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50B1 -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50B1
KR102610550B1 KR1020207009600A KR20207009600A KR102610550B1 KR 102610550 B1 KR102610550 B1 KR 102610550B1 KR 1020207009600 A KR1020207009600 A KR 1020207009600A KR 20207009600 A KR20207009600 A KR 20207009600A KR 102610550 B1 KR102610550 B1 KR 10261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ack
vehicle
loop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664A (ko
Inventor
배리 그로간
브랜든 말로리 바우만
윈클 테드 더블유 반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4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4Chutes; Helter-skelters with driven slide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2Tracks for rack railways
    • E01B25/04Rack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ck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ailway Track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를 포함한 이중 트랙 루프, 이중 트랙 루프와 이격된 단일 트랙 루프, 및 이중 트랙 루프와 단일 트랙 루프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트랙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크로스 트랙 상에 배치된 플랫폼을 포함한다. 플랫폼은 이중 트랙 루프의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와 정렬된 위치와, 단일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정렬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플랫폼에 결합되는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는데, 턴테이블은 턴테이블 상에 위치된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고 플랫폼의 고정 부분에 대한 탑승물 차량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놀이공원(amusement park)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놀이공원 게임 또는 탑승물(ride)과 함께 사용되는 방법 및 장비에 관한 것이다.
놀이공원 또는 테마파크에서 수년간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 탑승물(amusement ride)이 사용되어 왔다. 여기에는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 및/또는 트랙 탑승물(track ride)과 같은 전통적인 탑승물이 포함된다. 많은 탑승물에는 탑승물 차량이 따라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랙 루프(track loop)가 포함될 수도 있다. 특히, 놀이기구 탑승물은 인접한 또는 나란한 트랙 루프(예컨대, 어트랙션 루프 및 보조 또는 유지보수 루프)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인접 루프의 트랙들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제, 인접한 트랙들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을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도 있고 및/또는 비효율적인 노동 집약적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최초 청구된 주제에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시된 특정 실시예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를 포함한 이중 트랙 루프, 이중 트랙 루프와 이격된 단일 트랙 루프, 및 이중 트랙 루프와 단일 트랙 루프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트랙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크로스 트랙 상에 배치된 플랫폼을 포함한다. 플랫폼은 이중 트랙 루프의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와 정렬된 위치와, 단일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정렬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플랫폼에 결합되는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는데, 턴테이블은 턴테이블 상에 위치된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고 플랫폼의 고정 부분에 대한 탑승물 차량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플랫폼을 포함한다. 플랫폼은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회전 부분에 결합된 트랙 세그먼트(track segment)를 포함하는데, 회전 부분은 정지 부분에 대해 회전하여 트랙 세그먼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회전 부분에 결합되며 회전 부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플랫폼의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이 레일을 따라 병진하게 구성되도록 플랫폼에 결합된 레일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플랫폼의 제 1 트랙 세그먼트 상에서 제 1 트랙으로부터 제 1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는 것, 플랫폼의 제 2 트랙 세그먼트 상에서 제 2 트랙으로부터 제 2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는 것, 및 제 1 탑승물 차량을 제 1 트랙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제 1 트랙 세그먼트를 제 3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과 정렬시키고 또한 제 2 탑승물 차량을 제 2 트랙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제 2 트랙 세그먼트를 제 3 트랙 루프의 제 2 부분과 정렬시키기 위해 플랫폼을 병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턴테이블을 통해 제 2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는 것, 제 1 탑승물 차량을 플랫폼으로부터 제 3 트랙 루프로 이송시키는 것, 및 제 2 탑승물 차량을 플랫폼으로부터 제 3 트랙 루프로 이송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기 위해 플랫폼을 활용할 수도 있는 탑승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기 위해 플랫폼을 활용할 수도 있는 도 1의 탑승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도 1의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도 1의 플랫폼의 부분의 일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도 1의 플랫폼의 부분의 일 실시예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도 1의 플랫폼의 부분의 일 실시예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도 1의 탑승물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는 인접한 트랙들(예컨대, 트랙 루프들)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특정 유형의 놀이기구 탑승물에서, 탑승물의 작동 중에, 승객은 탑승물 차량에서 하나 이상의 어트랙션 트랙 루프를 따라 주행할 수도 있다. 어트랙션 트랙 루프들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서는 어트랙션 트랙 루프들의 적어도 일부가 평행한 배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지보수, 놀이기구 탑승물 재구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차량들을 인접한(예컨대, 이웃한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보조 루프로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트랙션 트랙 루프와 보조 루프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 특히, 트랙들 사이의 탑승물 차량의 단순한 병진(translation)은 탑승물 차량이 올바른 방향을 향하게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인접 트랙 루프들 사이, 예컨대 어트랙션 트랙 루프와 유지보수 트랙 루프 사이의 차량 병진 및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트랙 스위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랙 스위치 조립체는 다중 루프 어트랙션의 상이한 루프들로부터의 차량들을 동시에 단일 유지보수 루프 상으로 이동시켜서 이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예컨대, 양자 모두 시계방향 또는 양자 모두 반시계방향)을 향하게 한다. 유지보수 루프 상의 둘레방향 대향 지점들에 대한 유지보수 루프로의 병진에 의해 두 대의 차량이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 기술과 달리, 트랙 스위치 조립체는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두 차량의 정확한 또는 원하는 방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트랙 스위치 조립체는 또한 후속 차량이 어트랙션 루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어트랙션 루프 또는 루프들을 닫는 하나 이상의 추가 트랙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을 인접한 보조 루프 상으로 이동시키면 어트랙션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된다. 본 논의는 트랙 루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루프 없는 트랙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탑승물 어트랙션은 2개의 실질적으로 동심인 어트랙션 트랙 루프(예컨대, 내부 어트랙션 루프 및 외부 어트랙션 루프), 및 보조 루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어트랙션 루프의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단일 보조 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2개의 어트랙션 루프는 시계방향으로 순환하고 보조 루프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조 루프에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어트랙션 루프의 부분들은 2개의 어트랙션 루프가 인접하게 배치된 보조 트랙의 제 1 부분과 동일한 선형 방향으로 순환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루프는 보조 루프의 제 2 부분(제 2 부분은 보조 트랙의 제 1 부분에 대해 보조 트랙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배치됨)이 2개의 어트랙션 루프의 반대쪽에 있는 보조 루프의 제 1 부분의 일 측부에서 보조 트랙의 제 1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보조 루프의 반시계방향 순환을 고려하면, 보조 루프의 제 2 부분은 2개의 어트랙션 루프의 부분들 및 보조 루프의 제 1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순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 방향이 다르면, 특히 어트랙션 루프의 부분들과 보조 루프의 제 1 부분이 제 1 방향으로 순환하고 보조 루프의 제 2 부분이 제 2 방향(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는 경우, 어트랙션 루프들과 보조 루프 사이에서 두 대의 차량을 운반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실제로, 탑승물 차량은 어트랙션 루프 상에서 제 1 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하나의 병진 또는 스위치 동작으로 보조 루프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간단히 병진될 수는 없다. 예컨대, 외부 어트랙션 루프로부터 운반되고 있는 탑승물 차량은 또한 보조 루프의 제 2 부분으로 운반되는 경우 올바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탑승물 차량을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기술을 활용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인접한 트랙 루프들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을 운반할 수 있는 회전 부분을 갖는 병진 플랫폼(translational platform)을 포함하는 놀이기구 탑승물이 제공된다. 병진 플랫폼은 그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이 운반되는 트랙 루프들에 수직으로 배치된 운반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병진 플랫폼은, 인접한 트랙 상의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고 탑승물 차량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 및 탐지 시스템을 활용하여 탑승물 차량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필요에 따라 탑승물 차량 중 하나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랙들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12)을 운반하고 탑승물 차량(12)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탑승물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탑승물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어트랙션 루프(14)(예컨대, 이중 트랙 루프) 및 보조 루프(16)(예컨대, 단일 트랙 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루프(14)는 탑승물 차량(12)들이 하나 이상의 트랙(23)을 따라 시계방향(22)으로 이동하는 내부 루프(18) 및 외부 루프(20)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 루프(16)는 탑승물 차량(12)들이 트랙(23)을 따라 반시계방향(24)으로 이동하는 단일 루프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트랙 스위치 조립체(28)는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12)을 운반할 수도 있다.
트랙 스위치 조립체(28)는 트랙(23)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 또는 탄성 물체일 수 있는 플랫폼(30)을 포함한다. 특히, 플랫폼(30)은 제 1 트랙 세그먼트(32), 제 2 트랙 세그먼트(34), 제 3 트랙 세그먼트(36)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트랙 스위치 조립체(28) 및 플랫폼(30)은 루프의 배열 및 개수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트랙 세그먼트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트랙 세그먼트(32, 34, 36 및 38) 각각은 레일 쌍, 모노레일 또는 다른 트랙 유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작동 시에, 플랫폼(30)은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의 부분들 사이에서 이동 또는 병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0)은, 제 3 트랙 세그먼트(36)가 내부 루프(18)의 트랙(23)의 제 1 부분(40)에 위치되거나 그와 정렬되고 제 4 트랙 세그먼트(38)가 외부 루프(20)의 트랙(23)의 제 2 부분(42)에 위치되거나 그와 정렬되게 하는 주 위치(primary position)(39)에 위치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0)은 플랫폼의 모든 트랙 세그먼트(32, 34, 36, 38)를 플랫폼 트랙(44)을 따라 병진시키도록 트랙 스위치 조립체(28)의 플랫폼 트랙(44)(예컨대, 크로스 트랙, 레일) 또는 컨베이어를 따라 부 위치(secondary position)(45)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부 위치(45)에서, 제 1 트랙 세그먼트(32)는 내부 루프(18)의 제 1 부분(40)에 위치되고 제 2 트랙 세그먼트(34)는 외부 루프의 제 2 부분(42)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모든 트랙 세그먼트(32, 34, 36, 38)가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의 대응하는 트랙(23)들과 정렬되도록 트랙 스위치 조립체(28)의 플랫폼(30)을 정렬시키는 부 위치(45)를 도시하지만, 플랫폼(30)은 또한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를 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플랫폼(30)의 중간 위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랙 세그먼트(32, 34, 36, 38)가 어트랙션 루프(14) 또는 보조 루프(16)의 트랙(23)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 트랙(44)은 플랫폼(30)이 따라갈 수 있는 2개 이상의 개별 트랙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플랫폼(30)이 부 위치(45)에 있는 동안, 제 3 트랙 세그먼트(36)는 보조 루프(16)의 제 3 부분(46)에 위치될 수 있고, 제 4 트랙 세그먼트(38)는 보조 루프(16)의 제 4 부분(48)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40)과 제 2 부분(42) 사이의 거리는 제 3 부분(46)과 제 4 부분(48)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플랫폼(30)의 제 1 및 제 2 트랙 세그먼트(32, 34) 사이의 거리는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6, 38)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 2 및 제 3 부분(42, 46)은 마찬가지로 중간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격될 수도 있다.
특히, 루프(14, 16) 및 트랙 세그먼트(32, 34, 36, 38)는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12)의 운반을 더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되고 위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탑승물 차량(12)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있는 동안 탑승물 차량(12)이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6, 38) 상에 배치되도록 어트랙션 루프(14)를 따라 이동하고 어트랙션 루프(14)의 제 1 및 제 2 부분(40, 42) 내에서 정지할 수도 있다. 플랫폼은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6, 38)가 각각 보조 루프(16)의 제 3 및 제 4 부분(46, 48)을 따라 배치되거나, 그와 정렬되거나, 또는 그와 동일 선상에 있도록 부 위치(45)로 이동(예컨대, 병진)할 수도 있다. 또한, 부 위치(45)에 있는 동안, 플랫폼(30)의 제 1 및 제 2 트랙 세그먼트(32, 34)는, 간극에 의해 탑승물 차량(12)의 내부 및 외부 루프(18, 20)를 따른 계속적인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어트랙션 루프(14)의 제 1 및 제 2 부분(40, 42)을 따라 배치되거나, 그와 정렬되거나, 또는 그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부 위치(45)에 있는 동안,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6, 38)는 각각 보조 루프(16)의 제 3 및 제 4 부분(46, 48)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일단 플랫폼(30)이 부 위치(45)에 있으면,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있던 동안에 어트랙션 루프(14)로부터 플랫폼(30) 상으로 이동했던 탑승물 차량(12)이 보조 루프(16)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 상의 탑승물 차량(12)의 순환으로 인해, 제 4 부분(48) 상의 탑승물 차량(12)은 제 2 방향(62)으로 이동하는 반면에 제 1 부분(40), 제 2 부분(42) 및 제 3 부분(46) 상의 탑승물 차량(12)은 제 1 방향(60)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랫폼(30)의 제 4 트랙 세그먼트(38)는, 회전함으로써 제 4 트랙 세그먼트(38)를 회전시키고 나아가 제 4 트랙 세그먼트(38) 상에 배치된 탑승물 차량(12)도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64)(예컨대, 회전판, 원형판, 회전 부분 등)의 상면(63)에 결합 및/또는 배치될 수도 있다. 그 결과, 트랙 세그먼트(38) 상에 위치된 임의의 탑승물 차량(12)은 탑승물 차량(12)이 올바른 방향(예컨대, 외부 루프(20)의 제 2 부분(42)에 대한 제 1 방향(60) 및 보조 루프(16)의 제 4 부분(48)에 대한 제 2 방향(62))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랫폼(30)은, 플랫폼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만 플랫폼(30)과 함께 병진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트랙 세그먼트(예컨대, 트랙 세그먼트(32, 34 및 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랫폼은 또한 임의의 고정 트랙 세그먼트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플랫폼(30)에 대해서도 회전하고 또한 플랫폼(30)과 함께 병진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트랙 세그먼트(예컨대, 트랙 세그먼트(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 및 병진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30), 및 보다 구체적으로, 제 4 트랙 세그먼트(38)는 외부 루프(20)의 제 2 부분(42)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예컨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있는 동안) 탑승물 차량(12) 중 하나를 수용할 수도 있으며, 그 다음에 부 위치(45)에서 탑승물 차량(12)을 보조 루프(16)의 제 4 부분(48)으로 운반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탑승물 차량(12)이 제 4 트랙 세그먼트(38)로부터 벗어나 보조 루프(16) 상으로 이동하기 전에, 턴테이블(64)이 탑승물 차량(12)을 회전시켜서, 탑승물 차량(12)이 제 2 방향(62)을 향하고 제 4 부분(48)에서 보조 루프(16)의 트랙(23)과 정렬되게 할 수도 있다. 회전의 정도는 수용하는 트랙(23)의 위치 및 탑승물 차량(12)의 희망 방향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트랙 세그먼트(38)의 회전은 고정 트랙 세그먼트(예컨대, 트랙 세그먼트(32, 34 및 36))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위치로부터의 회전을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 회전은 또한 고정 트랙 세그먼트에 대해 180도 회전되지만 평행할 수 있는 희망 정렬 및 방향에서 종료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2)은 어트랙션 루프(14) 상에서 반시계방향(24)으로, 그리고 보조 루프(16) 상에서 시계방향(22)으로 순환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2)은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 모두에서 시계방향(22)으로 순환하거나, 또는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 모두에서 반시계방향(24)으로 순환할 수도 있다. 여하튼, 트랙 스위치 조립체(28)는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12)을 운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제 4 트랙 세그먼트(38)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64)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제 2 턴테이블이 제 3 트랙 세그먼트(36)에 결합되어 제 3 트랙 세그먼트(36)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특히, 제 2 턴테이블을 통한 제 3 트랙 세그먼트(36)의 회전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턴테이블(64)을 통한 제 4 트랙 세그먼트(38)의 회전과 유사할 수도 있다. 실제로, 제 3 트랙 세그먼트(36) 및/또는 제 4 트랙 세그먼트(38)의 회전은 어트랙션 루프(14) 상에서의 탑승물 차량(12)의 주행 방향에 대한 보조 루프(16) 상에서의 탑승물 차량(12)의 주행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턴테이블(64)은 제 2 및 제 4 부분(42, 48) 각각에서 외부 루프(20) 및 보조 루프(16)의 방향에 따라 180도, 또는 180도보다 더 많이 또는 적게 회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 루프(20)의 제 2 부분(42)에서의 트랙(23)은 일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보조 루프(16)의 제 4 부분(48)에서의 트랙(23)은 상이한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 2 부분(42)과 제 4 부분(48)은 평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턴테이블(64)은 제 2 부분(42)과 제 4 부분(48) 사이에서 탑승물 차량(12)을 운반하기 위해 180도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회전할 수도 있다. 턴테이블(64)에 의해 요구되는 회전량에 관계없이, 탑승물 차량(12) 및/또는 턴테이블(64)의 회전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있는 동안, 주 위치(39)로부터 부 위치(45)로 전이되는 동안, 부 위치(45)에 있는 동안,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있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탑승물 시스템(10) 내에서 플랫폼 트랙(44) 상에 배치된 플랫폼(30)의 평면도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플랫폼(30)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2, 34, 36, 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4 트랙 세그먼트(38)는, 회전함으로써 제 4 트랙 세그먼트(3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턴테이블(64)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트랙 세그먼트(32)와 제 2 트랙 세그먼트(34) 사이의 제 1 거리(70)는 제 3 트랙 세그먼트(36)와 제 4 트랙 세그먼트(38) 사이의 제 2 거리(7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거리(70, 72)는 제 2 트랙 세그먼트(34)와 제 3 트랙 세그먼트(36) 사이의 제 3 거리(74)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 3 거리(74)에 비교했을 때의 제 1 거리(70) 및 제 2 거리(72) 사이의 차이는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 사이의 확대된 거리 때문일 수도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루프(14, 16) 사이의 확대된 거리는 어트랙션 루프(14)와 보조 루프(16) 사이에 칸막이(예컨대, 벽, 경계 등)를 수용하여, 탑승물 시스템(10)의 이용자가 탑승물 차량(12) 내에서 어느 어트랙션 루프(14)의 대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보조 루프(16)에 대한 시각적 관점을 갖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은 제 1 및 제 2 트랙 세그먼트(32, 34)를 제 3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6, 38)에 연결하는 스페이서(7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랫폼(30)이 하나의 턴테이블(6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추가 트랙 세그먼트의 회전을 가능케 하기 위해 추가 턴테이블(64)이 플랫폼(30) 상에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추가 턴테이블(64)을 구비한 실시예에서,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탑승물 시스템(10)은 또한 플랫폼(30)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차량 탐지 시스템(80) 및 2개 이상의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탐지 시스템(80, 81)은 제어기(82)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제어기(82)는 주문형 프로세서(application-specific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84)(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도 있음)를 채용한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제어기(82)는 또한 플랫폼(30)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8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8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4)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86)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tangible),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등의 자기 저장 장치, 또는 희망 프로그램 코드를 기계 실행 가능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수용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리고 프로세서(84)에 의해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10)은 플랫폼(30)의 대향하는 길이(83)에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부분(40, 42, 46, 48)을 가로질러 배치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플랫폼(30)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플랫폼(30)이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전이됨에 따라 플랫폼(30)은 차량 탐지 시스템(80)에 대해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차량 탐지 시스템(80)의 구성요소(예컨대, 센서)를 플랫폼(30)에 결합시키는 연장부(예컨대, 지지체, 막대 등)를 거쳐서 플랫폼(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 초과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8개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탐지 시스템(80)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30)에 결합되는 실시예에서는, 제 1 트랙 세그먼트(32), 제 2 트랙 세그먼트(34), 제 3 트랙 세그먼트(36)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38) 각각의 대향 측면들에, 그리고 플랫폼의 대향 길이(83)에 결합되는 차량 탐지 시스템(80)이 있을 수도 있다. 차량 탐지 시스템(80)이 플랫폼(3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플랫폼(30)이 차량 탐지 시스템(80)에 대해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어트랙션 루프(14) 및 보조 루프(16)의 제 1 부분(40), 제 2 부분(42), 제 3 부분(46) 및 제 4 부분(48) 각각의 양 측면들에, 그리고 플랫폼의 대향하는 길이(83)에 대체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플랫폼(30)에 진입하거나 및/또는 플랫폼(30)으로부터 나가는 탑승물 차량(12)들을 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센서 발신기(88) 및 센서 수신기(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센서 발신기(88)는 센서 수신기(9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빔(예컨대, 레이저 또는 방사선의 자극 방출에 의한 광 증폭)을 방출할 수 있다. 탑승물 차량(12)이 센서 발신기(88)와 센서 수신기(90)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탑승물 차량(12)은 센서 수신기(90)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센서 발신기(88)로부터 방출된 빔을 수신(예컨대, 감지)하지 않도록 빔을 차단할 수도 있다. 센서 수신기(90)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빔을 수신하지 않으면,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탑승물 차량(12) 중 하나가 대응하는 차량 탐지 시스템(80)을 횡단하였음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차량 탐지 시스템(80)의 센서 발신기(88)로부터 센서 수신기(90)로의 빔의 경로를 횡단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82)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 탐지 시스템(80)은 또한 센서 수신기(90)가 빔을 수신하지 않는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시간 신호를 제어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기(82)는 탑승물 차량(12)이 빔의 경로를 통과할 때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그 시간 신호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제어기(82)는 또한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를 주행할 때 플랫폼(30)의 주행 길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근접하거나 주 위치(39)에 있을 때를 탐지할 수 있는 제 1 플랫폼 센서(9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은 또한 플랫폼(30)이 부 위치(45)에 근접하거나 부 위치(45)에 있을 때를 탐지할 수 있는 제 2 플랫폼 센서(9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플랫폼 센서(92, 94)는 용량성 센서, 용량성 변위 센서, 도플러 효과 센서, 와전류 센서, 유도성 센서, 자기 센서, 광학 센서, 레이더 센서, 소나 센서, 초음파 센서, 홀 효과 센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근접 센서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플랫폼 센서(92, 94)는 플랫폼(30)이 물리적 접촉을 통해 작동(예컨대, 스위칭, 트리거링 등)시킬 수 있는 물리적 스위치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플랫폼 센서(92, 94)는 플랫폼(30)이 주 위치(39) 및 부 위치(45) 각각 너머로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플랫폼 센서(92, 94)는 플랫폼(30)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기 위한 물리적 정지부 또는 범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하튼, 제 1 및 제 2 플랫폼 센서(92, 94)는, 제 1 플랫폼 센서(92)가 플랫폼(30)이 주 위치(39)에 있을 때를 감지하거나 또는 그때에 작동될 수 있고 제 2 플랫폼 센서(94)가 플랫폼(30)이 부 위치(45)에 있을 때를 감지하거나 또는 그때에 작동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이 (예컨대, 주 또는 부 위치(39, 45) 중 어느 하나에서) 플랫폼(30)의 존재를 탐지할 때,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은 플랫폼(3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제어기(82)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플랫폼(30)은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병진하고 턴테이블(64)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플랫폼(30)은 조작자가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의 이동 및 턴테이블(64)의 회전을 위해 플랫폼(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력 공급(예컨대, 가동)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병진 홀드(translational hold)(96) 및 회전 홀드(rotational hold)(9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홀드(96, 98)는 조작자가 공구(예컨대, 막대, 후크 등)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 또는 물체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홀드(96, 98)는 플랫폼(30) 위로 연장되는 쇠고리(eyelet)와 같은 작은 강성 고리일 수도 있다. 조작자는 공구를 병진 홀드(96)에 결합하고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플랫폼(30)을 당기거나 및/또는 밀어냄으로써 플랫폼(30)을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병진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조작자는 공구를 회전 홀드(98)에 결합하고 턴테이블(64)의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턴테이블(64)을 당기거나 및/또는 밀어냄으로써 플랫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턴테이블(64)을 포함하는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의 저면도를 도시한 반면에, 도 5는 플랫폼(30)의 특정한 특징들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턴테이블(64)이 생략된 턴테이블 부분(99)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전반적으로,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랫폼(30)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턴테이블 부분(99)은 2개 이상의 병진 캐스터(100)(예컨대, 휠), 2개 이상의 회전 캐스터(102)(예컨대, 휠), 댐핑 조립체(104), 하나 이상의 잠금 핀 조립체(106), 모터(108), 버스 바(busbar)(110), 기어박스(112)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리 위의 트랙(23)으로부터 전해질 수 있는 탑승물 차량(12)을 갖는 실시예에서는 유사하지만 본질적으로 반대인 배열이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병진 캐스터(100)는 플랫폼(30)이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병진할 때 플랫폼(30)에 결합되고 탑승물 시스템(10)의 바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병진 캐스터(100)는 탑승물 시스템(10)의 바닥 위로 돌출한 정지 플랫폼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병진 캐스터(100)는 플랫폼(30)이 플랫폼 트랙(44)(도 3)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플랫폼(30)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플랫폼(30)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병진 캐스터(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 캐스터(102)는 특히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에 결합될 수 있지만, 병진 캐스터(100)와 달리, 회전 캐스터(102)는 턴테이블(64)의 밑면과 접속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턴테이블(64) 및/또는 탑승물 차량(12)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 캐스터(102)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턴테이블(64)이 (예컨대, 탑승물 차량(12)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할 때, 회전 캐스터(102)는 턴테이블(64)의 밑면을 따라 구를 수도 있다. 실제로, 회전 캐스터(102)는 턴테이블(64)의 중심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턴테이블(64)의 밑면을 따라 구르도록 방향 설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 캐스터(102)는 턴테이블(64)의 중심 아래에서 턴테이블 부분(99)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아암(114)(예컨대, 강성 빔)에 결합될 수도 있다.
턴테이블 부분(99)은 또한 댐핑 조립체(1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핑 조립체(104)는 하나 이상의 댐퍼(116) 및 범퍼(1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댐퍼(116)의 위치는 턴테이블(64)에 의해 허용되는 회전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은 턴테이블 부분(99)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된 2개의 댐퍼(116)를 포함하고, 범퍼(118)는 턴테이블(64)의 밑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턴테이블(64)은 180도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제한된다. 예컨대, 0도 회전에서, 범퍼(118)는 댐퍼(116) 중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턴테이블(64)은 범퍼(118)가 다른 댐퍼(116)와 접촉하기 전에 180도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턴테이블(6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한다. 댐퍼(116) 및 범퍼(118)는 고무,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다양한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퍼(116)는 턴테이블(64)이 180도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잠금 핀 조립체(106)는 턴테이블(64)의 단부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댐핑 조립체(104)와 함께 작동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범퍼(118)가 댐퍼(116) 중 하나와 접촉할 때, 하나 이상의 잠금 핀 조립체(106)가 맞물려서 턴테이블(64)이 희망 위치에서 벗어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핀 조립체(106)는 잠금 핀(120) 및 2개의 잠금 핀 리셉터클(122)을 포함한다. 잠금 핀(120)은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잠금 핀 리셉터클(122)은 턴테이블(64)의 대향 단부들에서(예컨대, 턴테이블(64)의 중심에 대해 180도 이격됨) 턴테이블(6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턴테이블(64)이 제 1 위치(예컨대, 0도)에 있을 때, 잠금 핀 리셉터클(122) 중 하나가 잠금 핀(120)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 1 위치에서 벗어나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핀(120)이 잠금 핀 리셉터클(122)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예컨대, 유압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턴테이블을 제 1 위치에 잠글 수 있다. 실제로, 턴테이블(64)이 제 1 위치에서 벗어나게 회전하기 위해, 잠금 핀(120)은 먼저 잠금 핀 리셉터클(1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 후, 턴테이블(64)은 다른 잠금 핀 리셉터클(122)이 잠금 핀(120) 위에 위치되는 제 2 위치로 회전(예컨대, 180도 회전)할 수도 있다. 다시 한번, 턴테이블(64)이 제 2 위치에서 벗어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핀(120)이 잠금 핀 리셉터클(122) 내로 연장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 핀 리셉터클(122)은 180도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떨어져서 배치된 위치에 턴테이블(64)을 잠그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은 모터(108), 기어박스(112) 및 버스 바(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터(108)는 기어박스(112)에 회전 동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12)는 모터(108)로부터 공급된 회전 동력을, 연결부(124)를 통해 턴테이블(64)에 공급되는 적절한 회전 속도로 변환할 수도 있다. 연결부(124)는 턴테이블(64)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스플라인 연결부(splined connection)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터(108)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턴테이블(64)에 공급되어 턴테이블(64)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터(108)는 또한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플랫폼(30)을 병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은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플랫폼(30)을 병진시키는 것에 전용인 제 2 모터(123)(도 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모터(123)는 탑승물 시스템(10)의 바닥에 장착될 수 있으며, 플랫폼(30)은 제 2 모터(123)에 대해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버스 바(110)는 모터(10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예컨대, 발전기, 전력망 등)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터(108)는 (예컨대, 와이어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버스 바(110)는 제어기(8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플랫폼(30)의 다양한 파라미터(예컨대, 위치)를 제어기(82)에 전달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은 턴테이블(64)의 회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센서(128)(예컨대, 인코더, 자기 센서, 홀 효과 센서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 모터(108)는 회전 센서(1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회전 센서(128)는 턴테이블(64)의 회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기(82)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제어기(82)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턴테이블(64)의 회전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 1, 제 2 또는 제 3 트랙 세그먼트(32, 34, 36)를 포함할 수 있는 플랫폼(30)의 비회전 부분(130)의 사시도이다. 턴테이블 부분(99)과 유사하게, 비회전 부분(130)은 비회전 부분(130) 및 비회전 부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탑승물 차량(12)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병진 캐스터(100)(예컨대, 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병진 캐스터(100)는 또한 플랫폼(30)이 주 위치(39)와 부 위치(45) 사이에서 병진할 때 플랫폼(30)의 균형을 잡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또한, 플랫폼(30)의 턴테이블 부분(99) 및 비회전 부분(130)은 커넥터 플레이트(13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랫폼(30)의 일부(예컨대, 턴테이블 부분(99) 및/또는 비회전 부분(130))의 커넥터 플레이트(132)는 플랫폼(30)의 인접한 부분의 커넥터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30)의 인접 부분들의 커넥터 플레이트(132)는 서로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플레이트(132)는 다양한 이유로(예컨대, 유지보수)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플랫폼(30)의 인접 부분들의 커넥터 플레이트(132)는 서로 용접될 수도 있다.
도 7은 탑승물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2)는 플랫폼(30), 차량 탐지 시스템(80) 및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제로,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기(82), 플랫폼(30), 차량 탐지 시스템(80) 및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은 무선 통신망(예컨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무선 광역 통신망[WWAN], 무선 근거리 통신[NFC])를 통해, 및/또는 유선 통신망(예컨대,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기(82)는 차량 탐지 시스템(80) 및/또는 플랫폼 탐지 시스템(81)으로부터 탑승물 차량(12) 및 플랫폼(30)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기(82)는 탑승물 차량(12) 및 플랫폼(3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들 신호를 처리 및 분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기(82)는 디스플레이(142)를 포함할 수 있는 조작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탑승물 차량(12) 및 플랫폼(30)의 위치를 조작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플랫폼(30)을 작동시키기 위해, 예컨대 플랫폼(30)의 부분들을 병진 및/또는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제어기(8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82)는 트랙 스위치 조립체(28)에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12)이 유지보수 예정이거나 차량(12)과 관련된 에러 또는 다른 유지보수 플래그를 갖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 또는 탑승물 차량(12)들이 트랙 스위치 조립체(28)에 접근할 때, 탑승물 차량(12)은 트랙 스위치 조립체(28) 상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감속하기 위해 브레이크 신호를 수신한다. 플랫폼(30)이 탑승물 차량(12)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트랙 스위치 조립체(28)는 또한 턴테이블(64)을 어트랙션 루프(14)의 적절한 트랙(23)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차량 탐지 시스템(80)으로부터의) 탑승물 차량(12)이 제 위치에 있다는 신호에 기초하여, 트랙 스위치 조립체(28)는 플랫폼(30) 및 턴테이블(64)을 이동시켜서 탑승물 차량(12)을 보조 루프(16)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다른 예에서, 탑승물이 작동 중이고 어트랙션 루프(14)를 가로지르는 탑승물 차량(12)이 유지보수 신호를 갖지 않은 경우, 플랫폼(30)은 그것의 트랙 세그먼트가 어트랙션 루프(14)를 닫거나 또는 완료하고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탑승물 차량(12)이 플랫폼(30)이 정지된 상태에서 플랫폼(30)을 가로질러 가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들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생각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키고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제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고 그에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범위가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의도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21)

  1. 탑승물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를 포함한 이중 트랙 루프;
    상기 이중 트랙 루프와 이격된 단일 트랙 루프;
    상기 이중 트랙 루프와 상기 단일 트랙 루프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트랙;
    상기 크로스 트랙 상에 배치된 플랫폼― 상기 플랫폼은 상기 이중 트랙 루프의 제 1 트랙 루프 및 제 2 트랙 루프와 정렬된 위치와 상기 단일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정렬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 상에 위치된 제 1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고 상기 플랫폼의 고정 부분 상의 제 2 탑승물 차량에 대한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됨 ―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트랙에 인접한 상기 제 1 트랙 루프와 상기 제 2 트랙 루프를 분리하는 제 1 거리는 상기 크로스 트랙에 인접한 상기 단일 트랙 루프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분리하는 제 2 거리와 동일한
    탑승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이 주 위치(primary position)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트랙 루프로부터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그리고 상기 제 2 트랙 루프로부터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일 트랙 루프는 상기 플랫폼이 부 위치(secondary position)에 있는 동안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 및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이 상기 플랫폼에 대해 제 1 방향을 향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일 트랙 루프는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이 상기 플랫폼에 대해 제 2 방향을 향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탑승물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제 1 트랙 세그먼트, 제 2 트랙 세그먼트, 제 3 트랙 세그먼트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플랫폼의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탑승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주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제 3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트랙 루프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고 상기 제 4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트랙 루프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는
    탑승물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부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트랙 루프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고, 상기 제 2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트랙 루프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고, 상기 제 3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단일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고, 상기 제 4 트랙 세그먼트는 상기 단일 트랙 루프의 제 2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는
    탑승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의 위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차량 탐지 시스템;
    상기 플랫폼의 위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플랫폼 탐지 시스템; 및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차량 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플랫폼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플랫폼 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10. 트랙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을 포함하는 플랫폼;
    상기 회전 부분에 결합된 트랙 세그먼트― 상기 회전 부분은 상기 정지 부분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트랙 세그먼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됨 ―;
    상기 회전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모터;
    상기 플랫폼의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이 레일을 따라 병진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플랫폼에 결합된 레일;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며 상기 플랫폼을 상기 레일을 따라 병진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모터를 포함하는
    트랙 스위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세그먼트는 제 1 트랙 세그먼트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정지 부분에 결합된 제 2 트랙 세그먼트, 제 3 트랙 세그먼트 및 제 4 트랙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트랙 세그먼트가 상기 제 2 트랙 세그먼트, 상기 제 3 트랙 세그먼트 및 상기 제 4 트랙 세그먼트에 대한 방향을 변경하게 되는
    트랙 스위치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나가는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을 탐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차량 탐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트랙 스위치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른 상기 플랫폼의 위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플랫폼 탐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트랙 스위치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 상에 위치된 차량이 유지보수할 예정이라는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트랙 스위치 시스템.
  15. 인접한 트랙들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을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랫폼의 제 1 트랙 세그먼트 상에서 제 1 트랙으로부터 제 1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는 것― 상기 플랫폼은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을 포함함 ―;
    상기 플랫폼의 제 2 트랙 세그먼트 상에서 제 2 트랙으로부터 제 2 탑승물 차량을 수용하는 것;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상기 제 1 트랙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상기 제 1 트랙 세그먼트를 제 3 트랙 루프의 제 1 부분과 정렬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상기 제 2 트랙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상기 제 2 트랙 세그먼트를 상기 제 3 트랙 루프의 제 2 부분과 정렬시키기 위해, 제 1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랫폼의 정지 부분 및 회전 부분을 레일을 따라 병진시키는 것;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 2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랫폼의 회전 부분을 회전시키는 것;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을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 3 트랙 루프로 이송시키는 것; 및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 3 트랙 루프로 이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운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운반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통해, 차량 탐지 센서로부터의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이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 또는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수용할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차량 탐지 센서로부터의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이 상기 제 1 탑승물 차량 또는 상기 제 2 탑승물 차량을 이송시킬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운반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탑승물 차량 또는 제 2 탑승물 차량과 관련된 유지보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을 병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운반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병진 및 상기 플랫폼의 회전은 동시에 발생하는
    탑승물 차량 운반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207009600A 2017-09-06 2018-08-09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97,159 2017-09-06
US15/697,159 US10835833B2 (en) 2017-09-06 2017-09-06 System and method for track ride vehicle orientation
PCT/US2018/046091 WO2019050652A1 (en) 2017-09-06 2018-08-09 SYSTEM AND METHOD FOR TRACK VEHICLE ORIEN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664A KR20200047664A (ko) 2020-05-07
KR102610550B1 true KR102610550B1 (ko) 2023-12-05

Family

ID=6340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600A KR102610550B1 (ko) 2017-09-06 2018-08-09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35833B2 (ko)
EP (1) EP3678752A1 (ko)
JP (1) JP7091448B2 (ko)
KR (1) KR102610550B1 (ko)
CN (1) CN111050868B (ko)
CA (1) CA3073974A1 (ko)
RU (1) RU2768127C2 (ko)
SG (1) SG11202001233QA (ko)
WO (1) WO2019050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833B2 (en) * 2017-09-06 2020-11-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ck ride vehicle orientation
US11787447B2 (en) * 2019-03-31 2023-10-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DE102019217954A1 (de) * 2019-11-21 2021-05-27 Robert Bosch Gmbh Überführeinrichtung für selbstfahrende Wagen an einem hochbahnähnlichen Streckennetz
US11826667B1 (en) * 2021-05-11 2023-11-28 Erick Tinsley Roller coaster with separable cars and path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4100A1 (en) 1998-12-04 2000-06-15 Thomson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arriage assembly between rails
JP2002035436A (ja) 2000-07-19 2002-02-05 Senyo Kogyo Kk 娯楽用乗物装置
EP3031756A1 (en) 2014-12-08 2016-06-1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inear driv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738A (en) 1975-10-09 1977-07-26 American Chain & Cable Company, Inc. Transfer apparatus
LU78204A1 (de) 1977-09-29 1979-05-25 Bleichert Foerderanlagen Gmbh Einschienenfoerderanlage
DE3423916A1 (de) 1984-06-26 1986-01-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oerderanlage mit einer horizontalen und einer vertikalen profilschienentrasse und einer einrichtung zur wahlweisen ueberfuehrung von fahrwerken von einer auf die andere profilschienentrasse
JP3073297B2 (ja) 1992-01-21 2000-08-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ート旋回設備
JPH08112454A (ja) * 1994-10-18 1996-05-07 Masago Kogyo Kk ジェットコースター
US6006672A (en) 1998-02-03 1999-12-28 O.D. Hopkins Associates, Incorporated Boat reversing waterway
JP4211080B2 (ja) * 1998-03-05 2009-01-21 神鋼電機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US6502688B1 (en) 2000-10-30 2003-01-07 Pace Packag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plastic container unscrambling
JP4041724B2 (ja) * 2002-11-18 2008-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物品反転装置
DE20316695U1 (de) 2003-10-29 2005-03-17 Raw Tex Internat Ag Schaan Hubvorrichtung für Fahrgastträger
US20050092580A1 (en) * 2003-11-03 2005-05-05 Clemens William J. Conveyor belt transport align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US8038541B1 (en) 2004-02-17 2011-10-18 Jared Freeman Solomon Motion based system
US7784405B2 (en) * 2008-04-24 2010-08-31 Disney Enterprises, Inc. Vehicle transfer during operation of an omnimover ride
US8578857B2 (en) 2011-12-08 2013-11-12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passenger loading separated from vehicle insertion into simulators
CN203494152U (zh) * 2013-10-15 2014-03-26 中山市金马科技娱乐设备有限公司 游乐设施的换轨对位结构
DE102014101007B8 (de) * 2014-01-28 2015-05-13 Mack Rid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Änderung der Fahrtrichtung eines schienengebundenen Fahrzeugs, schienengebundenes Fahrgeschäf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orrichtung
US9084941B1 (en) 2014-09-22 2015-07-21 Eric Fram Combination ride for amusement park
CN107427727B (zh) * 2015-03-03 2021-02-26 动力景点有限公司 横向轨道切换元件
CN204601603U (zh) * 2015-04-29 2015-09-02 万达文化旅游规划研究院有限公司 一种悬挂过山车动感轨道系统
CN105536254A (zh) * 2016-01-29 2016-05-04 南宁市庆恒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主动转盘
US10835833B2 (en) * 2017-09-06 2020-11-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ck ride vehicle orien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4100A1 (en) 1998-12-04 2000-06-15 Thomson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arriage assembly between rails
JP2002035436A (ja) 2000-07-19 2002-02-05 Senyo Kogyo Kk 娯楽用乗物装置
EP3031756A1 (en) 2014-12-08 2016-06-1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inear driv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3068A (ja) 2020-11-19
RU2768127C2 (ru) 2022-03-23
EP3678752A1 (en) 2020-07-15
RU2020112497A3 (ko) 2021-11-17
US10835833B2 (en) 2020-11-17
CN111050868A (zh) 2020-04-21
RU2020112497A (ru) 2021-10-06
WO2019050652A1 (en) 2019-03-14
CA3073974A1 (en) 2019-03-14
JP7091448B2 (ja) 2022-06-27
SG11202001233QA (en) 2020-03-30
US20190070515A1 (en) 2019-03-07
CN111050868B (zh) 2022-01-11
KR20200047664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550B1 (ko) 트랙 탑승물 차량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346300B1 (en) Movable article inspection system
US9890025B2 (en) Mechanical tipping assembly for mobile drive unit of inventory system
US3891100A (en) Storage with automatic handling means for storing articles
CN103122719A (zh) 一种自动车库
CN104477211B (zh) 同转向架轮对探伤系统
CN106132864A (zh) 用于确定无绳电梯系统中磁性部件的磁场取向的系统和方法
CN107953904A (zh) 一种车辆停靠控制方法及站级控制系统
CN206020304U (zh) 可移动式物品检查系统
US7318379B2 (en) Rail-guided transportation system for containers
CN106226336A (zh) 移动式物品检查系统、方法及港口
CN103529061A (zh) 车载式辐射检查系统
US11656622B2 (en) Autonomous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JPS6181863A (ja) 荷物移載装置付き無人搬送車
JP3261445B2 (ja) 搬送設備
CN218287937U (zh) 一种用于千斤顶零部件的agv自动运料系统
JPH05139684A (ja) 可動体使用の車格納設備
JPS6243884Y2 (ko)
JP4304588B2 (ja) 物品搬送車
JP2004018222A (ja) 搬送台車監視装置
JPH0750389Y2 (ja) 可動構造物のアンカー装置
JP2631148B2 (ja) 斜め向き走行可能な自走形搬送装置
JP2636522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JPS58195904A (ja) 自動走行台車の位置修正装置
JP2001282353A (ja) 無人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