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13B1 - 도어용 바이저 - Google Patents

도어용 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13B1
KR102612213B1 KR1020210090090A KR20210090090A KR102612213B1 KR 102612213 B1 KR102612213 B1 KR 102612213B1 KR 1020210090090 A KR1020210090090 A KR 1020210090090A KR 20210090090 A KR20210090090 A KR 20210090090A KR 102612213 B1 KR102612213 B1 KR 10261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isor
door window
vehic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027A (ko
Inventor
이관민
Original Assignee
(주)오토크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크로바 filed Critical (주)오토크로바
Priority to US17/603,47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01736B2/en
Priority to PCT/KR2021/008795 priority patent/WO2022010308A1/ko
Publication of KR2022000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적용되는 차량의 도어의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하여 도어용 바이저를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의 도어용 바이저를 차체에 설치할 경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도어창이 도어용 바이저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도어용 바이저{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도어용 바이저는 차량의 창문의 상측 창틀에 부착되어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는 부재를 말한다. 또한 도어용 바이저는 차량 주행시 비가 오는 경우 창문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용 바이저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제10-2074225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도어 프레임에 바이저 본체 부재가 결합되는 기술로서 차량의 창문의 상측 창틀이 없는 차량 창문에는 도어용 바이저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도어 상부 틀이 없는 차량의 도어에 적용 가능하도록 차체에 장착 가능한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몰딩부와 상기 바이저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함몰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주변부에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기준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강하는 상기 도어창의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상기 도어창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창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최소시간은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상기 도어창과 상기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상기 도어창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도어용 바이저가 적용되는 차량의 도어의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교차되는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하여 도어용 바이저를 설계함으로써, 도어용 바이저를 차체에 설치할 경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도어창이 도어용 바이저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와 바이저부 사이에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차체에 도어용 바이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차체에 접하는 돌출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에 함몰부를 마련함으로써 함몰부에 접착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함몰부와 함몰부의 주변부에 교차되게 접착부를 마련하고 이렇게 마련된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할 수 있어 차체와 몰딩부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함몰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접착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하는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접착부를 마련하고 이렇게 마련된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할 수 있어 차체와 몰딩부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를 가지며,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접착부를 포함함으로써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절취선을 통해 두께가 서로 다른 접착부를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착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 및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 및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하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장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a)는 도어가 개방되는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도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도어창이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b)는 도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도어창이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c)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차량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가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c)는 도어의 손잡이의 동작 또는 도어의 개방에 따라 도어창의 높이가 낮아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차량의 차체의 앞과 뒤에 장착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뒷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도어용 바이저의 뒷부분 중 도 5의 (a)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을 발췌한 모습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b)의 AA' 방향으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d)는 몰딩부에 접착부의 예로서 접착 테이프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e)는 도 5의 (d)의 BB' 방향으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함몰부가 마련되지 않은 몰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복수의 함몰부들이 마련된 몰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착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 및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 및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하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와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는 도 8의 (a)에서 표시한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도어창과 교차하는 높이 또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에서 표시된 W_A, W_B, W_C, W_D, W_E 및 W_F는 예로서 각각 약 3mm, 약 15.8mm, 약 17.5mm, 약 17.5mm, 약 17.2mm 및 약 16.8mm일 수 있다. 도 8의 (g)의 경우에는 도어창이 아닌 뒷문에 인접하여 차체에 고정된 창문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며, 교차 높이 또는 길이는 예로서 약 8mm일 수 있다. 도 8의 (e)의 d는 도어창과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이며, 예로서 약 6.5584mm일 수 있다. 이들 교차 높이 또는 길이, d의 수치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을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값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표시된 수치의 단위는 mm 단위이다. 도 10 및 도 11의 하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중앙부분은 돌출부이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는 몰딩부, 하부는 바이저부에 해당한다. 도 10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 도면은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좌측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우측 앞문에 대응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 도면은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좌측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우측 뒷문에 대응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를 마련하더라도 도어(20)를 개방할 때 도어창(20a)이 바이저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용 바이저(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도어용 바이저(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접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용 바이저(100)는 앞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앞문과 뒷문의 형상에 따라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기술에서 개시하는 기술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앞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를 모두 도어용 바이저(100)으로 칭하기로 한다.
몸체부(110)는 몰딩부(112) 및 바이저부(114)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선택적으로 돌출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112)는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된다.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몰딩부(112)를 통하여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된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를 대상으로 하므로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가 아닌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바이저부(114)는 몰딩부(112)와 연결되며, 차량(10)에 도어(20)가 닫히고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창(20a)과 이격된 상태로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저부(114)는 도어창(20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도어창(20a)과 교차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는 기능, 차량(10)의 주행시 비가 오는 경우 도어창(20a)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돌출부(116)는 몰딩부(112)와 바이저부(1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16)는 차체(10a)에 대향하는 도어용 바이저(100) 대향면에서 차체(10a)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 즉,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는 차체(10a)의 외면에 밀착된다. 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16)의 높이, 차체(10a)에 밀착되는 돌출부(116)의 위치 조정 등을 통하여 도어창(20a)과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부(116)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돌출부(116)가 없을 경우에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바이저부(114)는 차체(10a)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바이저부(114)의 끝단이 도어(20)의 도어창(20a)을 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비 등을 통하여 차량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이 도어용 바이저(100)를 타고 흐를 경우 바이저부(114)에 도달한 물은 바이저부(114)의 곡면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으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몰딩부(112)와 바이저부(114) 사이에 상술한 돌출부(116)를 마련하고,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 사이의 각도,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몰딩부(112)가 차체(10a)에 장착되도록 한다. 접착부(120)로는 띠 형상의 접착 테이프가 예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장착할 수 있는 한 접착부(120)의 형상,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몰딩부(112)는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함몰부(112a, 112b)에 마련되거나 함몰부(112a, 112b)와 함몰부(112a, 112b)의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함몰부(112a, 112b)가 예시되어 있으나 1개일 수도 있다. 몰딩부(112)에 함몰부(112a, 112b)를 마련함으로써 동일한 접착부(120)를 통하여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부(120)를 함몰부(112a, 112b)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와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차체(10a)와 몰딩부(112)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몰딩부(112)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함몰부(112a)에 마련된 접착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몰딩부(112)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을 마련함으로써 동일한 접착부(120)를 통하여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부(120)를 함몰부(112a, 112b)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와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차체(10a)와 몰딩부(112)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앞서 상술한 돌출부(116)와 연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과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120)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120)에 접착부(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122)과 접착부(1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접착부(120)의 두께를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함으로써 절취선(122)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의 접착부(120)를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122)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의 접착부(120)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뿐만 아니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기준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도어(20)가 차량(10)에 닫히고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20)가 개방될 경우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강하는 도어창(20a)의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평면과 도어창(20a)의 평면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바이저부(14)의 상기 최대 폭과 도어창(20a)의 상기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상기 기준높이는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즉, 상기 동일한 가상의 평면에 투영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부 틀이 없는 도어(20)에 장착된 도어창(20a)은 닫힐 경우에 도어창(20a) 상부에 위치하는 차체(10a)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10a)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에 삽입된다. 이하 도어창(20a)이 닫힐 경우 도어창의 끝단을 포함하는 상부가 삽입되는 차체(10a)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10a)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을 도어창끼움부라 칭하기로 한다. 상부 틀이 없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 손잡이를 동작시킬 경우 도어창(20a)은 상기 도어창끼움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20)를 열 수 있다.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여 도어(20) 개방에 따른 도어창(20a)의 최대 하강 높이 보다 짧게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정함으로써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차량(10)에 닫히고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20)가 개방되면, 도어창(20a)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한다. 상기 최소시간은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 사이의 거리 및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도어창(20a)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평면과 도어창(20a)의 평면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바이저부(14)의 상기 최대 폭과 상기 최소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상단이 하강하는 상기 높이를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즉, 상기 동일한 가상의 평면에 투영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여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을 산출한다.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 사이의 거리 및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어창(20a)의 최대 개방속도로부터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어창(20a) 상단이 바이저부(114) 하단에 도달하는 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도달시간으로부터 최소 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을 산출된 최소 도달시간 동안 도어창(20a)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정함으로써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하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정하는 구체적인 설계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의 적용 대상 도어(20)가 장착된 차량(10)의 경우에 도어(20)가 닫힌 경우, 차량(10) 내부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하여 도어(20)의 도어창(20a)의 끝단은 차체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에 끼워지거나 밀착되게 된다. 즉 도어창(20a)의 끝단은 도어창끼움부에 끼워지거나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그대로 있게 되면 도어(20)는 열릴 수 없거나 열리기가 어렵다. 이에 차량(10) 승하차시에 외부 또는 내부 도어 손잡이를 동작시켜 도어(20)를 열 때, 도어 손잡이의 동작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은 소정의 높이 또는 거리만큼 하강한다. 이를 통하여 도어(20)의 도어창(20a)은 차체(10a)에 걸리지 않고 문제없이 열릴 수 있다. 이하 외부 또는 내부 도어 손잡이를 도어손잡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은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하 예시로서 제시되는 바이저부(114)가 도어(20)의 도어창(20a)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도어손잡이를 동작시킨 경우 도어창끼움부로부터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하강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의 높이를 도어손잡이를 동작시킨 경우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소정의 거리 하강한 길이보다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손잡이를 통하여 도어(20)를 열 때, 도어(20)의 도어창(20a)이 1단계로 하강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도어손잡이 동작에 따른 도어(20)의 도어창(20a)의 1가지 동작은 도어손잡이 동작시 및 동작 후 과정 또는 도어손잡이 동작 후 도어(2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이 v1 속도로 t1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동작으로 정의하자.
이 경우,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 또는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상단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d라고 하자.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는 d는 접착부(120)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d는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d는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위치별로 d의 값이 다를 경우에 d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최단거리 또는 최단간격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도어손잡이 동작과 동시에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v4라고 하자. 이 경우,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d÷v4일 수 있다.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의 하강 높이 L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d÷v4 ≤ t1 일 경우,
L1 = (d÷v4)×v1
t1< d÷v4 일 경우,
L1 = t1×v1
이 경우,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높이인 L1과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도어창(20a)이 등속도인 v1으로 t1 시간 동안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어창(20a)이 등속도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창(20a)의 속도인 v1을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도어창(20a)의 하강 높이 L1을 구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로, 도어손잡이를 통하여 도어(20)를 열 때, 도어(20)의 도어창(20a)이 2단계로 하강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도어(20)의 도어창(20a)의 2단계 하강은 다음의 2가지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손잡이 동작에 따른 도어(20)의 도어창(20a)의 2가지 동작은 도어손잡이 동작시의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하강하는 제1동작 및 제1동작 이후 즉, 도어손잡이 동작 후 과정 또는 도어손잡이 동작 후 도어(20)를 여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이 제1거리 만큼 하강 한 후 제2거리만큼 추가적으로 하강하는 제2동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d라고 하자.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 또는 접착부(120)를 선택하는 과정 등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d는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d는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위치별로 d의 값이 다를 경우에 d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최단거리 또는 최단간격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도어손잡이 동작시 제1동작시의 도어(20)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를 v2, 제1동작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설정된 하강시간을 t2이라고 하자. 제1동작 후 제2동작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를 v3, 제2동작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설정된 하강시간을 t3라고 정의하자.
한편, 도어손잡이 동작과 동시에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v4라고 하자. 이 경우,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d÷v4일 수 있다.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거리 L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d÷v4 ≤ t2 일 경우,
L2 = (d÷v4)×v2
t2< d÷v4 ≤ t2+t3 일 경우,
L2 = t2×v2+((d÷v4)-t2)×v3
t2+t3< d÷v4 일 경우,
L2 = t2×v2+t3×v3
이 경우, 바이저부(114)의 길이는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높이 L2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도어창(20a)이 제1동작에서 등속도인 v2으로 t2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인 제1거리만큼 하강하고, 제2동작에서 등속도인 v3으로 t3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인 제2거리만큼 추가적으로 하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어창(20a)이 등속도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창(20a)의 속도인 v2와 v3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도어창(20a)의 하강 높이 L2를 구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의 (b) 내지 (h)는 도 8의 (a)에서 표시한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114)가 도어창(20a)을 교차하는 높이 또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에서 표시된 W_A, W_B, W_C, W_D, W_E 및 W_F는 예로서 각각 약 3mm, 약 15.8mm, 약 17.5mm, 약 17.5mm, 약 17.2mm 및 약 16.8mm일 수 있다. 도 8의 (g)의 경우에는 도어창이 아닌 뒷문에 인접하여 차체에 고정된 창문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며, 교차 높이 또는 길이는 예로서 약 8mm일 수 있다. 도 8의 (e)의 d는 도어창과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이며, 예로서 약 6.5584mm일 수 있다. 이들 교차 높이 또는 길이, d의 수치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을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값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로서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측면 앞뒤 도어(20)의 상부 차체에 적용가능하도록 도어용 바이저(100)의 길이, 폭의 길이 및 전체적인 형상이 선정된 도어용 바이저(1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도어창(20a)은 앞서 상술한 도어창(20a)이 2단계로 하강하는 경우에 대응되는 과정을 통하여 동작한다.
도 8의 (b) 내지 (h)의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114)가 도어창(20a)을 교차하는 폭의 길이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제1동작시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와 하강시간, 제2동작시 도어창(20a)의 하강속도와 하강시간 및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이렇게 설계된 도 8에서 도시한 도어용 바이저(100)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의 한 예이며, 이렇게 설계된 도 8에서 도시한 도어용 바이저(100)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적용시(도 9 참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창(20a)에 걸리지 않으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며, 비가 오는 경우 창문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차량
10a: 차체
20: 도어
20a: 도어창
100, 100a, 100b: 도어용 바이저
110, 110a: 몸체부
112: 몰딩부
112a, 112b: 함몰부
114: 바이저부
116: 돌출부
120: 접착부
122: 절취선

Claims (7)

  1.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
  6. 삭제
  7.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상기 도어창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되되,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창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하며,
    상기 최소시간은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상기 도어창과 상기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도어창의 최대 개방속도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상기 도어창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되는 도어용 바이저.
KR1020210090090A 2020-07-09 2021-07-09 도어용 바이저 KR10261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3,478 US11801736B2 (en) 2020-07-09 2021-07-09 Door visor
PCT/KR2021/008795 WO2022010308A1 (ko) 2020-07-09 2021-07-09 도어용 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4989 2020-07-09
KR1020200084989 2020-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027A KR20220007027A (ko) 2022-01-18
KR102612213B1 true KR102612213B1 (ko) 2023-12-11

Family

ID=8005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90A KR102612213B1 (ko) 2020-07-09 2021-07-09 도어용 바이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2213B1 (ko)
CN (1) CN114174088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52A (ja) 2000-02-21 2001-08-28 Kyoichi Murata 自動車用ドアバイザー
JP2006069470A (ja) * 2004-09-06 2006-03-16 Honda Access Corp 車両用ドアバイザ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5544A1 (de) * 1980-04-23 1981-10-29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ichtungseinrichtung fuer eine vorzugsweise rahmenlose tuer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EP0658455B1 (en) * 1993-12-16 1998-05-20 Toyoda Gosei Co., Ltd. Structure for attachment of weather strip
KR200230834Y1 (ko) * 1998-07-03 2002-08-08 김영열 차량용측면선바이저
CN204605468U (zh) * 2015-01-30 2015-09-02 盐城赛福汽车零部件有限公司 多功能遮阳汽车车门
KR102347698B1 (ko) * 2017-04-28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KR20190063093A (ko) * 2017-11-29 2019-06-07 방지환 차량용 선바이저
CN110626155A (zh) * 2019-10-25 2019-12-3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52A (ja) 2000-02-21 2001-08-28 Kyoichi Murata 自動車用ドアバイザー
JP2006069470A (ja) * 2004-09-06 2006-03-16 Honda Access Corp 車両用ドアバイ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74088B (zh) 2024-03-22
KR20220007027A (ko) 2022-01-18
CN114174088A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8026B2 (ja) 車両用樹脂窓および車両用ドアパネル
CN206812771U (zh) 车门三角窗总成
EP1561619B1 (en) Vehicle door with slidable window glass
JP2002200922A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CN206220716U (zh) 用于对开门车辆的车门及车辆
CN109562679A (zh) 车辆用顶盖和车辆的顶棚构造
KR102612213B1 (ko) 도어용 바이저
US6698816B1 (en) Variable sunscreen for a vehicle
KR200408822Y1 (ko) 자동차 사이드윈도우용 선바이저
US11801736B2 (en) Door visor
CN208264367U (zh) 车辆气流影响组件
CN104773052A (zh) 关闭密封件
KR200470660Y1 (ko)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JP430510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KR20180093874A (ko) 윈도우의 실크 스크린 프린팅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림이 제공된 테일게이트
KR100452225B1 (ko) 자동차용 에어토출 그릴장치
JP4712501B2 (ja) サッシュレス車用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端末部構造
CN205736838U (zh) 机动车尾门
JP2009023534A (ja) バックドアのガラス部の排水機構
JP3144570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CN105863418B (zh) 开闭件、用于对开门车辆的车门及车辆
KR20090000885U (ko) 차량용 썬바이져
EP3416842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N107386842A (zh) 用于车辆行李箱盖铰链的盖组件及车辆
JPS6027690Y2 (ja) 自動車用サイドドアのシ−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