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190B1 -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190B1
KR101009190B1 KR1020080135394A KR20080135394A KR101009190B1 KR 101009190 B1 KR101009190 B1 KR 101009190B1 KR 1020080135394 A KR1020080135394 A KR 1020080135394A KR 20080135394 A KR20080135394 A KR 20080135394A KR 101009190 B1 KR101009190 B1 KR 10100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icrostrip
adjustment unit
protective case
antenna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462A (ko
Inventor
조창길
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8013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1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75Stripline 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평명 어레이 안테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각각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그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입체면 구조의 복수 개의 안테나 고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고정부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어 해당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간에 이루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PLANE ARRAY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통신과 달리 무선통신에서는 별다른 선로가 무선 단말까지 연결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높기 때문에 반사가 잘 되어 건물 안에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사에서는 기지국만으로 전파가 도달되지 않는 곳을 위해 중간에 중계기를 설치하여 가급적 전파 음영지역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 중 많이 사용되는 것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즉, 패치 안테나이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방사 효율이 낮고, 저전력, 협대역이고, 이득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 소형이고 경략이면서 비용이 낮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중계기는 필요한 음영 지역의 해소를 위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단일 패치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대처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일 패치 구조는 전파를 유효하게 송출하는 폭 즉, 빔폭이 대략 50도 정도로 고정되어 있어서, 해당 빔폭을 벗어나는 곳에는 또 다른 전파 음영 지역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안테나가 설치된 곳 정면부에 장애물이 있는 곳에서는 전파의 산란이 극심하게 발생하여 빔폭 내에 있는 곳에서조차 제대로 된 통신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상황 및 주위 환경에 따라 유효한 전파 송출을 보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각각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그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입체면 구조의 복수 개의 안테나 고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고정부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어 해당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간에 이루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가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들 간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유효한 전파 송출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가 일단 설치된 후에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앞쪽에 장애물이 들어선 경우에도 별도의 안테나 설치 위치를 찾거나 새로 추가적인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도 없이 기 설치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간의 각도를 조정하기만 하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파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안테나들 간의 각도를 좁혀 빔폭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어 전파 음영 지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의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도 1과 도 2에서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110)를 감싸 해당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고정시키는 입체면 구조의 안테나 고정부(110)와 이에 연결되는 접철부(200) 및 방향 조절부(300,40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안테나 고정부(110)안에는 도 3과 같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가 각각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에는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120)과 분배기(130)를 통해 각각 신호라인이 연결되게 된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급전 방식은 동축 케이블(120) 이외에도 인셋, 스트립 라인, 개구면, 근접 커플링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대역이 지원되는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는 소정의 유전율(대략 2.2~12)을 갖는 평면 기판으로 되어 있고,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는 입력 임피던스와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주파수에 따라 그 크기는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는 안테나 고정부(100)에 평행하게 즉,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평면과 안테나 고정부(100)의 평면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장 착되어 있다. 즉, 안테나 고정부(100)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보호하면서 안테나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안테나 고정부(100) 일 예로써 보호 케이스(100)에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가 장착되는 구조는 기 공지된 것에 불가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안테나 고정부(100)는 보호 케이스(100)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전파 송출 방향 즉,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평면의 중심 축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은 모두 보호 케이스(100)의 방향 변경에 의해 설명한다.
즉, 보호 케이스(10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철부(200)에 의해 또는 방향 조절부(300,400)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해당 보호 케이스(100) 내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는 보호 케이스(100)에 고정 장착되어 있으므로 보호 케이스(100)와 함께 움직이게 되지만, 이러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은 보호 케이스(100)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보호 케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실제 효과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은 분명하다.
보호 케이스(100)는 각각 그 안에 구비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보호하는 용도로 이용되므로 강도와 무게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특히, ABS(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케이스(100)에는 접철부(200)가 형성 또는 부착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보호 케이스(100)와 함께 접철부(200)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접철부(200)는 접철부 우측 바디(202)와 접철부 좌측 바디(20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접철부 우측 바디(202)에는 삽입봉(203)이 형성되고, 접철부 좌측 바디(201)에는 삽입공(204)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봉(203)이 삽입공(204)에 삽입 결합되어, 좌측 보호 케이스(100)와 우측 보호 케이스(100)가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좌측 보호 케이스(100)와 우측 보호 케이스(100) 간의 각도(θ 값)가 변경되도록 한다.
접철부(200)는 복수 개의 보호 케이스(100)에 걸쳐 고정되고, 그 고정된 각각의 보호 케이스(100)들이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즉,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면 되고, 그 구체적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보호 케이스(100)가 접히는 동작이 도 4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호 케이스(100)와 우측 보호 케이스(100)가 서로 일직선 상에 있는 상태 즉, 180도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좌측 보호 케이스(100)는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우측 보호 케이스(100)는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렇게 좌측 보호 케이스(100)와 우측 보호 케이스(100)가 접히게 됨에 따라 각 보호 케이스(100) 간의 각도는 줄어든다.
한편, 보호 케이스(100)에는 고정 프레임(500)이 부착되어 있고, 고정 프레임(500)에는 보호 케이스(100)와 상하 조절부(300)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600)이 볼트(302)로 고정 부착된다.
연결 프레임(600)은 각각의 보호 케이스(100)가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따라 회동할 때마다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600)에는 상하 조절부(300)와 볼트(602)로 체결되기 위한 관통 홈(604)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볼트와 연결 프레임(600) 사이에는 탄성 와셔(603)가 장착되어 보호 케이스(100)의 회동에 따라 연결 프레임(600)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연결 프레임(600)은 볼트(602)에 의해 지지된 채로 길게 형성된 관통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하 조절부(300)는 보호 케이스(100)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보호 케이스(100) 면(정면)이 수평면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인다는 것이 아니라, 보호 케이스(100) 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경한다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보호 케이스(100)의 지향 방향을 상하로 변경한다는 의미이다.
즉, 상하 조절부(300)는 상하 조절부 바디(301)와 상하 조절부 상부(302)와 원통 체결구(30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하 조절부 바디(301)는 육면체로 구성되고, 상하 조절부 상부(302)는의 상면에 놓이되 상하 조절부 바디(301)의 상단 좌우측 면 일부를 감싸며, 원통 체결구(303)는 상하 조절부 상부(302)의 상기 상단 좌우측 면 일부를 감싼면과 상하 조절부 바디(301)의 상단 좌우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여기서 원통 체결구(303)는 상하 조절부 상부(302)의 좌측과 우측에 별개로 구성될 수 있고, 좌측에서 우측을 관통하는 하나의 체결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 체결구(303)는 볼트(303)로 구성되고, 볼트(303)에는 상하 방향의 회동을 돕도록 와셔(304)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하 조절부 상부(30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조절부 바디(301)는 상하 조절부 상부(302)와 연결되는 볼트(303) 축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다시 하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볼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그 변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좌우 조절부(400)는 상하 조절부 상부(302)의 상면에 놓이는 좌우 조절부 수평 프레임(404)과, 해당 좌우 조절부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좌우 조절부 수직 프레임(405)과, 좌우 조절부 수평 프레임(404)과 상하 조절부 상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원통 체결구(4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통 체결구(401)는 볼트(401)로 구성될 수 있고, 볼트(401)에는 좌우 회동을 돕는 와셔(402)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좌우 조절부(400)와 상하 조절부(300)의 연결부 역시 와셔(바람직하게는 탄성 와셔)(402)와 볼트를 이용 체결되어, 좌우 조절부(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조절부(300)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상하 조절부(300)와 연결된 보호 케이스(100) 전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처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보호 케이스(100) 면이 수평면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우 조절부 수직 프레임(405)을 소정의 고정 부재에 고정 부착시키는 고정 체결구(볼트, 나사 등)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안테나가 설치될 위치의 소정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정 벽면 또는 지면에 박힌 소정 설치 프레임 등이 해당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안테나 즉, 특히 조우 조절부의 수직프레임(405)는 체결구멍(403)을 통한 고정 체결구(미 도시함)에 의해 이러한 고정 부재에 고정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조절부(300)와 좌우 조절부(400)를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가 포함된 보호 케이스(100) 전체의 방향 즉, 좌,우,상,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렇게 안테나 설치 프레임에 좌우 조절부(400)가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조절부(400)를 기준으로 보호 케이스(100)와 상하 조절부(300)가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하 조절부(300)의 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조절부 바디(301)와 보호 케이스(10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보호 케이스(100) 각각은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따라 전파 방향 반대편 안쪽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특히 접철부(200)의 중심축을 따라 각각의 보호 케이스(100)가 접히도록 회동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빔폭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장애물들이 전파 진행 방향에 있는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전파 진행 방향 전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경우의 차이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종래의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800)의 경우에 장애물로 인해 송출 전파가 산란 및 상호 간섭을 일으키며 제대로 전송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두 개의 어레이로 구성하고서 접철부(200)를 중심축으로 각각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가 접히도록 함으로써 전면 부의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에 의한 전파 산란을 최소화 하여 각 수신 단말에 최대의 전력을 송출하고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보호 케이스(100)는 접철부(20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거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주파수 파장의 0.55배 내지 0.65배(특히, 대략 0.6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케이스(100) 간의 각도가 180도일 때, 두 개의 보호 케이스(100)가 수평을 이루고 있을 때, 그 각각의 보호 케이스(100)는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보호 케이스(10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철부(20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보호 케이스(100) 사이에 일정 공간의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보호 케이스(100) 간의 각도가 180도일 때 그 보호 케이스(100) 중심 즉, 내장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중심축 간의 거리는 대략 사용 주파수의 0.6배가 되도록 각각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가 배치되면 가장 높 은 전력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간격에 따른 안테나 송출 이득을 도 7에 도시되었다. 즉,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중심 간의 간격만을 변화시켜 이득을 측정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가로축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전파 송출 각도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정규화된 이득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를 보면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간격이 사용 주파수 파장의 0.6배가 되었을 때 중심 빔폭이 대략 -45도에서 +45도 사이 즉, 90도 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 주파수 파장의 0.6배를 초과하는 다른 도면과 비교하였을 때 중심 빔폭이 가장 넓게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중심 빔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면 그만큼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파 음영 지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사용 주파수 파장의 0.6배 보다 훨씬 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각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간의 간섭으로 인해 더 나쁜 특성을 보이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간격을 사용 주파수의 0.6배로 한 경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사잇각에 따른 빔폭과 그 정면부의 이득을 도 8에 도시하였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간의 사잇각이 90도가 되었을 때는 빔폭이 무려 149 도에서 163도가 되면서도 정면부의 이득은 4.7 내지 4.9 dbi로써,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접철부(200)의 작용에 의해 접는 경우에 빔폭을 넓힘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를 사용할 때 정도의 이득값은 보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는 두 개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이상의 어레이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들(즉, 그 보호 케이스(100)들) 중 각 2개씩을 상술한 실시예의 내용과 같이 접철부(200)를 이용하여 각각 연결할 수도 있고, 구비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들 모두를 하나의 접철부(200)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구비된 세 개 이상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들 모두를 하나의 접철부(20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접철부(200)의 구조는 세 개 이상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들에 연결 또는 부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 이러한 변형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당업자가 선택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각 보호 케이스에 포함되는 각각의 스트립안테나와 급전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가 접철부의 중심축을 따라 접히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종래의 단일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정면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의 송출 전파가 산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1의 어레이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접철구조 동작에 따라 송출 전파에 대한 전면부의 장애물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스트립안테나 간의 적절한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스트립안테나 간의 간격에 따른 정규화된 이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스트립안테나 사잇각에 다른 빔폭도와 전면부의 이득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호 케이스 200 : 접철부
300 : 상하 조절부 400 : 좌우조절부
500 : 고정 프레임 600 : 연결 프레임
110 :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20 : 동축케이블
130 : 분배기 201 : 접철부 좌측 바디
202 : 접철부 우측 바디 203 : 삽입봉
204 : 삽입공 301 : 상하 조절부 바디
302 : 상하 조절부 상부

Claims (5)

  1. 좌측과 우측에 각 하나씩 구성된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각각 그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입체면 구조의 두 개의 안테나 고정부와;
    상기 두 개의 안테나 고정부의 각 일면에 고정 부착되어 해당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간에 이루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철부는 상기 두 개의 안테나 고정부 중 좌측에 위치한 안테나 고정부에 고정 장착되되 상하 방향의 삽입공이 구비된 접철부 좌측 바디와, 상기 두 개의 안테나 고정부 중 우측에 위치한 안테나 고정부에 고정 장착되되 상기 접철부 좌측 바디의 삽입공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봉이 구비된 접철부 우측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고정부에 고정 장착된 각각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고정부와 함께, 접철부 좌측 바디의 삽입공과 해당 삽입공에 삽입 결합된 상기 접철부 우측 바디의 삽입봉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중심축 간의 거리는 사용 주파수 파장의 0.55 배 내지 0.65 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중심축이 지평면과 이루는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조절부는 상기 두 개의 안테나 고정부의 후면부와 연결 프레임으로 각각 연결 결합되는 육면체 상하 조절부 바디와; 상기 상하 조절부 바디의 상단에 놓이되 상기 상하 조절부 바디의 상단 좌우측 면 일부를 감싸는 상하 조절부 상부와; 상기 상하 조절부 상부의 상기 상단 좌우측 면 일부를 감싼면과 상기 상하 조절부 바디의 상단 좌우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중심축이 지평면에 수직인 면과 이루는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조절부는 상기 상하 조절부 상부의 상면에 놓이는 좌우 조절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좌우 조절부 수직 프레임과; 상기 좌우 조절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상하 조절부 상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원통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 조절부 수직 프레임은 소정 고정 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KR1020080135394A 2008-12-29 2008-12-29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KR10100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94A KR101009190B1 (ko) 2008-12-29 2008-12-29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94A KR101009190B1 (ko) 2008-12-29 2008-12-29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462A KR20100077462A (ko) 2010-07-08
KR101009190B1 true KR101009190B1 (ko) 2011-01-19

Family

ID=4263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394A KR101009190B1 (ko) 2008-12-29 2008-12-29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3684B (zh) * 2019-10-24 2021-10-08 合肥天品电子科技有限公司 蝶变式雷达天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97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과학기술원 액적화학증착법을 이용한 초박막형 리튬이온 2차전지의제조방법
KR200356497Y1 (ko) * 2004-04-07 2004-07-15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중계기용 패치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97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과학기술원 액적화학증착법을 이용한 초박막형 리튬이온 2차전지의제조방법
KR200356497Y1 (ko) * 2004-04-07 2004-07-15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중계기용 패치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462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705B1 (ko) 안테나 시스템
JP5312598B2 (ja) 移動通信基地局用二重帯域二重偏波アンテナ
US8269682B2 (en) Multi-loop antenna module with wide beamwidth
US9680213B2 (en) Antenna el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748572B (zh) 具有成角度馈电柄的辐射元件和包括该辐射元件的基站天线
US7498995B2 (en) UWB antenna having 270 degree coverage and system thereof
KR100854471B1 (ko)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복합소자 및 이를 이용한 다이폴어레이 원편파 안테나
US20070210976A1 (en) Complementary wideband antenna
US20160248166A1 (en) Multi-band, multi-polarized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S5809429A (en) Radiating coaxial cabl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ES2817930T3 (es) Antena de ranura
EP3301756B1 (en) Radiation device
CN110622352B (zh) 阵列天线
US9673536B2 (en) Omnidirectional antennas, antenna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omnidirectional antennas
US20050184921A1 (en) Antenna module
JP2006295875A (ja) 無線システム
JPWO2019151407A1 (ja) アンテナ装置、車両用窓ガラス及び窓ガラス構造
KR102501224B1 (ko) 전방향 mimo 안테나
KR101111578B1 (ko)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JP4048825B2 (ja) アンテナ
JP5721073B2 (ja) アンテナ
KR101005623B1 (ko) 댁내형 무선중계기의 안테나
GB2300308A (en) Radiating waveguid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009190B1 (ko) 무선 통신 평면 어레이 안테나
EP3641052B1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