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13B1 -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 Google Patents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13B1
KR102612213B1 KR1020210090090A KR20210090090A KR102612213B1 KR 102612213 B1 KR102612213 B1 KR 102612213B1 KR 1020210090090 A KR1020210090090 A KR 1020210090090A KR 20210090090 A KR20210090090 A KR 20210090090A KR 102612213 B1 KR102612213 B1 KR 10261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isor
door window
vehic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7027A (en
Inventor
이관민
Original Assignee
(주)오토크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크로바 filed Critical (주)오토크로바
Priority to PCT/KR2021/00879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10308A1/en
Priority to US17/603,478 priority patent/US11801736B2/en
Publication of KR2022000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Abstract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적용되는 차량의 도어의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하여 도어용 바이저를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의 도어용 바이저를 차체에 설치할 경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도어창이 도어용 바이저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A technology related to a door visor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is disclosed. The visor for the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The body part is connected to a molding part mounted o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the molding par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door is closed, and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t includes a crossed visor por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designed to design a door visor by determining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which the door visor mounted on the vehicle is applied. When the door visor of the method is installed on the car body, it provide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door window getting caught in the door visor when the door is opened.

Description

도어용 바이저{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Visor for door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generally relates to a visor for a do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sor for a door provided on a vehicle body.

도어용 바이저는 차량의 창문의 상측 창틀에 부착되어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는 부재를 말한다. 또한 도어용 바이저는 차량 주행시 비가 오는 경우 창문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door visor is a member that is attached to the upper window frame of a vehicle window and protects the driver's eyes by blocking sunlight. In addition, the door visor functions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when it rains while driving the vehicle, even if the window is partially open.

도어용 바이저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제10-2074225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도어 프레임에 바이저 본체 부재가 결합되는 기술로서 차량의 창문의 상측 창틀이 없는 차량 창문에는 도어용 바이저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door visors include Korean Patent KR No. 10-2074225, ‘Automatically Expanding Vehicle Window Visor’. The prior art is a technology in which a visor body member is coupled to a door fram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a visor for a door to a vehicle window without an upper window fram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도어 상부 틀이 없는 차량의 도어에 적용 가능하도록 차체에 장착 가능한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visor for a door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body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oor of a vehicle without an upper door fram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visor for a door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is disclosed. The visor for the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The body part is connected to a molding part mounted o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the molding par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door is closed, and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t includes a crossed visor portion.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몰딩부와 상기 바이저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molding portion and the visor portion.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함몰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주변부에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viso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hat allows the mold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molding part may include a depression. The adhesive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depression or may be provided to intersect the depression and a peripheral portion of the depression.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viso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hat allows the mold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mold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pressions having different depths. The adhesive portion may be provided in on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or may be provided to intersect adjacent depressions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viso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hat allows the mold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adhesive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erforation line provid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dhesive port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non-uniform thicknes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한편,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기준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강하는 상기 도어창의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may be shorter than the standard height. The reference heigh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lowering height of the door window, which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is closed to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is closed.

또 한편,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상기 도어창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창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최소시간은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상기 도어창과 상기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상기 도어창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may be shor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top of the door window descends for a minimum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is closed o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is closed, the door window may descend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minimum tim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ortion calculated for each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and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moving speed for each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door window.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도어용 바이저가 적용되는 차량의 도어의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교차되는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하여 도어용 바이저를 설계함으로써, 도어용 바이저를 차체에 설치할 경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도어창이 도어용 바이저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onsiders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which the door visor is applied and designs the door visor by determining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when installing the door visor on the car body, it provide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door window getting caught in the door visor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와 바이저부 사이에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차체에 도어용 바이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차체에 접하는 돌출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protrusion between the molding portion and the visor por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door visor to the vehicle body, such as the gap, angle, etc.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ortion.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adjus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에 함몰부를 마련함으로써 함몰부에 접착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함몰부와 함몰부의 주변부에 교차되게 접착부를 마련하고 이렇게 마련된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할 수 있어 차체와 몰딩부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provide an adhesive part in the depression by providing a depression in the molding part, or provide an adhesive part to cross the depression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depression, and attach the molding part to the car body through the adhesive part thus provided. The distance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molding part can be adjusted, providing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몰딩부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함몰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접착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하는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접착부를 마련하고 이렇게 마련된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할 수 있어 차체와 몰딩부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plurality of depressions with different depths in the molding part, thereby providing an adhesive portion in on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or providing an adhesive portion to cross adjacent depressions. And the molding part can be attached to the car body through the adhesive part provided in this wa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molding part can be adjusted, providing the effect of adjusting the gap and angl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를 가지며,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접착부를 포함함으로써 접착부를 통하여 몰딩부를 차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절취선을 통해 두께가 서로 다른 접착부를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과 바이저부와 사이의 간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that has at least one cutting lin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so that the thickness is not uniform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forming a cutting lin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ortion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adhesive portion. This allows you to select adhesive parts of different thicknesses, providing the effect of adjusting the gap and angl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art.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selective concepts in a simplified form for matters that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later. This content is not provided with the intention of limiting the main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atent claims 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도 1은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착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 및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 및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하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herein mounted on the body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door open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viso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which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visor for a do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 which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isor for a door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body par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hesive por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oor vis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d on the front door body and the rear door body,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the visor portion crossing the door window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t positions A to G.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ctually installed on a Tesla Model 3 vehicle.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the actual design dimensions of the door visor provided on the car body corresponding to the front door and the car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door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respectively.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similar components.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rawings, and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sed, and other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arrange, configure, combine, and desig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shown in the drawings, into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clearly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it is designed and forms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clearly express multiple layers (or films), areas, and shapes in the drawing,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provided” to another component, this may include not only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is provided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m.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may include not only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them.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장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moun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may include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mount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cases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m.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a)는 도어가 개방되는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도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도어창이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b)는 도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도어창이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c)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창의 동작을 고려하여 바이저부의 최대 폭을 결정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차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차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차량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가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c)는 도어의 손잡이의 동작 또는 도어의 개방에 따라 도어창의 높이가 낮아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차량의 차체의 앞과 뒤에 장착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뒷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도어용 바이저의 뒷부분 중 도 5의 (a)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을 발췌한 모습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b)의 AA' 방향으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d)는 몰딩부에 접착부의 예로서 접착 테이프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e)는 도 5의 (d)의 BB' 방향으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함몰부가 마련되지 않은 몰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복수의 함몰부들이 마련된 몰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접착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 및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 및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하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가 앞문 차체와 뒷문 차체에 각각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는 도 8의 (a)에서 표시한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가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도어창과 교차하는 높이 또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에서 표시된 W_A, W_B, W_C, W_D, W_E 및 W_F는 예로서 각각 약 3mm, 약 15.8mm, 약 17.5mm, 약 17.5mm, 약 17.2mm 및 약 16.8mm일 수 있다. 도 8의 (g)의 경우에는 도어창이 아닌 뒷문에 인접하여 차체에 고정된 창문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며, 교차 높이 또는 길이는 예로서 약 8mm일 수 있다. 도 8의 (e)의 d는 도어창과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이며, 예로서 약 6.5584mm일 수 있다. 이들 교차 높이 또는 길이, d의 수치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을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값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에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표시된 수치의 단위는 mm 단위이다. 도 10 및 도 11의 하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중앙부분은 돌출부이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는 몰딩부, 하부는 바이저부에 해당한다. 도 10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 도면은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좌측 앞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우측 앞문에 대응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 도면은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 각각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좌측 뒷문에 대응되는 차체 및 우측 뒷문에 대응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ure (a)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before it is opened,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window lower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ounted on the body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door open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viso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which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Figure 3 (a)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ounted on the body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ure 3(b)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window lower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Figure 3 (c) is a diagram showing the stable opening of the door of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here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visor for a do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 which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ounted on the body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Figure 4 (b) is a view showing the visor portion of the door visor of the present technology, which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when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intersects with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am. Figure 4(c) is a diagram showing the height of the door window being lowe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or the opening of the door.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isor for a door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5(a) is a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Figure 5(b) is an excerpt from the rear part of the door visor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ure 5(a). Figure 5(c) is a view showing the view in the direction AA' of Figure 5(b). Figure 5(d) is a view showing an adhesive tape provided as an example of an adhesive part on a molding part. Figure 5(e) is a view showing the BB' direction of Figure 5(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body par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6 (a)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molding portion without recessed portions, and (b)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molding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hesive por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oor vis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d on the front door body and the rear door body,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the visor portion crossing the door window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t positions A to G. Figure 8 (a)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d on the front door body and the rear door body, respec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8(b) to 8(h) are diagrams showing the height or length of the visor portion crossing the door window at positions A to G shown in FIG. 8(a)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window. W_A, W_B, W_C, W_D, W_E, and W_F shown in (b) to (h) of Figures 8 are, for example, about 3 mm, about 15.8 mm, about 17.5 mm, about 17.5 mm, about 17.2 mm, and about 16.8 mm, respectively. You can. In the case of Figure 8 (g), it is not a door window but adjacent to the rear door and intersects a window fixed to the vehicle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tersection height or length may be, for example, about 8 mm. d in (e) of FIG. 8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ortion of the door visor, and for example, may be about 6.5584 mm. These intersection heights or lengths, d, are actual design values of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signed for the Tesla Model 3 vehicl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ctually installed on a Tesla Model 3 vehicle.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the actual design dimensions of the door visor provided on the car body corresponding to the front door and the car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door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respectively. The units of the values shown in FIGS. 10 and 11 are mm. 10 and 11, the central portion is a protrusion, the upp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mold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visor portion based on the center. The drawing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FIG. 10 are drawings showing the actual design dimensions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left front door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and the door visor corresponding to the right front door,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drawing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FIG. 11 are drawings showing the actual design dimensions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left rear door and the door visor corresponding to the right rear door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를 마련하더라도 도어(20)를 개방할 때 도어창(20a)이 바이저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Hereinafter, the door visor 100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door window 20a hitting the visor when the door 20 is opened even if the door visor is provided on the car body 10a.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용 바이저(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도어용 바이저(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접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용 바이저(100)는 앞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앞문과 뒷문의 형상에 따라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기술에서 개시하는 기술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앞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a) 및 뒷문 차체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100b)를 모두 도어용 바이저(100)으로 칭하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isor 100 for a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11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door visor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ortion 120. The door visor 100 can be divided into a door visor 100a mounted on the front door body and a door visor 100b mounted on the rear door body. The shape of the door visor 100a and the door visor 100b mounted on the rear door body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ront door and rear door, bu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technology can be applied substantially the sa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both the door visor 100a mounted on the front door body and the door visor 100b mounted on the rear door body will be referred to as the door visor 100.

몸체부(110)는 몰딩부(112) 및 바이저부(114)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선택적으로 돌출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includes a molding portion 112 and a visor portion 114. The body portion 11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16.

몰딩부(112)는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된다.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몰딩부(112)를 통하여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된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상부 틀이 없는 도어를 대상으로 하므로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가 아닌 차량(10)의 차체(10a)에 장착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The molding part 112 is mounted on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That is,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mounted on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molding part 112. Since the door visor 100 of this technology targets doors without an upper frame, the main feature of the door visor 100 of this technology is that it is mounted on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not the door 20. Do it as

바이저부(114)는 몰딩부(112)와 연결되며, 차량(10)에 도어(20)가 닫히고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창(20a)과 이격된 상태로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저부(114)는 도어창(20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도어창(20a)과 교차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는 기능, 차량(10)의 주행시 비가 오는 경우 도어창(20a)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or portion 114 is connected to the molding portion 11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20a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in the vehicle 10 an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closed. In this state, it intersects with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Specifically, the visor portion 114 is provided to intersect the door window 20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20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oor window 20a. Through this, the door visor 100 of this technology has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driver's eyes by blocking sunlight, and when it rains while driving the vehicle 10, rainwater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10 even if the door window 20a is partially opened.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inflow.

돌출부(116)는 몰딩부(112)와 바이저부(1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16)는 차체(10a)에 대향하는 도어용 바이저(100) 대향면에서 차체(10a)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 즉,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는 차체(10a)의 외면에 밀착된다. 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16)의 높이, 차체(10a)에 밀착되는 돌출부(116)의 위치 조정 등을 통하여 도어창(20a)과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부(116)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1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lding portion 112 and the visor portion 114. The protrusion 116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a from the opposing surface of the door visor 100 facing the vehicle body 10a.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that is, the molding portion 112, to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the protrusion 1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a.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16 protruding from the body 110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16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0a, the door window 20a and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are intersected. The gap between the visor parts 114, the angle between the visor part 114 crossing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width of the visor part 114 crossing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can be adjusted. there is. Through this, the protrusion 116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ortion 114 from colliding when the door 20 is opened.

돌출부(116)가 없을 경우에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바이저부(114)는 차체(10a)의 외면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바이저부(114)의 끝단이 도어(20)의 도어창(20a)을 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비 등을 통하여 차량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이 도어용 바이저(100)를 타고 흐를 경우 바이저부(114)에 도달한 물은 바이저부(114)의 곡면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으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몰딩부(112)와 바이저부(114) 사이에 상술한 돌출부(116)를 마련하고,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 사이의 각도,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116, the visor portion 114 may be ben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a dur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ortion 112 to the vehicle body 10a. At this tim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end of the visor portion 114 faces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n this case, when water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rain, etc. flows through the door visor 100, the water that reaches the visor portion 114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visor portion 114 and flows through the door 20. A problem may occur that may flow into the door window 20a and contaminate the vehicle interior. This problem is caused 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116 between the molding portion 112 and the visor portion 114,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116, the position at which the protrusion 1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0a, and their This can be solved by adjus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combination to adjust the angle and gap between the visor part 114 and the door window 20a, and the width of the visor part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there is.

접착부(120)는 몰딩부(112)가 차체(10a)에 장착되도록 한다. 접착부(120)로는 띠 형상의 접착 테이프가 예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장착할 수 있는 한 접착부(120)의 형상,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The adhesive portion 120 allows the molding portion 112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0a. As an example, a strip-shaped adhesive tape may be used as the adhesive portion 120, bu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hape and type of the adhesive portion 120 as long as the molding portion 112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0a.

일례로, 몰딩부(112)는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함몰부(112a, 112b)에 마련되거나 함몰부(112a, 112b)와 함몰부(112a, 112b)의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함몰부(112a, 112b)가 예시되어 있으나 1개일 수도 있다. 몰딩부(112)에 함몰부(112a, 112b)를 마련함으로써 동일한 접착부(120)를 통하여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부(120)를 함몰부(112a, 112b)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와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차체(10a)와 몰딩부(112)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lding portion 112 may includ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The adhesiv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or may be provided to intersect or overlap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The drawing illustrates two depressions 112a and 112b, but there may be only one depression. By providing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in the molding portion 112, the adhesive portion 120 is attached to the recessed por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ortion 112 to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same adhesive portion 120. Molding with the car body 10a by positioning at (112a, 112b), around the depression (112a or 112b), or by intersecting or overlapping the depression (112a or 112b) and around the depression (112a or 112b).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s 112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다른 예로, 몰딩부(112)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함몰부(112a)에 마련된 접착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몰딩부(112)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112a, 112b)을 마련함으로써 동일한 접착부(120)를 통하여 몰딩부(112)를 차량(10)의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부(120)를 함몰부(112a, 112b)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위치시키거나 함몰부(112a 또는 112b)와 함몰부(112a 또는 112b) 주변부에 교차 또는 중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차체(10a)와 몰딩부(112)가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olding part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pressions 112a and 112b having different depths. The adhesiv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in on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112a and 112b, or may be provided to intersect or overlap adjacent depressions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112a and 112b. In the drawing, an adhesive portion 120 provided in a depression 112a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112a and 112b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art 112 to the body 10a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same adhesive part 120 by provid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112a and 112b with different depths in the molding part 112. The adhesive portion 120 is placed in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located around the recessed portion 112a or 112b, or positioned to intersect or overlap the recessed portion 112a or 112b and the recessed portion 112a or 112b. By doing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car body 10a and the molding part 112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앞서 상술한 돌출부(116)와 연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어창(20a)과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간격,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lding portion 112 including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adhesive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16 described above, through which the door window 2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are connected. The gap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the angle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The width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the molding portion 112 including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adhesive portion 120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ortion 114 from colliding when the door 20 is opened. can do.

또 다른 예로,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120)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120)에 접착부(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122)과 접착부(1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접착부(120)의 두께를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함으로써 절취선(122)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의 접착부(120)를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122)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의 접착부(120)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어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와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의 간격뿐만 아니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사이의 각도,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함몰부(112a, 112b)를 포함하는 몰딩부(112)와 접착부(120)는 도어(20)의 개방시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7, the adhesive portion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perforation line 122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dhesiv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to have a non-uniform thicknes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perforation line 122 is provided on the adhesive portion 120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120,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ortion 120 is provided to be non-uniform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120, thereby forming the perforation line 122. By selecting adhesive portions 120 of different thickness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In addition, adhesive portions 120 of different thicknesses can b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erforation line 122, so that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Not only the spacing but also the angle can be adjusted. The angl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and 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the molding portion 112 including the recessed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adhesive portion 120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ortion 114 from colliding when the door 20 is opened. can do.

한편,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기준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도어(20)가 차량(10)에 닫히고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20)가 개방될 경우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강하는 도어창(20a)의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평면과 도어창(20a)의 평면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바이저부(14)의 상기 최대 폭과 도어창(20a)의 상기 하강높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상기 기준높이는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즉, 상기 동일한 가상의 평면에 투영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0a may be shorter than the standard height. The reference height is calculated based on the lowering height of the door window 20a, which lowers by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door 20 is opened while the door 20 is closed to the vehicle 10 and the door window 20a is closed. It can be. Since the plane of the visor portion 114 and the plane of the door window 20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ference height calculated based on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4 and the lowering height of the door window 20a is the same virtual height.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lane, that is, based on the value projected onto the same virtual plane.

상부 틀이 없는 도어(20)에 장착된 도어창(20a)은 닫힐 경우에 도어창(20a) 상부에 위치하는 차체(10a)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10a)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에 삽입된다. 이하 도어창(20a)이 닫힐 경우 도어창의 끝단을 포함하는 상부가 삽입되는 차체(10a)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10a)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을 도어창끼움부라 칭하기로 한다. 상부 틀이 없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 손잡이를 동작시킬 경우 도어창(20a)은 상기 도어창끼움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20)를 열 수 있다.When the door window 20a mounted on the door 20 without an upper frame is closed, it is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in the car body 10a located at the top of the door window 20a or a groove such as a rubber attached to the car body 10a. do. Hereinafter, when the door window 20a is closed, the groove provided in the car body 10a or the groove such as a rubber attached to the car body 10a into which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end of the door window is inserted will be referred to as a door window fitting part.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o open the door 20 without an upper frame, the door window 20a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open the door 20.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여 도어(20) 개방에 따른 도어창(20a)의 최대 하강 높이 보다 짧게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정함으로써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at is,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considers the lowering of the door window 2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door window (20a) is shorter than the maximum lowering height of the door window 2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By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20a,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oor window 20a colliding with the visor portion 114 when the door 20 is opened.

또 한편,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차량(10)에 닫히고 도어창(20a)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20)가 개방되면, 도어창(20a)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한다. 상기 최소시간은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 사이의 거리 및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도어창(20a)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평면과 도어창(20a)의 평면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바이저부(14)의 상기 최대 폭과 상기 최소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상단이 하강하는 상기 높이를 동일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즉, 상기 동일한 가상의 평면에 투영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may be shor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top of the door window 20a descends for the minimum time. When the door 20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door 20 is closed to the vehicle 10 and the door window 20a is closed, the door window 20a descends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minimum ti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art 114, which is calculated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art 114 crossing the door window 20a, and the opening of the door 20.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moving speed for each position of the door window 20a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art 114 that intersects (20a). Since the plane of the visor portion 114 and the plane of the door window 20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4 and the height at which the top of the door window 20a descends during the minimum time are set to the same virtual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lane, that is, based on the value projected onto the same virtual plane.

즉,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는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여 도어창(20a)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을 산출한다.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 도어창(20a)과 바이저부(114) 사이의 거리 및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어창(20a)의 최대 개방속도로부터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어창(20a) 상단이 바이저부(114) 하단에 도달하는 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도달시간으로부터 최소 도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을 산출된 최소 도달시간 동안 도어창(20a)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정함으로써 도어(20) 개방시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at is,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considering that the door window 20a descends at a predetermined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is calcul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20a and the visor portion 114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From the maximum opening speed of the door window 20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or window 20a, the top of the door window 20a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visor part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is at the bottom of the visor part 114. The arrival time can be calculated, and the minimum arrival time can be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arrival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door window 20a descends during the calculated minimum reaching time, so that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window 20a ) can provide the effect of solving problems encountered in the visor portion 114.

이하 도어창(20a)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정하는 구체적인 설계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ig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will be described.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의 적용 대상 도어(20)가 장착된 차량(10)의 경우에 도어(20)가 닫힌 경우, 차량(10) 내부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하여 도어(20)의 도어창(20a)의 끝단은 차체에 마련된 홈 또는 차체에 부착된 러버 등의 홈에 끼워지거나 밀착되게 된다. 즉 도어창(20a)의 끝단은 도어창끼움부에 끼워지거나 밀착되게 된다.In the case of a vehicle (10) equipped with a door (20) to which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applied,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door (20) is closed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vehicle (10) from the outside. The end of the door window 20a is inserted into o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a groove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or a groove such as a rubber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That is, the end of the door window 20a is inserted into o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window fitting.

따라서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그대로 있게 되면 도어(20)는 열릴 수 없거나 열리기가 어렵다. 이에 차량(10) 승하차시에 외부 또는 내부 도어 손잡이를 동작시켜 도어(20)를 열 때, 도어 손잡이의 동작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은 소정의 높이 또는 거리만큼 하강한다. 이를 통하여 도어(20)의 도어창(20a)은 차체(10a)에 걸리지 않고 문제없이 열릴 수 있다. 이하 외부 또는 내부 도어 손잡이를 도어손잡이라 칭하기로 한다.Therefore, when opening the door 20, i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remains as is, the door 20 cannot be opened or is difficult to open.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opened by operating an external or internal door handle when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10,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distan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Through this,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can be opened without problems without being caught by the vehicle body 10a. Hereinafter, the external or internal door handle will be referred to as a door handle.

한편,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은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하 예시로서 제시되는 바이저부(114)가 도어(20)의 도어창(20a)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nstalling the door visor 100 on the vehicle body 1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caught by the visor portion 114 of the door visor 100. Problems may aris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range of the length in which the visor portion 114, which is presented as an example below,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일례로,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을 도어손잡이를 동작시킨 경우 도어창끼움부로부터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하강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창(20a)의 상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폭의 높이를 도어손잡이를 동작시킨 경우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소정의 거리 하강한 길이보다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is shor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most part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lowered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portion. It can be made to have any height. In other words,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20a, the uppermost part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from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portion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distance can be made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descent. Through this, when installing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on the car body 1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exposed to the visor portion 114 of the door visor 100. ) can solve the problem.

다른 예로, 도어손잡이를 통하여 도어(20)를 열 때, 도어(20)의 도어창(20a)이 1단계로 하강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도어손잡이 동작에 따른 도어(20)의 도어창(20a)의 1가지 동작은 도어손잡이 동작시 및 동작 후 과정 또는 도어손잡이 동작 후 도어(2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이 v1 속도로 t1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동작으로 정의하자.As another example, consider a case where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lowered in one step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rough the door handle. One operation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is the door window of the door 20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or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20 after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20a) Let us define this as a motion of desc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a time t1 at a speed v1.

이 경우,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 또는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상단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d라고 하자.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는 d는 접착부(120)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d는 도어창(20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d는 도어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위치별로 d의 값이 다를 경우에 d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최단거리 또는 최단간격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sor portion 114 or the end of the visor portion 114, at least partially cross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window 20a, an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or between the door 20 Let d be the distance or gap between the tops of the door windows 20a. d may be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art 112 to the car body 10a. In addition, 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protrusion 116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art 112 to the car body 10a, the position at which the protrusion 1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 body 10a,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 Alternatively, d can be adjust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adhesive portion 120. d may have the same value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ternatively, d may have different values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value of 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d is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or shortest interval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or the end of the visor portion 114 an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t can be set as:

한편, 도어손잡이 동작과 동시에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v4라고 하자. 이 경우,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d÷v4일 수 있다.Meanwhile, let us assume that the maximum speed at which the door 20 can be opened simultaneously with the door handle operation is v4. In this case, the shortest time for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to reach the visor portion 114 may be d÷v4.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의 하강 높이 L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lowering height L1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door window 20a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or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during d÷v4 time can be expressed as follows.

d÷v4 ≤ t1 일 경우, If d÷v4 ≤ t1,

L1 = (d÷v4)×v1L1 = (d÷v4)×v1

t1< d÷v4 일 경우, If t1 < d÷v4,

L1 = t1×v1L1 = t1×v1

이 경우, 바이저부(114)의 최대 폭은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높이인 L1과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도어창(20a)이 등속도인 v1으로 t1 시간 동안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어창(20a)이 등속도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창(20a)의 속도인 v1을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도어창(20a)의 하강 높이 L1을 구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can be set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L1, which is the descending height from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or door window fitting of the door window 20a during d÷v4 time. Through this, when installing the door visor 100 on the vehicle body 1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caught on the visor portion 114 of the door visor 100. The problem can be resolved. The above example shows a case where the door window 20a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or a time t1 at a constant speed v1. If the door window 20a is not moving at a constant speed, the lowering height L1 of the door window 20a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v1, which is the speed of the door window 20a, with respect to time.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i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 다른 예로, 도어손잡이를 통하여 도어(20)를 열 때, 도어(20)의 도어창(20a)이 2단계로 하강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도어(20)의 도어창(20a)의 2단계 하강은 다음의 2가지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consider the case where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lowered in two steps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rough the door handle. The two-step lowering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operations.

도어손잡이 동작에 따른 도어(20)의 도어창(20a)의 2가지 동작은 도어손잡이 동작시의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하강하는 제1동작 및 제1동작 이후 즉, 도어손잡이 동작 후 과정 또는 도어손잡이 동작 후 도어(20)를 여는 과정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이 제1거리 만큼 하강 한 후 제2거리만큼 추가적으로 하강하는 제2동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two operations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re that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is the first distance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portion or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portion. After the first operation of descending by the first distance, that is, in the process after the door handle operation or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20 after the door handle operation,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lowered by the first distance and then lowered by the first distance.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movement that additionally descends two distances.

이 경우,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d라고 하자.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 또는 접착부(120)를 선택하는 과정 등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는 몰딩부(112)를 차체(10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16)의 돌출정도, 돌출부(116)가 차체(10a)에 밀착되는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d는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d는 도어창(20a)과 교차되는 바이저부(114)의 길이방향의 위치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이저부(114)의 위치별로 d의 값이 다를 경우에 d는 바이저부(114) 또는 바이저부(114)의 끝단과 도어(20)의 도어창(20a) 사이의 최단거리 또는 최단간격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let the distance or gap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or the end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an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be d. d may be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art 112 to the car body 10a o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adhesive part 120. In addition, 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protrusion 116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molding part 112 to the car body 10a, the position at which the protrusion 1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 body 10a,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 d may have the same value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Alternatively, d may have different values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When the value of 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sor portion 114, d is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or shortest interval between the visor portion 114 or the end of the visor portion 114 an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t can be set as:

도어손잡이 동작시 제1동작시의 도어(20)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를 v2, 제1동작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설정된 하강시간을 t2이라고 하자. 제1동작 후 제2동작에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를 v3, 제2동작시 도어(20)의 도어창(20a)의 설정된 하강시간을 t3라고 정의하자.Let us assume that the lowering speed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during the first operation when the door handle is operated is v2, and the set lowering time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during the first operation is t2. Let us define the lowering speed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n the second operation after the first operation as v3, and the set lowering time of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during the second operation as t3.

한편, 도어손잡이 동작과 동시에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v4라고 하자. 이 경우,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바이저부(114)에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d÷v4일 수 있다.Meanwhile, let us assume that the maximum speed at which the door 20 can be opened simultaneously with the door handle operation is v4. In this case, the shortest time for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to reach the visor portion 114 may be d÷v4.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최상부가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거리 L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he distance L2 that the uppermost part of the door window 20a falls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or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during d÷v4 time can be expressed as follows.

d÷v4 ≤ t2 일 경우, If d÷v4 ≤ t2,

L2 = (d÷v4)×v2L2 = (d÷v4)×v2

t2< d÷v4 ≤ t2+t3 일 경우, If t2< d÷v4 ≤ t2+t3,

L2 = t2×v2+((d÷v4)-t2)×v3L2 = t2×v2+((d÷v4)-t2)×v3

t2+t3< d÷v4 일 경우, If t2+t3< d÷v4,

L2 = t2×v2+t3×v3L2 = t2×v2+t3×v3

이 경우, 바이저부(114)의 길이는 d÷v4 시간 동안 도어창(20a)의 도어창끼움부 또는 도어창끼움부의 끝단으로부터 하강 높이 L2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체(10a)에 도어용 바이저(100)를 설치할 경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20)의 도어창(20a)이 도어용 바이저(100)의 바이저부(114)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도어창(20a)이 제1동작에서 등속도인 v2으로 t2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인 제1거리만큼 하강하고, 제2동작에서 등속도인 v3으로 t3 시간 동안 소정의 거리인 제2거리만큼 추가적으로 하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어창(20a)이 등속도가 아닌 경우에는 도어창(20a)의 속도인 v2와 v3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도어창(20a)의 하강 높이 L2를 구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visor part 114 can be set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owering height L2 from the door window fitting part or the end of the door window fitting part of the door window 20a during d÷v4 time. Through this, when installing the door visor 100 on the vehicle body 10a,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window 20a of the door 20 is caught on the visor portion 114 of the door visor 100. The problem can be resolved. In the above example, the door window 20a is lowered by a first distance, which is a predetermined distance, during time t2 at a constant speed v2 in the first operation, and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uring time t3 at a constant speed v3 in the second operation. It shows a case of additional descent by 2 distances. If the door window 20a is not moving at a constant speed, the lowering height L2 of the door window 20a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speeds v2 and v3 of the door window 20a with respect to time.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i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8의 (b) 내지 (h)는 도 8의 (a)에서 표시한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114)가 도어창(20a)을 교차하는 높이 또는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b) 내지 (h)에서 표시된 W_A, W_B, W_C, W_D, W_E 및 W_F는 예로서 각각 약 3mm, 약 15.8mm, 약 17.5mm, 약 17.5mm, 약 17.2mm 및 약 16.8mm일 수 있다. 도 8의 (g)의 경우에는 도어창이 아닌 뒷문에 인접하여 차체에 고정된 창문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며, 교차 높이 또는 길이는 예로서 약 8mm일 수 있다. 도 8의 (e)의 d는 도어창과 도어용 바이저의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이며, 예로서 약 6.5584mm일 수 있다. 이들 교차 높이 또는 길이, d의 수치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을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실제 설계값이다. 도 9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실제로 장착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도어용 바이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8(b) to 8(h) are diagrams showing the height or length at which the visor portion 114 intersects the door window 20a at positions A to G indicated in FIG. 8(a). W_A, W_B, W_C, W_D, W_E, and W_F shown in (b) to (h) of Figures 8 are, for example, about 3 mm, about 15.8 mm, about 17.5 mm, about 17.5 mm, about 17.2 mm, and about 16.8 mm, respectively. You can. In the case of Figure 8 (g), it is not a door window but adjacent to the rear door and intersects a window fixed to the vehicle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tersection height or length may be, for example, about 8 mm. d in (e) of FIG. 8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ortion of the door visor, and for example, may be about 6.5584 mm. These intersection heights or lengths, d, are actual design values of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signed for the Tesla Model 3 vehicl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vis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ctually installed on a Tesla Model 3 vehicle.

도면에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로서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측면 앞뒤 도어(20)의 상부 차체에 적용가능하도록 도어용 바이저(100)의 길이, 폭의 길이 및 전체적인 형상이 선정된 도어용 바이저(1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length, width, and overall shape of the door visor 100 are selected so that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upper body of the front and rear doors 20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Visor 100 is depicted as an example.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도어창(20a)은 앞서 상술한 도어창(20a)이 2단계로 하강하는 경우에 대응되는 과정을 통하여 동작한다.The door window 20a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operates through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door window 20a is lowered in two steps as described above.

도 8의 (b) 내지 (h)의 A 내지 G 위치에서 바이저부(114)가 도어창(20a)을 교차하는 폭의 길이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제1동작시의 도어창(20a)의 하강속도와 하강시간, 제2동작시 도어창(20a)의 하강속도와 하강시간 및 테슬라 모델 3 차종의 도어(20)가 열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The width of the visor portion 114 crossing the door window 20a at positions A to G in (b) to (h) of FIG. 8 is the length of the door window 20a during the first operation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It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lowering speed and lowering time, the lowering speed and lowering time of the door window (20a) during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maximum speed at which the door (20) of the Tesla Model 3 vehicle can be opened.

이렇게 설계된 도 8에서 도시한 도어용 바이저(100)는 본 기술의 도어용 바이저(100)의 한 예이며, 이렇게 설계된 도 8에서 도시한 도어용 바이저(100)는 테슬라 모델 3 차종에 적용시(도 9 참조) 도어(20)를 열 경우에 도어창(20a)에 걸리지 않으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며, 비가 오는 경우 창문이 일부 개방되더라도 빗물이 차량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visor 100 shown in FIG. 8 designed in this way is an example of the door visor 100 of the present technology, and the door visor 100 shown in FIG. 8 designed in this way can be used when applied to the Tesla Model 3 vehicle ( 9) When the door 20 is opened, it blocks sunlight without being caught in the door window 20a to protect the driver's eyes, and when it rains, it prevents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even if the window is partially open. It can perform its function.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ed spirit, and the true spirit and scope will be presented from the following claims.

10: 차량
10a: 차체
20: 도어
20a: 도어창
100, 100a, 100b: 도어용 바이저
110, 110a: 몸체부
112: 몰딩부
112a, 112b: 함몰부
114: 바이저부
116: 돌출부
120: 접착부
122: 절취선
10: vehicle
10a: body
20: door
20a: door window
100, 100a, 100b: Visor for door
110, 110a: body part
112: Molding part
112a, 112b: depression
114: Visor part
116: protrusion
120: Adhesive part
122: perforation line

Claims (7)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함몰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함몰부들에 교차되게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
In the door visor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The visor for the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The body part
A molding portion mounted o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It is connected to the molding part and includes a visor part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door is closed,
I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part that allows the molding part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mold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epressions having different depths,
The visor for a door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in on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or is provided to cross adjacent depressions among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부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길이 방향과 나란히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도어용 바이저.
In the door visor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The visor for the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The body part
A molding portion mounted o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It is connected to the molding part and includes a visor part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door is closed,
I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part that allows the molding part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adhesiv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erforation line provid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visor for a door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so that its thickness is not uniform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상부 틀이 없는 도어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바이저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도어의 도어창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창의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바이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창의 상기 상부의 일부와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최대 폭은 최소시간 동안 상기 도어창의 상단이 하강하는 높이보다 짧게 마련되되,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에 닫히고 상기 도어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창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하강하며,
상기 최소시간은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산정되는 상기 도어창과 상기 바이저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도어창의 최대 개방속도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도어창과 교차되는 상기 바이저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 별로 각각 대응되는 상기 도어창의 위치 별 이동속도로부터 산출되는 도어용 바이저.
In the door visor mount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without an upper frame,
The visor for the door includes a body portion,
The body part
A molding portion mounted o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It is connected to the molding part and includes a visor part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window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oor window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door is closed,
The maximum width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is shor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top of the door window descends for a minimum period of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is closed on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is closed, the door window is lowered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minimum tim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window and the visor portion calculated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that intersects the door window, and the maximum opening speed of the door window. A visor for a door calculated from the moving speed for each position of the door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210090090A 2020-07-09 2021-07-09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KR102612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8795 WO2022010308A1 (en) 2020-07-09 2021-07-09 Door visor
US17/603,478 US11801736B2 (en) 2020-07-09 2021-07-09 Door vi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89 2020-07-09
KR20200084989 2020-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027A KR20220007027A (en) 2022-01-18
KR102612213B1 true KR102612213B1 (en) 2023-12-11

Family

ID=8005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90A KR102612213B1 (en) 2020-07-09 2021-07-09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2213B1 (en)
CN (1) CN114174088B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52A (en) 2000-02-21 2001-08-28 Kyoichi Murata Door visor for automobile
JP2006069470A (en) * 2004-09-06 2006-03-16 Honda Access Corp Door viso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5544A1 (en) * 1980-04-23 1981-10-29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SEALING DEVICE FOR A PREFERRELELY FRAMELESS DOOR DISC OF A MOTOR VEHICLE
EP0658455B1 (en) * 1993-12-16 1998-05-20 Toyoda Gosei Co., Ltd. Structure for attachment of weather strip
KR200230834Y1 (en) * 1998-07-03 2002-08-08 김영열 Vehicle side visor
CN204605468U (en) * 2015-01-30 2015-09-02 盐城赛福汽车零部件有限公司 Multifunctional sun-shading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KR102347698B1 (en) * 2017-04-28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Electric Sun-rood and Sun-shade
KR20190063093A (en) * 2017-11-29 2019-06-07 방지환 Sun visor for vehicle
CN110626155A (en) * 2019-10-25 2019-12-31 江苏汇鑫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Automobile rainproof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52A (en) 2000-02-21 2001-08-28 Kyoichi Murata Door visor for automobile
JP2006069470A (en) * 2004-09-06 2006-03-16 Honda Access Corp Door vis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027A (en) 2022-01-18
CN114174088B (en) 2024-03-22
CN114174088A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8026B2 (en) Resin window for vehicle and door panel for vehicle
CN206812771U (en) Car door quarter window assembly
EP1561619B1 (en) Vehicle door with slidable window glass
JP2019509205A (en) VEHICLE DOOR ASSEMBLY HAVING INSERTION AREA ON FRAME SIDE GUIDE MEMBER USED FOR CONFIGURATION OF Embedded Glass
JP2002200922A (en) Glass run channel, and glass run channel assembly
CN206220716U (en) For the car door and vehicle of clamshell doors vehicle
CN109562679A (en) The ceiling of vehicle top cover and vehicle construction
KR102612213B1 (en) visor for door mounted in Vehicle
US6698816B1 (en) Variable sunscreen for a vehicle
KR200408822Y1 (en) Sunvisor for vehicle
US11801736B2 (en) Door visor
CN208264367U (en) Vehicle airflow influences component
PL1527920T3 (en) Closing assembly of a vehicle body opening
KR200470660Y1 (en) A wind induction apparatus for vehicles
EP2687393B1 (en) Framed window p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amed window pane
KR100452225B1 (en) Air extractor grille device for automobile
JP4712501B2 (en) Terminal structure of door weather strip for sashless car
EP3381726A1 (en) Back door for vehicle
CN205736838U (en) Motor vehicles tail-gate
JP2009023534A (en) Drain mechanism of glass portion of back door
JP2012111349A (en) Vehicle
CN105863418B (en) Shutter member, car door and vehicle for clamshell doors vehicle
KR20090000885U (en) Sunshade for cars
EP3416842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N107386842A (en) Cap assemblies and vehicle for luggage of vehicle cover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