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740B1 - 팔레트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팔레트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740B1
KR102611740B1 KR1020210075848A KR20210075848A KR102611740B1 KR 102611740 B1 KR102611740 B1 KR 102611740B1 KR 1020210075848 A KR1020210075848 A KR 1020210075848A KR 20210075848 A KR20210075848 A KR 20210075848A KR 102611740 B1 KR102611740 B1 KR 102611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lamp device
housing
pallet clamp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941A (ko
Inventor
김웅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740B1/ko
Priority to CN202111563036.7A priority patent/CN115465817A/zh
Priority to US17/704,577 priority patent/US20220396460A1/en
Priority to EP22165108.6A priority patent/EP4101807A1/en
Publication of KR2022016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는, 지게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에 팔레트를 클램핑 하기 위한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배치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팔레트를 고정하는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포크의 횡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레트 클램프 장치{PALLET CLAMP APPARATUS}
본 발명은,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에 팔레트를 고정하기 위한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를 통해 하물을 이동시키 위해서는 팔레트라는 받침대를 사용한다.
팔레트 상에 하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팔레트의 터널에 포크를 삽입하여,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팔레트에 포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팔레트 및 하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운반과정에서 팔레트가 포크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게차의 포크에 팔레트를 고정하기 위한 팔레트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는, 지게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에 팔레트를 클램핑 하기 위한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팔레트를 고정하는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포크의 횡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 부재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스프링 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은 상기 해제 부제와 접촉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외측단을 고정하는 소켓링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당김 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접촉부; 당김 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접촉부를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당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당김부의 사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김 부재는 일단이 상기 당김부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해제 제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게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지에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에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슬릿을 통해 상기 캐리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는, 작업중 포크에 팔레트를 고정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 및 걸림턱 구조를 통해 외력에 의한 팔레트의 강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가 적용되는 지게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의해 포크에 고정되는 팔레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의해 팔레트의 기둥부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상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의해 팔레트를 고정하는 상태에서의 걸림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상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의해 팔레트를 고정 해제하는 상태에서의 걸림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릿의 걸림턱을 도시한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의 걸림 부재가 외력에 의해 고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상태를 도시한 상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해제 부재의 조작상태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우측의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지게차의 차체(1)에 포크(10)가 설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크(10)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설명하고, 이와 수직한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포크(1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가 적용되는 지게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에 의해 포크(10)에 고정되는 팔레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에 의해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상면(112)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에 의해 팔레트(50)를 고정하는 상태에서의 걸림 부재(120)의 위치를 도시한 상면(112)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에 의해 팔레트(50)를 고정 해제하는 상태에서의 걸림 부재(120)의 위치를 도시한 상면(112)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을 도시한 상면(112)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의 걸림 부재(120)가 외력에 의해 고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상태를 도시한 상면(112)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해제 부재(160)의 조작상태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우측의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1)를 구비하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4)가 설치된다. 마스트(4)는 마스트 레일과,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6)를 갖추고 있으며, 캐리지(6)에는 실제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10)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물이 적재되는 팔레트(50)는 이러한 포크(10)가 삽입될 수 있는 터널(57)이 형성되는 구조이고, 터널(57)들의 사이에는 팔레트(50)의 상판(51a)과 하판(51b)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포크(10)가 터널(57)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크(10)를 제어하여 팔레트(50)를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포크(10)에는 팔레트(50)를 고정하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작업도중 팔레트(50)가 포크(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는, 지게차의 포크(10)에 설치되어 팔레트를 포크(10)에 고정하여 작업 중 팔레트(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 걸림 부재(120), 스프링 부재(140), 해제 부재(160) 및 당김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한 쌍의 포크(10)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각각의 포크(10)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은 한 쌍의 포크(10)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스프링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고, 걸림 부재(120) 및 해제 부재(16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10)가 팔레트(50)의 터널(57)로 삽입되면,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브라켓(190)을 통해 캐리지(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브라켓(190)을 통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캐리지(6)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90)에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 슬릿(193)이 형성되고, 하우징(110)이 이러한 이동 슬릿(193)을 통해 캐리지(6)에 고정 볼트(197)를 이용해 볼트 결합됨으로써, 캐리지(6)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브라켓(190)을 통해 하우징(110)이 캐리지(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팔레트(50)의 기둥부(55)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지(6)에는 수직 방향의 지지 플레이트(8)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외측면(119)의 후단부는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8)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이 이동 슬롯(193)을 따라 횡방향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하우징(110)과 같이 외측면(119)의 후단부가 지지 플레이트(8)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이 이동 슬롯(193)을 따라 횡방향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하우징(110)과 같이 외측면(119)의 후단부가 지지 플레이트(8)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110)은 포크(10) 대신 캐리지(6)에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포크(10) 사이의 간격과는 별개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한 쌍의 하우징(110)의 사이까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 경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111)는 포크(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포크(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내측면(115)은 팔레트(50)의 기둥부(55)의 외주면과 대면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면(115) 일측에는 걸림 부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걸림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117)을 통해 걸림 부재(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홀(117)은 하우징(110)의 내측면(115) 중에서 상술한 전면의 경사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면(112)에는 걸림 부재(120)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11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8)은 하우징(110)의 상면(112)에서 상기 걸림홀(11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8)은 하우징(110)의 상면(1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되 소정의 길이만큼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8)에는 걸림 부재(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3)가 수용될 수 있고,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슬릿(118)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걸림 부재(120)가 횡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슬릿(118)의 전후방향 폭은 가이드 돌기(123)의 전후방향 폭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슬릿(118)이 하우징(110)의 상면(1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면(113)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면(112)과 하면(113)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슬릿(118)의 내주면에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턱(118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8a)에는 가이드 돌기(123)의 외측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슬릿(118)에 형성되는 걸림턱(118a)을 제2 스토퍼로 설명할 수도 있다. 가이드 돌기(123)의 외측 단부가 걸림턱(118a)에 안착됨으로써 가이드 돌기(123)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걸림 부재(120)에 의해 포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팔레트(50)가 이탈되도록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걸림 부재(120)의 내측 단부는 전방으로, 외측 단부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 부재(120)가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걸림 부재(120)가 횡방향 외측으로 강제적으로 밀림으로써 팔레트(50)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걸림 부재(120)가 회전하면서 밀리는 경우에도 걸림 부재(120)의 외측 단부가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에 안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걸림 부재(120)의 회전 및/또는 걸림 부재(120)의 횡방향 외측의 후퇴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팔레트(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걸림턱(118a) 구조와 함께 스프링의 위치 및 스토퍼 구조를 제안한다. 걸림턱(118a), 스프링 및 제1 스토퍼(128)를 이용한 팔레트(50) 이탈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120)는 한 쌍의 하우징(110)의 사이로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삽입되면,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부(55)에 걸림으로써 기둥부(55)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림 부재(1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횡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 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22), 상기 메인 플레이트(122)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25), 상기 메인 플레이트(122)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12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2)에는 가이드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상술한 하우징(110)의 가이드 슬릿(118)에 삽입되어 걸림 부재(120)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2)의 내측 단부에는 제2 경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21)는 상술한 하우징(110)의 제1 경사부(111)와 연속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28)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22) 사이에서 이러한 제2 경사부(121)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스토퍼(128)의 전단부가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경사부(111)와 맞닿음으로써 걸림 부재(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128)가 하우징(110)의 걸림홀(117)과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고, 걸림 부재(120)는 제1 스토퍼(128) 및 걸림턱(118a)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 및/또는 횡방향 밀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지지 플레이트(125)는 메인 플레이트(122)의 외측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5)의 내측면(115)은 해제 부재(160)와 접촉되어 해제 부재(160)에 의해 가압되고, 외측면은 스프링 부재(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5)는 스프링 부재(140)에 의해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5)의 외측면에는 스프링 부재(140)의 내측 단부를 고정하는 소켓링(145)이 배치될 수 있다.
소켓링(145)은 지지 플레이트(125)의 외측면 중에서 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켓링(145)은 지지 플레이트(125)의 외측면 중에서 전단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22)의 외측 단부는 지지 프레이트의 내측면(115)에서 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2)의 외측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125)의 내측면(115) 중에서 후단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25)에 대한 소켓링(145) 및 메인 플레이트(122)의 배치 구조는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이탈하려는 외력에 의해 걸림 부재(1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링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걸림 부재(120)를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지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140)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40)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소켓링(145)을 통해 걸림 부재(120)의 지지 플레이트(125)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가 당김 부재(180)를 조작하여 해제 부재(160)를 회전시키면, 스프링 부재(140)가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40)가 압축되면 걸림 부재(120)가 횡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수용되고, 팔레트(5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제 부재(160)는 스프링 부재(14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걸림 부재(120)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 부재(14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제 부재(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당김 부재(18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125)의 내측면(115)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제 부재(16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161), 상기 축부(1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5)의 내측면(115)을 가압하는 접촉부(163), 당김 부재(18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접촉부(163)를 상기 축부(161)를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당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축부(161), 접촉부(163) 및 당김부(166)를 각각 설명하였으나 이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형성되는 해제 부재(160)의 각 영역을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해제 부재(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해제 부재(160)의 접촉부(163)와 당김부(166) 사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68)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68)는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에 걸려 고착 상태에 빠진 경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25)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고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조이다.
당김 부재(180)는 캐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페달과 해제 부재(160)의 당김부(166)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당김 부재(180)의 일단은 당김부(166)와 연결되고, 타단은 페달과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가 페달을 조작함으로써 당김 부재(180)와 연결된 해제 부재(160)의 당김부(166)가 후방을 향해 당겨지게 되고, 해제 부재(160)가 축부(161)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클램프 장치(100)를 이용하여 팔레트(50)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페달을 조작하여 당김 부재(180)를 당김으로써 해제 부재(160)의 회전에 의해 걸림 부재(120)가 횡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포크(10)가 팔레트(50)의 터널(57) 사이로 끝까지 진입하면, 팔레트(50)의 기둥부(55)가 한 쌍의 하우징(1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작업자는 다시 페달을 조작하여 당김 부재(180)의 당김을 해제하면 스프링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부재(120)가 횡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걸림 부재(120)의 내측 단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팔레트(50)의 기둥부(55)는 한 쌍의 하우징(11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 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다시 하우징(110)의 사이를 벗어날 수가 없게 되고, 이로써 팔레트(50)가 포크(1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작업자가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작업중에 팔레트(50)가 이탈하는 방향으로 즉 전방을 향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걸림 부재(120)가 강제로 회전하면서 횡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20)의 제1 스토퍼(128)에 의해 걸림 부재(120)의 회전이 제한되고,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 구조에 의해 걸림 부재(120)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팔레트(50)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 강제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력에 의해 걸림 부재(120)가 회전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슬릿(118)의 걸림턱(118a)에 고착된 경우, 작업자가 페달을 조작하여 당김 부재(180)를 당기면 해제 부재(160)의 오목부(168)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25)의 후단부가 가압됨으로써 고착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후 팔레트(5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작업자가 다시 페달을 조작하여 당김 부재(180)를 당겨주면 해제 부재(160)가 회전됨으로써 스프링 부재(140)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지지 플레이트(125)를 가압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5)가 횡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면 걸림 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수용되게 되고, 팔레트(50)의 기둥부(55)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4: 마스트
6: 캐리지
8: 지지 플레이트
10: 포크
50: 팔레트
51a: 상판
51b: 하판
55: 기둥부
57: 터널
100: 팔레트 클램프 장치
110: 하우징
111: 제1 경사부
112: 상면
113: 하면
115: 내측면
117: 걸림홀
118: 가이드 슬릿
118a: 걸림턱
119: 외측면
120: 걸림 부재
121: 제2 경사부
122: 메인 플레이트
123: 가이드 돌기
125: 지지 플레이트
128: 제1 스토퍼
140: 스프링 부재
145: 소켓링
160: 해제 부재
161: 축부
163: 접촉부
166: 당김부
168: 오목부
180: 당김 부재
190: 브라켓
193: 이동 슬릿
197: 고정 볼트

Claims (15)

  1. 지게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에 팔레트를 클램핑 하기 위한 팔레트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팔레트를 고정하는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포크의 횡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스프링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 부재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스프링 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은 상기 해제 부재와 접촉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외측단을 고정하는 소켓링이 배치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후방을 향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당김 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회동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접촉부;
    당김 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접촉부를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당김부를 포함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당김부의 사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일단이 상기 당김부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캐리지에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슬릿을 통해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는 팔레트 클램프 장치.

KR1020210075848A 2021-06-11 2021-06-11 팔레트 클램프 장치 KR10261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48A KR102611740B1 (ko) 2021-06-11 2021-06-11 팔레트 클램프 장치
CN202111563036.7A CN115465817A (zh) 2021-06-11 2021-12-20 托盘夹紧装置
US17/704,577 US20220396460A1 (en) 2021-06-11 2022-03-25 Pallet clamp apparatus
EP22165108.6A EP4101807A1 (en) 2021-06-11 2022-03-29 Pallet clam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48A KR102611740B1 (ko) 2021-06-11 2021-06-11 팔레트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41A KR20220166941A (ko) 2022-12-20
KR102611740B1 true KR102611740B1 (ko) 2023-12-07

Family

ID=8099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848A KR102611740B1 (ko) 2021-06-11 2021-06-11 팔레트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6460A1 (ko)
EP (1) EP4101807A1 (ko)
KR (1) KR102611740B1 (ko)
CN (1) CN1154658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096A (ja) * 2002-01-16 2003-07-22 Nippon Yusoki Co Ltd パレットロック装置
US20190359459A1 (en) * 2018-05-24 2019-11-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ork integrated pallet cla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0065A1 (de) * 2004-08-18 2006-02-23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Palettengreifer
KR101098733B1 (ko) * 2009-12-14 2011-1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오더피커 지게차용 팰릿 고정장치
KR20120071038A (ko) * 2010-12-22 2012-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조명기능이 포함된 지게차 포크 팔렛 고정 장치
DE102014109892A1 (de) * 2014-02-25 2015-08-27 Kion Warehouse Systems Gmbh Flurförde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096A (ja) * 2002-01-16 2003-07-22 Nippon Yusoki Co Ltd パレットロック装置
US20190359459A1 (en) * 2018-05-24 2019-11-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ork integrated pallet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1807A1 (en) 2022-12-14
US20220396460A1 (en) 2022-12-15
CN115465817A (zh) 2022-12-13
KR20220166941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434A (en) Latch mechanism for a protective structure of a skid steer loader
KR100987538B1 (ko)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판 경사적재장치
KR102611740B1 (ko) 팔레트 클램프 장치
US20140369782A1 (en) Load-bar assembly having actuatable latch assembly
JPS5847387B2 (ja) 貨物保持装置
KR20120004836A (ko) 로킹장치
CN111779288B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吊篮
KR100986360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 장치
CN109196166A (zh) 用于运输长焊铁轨的铁轨装载列车
JP6493649B1 (ja) アウトリガ装置
KR20130063242A (ko) 화물 적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화물 인출입 장치
JP2952503B2 (ja) 貨物容器を自動的に導入しかつ整列させるための装置
JP5091498B2 (ja) チルト式キャビンのストッパ構造
JP5159446B2 (ja) 杭打機及びリーダの組立方法
JP3026495B1 (ja) コンテナ多段積用スプレッダ―
JP6252857B2 (ja) 連結機構及び台車牽引システム
JPH07508475A (ja) 引き出し可能な支持機構のためのロック装置
JP5562147B2 (ja) スライドパレットユニット及び貨物車
JP6578147B2 (ja) 運搬台車
CN113120780B (zh) 回转平台及作业机械
KR200496467Y1 (ko) 로울러 트랙이 설치된 운반대차의 하물 이탈 방지 스토퍼
EP1777084A1 (en) Multi function coupling
JPH0640233Y2 (ja) コンテナスプレッダのコンテナストッパ位置変換装置
JP4859704B2 (ja) 吊りフック用治具を用いた荷役車両及びその操作方法
JPH03122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