및 아크릴레이트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유동성을 가지는 수지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의 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베이스 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3. 금속성 안료
금속성 안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성형품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금속성 안료는 금속 플레이크 및 고분자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성 안료가 상기 고분자 캐리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금속성 안료의 배향과 분산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아연 플레이크, 구리 플레이크, 니켈 플레이크 및 스테인리스스틸 플레이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플레이크일 수 있고,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명도 및 외관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폴리에틸렌 캐리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캐리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캐리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캐리어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왁스 캐리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금속성 안료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이상 내지 12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성 안료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내지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내지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내지 5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내지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금속성 안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품에 플로우 마크나 웰드 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고자 하는 금속과 같은 외관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5 ㎛ 이하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DP270E, LG화학社)를 사용하였다.
(B)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80HF, LG화학社)를 사용하였다.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6 ㎛ 이하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SA927, LG화학社)를 사용하였다.
(D)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EA-28025, LG화학社)를 사용하였다.
(E) 금속성 안료:
(E-1) 폴리에틸렌 왁스 캐리어를 포함하는 금속성 안료(220-20-E, Silverline社)를 사용하였다.
(E-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금속성 안료(838-20-P, Silverline社)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성분을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실린더 온도: 230 ℃)에 투입한 후 용융·혼합하고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기재하였다.
1) 용융지수(Melt Index, MI) 측정
ASTM D1238에 의거하여 GOTTFERT社의 MI-4를 이용하여, 온도 220 ℃, 하중 10 kg의 조건 하에서 10 분 동안 용융되어 나온 수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제조한 펠렛을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하였다.
1) Color L 값 측정
칼라 미터(Ci7860, x-rite社)를 사용하여 시편의 Color L값을 측정하였다.
2) 외관 품질 평가
사출성형 시 게이트(gate)를 2개 가지고 있는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하였기 때문에 플로우 마크(flow mark)가 발생할 수 있다. 시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외관 품질을 평가하였다.
○: 플로우 마크가 전혀 없거나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
△: 플로우 마크 자국이 희미하게 보이는 상태
Ⅹ: 플로우 마크가 발생한 부위가 뚜렷하고 진하게 보이는 상태
3) 내화학성 평가
ASTM D1693에 의거하여 시편을 상온에서 1.5 %의 스트레인 지그에 고정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농도: 70%)을 시편 위에 도포하고 10분 후 시편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내화학성을 평가하였다.
○: 시편에 변화가 없음
Ⅹ: 크랙이 관찰되거나, 시편이 완전히 깨짐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15 15 15 15 15 15 15
(B)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부) 77 77 77 77 77 77 77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8 8 8 8 8 8 8
(D)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량부) 1 1 1 10 10 10 1
(E) 금속성 안료 (중량부) (E-1) 1 10 - 1 10 - 12
(E-2) - - 10 - - 10 -
용융지수(g/10분) 40 40 40 49 49 49 41
Color L 70 73 79 74 81 78 74
외관 품질
내화학성
구분 실시예
8 9 10 11 12 13 14 15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15 15 15 15 15 15 15 15
(B)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부) 77 77 77 77 77 77 77 77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8 8 8 8 8 8 8 8
(D)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량부) 1 1 1 1 10 10 10 10
(E) 금속성 안료 (중량부) (E-1) 0.05 5 - - 0.05 5 - -
(E-2) - - 0.05 5 - - 0.05 5
용융지수(g/10분) 40 40 40 40 49 49 49 49
Color L 69 72 69 73 73 76 73 77
외관 품질
내화학성
구분 비교예
1 2 3 4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15 15 15 15
(B)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부) 77 77 77 77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8 8 8 8
(D)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량부) - - - -
(E) 금속성 안료 (중량부) (E-1) 10 12 - -
(E-2) - - 10 12
용융지수(g/10분) 39 39 39 39
Color L 71 72 78 79
외관 품질 X X X X
내화학성 X X X X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용융지수 및 Clolor L 값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5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금속성 안료를 동시에 포함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의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의 명도를 갖는 사출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3은 비교예 3에 비하여, 실시예 7은 비교예 2에 비하여 유동성 및 명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5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사출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5로부터, 금속성 안료를 적정 범위로 포함할 때 Color L 값과 외관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명도, 외관 품질 및 내화학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결정성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금속성 안료;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성 안료는 금속 플레이크 및 고분자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5 ㎛ 이하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대하여 60 중량부 이상 8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입자 크기가 0.05 ㎛ 이상 0.6 ㎛ 이하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단위는 에틸렌 단위 및 프로필렌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아세테이트기 및 아크릴레이트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폴리에틸렌 캐리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캐리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캐리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안료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내지 12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200128858A 2019-10-25 2020-10-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17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4003 2019-10-25
KR1020190134003 2019-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74A KR20210049674A (ko) 2021-05-06
KR102617163B1 true KR102617163B1 (ko) 2023-12-27

Family

ID=7562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858A KR102617163B1 (ko) 2019-10-25 2020-10-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13307A1 (ko)
EP (1) EP3943546A4 (ko)
JP (1) JP7412842B2 (ko)
KR (1) KR102617163B1 (ko)
CN (1) CN113767148B (ko)
TW (1) TW202124572A (ko)
WO (1) WO2021080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9477A1 (en) * 2021-06-23 2024-05-01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Weather resistant asa mold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20B2 (ja) * 1976-09-07 1984-02-03 カルプ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5455300A (en) * 1994-07-29 1995-10-03 Montell North America Inc. Graft copolymer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impact modified with a heterophasic olefin polymer material
JP3991365B2 (ja) * 1995-09-21 2007-10-17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1042356A1 (en) * 1999-12-07 2001-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Abs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lic particles
JP2001294742A (ja) 2000-04-14 2001-10-23 Ge Plastics Japan Ltd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外装用部品
KR100881335B1 (ko) * 2007-06-22 2009-0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1090200A1 (ja) 2010-01-25 2011-07-28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異形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異形押出樹脂成形品
JP5817129B2 (ja) 2010-01-25 2015-11-18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異形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異形押出樹脂成形品
CN102627827B (zh) * 2012-03-19 2015-07-15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具有金属外观的美学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5007159A (ja) 2013-06-24 2015-01-1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メタリック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15017192A (ja) 2013-07-11 2015-01-29 スズ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KR20150124598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에코일렉 금속안료가 충진된 고분자 비드를 함유하는 금속질감의 합성수지 조성물
KR20190035571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28794B1 (ko) * 2017-11-07 2021-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9836683A (zh) 2017-11-28 2019-06-04 常州中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抗静电塑料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74A (ko) 2021-05-06
US20220213307A1 (en) 2022-07-07
TW202124572A (zh) 2021-07-01
WO2021080215A1 (ko) 2021-04-29
JP7412842B2 (ja) 2024-01-15
EP3943546A4 (en) 2022-06-22
JP2022532109A (ja) 2022-07-13
CN113767148B (zh) 2023-11-10
EP3943546A1 (en) 2022-01-26
CN113767148A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426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1822697B1 (ko) 외관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20059668A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61716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61030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owability,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US20120264882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2017004755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0004932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0655710A (zh) 一种耐刮擦抗冲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28717B1 (ko) 경도,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투명 공중합체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 공중합체 수지
US934066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67690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3001528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734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031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030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66586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25497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6295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98071B1 (ko) 자동차외장 부품용 고내열 무도장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컴파운드 수지
KR2017007634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300345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18299B1 (ko) 외관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2000025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