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51B1 -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0751B1 KR102610751B1 KR1020180158603A KR20180158603A KR102610751B1 KR 102610751 B1 KR102610751 B1 KR 102610751B1 KR 1020180158603 A KR1020180158603 A KR 1020180158603A KR 20180158603 A KR20180158603 A KR 20180158603A KR 102610751 B1 KR102610751 B1 KR 1026107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trigger
- impact member
- blocking plate
- protection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144 Completed suicid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8—Beams with branched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는, 필라리스 도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에서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임팩트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서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임팩트부재;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임팩트부재를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측 트리거유닛; 및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임팩트부재를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측 트리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충돌 시에 도어의 실내 침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부 차량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넓힘으로써 실내 거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B-필라를 삭제하고, 필라리스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향후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에는 실내 거주성의 증대를 위하여 필라리스 도어 중에서 코치 도어(일명, 수어사이드 도어)의 개폐구조가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코치 도어의 개폐구조를 적용한 차량은 B-필라가 삭제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침입략이 과도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상해가 심하게 초래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도로 주행상황은 자율주행자동차와 일반 자동차가 혼재된 상태가 상당히 길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자율주행자동차는 일반 자동차와의 충돌을 회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부딪힐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컨대, 교차로에서 일반 자동차가 자율주행자동차의 측면으로 갑작스럽게 진행하여 측면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속 주행 시에 인접차선의 차량의 조종성 상실로 인한 측면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어는 도어 패널의 내부에 세로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 장착된 임팩트 빔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임팩트 빔은 도어 패널 내에서 걸림쇠 형식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임팩트 빔이 필라리스 도어에 적용될 경우에는 측면충돌 시에 임팩트 빔이 충돌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으므로 도어의 실내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측면충돌 시에 도어의 실내 침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는,
필라리스 도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에서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임팩트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서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임팩트부재;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임팩트부재를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측 트리거유닛; 및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임팩트부재를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측 트리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충돌 시에 상기 제1임팩트부재가 상기 상측 트리거유닛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상단이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충돌 시에 상기 제2임팩트부재가 상기 하측 트리거유닛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하단이 차량의 사이드실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리거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내에 고정된 상측 버팀대와, 상기 상측 버팀대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측 차단판과, 상기 상측 버팀대 및 상기 상측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상측 스프링과, 상기 상측 차단판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트리거 핀과, 상측 트리거 핀을 이동시키는 상측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차단판은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이 삽입 내지 이탈되는 상측 트리거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이 상기 상측 트리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차단판은 상기 상측 스프링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엑츄에이터는 측면충돌 시에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을 상기 상측 트리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리거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내에 고정된 하측 버팀대와, 상기 하측 버팀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하측 차단판과, 상기 하측 버팀대 및 상기 하측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하측 스프링과, 상기 하측 차단판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하측 트리거 핀과,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이동시키는 하측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차단판은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이 삽입 내지 이탈되는 하측 트리거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이 상기 하측 트리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측 차단판은 상기 하측 스프링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엑츄에이터는 측면충돌 시에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상기 하측 트리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하중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중지지브라켓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루프는 상기 제1임팩트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상측개구를 가지고, 상기 상측개구는 상측마개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상측마개는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타격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마개는 규제돌기 및 규제턱에 의해 상기 상측개구를 통과하여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하중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중지지브라켓은 차량의 사이드실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사이드실은 상기 제2임팩트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하측개구를 가지고, 상기 하측개구는 하측마개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하측마개는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타격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마개는 규제돌기 및 규제턱에 의해 상기 하측개구를 통과하여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제1임팩트부재 및 제2임팩트부재 각각이 차체(차량의 루프 및 차량의 사이드실) 측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의 실내 침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가 필라리스 도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임팩트부재, 및 상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임팩트부재, 및 상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부터 이동(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임팩트부재, 및 하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임팩트부재, 및 하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하단으로부터 이동(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하중지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하중지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임팩트부재, 및 상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임팩트부재, 및 상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부터 이동(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임팩트부재, 및 하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임팩트부재, 및 하측 트리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임팩트부재가 고정브라켓의 하단으로부터 이동(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1하중지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 보호구조의 제2하중지지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10)는, 필라리스 도어(1)에 장착된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루프(60)를 향해 이동가능한 제1임팩트부재(21)와, 고정브라켓(11)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사이드실(80)을 향해 이동가능한 제2임팩트부재(22)와,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1)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제1임팩트부재(2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측 트리거유닛(30)과, 제2임팩트부재(2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측 트리거유닛(40)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1)은 필라리스 도어(1)에 대해 수직방향 즉, 필라리스 도어(1)의 높이방향을 따라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은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임팩트부재(21)는 고정브라켓(11)의 상단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평상 시에는 고정브라켓(11)의 상단 내측에 수용되어 있으며, 측면충돌센서(51)에 의해 측면충돌이 감지되면 제1임팩트부재(21)는 상측 트리거유닛(30)에 의해 고정브라켓(1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동(돌출)하여 차체의 루프(60) 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임팩트부재(22)는 고정브라켓(11)의 하단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평상 시에는 고정브라켓(11)의 하단 내측에 수용되어 있으며, 측면충돌센서(51)에 의해 측면충돌이 감지되면 제2임팩트부재(22)는 하측 트리거유닛(40)에 의해 고정브라켓(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동(돌출)하여 차체의 사이드실(80) 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측 트리거유닛(30)은 고정브라켓(11)의 상부 내에 고정된 상측 버팀대(31)와, 상측 버팀대(31)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측 차단판(32)과, 상측 버팀대(31) 및 상측 차단판(32) 사이에 개재된 상측 스프링(33)과, 상측 차단판(32)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트리거 핀(34)과, 상측 트리거 핀(34)을 이동시키는 상측 엑츄에이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버팀대(31)는 고정브라켓(11)의 상측 내부공간에 체결구, 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측 차단판(32)은 상측 버팀대(31)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차단판(32)은 하나 이상의 상측 트리거 핀(34)이 개별적으로 삽입 내지 이탈되는 상측 트리거 홈(36)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차단판(32)의 상측 트리거 홈(36)에 삽입 내지 이탈됨으로써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차단판(32)에 결합 내지 해제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차단판(32)에 결합됨으로써 상측 차단판(32)은 고정브라켓(11)의 상측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차단판(32)으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상측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측 스프링(33)은 고정브라켓(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 내지 신장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고, 상측 스프링(33)의 상단은 상측 차단판(32)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측 스프링(33)의 하단은 상측 버팀대(31)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은 상측 엑츄에이터(35)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측 차단판(32)의 상측 트리거 홈(36)에 삽입 내지 이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측 트리거 핀(34)은 상측 차단판(32)에 결합 내지 해제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은 상측 차단판(32)의 상측 트리거 홈(36)에 삽입됨으로써 상측 차단판(32)은 상측 스프링(33)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측 차단판(32)이 상측 스프링(33)을 압축시킴으로써 상측 스프링(33)은 상측 차단판(32) 및 상측 버팀대(3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제1임팩트부재(21)는 고정브라켓(11)의 상단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차단판(32)의 상측 트리거 홈(36)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측 차단판(32)은 상측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측 차단판(32)은 상측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제1임팩트부재(21)에 전달함으로써 제1임팩트부재(21)는 고정브라켓(1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측 엑츄에이터(35)는 컨트롤러(50)에 의해 상측 트리거 핀(34)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측 엑츄에이터(35)는 솔레노이드코일, 폴피스(pole piece), 아마추어(armature), 상측 트리거 핀(34)이 상측 트리거 홈(36)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 등을 가진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상측 엑츄에이터(35)는 측면충돌센서(51)에 의해 측면충돌이 감지되면, 컨트롤러(50)가 상측 엑츄에이터(35)를 제어함으로써 상측 엑츄에이터(35)는 상측 트리거 핀(34)을 흡인하며, 이를 통해 도 4와 같이 상측 트리거 핀(34)이 후진함으로써 상측 트리거 핀(34)은 상측 차단판(32)의 상측 트리거 홈(3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측 트리거 핀(34) 및 상측 트리거 홈(36)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상측 트리거 핀(34) 및 2 이상의 상측 트리거 홈(36)이 한 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측 트리거유닛(40)은 고정브라켓(11)의 하부 내에 고정된 하측 버팀대(41)와, 하측 버팀대(41)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하측 차단판(42)과, 하측 버팀대(41) 및 하측 차단판(42) 사이에 개재된 하측 스프링(43)과, 하측 차단판(42)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하측 트리거 핀(44)과, 하측 트리거 핀(44)을 이동시키는 하측 엑츄에이터(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버팀대(41)는 고정브라켓(11)의 하측 내부공간에 체결구, 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차단판(42)은 하측 버팀대(41)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차단판(42)은 하나 이상의 하측 트리거 핀(44)이 개별적으로 삽입 내지 이탈되는 하측 트리거 홈(46)을 가질 수 있다. 하측 트리거 핀(44)이 하측 차단판(42)의 하측 트리거 홈(46)에 삽입 내지 이탈됨으로써 하측 트리거 핀(44)이 하측 차단판(42)에 결합 내지 해제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이 하측 차단판(42)에 결합됨으로써 하측 차단판(42)은 고정브라켓(11) 내의 하측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도 6과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이 하측 차단판(42)으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하측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측 스프링(43)은 고정브라켓(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 내지 신장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고, 하측 스프링(43)의 상단은 하측 버팀대(41)에 지지될 수 있으며, 하측 스프링(43)의 하단은 하측 차단판(4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은 하측 엑츄에이터(45)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하측 차단판(42)의 하측 트리거 홈(46)에 삽입 내지 이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측 트리거 핀(44)은 하측 차단판(42)에 결합 내지 해제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은 하측 차단판(42)의 하측 트리거 홈(46)에 삽입됨으로써 하측 차단판(42)은 하측 스프링(43)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하측 차단판(42)이 하측 스프링(43)을 압축시킴으로써 하측 스프링(43)은 하측 차단판(42) 및 하측 버팀대(4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제2임팩트부재(22)는 고정브라켓(11)의 하단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은 하측 차단판(42)의 트리거 홈(46)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하측 차단판(42)은 하측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하측 차단판(42)은 하측 스프링(43)의 탄성력을 제2임팩트부재(22)에 전달함으로써 제2임팩트부재(22)는 고정브라켓(1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측 엑츄에이터(45)는 컨트롤러(50)에 의해 하측 트리거 핀(44)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측 엑츄에이터(45)는 솔레노이드코일, 폴피스(pole piece), 아마추어(armature), 하측 트리거 핀(44)이 하측 트리거 홈(46)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 등을 가진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하측 엑츄에이터(45)는 측면충돌센서(51)에 의해 측면충돌이 감지되면, 컨트롤러(50)가 하측 엑츄에이터(45)를 제어함으로써 하측 엑츄에이터(45)는 하측 트리거 핀(44)을 흡인하며, 이를 통해 도 6과 같이 하측 트리거 핀(44)이 후진함으로써 하측 트리거 핀(44)은 하측 차단판(42)의 하측 트리거 홈(4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하측 트리거 핀(44) 및 하측 트리거 홈(46)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하측 트리거 핀(44) 및 2 이상의 하측 트리거 홈(46)이 한 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측면충돌센서(51)는 필라리스 도어(1) 또는 차체의 측면 등과 같이 차량의 측면충돌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컨트롤러(50)는 필라리스 도어(1)의 내측공간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10)는 차량의 루프(60)를 향해 이동하는 제1임팩트부재(21)를 지지하는 제1하중지지브라켓(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중지지브라켓(71)은 차량의 루프(6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와 같이 차량의 루프(60)는 루프패널(61) 및 사이드 아웃터패널(6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하중지지브라켓(71)이 루프패널(61) 및 사이드 아웃터패널(62)이 연결된 부분의 내측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아웃터패널(62)은 제1임팩트부재(21)가 통과하는 제1상측개구(73a)를 가질 수 있고, 제1상측개구(73a)는 제1상측마개(75a)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1상측마개(75a)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1상측개구(73a)에 부착될 수 있다. 제1상측마개(75a)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취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제1임팩트부재(21)의 타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측개구(73a)는 내경방향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 규제턱(73c)을 가질 수 있고, 제1상측마개(75a)는 외경방향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 규제돌기(75c)를 가질 수 있다. 제1상측마개(75a)의 규제돌기(75c)가 제1상측개구(73a)의 규제턱(73c)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제1상측마개(75a)가 제1상측개구(73a)를 통과하여 루프(60)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상측마개(75a)가 제1상측개구(73a)에 대해 규제돌기(75c) 및 규제턱(73c)을 통해 규제됨으로써 측면충돌 등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즉, 평상 시)에서 제1상측마개(75a)를 루프(60) 측으로 밀어넣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상측마개(75a)가 제1상측개구(73a)를 통과하여 루프(60) 측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즉, 평상 시에는 제1상측마개(75a)는 규제돌기(75c) 및 규제턱(73c)에 의해 제1상측개구(73a)를 안전하게 폐쇄할 수 있다.
루프패널(61)은 제1임팩트부재(21)가 통과하는 제2상측개구(73b)를 가질 수 있고, 제2상측개구(73b)는 제2상측마개(75b)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상측마개(75b)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2상측개구(73b)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상측마개(75b)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취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상측마개(75b)는 상술한 규제돌기 및 규제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를 통해 제2상측개구(73b)에 대해 규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충돌 발생 시에 제1임팩트부재(21)가 상측 트리거유닛(30)에 의해 고정브라켓(1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동(돌출)하면 제1임팩트부재(21)의 상단이 제1상측마개(75a) 및 제2상측마개(75b)를 타격할 수 있고, 이에 취성을 가진 제1상측마개(75a) 및 제2상측마개(75b)가 파손됨에 따라 제1임팩트부재(21)의 상단이 제1상측개구(73a) 및 제2상측개구(73b)를 통과하여 차량의 루프(60)의 가장자리 내로 삽입되고 제1하중지지브라켓(71)에 지지될 수 있다(도 7a의 1점쇄선 참조).
이와 같이, 차량의 루프(60)는 제1상측마개(75a) 및 제2상측마개(75b)에 의해 제1상측개구(73a) 및 제2상측개구(73b)가 폐쇄됨으로써 측면충돌 이전에는 개구(73a, 73b)들의 노출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루프패널(61) 및 사이드 아웃터패널(62) 내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고, 측면충돌 시에는 상측 트리거유닛(3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1임팩트부재(21)의 상단이 제1상측마개(75a) 및 제2상측마개(75b)를 파손시킴으로써 제1임팩트부재(21)의 상단은 차량의 루프(60) 내로 삽입되고 제1하중지지브라켓(71)에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임팩트부재(21)의 상단이 차량의 루프(6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10)는 차량의 사이드실(80)을 향해 이동하는 제2임팩트부재(22)를 지지하는 제2하중지지브라켓(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중지지브라켓(72)은 차량의 사이드실(8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실(80)은 플로어의 보강패널(85)에 결합된 인너사이드실(81)과, 인너사이드실(81)에 결합된 아웃터사이드실(82)과, 아웃터사이드실(82)에 결합된 사이드 아웃터패널(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중지지브라켓(72)은 인너사이드실(81) 및 아웃터사이드실(82)이 연결된 부분의 내측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아웃터패널(84)은 제2임팩트부재(22)가 통과하는 제1하측개구(74a)를 가질 수 있고, 제1하측개구(74a)는 제1하측마개(76a)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제1하측마개(76a)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1하측개구(74a)에 부착될 수 있다. 제1하측마개(76a)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취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제2임팩트부재(22)의 타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측개구(74a)는 내경방향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 규제턱(74c)을 가질 수 있고, 제1하측마개(76a)는 외경방향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 규제돌기(76c)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하측마개(76a)의 규제돌기(76c)가 제1하측개구(74a)의 규제턱(74c)에 걸려짐으로써 제1하측마개(76a)가 제1하측개구(74a)를 통과하여 사이드실(80)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측마개(76a)가 제1하측개구(74a)에 대해 규제돌기(76c) 및 규제턱(74c)을 통해 규제됨으로써 측면충돌 등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 시에 제1하측마개(76a)를 사이드실(80) 측으로 밀어넣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하측마개(76a)가 제1하측개구(74a)를 통과하여 사이드실(80) 측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제1하측개구(74a)는 규제돌기(76c) 및 규제턱(74c)에 의해 제1하측마개(76a)를 안전하게 폐쇄할 수 있다.
아웃터사이드실(82)은 제2임팩트부재(22)가 통과하는 제2하측개구(74b)를 가질 수 있고, 제2하측개구(74b)는 제2하측마개(76b)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하측마개(76b)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2하측개구(74b)에 부착될 수 있다. 제2하측마개(76b)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취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하측마개(76b)는 상술한 규제돌기 및 규제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를 통해 제2하측개구(74b)에 대해 규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충돌 발생 시에 제2임팩트부재(22)가 하측 트리거유닛(40)에 의해 고정브라켓(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동(돌출)하면 제2임팩트부재(22)의 하단이 제1하측마개(76a) 및 제2하측마개(76b)를 타격할 수 있고, 이에 취성을 가진 제1하측마개(76a) 및 제2하측마개(76b)가 파손됨에 따라 제2임팩트부재(22)의 상단이 제1하측개구(74a) 및 제2하측개구(74b)를 통과하여 차량의 사이드실(80) 내로 삽입되고 제2하중지지브라켓(72)에 지지될 수 있다(도 8a의 1점쇄선 참조).
이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실(80)은 제1하측마개(76a) 및 제2하측마개(76b)에 의해 제1하측개구(74a) 및 제2하측개구(74b)가 폐쇄됨으로써 측면충돌 이전에는 개구(74a, 74b)들의 노출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사이드실(8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고, 측면충돌 시에는 제2임팩트부재(22)가 제1하측마개(76a) 및 제2하측마개(76b)를 파손시킴으로써 제2임팩트부재(22)의 하단이 차량의 사이드실(80) 내로 삽입되고 제2하중지지브라켓(72)에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임팩트부재(22)의 하단이 차량의 사이드실(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충돌 시에 제1임팩트부재(21)가 차량의 루프(60) 내에 삽입됨과 더불어 제1하중지지브라켓(71)에 지지되고, 제2임팩트부재(22)가 차량의 사이드실(80) 내에 삽입됨과 더불어 제2하중지지브라켓(72)에 지지됨으로써 차량의 측면강성을 강화하여 필라리스 도어(1)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필라리스 도어
10: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11: 고정브라켓 21: 제1임팩트부재
22: 제2임팩트부재 30: 상측 트리거유닛
31: 상측 버팀대 32: 상측 차단판
33: 상측 스프링 34: 상측 트리거 핀
35: 상측 엑츄에이터 36: 상측 트리거 홈
40: 하측 트리거유닛
41: 하측 버팀대 42: 하측 차단단
43: 하측 스프링 44: 하측 트리거 핀
45: 하측 엑츄에이터 46: 하측 트리거 홈
50: 컨트롤러
51: 측면충돌센서 60: 루프
61: 루프패널 62: 사이드 아웃터패널
71: 제1하중지지브라켓 72: 제2하중지지브라켓
73a: 제1상측개구 73b: 제2상측개구
74a: 제1하측개구 74b: 제2하측개구
75a: 제1상측마개 75b: 제2상측마개
76a: 제1하측마개 76b: 제2하측마개
80: 사이드실 81: 인너사이드실
82: 아웃터사이드실
10: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11: 고정브라켓 21: 제1임팩트부재
22: 제2임팩트부재 30: 상측 트리거유닛
31: 상측 버팀대 32: 상측 차단판
33: 상측 스프링 34: 상측 트리거 핀
35: 상측 엑츄에이터 36: 상측 트리거 홈
40: 하측 트리거유닛
41: 하측 버팀대 42: 하측 차단단
43: 하측 스프링 44: 하측 트리거 핀
45: 하측 엑츄에이터 46: 하측 트리거 홈
50: 컨트롤러
51: 측면충돌센서 60: 루프
61: 루프패널 62: 사이드 아웃터패널
71: 제1하중지지브라켓 72: 제2하중지지브라켓
73a: 제1상측개구 73b: 제2상측개구
74a: 제1하측개구 74b: 제2하측개구
75a: 제1상측마개 75b: 제2상측마개
76a: 제1하측마개 76b: 제2하측마개
80: 사이드실 81: 인너사이드실
82: 아웃터사이드실
Claims (17)
- 필라리스 도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에서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임팩트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서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임팩트부재;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임팩트부재를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측 트리거유닛;
측면충돌 시에 필라리스 도어에 충돌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임팩트부재를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측 트리거유닛; 및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하중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중지지브라켓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충돌 시에 상기 제1임팩트부재가 상기 상측 트리거유닛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상단이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충돌 시에 상기 제2임팩트부재가 상기 하측 트리거유닛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하단이 차량의 사이드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리거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내에 고정된 상측 버팀대와, 상기 상측 버팀대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측 차단판과, 상기 상측 버팀대 및 상기 상측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상측 스프링과, 상기 상측 차단판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상측 트리거 핀과, 상측 트리거 핀을 이동시키는 상측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차단판은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이 삽입 내지 이탈되는 상측 트리거 홈을 가지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이 상기 상측 트리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차단판은 상기 상측 스프링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엑츄에이터는 측면충돌 시에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상측 트리거 핀을 상기 상측 트리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트리거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내에 고정된 하측 버팀대와, 상기 하측 버팀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하측 차단판과, 상기 하측 버팀대 및 상기 하측 차단판 사이에 개재된 하측 스프링과, 상기 하측 차단판에 결합 및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하측 트리거 핀과,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이동시키는 하측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측 차단판은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이 삽입 내지 이탈되는 하측 트리거 홈을 가지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이 상기 하측 트리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측 차단판은 상기 하측 스프링의 압축을 유지하는 압축 유지위치에 고정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엑츄에이터는 측면충돌 시에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하측 트리거 핀을 상기 하측 트리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루프는 상기 제1임팩트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상측개구를 가지고, 상기 상측개구는 상측마개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상측마개는 상기 제1임팩트부재의 타격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구성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측마개는 규제돌기 및 규제턱에 의해 상기 상측개구를 통과하여 차량의 루프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하중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중지지브라켓은 차량의 사이드실에 장착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이드실은 상기 제2임팩트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하측개구를 가지고, 상기 하측개구는 하측마개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하측마개는 상기 제2임팩트부재의 타격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구성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측마개는 규제돌기 및 규제턱에 의해 상기 하측개구를 통과하여 차량의 사이드실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603A KR102610751B1 (ko) | 2018-12-10 | 2018-12-10 |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603A KR102610751B1 (ko) | 2018-12-10 | 2018-12-10 |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920A KR20200070920A (ko) | 2020-06-18 |
KR102610751B1 true KR102610751B1 (ko) | 2023-12-07 |
Family
ID=7114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8603A KR102610751B1 (ko) | 2018-12-10 | 2018-12-10 |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075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4711B1 (ko) * | 1995-12-12 | 1999-06-15 | 정몽규 | 차량용 도어의 충격흡수장치 |
JP2000280744A (ja) * | 1999-03-30 | 2000-10-10 | Mazda Motor Corp | 車両のドア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258B1 (ko) * | 2002-12-09 | 2005-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사이드 실부의 보강 구조 |
-
2018
- 2018-12-10 KR KR1020180158603A patent/KR102610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4711B1 (ko) * | 1995-12-12 | 1999-06-15 | 정몽규 | 차량용 도어의 충격흡수장치 |
JP2000280744A (ja) * | 1999-03-30 | 2000-10-10 | Mazda Motor Corp | 車両のドア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920A (ko) | 202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55222B2 (ja) | 車体側部構造 | |
US5308138A (en) | Door cartridge module with discrete energy absorbing elements | |
EP2689088B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wind load resistance and disengage-ability of overhead roll-up doors | |
CN105026216A (zh) | 用于吸收动能、尤其是用于安装在机动车中的装置 | |
JP4334909B2 (ja) | 衝突の際に窓が鉄道車両の運転室に侵入することを防ぐためのシステム | |
CN106740918B (zh) | 一种轨道车辆车头防撞结构及车头 | |
KR102610751B1 (ko) | 필라리스 도어용 측면충돌 보호구조 | |
JP2011201369A (ja) | 衝撃吸収構造を備える鉄道車両 | |
KR102371595B1 (ko) |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 |
CN208149452U (zh) | 减少汽车侧面柱碰门槛侵入量的地板加强装置 | |
KR101300611B1 (ko) | 갈라진 도로 또는 터널입구의 차량 충돌 회피 구조 | |
CN107487682B (zh) | 一种电梯轿厢可移动止停装置 | |
KR101282693B1 (ko) |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 |
KR100935010B1 (ko) |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 |
CN101128386A (zh) | 电梯的门装置 | |
KR200149973Y1 (ko) | 자동차 도어 패널의 임팩트 바아 | |
CN201501274U (zh) | 用于车辆上可滑动构件的安全装置 | |
JP2003040568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275201B1 (ko) | 자동차의 센터필라 보강구조 | |
KR200149042Y1 (ko) | 버스의 미들 도어 어퍼 | |
KR101866055B1 (ko) | 파노라마 선루프 헤드라이닝 충격흡수 구조 | |
KR200473200Y1 (ko) | 승강기 안전도어 | |
KR20240077969A (ko) | 트램용 보행자 보호장치, 트램용 보행자 보호시스템, 및 트램용 보행자 보호방법 | |
JP2008007942A (ja) | ローパーティション用スライドドア | |
KR101282694B1 (ko) |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