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767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767B1
KR102549767B1 KR1020200128859A KR20200128859A KR102549767B1 KR 102549767 B1 KR102549767 B1 KR 102549767B1 KR 1020200128859 A KR1020200128859 A KR 1020200128859A KR 20200128859 A KR20200128859 A KR 20200128859A KR 102549767 B1 KR102549767 B1 KR 10254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licone oil
cps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231A (ko
Inventor
신동건
김서화
강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5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Abstract

본 발명은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인 제1 실리콘 오일; 및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성형성, 내충격성, 강도 및 광택 등이 우수하여 각종 전기전자 부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냉장고 내상용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냉장고 내상용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이 아닌 압출 성형한 후 진공 성형을 거쳐 생산되고 있다.
한편, 냉장고의 대형화에 따라 냉장고 내상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대형 압출 시트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대형으로 제조된 압출 시트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스크래치가 생길 확률이 높다.
이에, 기존에는 조성물에 입자 사이즈가 큰 고무를 적용함으로써 성형품의 표면 광택을 저감시켜 스크래치를 덜 보이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오히려 압출 시트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조성물에 경도가 우수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른 소재를 혼합하여 압출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압출 시트를 제작한 후 냉장고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진공 성형 시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압출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등 물성이 우수한 수지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JP6155340B2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인 제1 실리콘 오일; 및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용출액으로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이용하여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breeze)를 통해 표준 PS(standard polystyrene) 시료에 대한 상대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인 제1 실리콘 오일; 및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베이스 수지
1)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가공성,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신율, 착색성, 내화학성, 표면 광택 특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열성, 내충격성, 가공성을 부여해줄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후성, 내충격성, 신율, 착색성, 내화학성, 가공성, 표면 광택 특성 및 백화 특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중합체에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엔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 중합체는 디엔계 단량체의 중합물일 수 있고,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페릴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C4 내지 C1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를 가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2)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가공성, 내충격성, 투명성, 광택성, 내화학성, 내열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 비닐 시안계 화합물을 공중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1.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단량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g/mol 이상 3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압출 공정에 적합한 유동지수(4 내지 7 g/10min)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압축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수지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내스크래치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상 19 중량부 이하 또는 19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또는 8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내후성, 내화학성, 착색성, 백화 특성 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9 중량부 이상 73 중량부 이하, 69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또는 70 중량부 이상 73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압출 공정에 적합한 유동지수(4 내지 7 g/10min)를 가질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압축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2. 실리콘 오일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은 점도 범위가 상이한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을 동시에 포함하여 압출 공정에 적합한 유동지수를 가져 압출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제1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인 제1 실리콘 오일은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압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실리콘 오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 또는 4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제1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2) 제2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인 제2 실리콘 오일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높아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 5,000 cPs 이상 15,000 cPs 이하, 또는 5,000 cPs 이상 10,000 cPs 이하인 것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높아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 또는 4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제2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내스크래치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중량비가 3:5 내지 5:3일 수 있다.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구체적으로 3:5 내지 1:1 또는 1:1 내지 5:3일 수 있다.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내스크래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220 ℃, 10 kg 하중 하에서 측정된 유동지수가 4 g/10min 이상 7 g/10min 이하일 수 있다.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지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정성이 우수할 수 있고, 특히 압출 공정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 또는 성형품은 ASTM D256에 따라 측정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20 kgf·cm/cm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내충격성이 우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공 성형 후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냉장고 내상용 소재에 사용되는 압출 성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DP270E, LG화학)를 사용하였다.
(B)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SA927, LG화학)를 사용하였다.
(C)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이 180,000 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97HC, LG화학)를 사용하였다.
(D-1) 제1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KF96-5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D-2) 제1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KF96-1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D-3) 제1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KF96-10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E-1) 제2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KF96-100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E-2) 제2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KF96-50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F) 제3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 cPs인 제3 실리콘 오일(KF96-5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G) 제4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2,000 cPs인 제4 실리콘 오일(KF96-20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H) 제5 실리콘 오일: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30,000 cPs인 제5 실리콘 오일(KF96-30000cs, ShinEtsu)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성분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한 후 용융·혼합하고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1) 압출 가공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제품명, HAAKE社)를 이용하여 220 ℃ 에서 압출할 때 스크류에 걸리는 토크를 5 분간 측정하고, 이 때 압출된 펠렛 가닥으로부터 압출 초기, 압출 중기 및 압출 말기의 각각의 부위에서 펠렛을 수득하고, 이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인장 강도를 측정하고, 하기와 같은 평가 기준으로 압출 가공성을 평가하였다.
○: 토크의 편차가 5 % 이하이고, 압출 초기, 압출 중기 및 압출 말기의 각각의 부위에서 수득된 펠렛(3 개) 사이의 인장 강도 편차가 3 % 이하인 경우
Ⅹ: 토크의 편차가 5 % 초과이거나, 압출 초기, 압출 중기 및 압출 말기의 각각의 부위에서 수득된 펠렛(3 개) 사이의 인장 강도 편차가 3 % 초과인 경우
2) 유동지수 측정
ASTM D1238에 의거하여 GOTTFERT 社의 MI-4를 이용하여, 온도 220 ℃ 하중 10 kg의 조건 하에서 10 분 동안 용융되어 나온 수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제조한 펠렛을 압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1) 내스크래치성 평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DP270E, LG화학) 29 중량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97HC, LG화학) 7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시편을 내스크래치성 평가의 레퍼런스로 이용하였다.
러빙(rubbing)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각 시편의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러빙 테스트기의 일면과 측면 각각에 동일한 시편을 부착하고 50 cycle/분의 속도로 2 분 간 문지른 후, 광학 현미경으로 스크래치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레퍼런스에 비하여 스크래치 수가 적은(1/2 이하) 경우
Ⅹ: 레퍼런스에 비하여 스크래치 수가 많은 경우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20 19 16 19 19 19 19 19
(B)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10 8 15 8 8 8 8 8
(C)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부) 70 73 69 73 73 73 73 73
(D-1) 제1 실리콘 오일 (중량부) 3 4 5 - - 4 - -
(D-2) 제1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 4 - - 4 -
(D-3) 제1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 - 4 - - 4
(E-1) 제2 실리콘 오일 (중량부) 5 4 3 4 4 - - -
(E-2) 제2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 - - 4 4 4
유동지수(g/10min) 4.2 4.8 4.3 5.1 4.6 5.4 5.6 5.3
압출가공성
내스크래치성
구분 비교예
1 2 3 4 5
(A)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20 20 20 19 19
(B)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부) 10 10 10 8 8
(C)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량부) 70 70 70 73 73
(D-1) 제1 실리콘 오일 (중량부) - 5 - - 4
(E-1) 제2 실리콘 오일 (중량부) 5 - 4 4 -
(F) 제3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4 - -
(G) 제4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 4 -
(H) 제5 실리콘 오일 (중량부) - - - - 4
유동지수(g/10min) 4.3 4.5 4.3 3.7 2.7
압출가공성 X X
내스크래치성 X X X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8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압출 공정에 적합한 유동지수(4 내지 7 g/10min)를 가져 압출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상기 조성물은 내구성이 우수한 시편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점도가 1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점도가 5,000 cPs 내지 2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점도가 5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점도가 50 cPs인 제3 실리콘 오일 및 점도가 1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3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에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점도가 2,000 cPs인 제4 실리콘 오일 및 점도가 1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4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점도가 5,000 cPs 내지 20,000 cPs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점도가 30,000 cPs인 제5 실리콘 오일 및 점도가 500 cPs인 제1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5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한 유동지수를 확보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압출 가공성이 열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압출 가공성이 우수하여 압출 성형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1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인 제1 실리콘 오일; 및
    ASTM D445에 따라 측정된 점도가 5,000 cPs 이상 20,000 cPs 이하인 제2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콘 오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3:5 내지 5:3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g/mol 이상 300,000 g/mol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유동지수가 4 g/10min 이상 7 g/10min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200128859A 2019-10-30 2020-10-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49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6200 2019-10-30
KR1020190136200 2019-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231A KR20210052231A (ko) 2021-05-10
KR102549767B1 true KR102549767B1 (ko) 2023-07-03

Family

ID=7571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859A KR102549767B1 (ko) 2019-10-30 2020-10-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3310A1 (ko)
EP (1) EP3943545A4 (ko)
KR (1) KR102549767B1 (ko)
CN (1) CN113785012B (ko)
WO (1) WO20210858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4649A (ja) * 2010-03-11 2011-09-22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15120937A (ja) * 2015-04-01 2015-07-02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675A (en) 1979-04-02 1980-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witching regulator
KR920005658B1 (ko) * 1989-09-28 1992-07-11 우승환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한 기준신호의 주파수 안정화 회로
JP2620541B2 (ja) * 1995-10-25 1997-06-1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922261A (zh) * 2003-12-26 2007-02-28 Jsr株式会社 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成形品
KR100778012B1 (ko) * 2006-12-29 2007-11-2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브레이크 오일성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080242779A1 (en) * 2007-04-02 2008-10-02 Satish Kumar Gaggar Resinous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020054B1 (ko) * 2008-08-19 2011-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형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079011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65480B1 (ko) * 2016-09-29 2019-04-03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9503972A (zh) * 2018-11-28 2019-03-22 磨长城 透光性abs树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4649A (ja) * 2010-03-11 2011-09-22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15120937A (ja) * 2015-04-01 2015-07-02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881A1 (ko) 2021-05-06
KR20210052231A (ko) 2021-05-10
CN113785012B (zh) 2024-05-07
EP3943545A4 (en) 2022-06-29
CN113785012A (zh) 2021-12-10
EP3943545A1 (en) 2022-01-26
US20220213310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28B1 (ko)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asa계 수지 조성물
US9422426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0920807B1 (ko) 내스크래치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고내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17006298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1902060B1 (ko)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01309B1 (ko) 수지 조성물
KR10238683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208576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261030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owability,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CN110655710A (zh) 一种耐刮擦抗冲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497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243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734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1716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030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4017B1 (ko) 윤활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0700685B1 (ko) 저광택 고충격 특성을 지니는 내열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KR201700746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5990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663356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品
KR20160035579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9006327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6345B1 (ko) 내열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40050146A (ko) 이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