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29B1 -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29B1
KR102611429B1 KR1020210099596A KR20210099596A KR102611429B1 KR 102611429 B1 KR102611429 B1 KR 102611429B1 KR 1020210099596 A KR1020210099596 A KR 1020210099596A KR 20210099596 A KR20210099596 A KR 20210099596A KR 102611429 B1 KR102611429 B1 KR 10261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o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055A (ko
Inventor
한용희
여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1009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8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 a bo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를 지지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고정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지지부; 및 서브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 Bracket and Support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는 건물의 옥상, 벽체 등에 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신호 수신에 적합한 각도 및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여러 방향에서 오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지지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지지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 지지폴을 둘러싼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설치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수가 지극히 제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 또는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무선신호의 수신이 필요함에도, 무선 통신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장치를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무선 통신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를 지지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고정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지지부; 및 서브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배치에 있어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에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중심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중심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에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1)에 무선 통신 장치(R)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1)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10) 및 중심 지지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지지부(2)는 건물의 옥상, 건물의 벽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용 브라켓(1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 지지부(2)는 지지용 브라켓(10)이 고정될 수 있는 지지폴(21)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지지부(2)는 지지폴(21)의 설치를 견고히 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지지부(2)는 복수의 무게추(22), 복수의 연결다리(23), 및 바닥 지지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22)는 바닥 지지판(24)이 형성된 지지폴(21)의 일단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폴(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22)의 일면은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닥 지지판(24)과 같이, 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22)는 지지폴(2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다리(23)를 통해 지지폴(21)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22)는 지지폴(21)에 적정한 중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폴(21)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폴(21)은 외부로부터 충격 내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그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판(24)은 지지폴(2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지지판(24)은 지면과 접촉하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바닥 지지판(24)은 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폴(21)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중심 지지부(2)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심 지지부(2)는, 지면이 아닌, 건물의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심 지지부(2)는 벽체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용 브라켓(10)은 중심 지지부(2)의 지지폴(2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용 브라켓(10)의 일측에 무선 통신 장치(R)가 고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R)는 내부에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외부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용 브라켓(10)은 지지폴(2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10) 및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용 브라켓(10)은 연결부(140)를 고정부(110)에 지지하기 위한 메인 지지부(120) 및 서브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10)은, 메인 지지부(120)가 고정부(110)로부터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폴(21)과 무선 통신 장치(R) 사이의 거리를 보다 멀어지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R)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지지폴(21)에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R)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장치(R)들 간에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1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용 브라켓(10)은 고정부(110), 메인 지지부(120), 서브 지지부(130),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지지폴(2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제1케이스(112), 제2케이스(114), 및 제1폴 연결나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2)는 메인 지지부(12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114)는 제1케이스(11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폴 연결나사(116)는 제1케이스(112) 및 제2케이스(11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4) 사이의 거리는 제1폴 연결나사(116)의 조임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이러한 거리 조정을 통해, 지지폴(21)에 고정되거나 지지폴(21)에 대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112) 및 제2케이스(114)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지지폴(21)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폴(21)에 대한 제1케이스(112) 및 제2케이스(114)의 접촉 면적을 더 넓힐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부(110)는 지지폴(21)에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2) 및 메인 지지부(120)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고정부(110)가 나사 조임을 통해 지지폴(21)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고정부는 그 외의 고정 방식을 통해 지지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메인 지지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방향은, 고정부(110)가 지지폴(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21)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방향은 고정부(110)에 대한 메인 지지부(120)의 연장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지지폴(21)의 연장방향은 지지폴(21)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며, 도 1을 기준으로 Z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메인 지지부(120)가 고정부(110)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지지폴(21)과 무선 통신 장치(R)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폴(21)에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R)가 설치된 경우에도,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R) 사이의 물리적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R)에 대한 공간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2에서는, 지지용 브라켓(10)이 하나의 메인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용 브라켓(10)은 복수의 메인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방향은 복수의 메인 지지부(120)의 각 메인 지지부(120)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130)는 메인 지지부(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130)는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지지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방향은 메인 지지부(120)의 일단에 대한 제1지지체(132)의 연장방향을 지칭한다.
제2방향은 지지폴(21)의 연장방향 및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개의 제1지지체(132)가 메인 지지부(120)의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1지지체(132) 및 메인 지지부(120)는 전체로서 'T' 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10)은 메인 지지부(120) 및 메인 지지부(120)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서브 지지부(130)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지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많은 수의 무선 통신 장치(R)가 하나의 지지용 브라켓(10)에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는, 메인 지지부(120) 및 서브 지지부(130)가 'T' 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메인 지지부 및 서브 지지부는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지지부(120) 및 제1지지체(132)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40)는 서브 지지부(130)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40)는 서브 지지부(130)의 제1지지체(132)와 연결되는 제1연결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체(142)는 제1지지체(132)의 일단과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체(142)는 제1링크부재(1422) 및 제1장착부재(1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1422)의 일측은 제1지지체(132)의 일단과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축(ax1)은 고정부(110)가 지지폴(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21)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1장착부재(1424)는 제1링크부재(1422)의 타측과 제1회전축(ax1)과 수직한 제2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10)은 제1연결체(142)가 2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연결체(142)에 연결된 무선 통신 장치(R)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R)는, 송수신 방향에 따라, 설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제1장착부재(1424)는 나사 결합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R)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두 개의 제1연결체(142)는 두 개의 제1지지체(13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무선 통신 장치가 두 개의 제1연결체(14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지지체(132) 및 메인 지지부(120)는 전체로서 'T' 자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두 개의 제1연결체(142)에 연결된 각 무선 통신 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후술될 도 3 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는, 지지용 브라켓이 제2지지체와 제2연결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3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330)는 제1지지체(332) 및 제2지지체(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체(332)는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방향은 지지폴의 연장방향 및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서브 지지부(330)는 두 개의 제1지지체(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1지지체(332)는 메인 지지부(320)의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2지지체(334)는 메인 지지부(320)의 일단으로부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체(332)의 연장방향 및 제2지지체(334)의 연장방향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1지지체(332), 제2지지체(334), 및 메인 지지부(320)는 전체로서 십자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메인 지지부(320) 및 제2지지체(334)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340)는 제1연결체(342) 및 제2연결체(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체(342)는 제1링크부재(3422) 및 제1장착부재(34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연결체(344)는 제2링크부재(3442) 및 제2장착부재(3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3422)의 일측은 제1지지체(332)의 일단과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축(ax1)은 고정부(310)가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1장착부재(3424)는 제1링크부재(3422)의 타측과 제1회전축(ax1)과 수직한 제2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3442)의 일측은 제2지지체(334)의 일단과 제3회전축(ax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회전축(ax3)은 고정부(310)가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ax1)과 제3회전축(ax3)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2장착부재(3444)는 제2링크부재(3442)의 타측과 제3회전축(ax3)과 수직한 제4회전축(ax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장착부재(3444)는 나사 결합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세 개의 무선 통신 장치는 두 개의 제1연결체(342) 및 하나의 제2연결체(34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지지체(332), 제2지지체(334), 및 메인 지지부(320)는 전체로서 십자가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두 개의 제1연결체(342) 및 하나의 제2연결체(344)에 연결된 세 개의 무선 통신 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후술될 도 4 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는, 연결부가 메인 지지부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4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용 브라켓(40)은 메인 지지부(420)를 포함하지만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440)는 메인 지지부(4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40)는 메인 지지부(420)의 일단과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440)는 제3연결체(4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연결체(446)는 제3링크부재(4462) 및 제3장착부재(44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링크부재(4462)의 일측은 메인 지지부(420)의 일단과 제5회전축(ax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5회전축(ax5)은 고정부(410)가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3장착부재(4464)는 제3링크부재(4462)의 타측과 제5회전축(ax5)과 수직한 제6회전축(ax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장착부재(4464)는 나사 결합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40)은, 연결부(440)가 메인 지지부(42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 및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5 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이 복수의 메인 지지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5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용 브라켓(50)은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510)는 허브(512) 및 고정부재(51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512)는 지지폴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 홀(5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는 허브(51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의 연장방향은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고정부재(514)는 허브(51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514)는 허브(5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514)는 관통 홀(5122)을 관통한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514)는 제3케이스(5142), 제4케이스(5144), 및 제2 폴 연결나사(5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케이스(5142) 및 제4케이스(5144)는 허브(51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케이스(5142) 및 제2케이스(5144) 중 어느 하나는 허브(512)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제3케이스(5142) 및 제4케이스(5144)는, 관통 홀(5122)을 관통한 지지폴이 제3케이스(5142) 및 제4케이스(5144) 사이를 지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폴 연결나사(5146)는 제3케이스(5142)와 제4케이스(5144)를 연결할 수 있다.
제3케이스(5142)와 제4케이스(5144) 사이의 거리는, 제2폴 연결나사(5146)의 조임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514)는 지지폴에 고정되거나 지지폴에 대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허브(512) 및 허브(512)에 고정된 제3케이스(5142) 및 제2케이스(5144) 중 어느 하나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는 허브(51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의 각 메인 지지부(520)는, 고정부(510)가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지지부(520) 사이의 각도가 일정하도록 허브(51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지지부(520)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지지부(520) 사이의 각도는 120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각 배치를 통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는 보다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지지용 브라켓(50)이 세 개의 메인 지지부(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지지용 브라켓은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메인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540)는 제3연결체(5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연결체(546)는 제3링크부재(5462) 및 제3장착부재(546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3링크부재(5462)의 일측은 메인 지지부(520)의 일단과 제5회전축(ax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5회전축(ax5)은 고정부(510)가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3장착부재(5464)는 제3링크부재(5462)의 타측과 제5회전축(ax5)과 수직한 제6회전축(ax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 개의 제3연결체(546)는 세 개의 메인 지지부(5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세 개의 무선 통신 장치는 세 개의 제3연결체(54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50)은 고정부(510)의 허브(51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를 포함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힐 수 있으며, 이로써,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배치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도 5에서는, 지지용 브라켓(50)이 메인 지지부(520)만 포함하고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인 지지부(52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 지지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 지지부는 제1지지체(미도시) 및 제2지지체(미도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5실시예는, 중심 지지부가 벽체 연결부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중심 지지부(7)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6)가 벽체(W)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심 지지부(7)는 지지폴(71) 및 벽체 연결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 연결부재(72)는 지지폴(7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벽체(W)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벽체 연결부재(72)는 지지폴(7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체 연결부재(72)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벽체 연결부재(72)는, 평면의 벽체(W)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벽체 연결부재(72)는 나사 결합을 통해 외부의 벽체(W)에 고정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방식을 통해 외부의 벽체(W)에 고정될 수도 있다.
후술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6실시예는, 벽체 연결부재가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5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제5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중심 지지부(9)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8)가 벽체(W)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벽체 연결부재(92)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벽체 연결부재(92)는 평평하지 않은 형상을 가지는 벽체(W)에 대한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벽체 연결부재(92)의 절곡 각도는 중심 지지부(9)가 설치되는 벽체(W)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지지부(9)가 설치되는 벽체(W)가 직각을 이룬다면, 벽체 연결부재(92)의 절곡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또한, 벽체 연결부재(92)의 절곡면의 형상은 중심 지지부(9)가 설치되는 벽체(W)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지지부(9)가 설치되는 벽체(W)가 곡면을 가진다면, 벽체 연결부재(92)의 절곡면의 형상은 벽체(W)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벽체 연결부재(92)는 지지폴(9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체 연결부재(92)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에 무선 통신 장치(R)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에 복수의 통신 장치(R)가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중심 지지부는, 설치 환경 또는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R)의 개수에 따라, 그 형상 및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응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R)는 보다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지지 조립체 10: 지지용 브라켓
2: 중심 지지부 21: 지지폴
22: 무게추 72: 벽체 연결부재
110: 고정부 112: 제1케이스
114: 제2케이스 120: 메인 지지부
130: 서브 지지부 132: 제1지지체
140: 연결부 142: 제1연결체
334: 제2지지부 344: 제2연결체
512: 허브 514: 고정부재
1422: 제1링크부재 1424: 제1장착부재
3442: 제2링크부재 3444: 제2장착부재

Claims (5)

  1. 무선 통신 장치를 지지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제5회전축 및 상기 제5회전축과 수직한 제6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5회전축 및 상기 제6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인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부의 각 메인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폴의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폴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 홀을 포함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지지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메인 지지부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4. 무선 통신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지지폴 및 상기 지지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지폴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하는 중심 지지부;
    상기 지지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지지부; 및
    상기 서브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체의 일단과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체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5. 무선 통신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지지폴 및 상기 지지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벽체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중심 지지부;
    상기 지지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지지부; 및
    상기 서브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체의 일단과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체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KR1020210099596A 2019-02-01 2021-07-29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KR10261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96A KR102611429B1 (ko) 2019-02-01 2021-07-29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3400 2019-02-01
KR1020200004713A KR102286277B1 (ko) 2019-02-01 2020-01-14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KR1020210099596A KR102611429B1 (ko) 2019-02-01 2021-07-29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13A Division KR102286277B1 (ko) 2019-02-01 2020-01-14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55A KR20210096055A (ko) 2021-08-04
KR102611429B1 true KR102611429B1 (ko) 2023-12-07

Family

ID=71842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13A KR102286277B1 (ko) 2019-02-01 2020-01-14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KR1020210099596A KR102611429B1 (ko) 2019-02-01 2021-07-29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13A KR102286277B1 (ko) 2019-02-01 2020-01-14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59390A1 (ko)
JP (2) JP7324289B2 (ko)
KR (2) KR102286277B1 (ko)
CN (2) CN113396507A (ko)
WO (1) WO2020159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4289B2 (ja) * 2019-02-01 2023-08-0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装置支持用ブラケ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無線通信装置支持組立体
US11698087B2 (en) * 2020-10-08 2023-07-11 Quanta Computer, Inc. Modular pole-mounting system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691B1 (ko) * 2013-06-03 2014-11-04 블루엔이(주) 설치방향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
KR101885040B1 (ko) * 2017-10-13 2018-08-02 이수환 통신주의 안테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144Y2 (ko) * 1971-04-24 1976-08-17
US5787673A (en) * 1992-09-14 1998-08-04 Pirod, Inc. Antenna support with multi-direction adjustability
JPH07307606A (ja) * 1994-05-12 1995-11-21 Sony Corp 衛星放送受信アンテナ取付け装置
US5533304A (en) * 1995-04-11 1996-07-09 Pi-Rod, Inc. Adjustable antenna support
JP3242857B2 (ja) * 1997-03-13 2001-12-25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具
SE513164C2 (sv) * 1998-03-03 2000-07-17 Allgon Ab Monteringsfäste
US6264152B1 (en) * 1998-07-17 2001-07-24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access mounting bracket
US6232928B1 (en) * 2000-02-03 2001-05-15 Ems Technologies, Inc.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FR2808124B1 (fr) * 2000-04-25 2002-12-20 Bouygues Telecom Sa Mats d'antennes relais de systeme de radio-telecommunication cellulaire
JP2002290121A (ja) * 2001-03-23 2002-10-04 Takenaka Komuten Co Ltd アンテナ掲揚装置
FR2853766B1 (fr) * 2003-04-11 2006-01-27 Manuf D App Electr De Cahors M Monture d'antenne permettant un reglage fin de l'orientation de l'antenne
US7576705B2 (en) * 2004-11-04 2009-08-18 Tennagon, Inc. Antenna towe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JP2006270574A (ja) * 2005-03-24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屋外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US20070261355A1 (en) * 2006-05-12 2007-11-15 Carlisle Donald C Tower sector frame antenna mount
US7113145B1 (en) * 2005-05-23 2006-09-26 Valmont Industries, Inc.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US7659865B2 (en) * 2007-05-13 2010-02-09 Steelhead Metal & Fab, Llc Adjustable fast set antenna frame
KR100888259B1 (ko) * 2008-07-12 2009-03-10 박인호 안테나 마스트 장치
EP2256857A1 (en) * 2009-05-15 2010-12-01 Bonczyk, Michael Francis Rotating mounting assembly
JP5147800B2 (ja) * 2009-08-27 2013-02-20 Dx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支持装置
TWI449260B (zh) * 2011-02-23 2014-08-11 Wistron Neweb Corp 用來調整轉動角度之調整機構及其天線系統
US8534622B2 (en) * 2011-03-15 2013-09-17 Scott Vanover Mast mounting system
KR101063936B1 (ko) * 2011-05-12 2011-09-08 (주)협신통신 안테나 고정 장치
GB201208818D0 (en) * 2012-05-18 2012-07-04 Fasmetrics S A Antenna azimuth position control
DE102012011892A1 (de) * 2012-06-15 2013-12-19 Kathrein-Werke Kg Halterungssystem für eine Mobilfunk-Antenne und eine Mobilfunk-Komponente
KR101273261B1 (ko) * 2012-08-30 2013-06-12 대한민국 안테나 마스트의 안테나 연결장치
MY172538A (en) * 2012-10-15 2019-11-30 Telekom Malaysia Berhad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n antenna
CN203434278U (zh) * 2013-01-30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减少多个基站天线间干扰的装置
KR101517775B1 (ko) *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CN105849977A (zh) * 2013-12-26 2016-08-10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波反射装置
KR102140293B1 (ko) * 2014-02-24 2020-08-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멀티 밴드 안테나 장치
US10103421B1 (en) * 2014-09-16 2018-10-16 CSC Holdings, LLC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mounting a wireless access point to a post
CN204103023U (zh) * 2014-09-29 2015-01-14 陕西通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抱杆天线的固定结构
WO2016185638A1 (ja) * 2015-05-15 2016-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器具、角度調整方法、及び通信装置
US10630034B2 (en) * 2015-05-27 2020-04-21 Amphenol Corporation Integrated antenna unit with blind mate interconnect
WO2017069482A1 (ko) * 2015-10-22 2017-04-27 주식회사 하버맥스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능동형 기지국 추적 다중 안테나장치 및 능동형 기지국 추적 안테나장치
US10550993B2 (en) * 2015-10-29 2020-02-04 Mastwerks, Llc Rotary support systems, associated control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205278695U (zh) * 2015-12-23 2016-06-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支撑机构及使用该支撑机构的调整装置以及云台
US9857023B2 (en) * 2016-01-26 2018-01-02 Preformed Line Products Co.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n antenna
US10044098B2 (en) * 2016-02-19 2018-08-07 Facebook, Inc. Modular base station
US10218046B2 (en) * 2016-07-25 2019-02-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ell site sector
KR101912637B1 (ko) * 2017-07-27 2018-10-29 강인기 통신 안테나 지지대
CN208062246U (zh) * 2018-04-16 2018-11-06 上海飞来信息科技有限公司 全向天线及无人机监听设备
CN108711666B (zh) * 2018-05-31 2020-06-05 北京星英联微波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多角度调节的室外天线
JP7324289B2 (ja) * 2019-02-01 2023-08-0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装置支持用ブラケ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無線通信装置支持組立体
KR102456856B1 (ko) * 2019-02-21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방사각도 조절을 위한 브라켓
CN114072968A (zh) * 2019-03-18 2022-02-18 株式会社Kmw 天线用夹紧装置
WO2020190004A1 (ko)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20200119699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095871B1 (ko) *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1006521A1 (ko) * 2019-07-05 2021-01-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N114556695A (zh) * 2019-07-18 2022-05-27 株式会社Kmw 天线用夹持装置
JP7285372B2 (ja) * 2019-10-25 2023-06-01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CN116324218A (zh) * 2020-07-31 2023-06-23 株式会社Kmw 天线用夹紧装置
US11476558B2 (en) * 2020-10-08 2022-10-18 Quanta Computer Inc. Flexible pole mount
US11608933B2 (en) * 2021-01-29 2023-03-21 Quanta Computer Inc. Retainer assembly for a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691B1 (ko) * 2013-06-03 2014-11-04 블루엔이(주) 설치방향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
KR101885040B1 (ko) * 2017-10-13 2018-08-02 이수환 통신주의 안테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113A1 (ko) 2020-08-06
JP2022519572A (ja) 2022-03-24
CN211507870U (zh) 2020-09-15
KR20210096055A (ko) 2021-08-04
KR20200096123A (ko) 2020-08-11
US20210359390A1 (en) 2021-11-18
CN113396507A (zh) 2021-09-14
JP7324289B2 (ja) 2023-08-09
KR102286277B1 (ko) 2021-08-05
JP2023129695A (ja)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429B1 (ko) 무선 통신 장치 지지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지지 조립체
US7844298B2 (en) Tuned directional antennas
CN102396111B (zh) 天线装置和多天线系统
JP2008545329A (ja) ポイント−ツウ−ポイントに適用して用いられる改良型リピータアンテナ
US20180277923A1 (en) Multi-divisional antenna
EP2534732A1 (en) An antenna arrangement
JPH10256963A (ja) セルラー・アンテナ
US20150091673A1 (en) Leaky feeder arrangement
JP2021072456A (ja) カバー組立体
US20130120207A1 (en) Antenna module
JP7075960B2 (ja) カバー組立体
JP2011244194A (ja) 通信システム
CN103687089B (zh) 无线接入装置和具有该无线接入装置的通信基站
WO2023189987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電柱アンテナ装置
KR101509065B1 (ko) 옴니 안테나 케이스 구조
JP5926133B2 (ja) 無線基地局のアンテナ装置
CN220210534U (zh) 通讯装置
KR101009190B1 (ko)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JP3756431B2 (ja) 偏波ダイバーシティアンテナ装置
KR20150008693A (ko) 안테나 체결용 브라켓
KR200456302Y1 (ko) 표지판 위장형 안테나 장치
KR100472296B1 (ko) 무선 안테나용 브릿지 함체
JP44936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
KR20150121468A (ko) 경량 안테나 조립체 및 안테나 조립체용 지지체
JP2011155377A (ja) 筐体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