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938B1 -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938B1
KR102607938B1 KR1020217023752A KR20217023752A KR102607938B1 KR 102607938 B1 KR102607938 B1 KR 102607938B1 KR 1020217023752 A KR1020217023752 A KR 1020217023752A KR 20217023752 A KR20217023752 A KR 20217023752A KR 102607938 B1 KR102607938 B1 KR 10260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outer layer
layer
inner layer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696A (ko
Inventor
브라이언 맥나마라
이안 디. 후치슨
제라드 티. 버스
데이비드 에이. 리치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9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2Multilayer structures of sleeves, washers or liners
    • F16C33/125Details of bearing layers, i.e. the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2Multilayer structures of sleeves, washers or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1Use of speci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3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3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 F16C33/206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with thre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02Mechanic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30Fluoro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30Fluoropolymers
    • F16C2208/32Polytetrafluorethylene [PT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40Imides, e.g. polyimide [PI], polyetherimide [PE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40Imides, e.g. polyimide [PI], polyetherimide [PEI]
    • F16C2208/42Polyamideimide [PA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40Imides, e.g. polyimide [PI], polyetherimide [PEI]
    • F16C2208/44Polybenzimidazole [PB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76Polyolefins, e.g. polyproylene [P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01F2007/163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with axial 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 및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층 및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본 발명은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특히,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으로 배럴과 배럴 내에서 움직이는 전기자 또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움직이는 전기자 또는 피스톤은 사용 중에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두 부분 사이의 마찰은 극심한 금속 피로와 마모를 야기하여, 솔레노이드의 기대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배럴의 내부 표면 및 움직이는 전기자 또는 피스톤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솔레노이드 내의 추가 구성 요소, 즉 라이너가 필요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가 제공되는데, 상기 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가 제공되는데, 상기 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가 제공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는 배럴, 배럴 내의 전기자, 및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전기자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용 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가 제공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는 배럴, 배럴 내의 전기자, 및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전기자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용 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예시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구성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의 예시를 포함하며,
도 3은 샘플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대한 마모 회전 대 마찰 계수의 그래프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면의 요소가 단순성과 명학성을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실측으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과 실시예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개념을 기술하는 데 도움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 및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기술된 것과 같이 그 밖의 실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성하다", "구성하는", "가지다", "가지는", 또는 그 밖의 임의의 변형 용어들은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장치, 물품, 또는 방법은 반드시 상기 특징부들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기재된 그 밖의 다른 특징부들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시적으로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 한, 용어 "또는"은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지 배제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태 A 또는 B는 다음과 같이: A가 참(또는 존재)이고 B는 거짓(또는 부존재)인 것, A는 거짓(또는 부존재)이고 B는 참(또는 존재)인 것, 그리고 A와 B 둘 다 참(또는 존재)인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또한, 관사 "a" 또는 "an"을 사용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요소 및 구성요소들을 기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일반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편의상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그 밖에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하나, 하나 이상 또는 단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단일의 물품이 기술되면, 단일의 물품 대신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기술되면, 하나 이상의 물품을 단일의 물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 코어층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 및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하는 5개의 구성 요소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코어층(110),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120), 제1 외부층(120)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130),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대향하는 코어층(110)의 제2 표면(114)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140), 및 제1 내부층(140)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특정 함량의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층(110)은, 코어층(1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폴리이미드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코어층(1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폴리이미드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층(110) 내의 폴리이미드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코어층(110) 내의 폴리이미드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폴리이미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특정 재료 또는 층의 용융 유량은 372℃의 온도에서 ASTM # D-2116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약 2.0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적어도 대략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함량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층(120) 내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개질된 PTF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함량의 개질된 PTF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제1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층(120) 내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층(120) 내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개질된 PTFE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외부층(12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적층될 수 있다(laminat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1 외부층(120)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층(130)은, 제2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2 외부층(13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층(13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층(13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1 외부층(120)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특정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특정 층의 표면 마찰 계수는 6,000 cs 실리콘 오일로 윤활되고 140℃의 온도에서 1/4인치 폴리이미드 마모 구와 접촉하는 260 mm/초에서 9뉴턴 수직력 하에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약 0.2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15 이하 또는 약 0.1 이하 또는 약 0.05 이하 또는 약 0.04 이하 또는 약 0.035 이하 또는 약 0.034 이하 또는 약 0.033 이하 또는 약 0.032 이하 또는 약 0.031 이하 또는 약 0.030 이하 또는 약 0.029 이하 또는 이하 약 0.028 이하 또는 약 0.027 이하 또는 약 0.026 이하 또는 약 0.025 이하 또는 약 0.024 이하 또는 약 0.023 이하 또는 약 0.022 이하 또는 약 0.021 이하 또는 약 0.020 또는 약 0.019 이하 또는 약 0.018 이하 또는 약 0.017 이하 또는 약 0.016 이하 또는 심지어는 약 0.015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약 0.010 이상, 가령, 약 0.011 이상, 심지어는 약 0.012 이상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층(130)의 표면 마찰 계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층(130)의 표면 마찰 계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특정 함량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층(130)은, 제2 외부층(12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2 외부층(13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층(130) 내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층(130) 내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2 외부층(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1 외부층(120)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제1 외부층(120)에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외부층(130)은 제1 외부층(120)에 적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14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층(14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특정 재료 또는 층의 용융 유량은 372℃의 온도에서 ASTM # D-2116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약 2.0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적어도 대략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140) 내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층(120) 내의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함량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140) 내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층(140) 내의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개질된 PTF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함량의 개질된 PTF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또는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제1 내부층(1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층(140) 내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층(140) 내의 개질된 PTFE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개질된 PTFE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층(120)은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1 내부층(140)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특정 함량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층(150)은, 제2 내부층(15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2 내부층(15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층(15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층(150) 내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1 내부층(140)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특정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특정 층의 표면 마찰 계수는 6,000 cs 실리콘 오일로 윤활되고 140℃의 온도에서 1/4인치 폴리이미드 마모 구와 접촉하는 260 mm/초에서 9뉴턴 수직력 하에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약 0.2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15 이하 또는 약 0.1 이하 또는 약 0.05 이하 또는 약 0.04 이하 또는 약 0.035 이하 또는 약 0.034 이하 또는 약 0.033 이하 또는 약 0.032 이하 또는 약 0.031 이하 또는 약 0.030 이하 또는 약 0.029 이하 또는 이하 약 0.028 이하 또는 약 0.027 이하 또는 약 0.026 이하 또는 약 0.025 이하 또는 약 0.024 이하 또는 약 0.023 이하 또는 약 0.022 이하 또는 약 0.021 이하 또는 약 0.020 또는 약 0.019 이하 또는 약 0.018 이하 또는 약 0.017 이하 또는 약 0.016 이하 또는 심지어는 약 0.015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약 0.010 이상, 가령, 약 0.011 이상, 심지어는 약 0.012 이상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층(150)의 표면 마찰 계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층(150)의 표면 마찰 계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특정 함량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층(150)은, 제2 내부층(15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이상 또는 약 60 중량% 이상 또는 약 65 중량% 이상 또는 약 70 중량% 이상 또는 약 75 중량% 이상 또는 약 80 중량% 이상 또는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또는 약 96 중량% 이상 또는 약 97 중량% 이상 또는 약 98 중량% 이상 또는 약 99 중량% 이상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2 내부층(15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0 중량%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층(150) 내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층(150) 내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의 함량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2 내부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1 내부층(140)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1 내부층(140)에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제1 내부층(140)에 적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120)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110)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02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4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가질 수 있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CT/CLT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SOCT는 제2 외부층(130)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110)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02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4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가질 수 있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FILT는 제1 내부층(140)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110)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02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4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가질 수 있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150)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110)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02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0.4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가질 수 있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층(110)은, 약 10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층(110)은, 약 15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145μm 이하 또는 약 140μm 이하 또는 약 135μm 이하 또는 약 135μm 이하 또는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이하 μm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약 70 μm 이하 또는 약 65 μm 이하 또는 약 60 μm 이하 또는 약 55 μm 이하 또는 약 50 μm 이하 또는 약 45 μm 이하 또는 약 40 μm 이하 또는 약 35 μm 이하 또는 약 30 μm 이하 또는 약 25 μm 이하 또는 약 20μm 이하 또는 약 15μm 이하 또는 약 1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코어층(11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코어층(11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층(120)은, 약 1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층(120)는, 약 1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층(12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층(12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층(130)은, 약 1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층(130)는, 약 1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층(13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층(13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층(140)은, 약 1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층(140)는, 약 1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층(14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층(14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층(150)은, 약 1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층(150)는, 약 1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층(15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층(15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10μm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50μm 이상 또는 약 55μm 또는 약 60μm 이상 또는 약 6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69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2000μm 이하, 가령, 예를 들어, 약 195μm 이하 또는 약 190μm 이하 또는 약 185μm 이하 또는 약 180μm 이하 또는 175 μm 이하 또는 약 170 μm 이하 또는 약 165 μm 이하 또는 약 160 μm 이하 또는 약 155 μm 이하 또는 약 150 μm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μm 또는 약 140 μm 이하 또는 약 135 μm 이하 또는 약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μm 이하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심지어는 약 71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 베어링 라이터(10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특정 마모율(wear rating)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마모율은 6,000 cs 실리콘 오일로 윤활되고 140℃의 온도에서 1/4인치 폴리이미드 마모 구와 접촉하여 260mm/초에서 9뉴턴 수직력 하에 측정된 마찰계 테스트를 사용하여 테스트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마모율은 마찰 측정기 테스트에서 실패 전에 완료된 회전 수와 같으며, 실패는 마찰 측정기 테스트 동안 정상-상태 값에 비해 COF의 50% 증가로 정의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는 약 35,000 이상, 가령, 예를 들어, 약 40,000 이상 또는 약 45,000 이상 또는 약 50,000 이상 또는 약 75,000 이상 또는 약 100,000 이상 또는 약 125,000 이상 또는 약 150,000 이상 또는 약 175,000 이상 또는 약 200,000 이상 또는 약 225,000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250,000 이상의 마모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솔레노이드에 통합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200)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0)가 배럴(210), 배럴(210) 내의 전기자(220) 및 솔레노이드(200)의 배럴(210)과 솔레노이드(200)의 전기자(220) 사이에 배치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200)의 배럴(210)은 또한 폴튜브(poletube)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배럴은 일체형으로 밀링되거나 적어도 두 부분으로 용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200)의 전기자(220)는 또한 플런저 또는 피스톤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230)는 솔레노이드의 배럴(21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200)는 이동 동안 전기자(220)가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230)의 표면과 접촉하는 이동 부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0)의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230)은, 임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100)에 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0)의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0),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120), 제1 외부층(120)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130), 코어층(110)의 제1 표면(112)에 대향하는 코어층(110)의 제2 표면(114)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140), 및 제1 내부층(140)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양태들과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태들과 실시예들 중 몇몇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본 명세서를 읽고 나면,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양태들과 실시예들이 오직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밑에 기술된 것과 같이,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를 수 있다.
실시예 1.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로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며, 제1 내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고;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된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내부층은 제1 내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내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로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된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372℃에서 약 2.0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32,000 이상의 마모율을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마모율은 마찰 측정기 테스트에서 실패 전에 완료된 회전 수와 같고, 실패는 마찰 측정기 테스트 동안 정상-상태 값에 비해 COF의 50% 증가로 정의되며, 약 35,000 이상 또는 약 40,000 이상 또는 약 45,000 이상 또는 약 50,000 이상 또는 약 75,000 이상 또는 약 100,000 이상 또는 약 125,000 이상 또는 약 150,000 이상 또는 약 175,000 이상 또는 약 200,000 이상 또는 약 225,000 이상 또는 약 250,000 이상의 마모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폴리이미드 재료로 구성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구성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6.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구성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7.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에 접합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1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과 접촉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에 접합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에 접합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과 접촉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에 접합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6.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7.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OLT는 제2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OLT는 제2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2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ILT는 제1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ILT는 제1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10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150μm 이하 또는 약 145μm 이하 또는 약 140μm 이하 또는 약 135μm 이하 또는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이하 μm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약 70 μm 이하 또는 약 65 μm 이하 또는 약 60 μm 이하 또는 약 55 μm 이하 또는 약 50 μm 이하 또는 약 45 μm 이하 또는 약 40 μm 이하 또는 약 35 μm 이하 또는 약 30 μm 이하 또는 약 25 μm 이하 또는 약 20μm 이하 또는 약 15μm 이하 또는 약 10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6.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7.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3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10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50μm 이상 또는 약 55μm 또는 약 60μm 이상 또는 약 6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6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200μm 이하 또는 약 195μm 이하 또는 약 190μm 이하 또는 약 185μm 이하 또는 약 180μm 이하 또는 175 μm 이하 또는 약 170 μm 이하 또는 약 165 μm 이하 또는 약 160 μm 이하 또는 약 155 μm 이하 또는 약 150 μm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μm 또는 약 140 μm 이하 또는 약 135 μm 이하 또는 약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μm 이하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심지어는 약 7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실시예 45. 배럴; 배럴 내의 전기자; 및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전기자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로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며, 제1 내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고;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된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내부층은 제1 내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내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46. 배럴; 배럴 내의 전기자; 및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전기자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로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된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47.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배럴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48. 실시예 46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49. 실시예 46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0. 실시예 46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372℃에서 약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1. 실시예 46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2. 실시예 45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3. 실시예 45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4. 실시예 45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5. 실시예 45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6.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32,000 이상의 마모율을 포함하되, 여기서 마모율은 마찰 측정기 테스트에서 실패 전에 완료된 회전 수와 같고, 실패는 마찰 측정기 테스트 동안 정상-상태 값에 비해 COF의 50% 증가로 정의되며, 약 35,000 이상 또는 약 40,000 이상 또는 약 45,000 이상 또는 약 50,000 이상 또는 약 75,000 이상 또는 약 100,000 이상 또는 약 125,000 이상 또는 약 150,000 이상 또는 약 175,000 이상 또는 약 200,000 이상 또는 약 225,000 이상 또는 약 250,000 이상의 마모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7.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폴리이미드 재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8.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59.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0.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1.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2.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3.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에 접합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4.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과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5.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에 접합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6.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7.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코어층의 제1 표면에 접합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8.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과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69.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제1 외부층에 접합되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0.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1.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2.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SOLT는 제2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3.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SOLT는 제2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4.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FI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5.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FILT는 제1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6.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02 이상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03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5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7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09 이상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7.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0.4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포함하되,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약 0.3 이하 또는 약 0.2 이하 또는 약 0.19 이하 또는 약 0.18 이하 또는 약 0.17 이하 또는 약 0.16 이하 또는 약 0.15 이하 또는 약 0.14 이하 또는 약 0.13 이하 또는 약 0.12 이하 또는 약 0.11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을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8.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10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79.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150μm 이하 또는 약 145μm 이하 또는 약 140μm 이하 또는 약 135μm 이하 또는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이하 μm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약 70 μm 이하 또는 약 65 μm 이하 또는 약 60 μm 이하 또는 약 55 μm 이하 또는 약 50 μm 이하 또는 약 45 μm 이하 또는 약 40 μm 이하 또는 약 35 μm 이하 또는 약 30 μm 이하 또는 약 25 μm 이하 또는 약 20μm 이하 또는 약 15μm 이하 또는 약 10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0.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1.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2.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3.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4.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5.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6.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1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4.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7.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약 10μm 이하 또는 약 9.5μm 이하 또는 약 9.0μm 이하 또는 약 8.5μm 이하 또는 약 8.0μm 이하 또는 약 7.5μm 이하 또는 약 7.0μm 이하 또는 약 6.5μm 이하 또는 약 6.0μm 이하 또는 약 5.5μm 이하 또는 약 5.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8.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10μm 이상 또는 약 15μm 이상 또는 약 20μm 이상 또는 약 25μm 이상 또는 약 30μm 이상 또는 약 35μm 또는 약 40μm 이상 또는 약 45μm 이상 또는 약 50μm 이상 또는 약 55μm 또는 약 60μm 이상 또는 약 65μm 이상 또는 심지어는 약 69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실시예 89. 실시예 45 및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약 200μm 이하 또는 약 195μm 이하 또는 약 190μm 이하 또는 약 185μm 이하 또는 약 180μm 이하 또는 175 μm 이하 또는 약 170 μm 이하 또는 약 165 μm 이하 또는 약 160 μm 이하 또는 약 155 μm 이하 또는 약 150 μm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μm 또는 약 140 μm 이하 또는 약 135 μm 이하 또는 약 130 μm 이하 또는 약 125 μm 이하 또는 약 120 μm 이하 또는 약 115 μm 이하 또는 약 110 μm 이하 또는 약 105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95 μm 이하 또는 약 90 μm 이하 또는 약 85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75 μm 이하 또는 심지어는 약 71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솔레노이드.
예시예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념은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예시예 1
샘플 저마찰 라이너(S1)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라 형성하였다. 샘플 저마찰 라이너는 두께가 50μm인 폴리이미드 재료의 코어층을 가졌다. 코어층의 양면을 FEP 재료 층으로 코팅시켰다. FEP 재료의 층은 모두 5μm의 두께를 가졌다. 그 뒤 FEP 재료의 양쪽 외부면을 PTFE 재료 층으로 코팅시켰다. PTFE 재료의 층은 모두 5μm의 두께를 가졌다.
성능 비교를 위해 2개의 비교 샘플 저마찰 라이너(CS1 및 CS2)를 사용하였다. 비교 샘플(CS1)은 직물 코어를 갖고 주조 PTFE 층으로 코팅시켰다. 비교 샘플(S1)의 총 두께는 150μm였다. 비교 샘플(S2)은 직물 코어를 갖고 개질된 PTFE 층으로 코팅시켰다. 비교 샘플(S2) 총 두께는 150μm였다.
6,000 cs 실리콘 오일로 윤활되고 140℃의 온도에서 1/4인치 폴리이미드 마모 구와 접촉하여 260mm/초에서 9뉴턴 수직력 하에 측정된 마찰계 테스트를 사용하여, 마찰 계수 및 마모율을 결정하기 위해, 샘플(S1) 및 비교 샘플(CS1)을 테스트 하였다.
도 3은 샘플(S1) 및 비교 샘플(CS1 및 CS2)에 대한 마모 회전 대 마찰 계수의 그래프를 포함한다. 비교 테스트의 결과가 하기 표 1에 도시된다.
위에 기술된 모든 특징들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데, 이는 특정의 특징들 중 한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위에 기술된 특징들 외에도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추가로, 상기 특징들이 기술된 순서가 반드시 이러한 특징들이 수행되는 순서일 필요도 없다.
특정 실시예들에 관해, 위에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 혜택, 및 그 밖의 이점들이 기술되었다. 하지만,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 혜택, 및 이점들, 및 임의의 해결방안, 혜택, 이점들이 생성되거나 보다 자명하게 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필수불가결한, 요구되는 또는 핵심적인 특징들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을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예시되고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 또는 방법들을 사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들의 모든 특징 및 요소들에만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개별 실시예들이 단일의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그와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의 실시예로 기술된 다양한 특징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로, 특정 범위에 기술된 값들에 대한 기준은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그리고 각각의 값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를 읽고 난 뒤에,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그 밖의 다른 다수의 실시예들이 자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그 밖의 다른 실시예들이 유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구조적으로 대체되거나, 국부적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임의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5)

  1.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1 외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외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상기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1 내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내부층은 제1 내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내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2. 솔레노이드용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외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외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내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내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외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외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부층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개질된 PTFE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제2 내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재료,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 재료 또는 개질된 PTFE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32,000 이상의 마모율을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마모율은 마찰 측정기 테스트에서 실패 전에 완료된 회전 수와 같고, 실패는 마찰 측정기 테스트 동안 정상-상태 값에 비해 마찰 계수(COF)의 50% 증가로 정의되는,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0.02 이상 및 0.4 이하의 제1 외부층 두께 비율 F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O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0.02 이상 및 0.4 이하의 제2 외부층 두께 비율 SO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OLT는 제2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0.02 이상 및 0.4 이하의 제1 내부층 두께 비율 F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FILT는 제1 외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하며,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0.02 이상 및 0.4 이하의 제2 내부층 두께 비율 SILT/CLT를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SILT는 제2 내부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LT는 코어층의 두께와 동일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11. 솔레노이드로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배럴;
    배럴 내의 전기자; 및
    배럴의 내부 표면과 전기자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는:
    폴리이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제1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1 외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외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부층은 제1 외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외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코어층의 제2 표면 위에 배열되는 제1 내부층을 포함하되,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제1 내부층은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1 내부층은 372℃에서 2g/10분 이상의 용융 유량을 가지며;
    제1 내부층 위에 배열되는 제2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내부층은 제1 내부층의 플루오로폴리머 재료와 구별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내부층은 0.2 이하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갖는, 솔레노이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23752A 2018-12-27 2019-12-18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KR10260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5488P 2018-12-27 2018-12-27
US62/785,488 2018-12-27
PCT/US2019/067018 WO2020139640A1 (en) 2018-12-27 2019-12-18 Solenoid low friction bearing l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696A KR20210096696A (ko) 2021-08-05
KR102607938B1 true KR102607938B1 (ko) 2023-12-01

Family

ID=711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752A KR102607938B1 (ko) 2018-12-27 2019-12-18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62531B2 (ko)
EP (1) EP3903010A4 (ko)
JP (1) JP7202466B2 (ko)
KR (1) KR102607938B1 (ko)
CN (1) CN113272567B (ko)
MX (1) MX2021007389A (ko)
WO (1) WO2020139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8789B2 (ja) 2018-12-27 2022-11-09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リンタアセンブリの低摩擦ローラライナ
EP3903010A4 (en) 2018-12-27 2022-11-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LOW FRICTION BEARING LINER FOR SOLENOID
EP4259946A1 (en) * 2020-12-11 2023-10-1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olenoid low friction bearing l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9846A (ja) * 2010-09-28 2013-10-28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ブッシュのためのキャストフルオロポリマーフィルム
JP2014518989A (ja) * 2011-04-29 2014-08-07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接着層中のfepまたはpfaによる保守不要のスライドベアリング
DE102014218319A1 (de) * 2014-09-12 2015-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leitlagerkomponente und Lageranordnung mit dieser
JP2018185007A (ja) * 2017-04-26 2018-11-22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摺動部品及び摺動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9750A (en) 1949-07-27 1951-07-10 Du Pont Aqueous colloidal dispersions of polytetrafluoroethylene and the formation of shapedstructures therefrom
US2559752A (en) 1951-03-06 1951-07-10 Du Pont Aqueous colloidal dispersions of polymers
US2833686A (en) 1955-06-20 1958-05-06 Du Pont Bonding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s
BE560454A (ko) 1957-03-29
US3179614A (en) 1961-03-13 1965-04-20 Du Pont Polyamide-acids, compositions thereof,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3179634A (en) 1962-01-26 1965-04-20 Du Pont Aromatic polyimides and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m
US3616177A (en) 1969-09-17 1971-10-26 Du Pont Laminar structures of polyimides and wire insulated therewith
US4628003A (en) 1981-08-07 1986-12-09 Morton Katz High temperature heat seal film
DE3309904A1 (de) * 1983-03-18 1984-09-20 Mannesmann Rexroth GmbH, 8770 Lohr Elektromagnet und magnetventil
US5238748A (en) 1989-02-23 1993-08-24 Chemfab Corporation Polyimide and fluoropolymer containing films and laminates
US5106673A (en) 1989-02-23 1992-04-21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Polyimide and fluoropolymer containing films and laminates
JPH0542751U (ja) * 1991-11-08 1993-06-11 エヌデーシー株式会社 ソレノイド装置のすべり軸受
NZ248674A (en) 1992-09-18 1996-03-26 Grace W R & Co Heat-shrinkable multilayer film comprising a layer of propylene polymer or copolymer and hydrocarbon resin, and outer layers of various other polymers
JP3128023B2 (ja) * 1992-10-30 2001-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摺動皮膜の形成方法
US5731088A (en) 1996-06-04 1998-03-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polyimide-fluoropolymer insulation having superior cut-through resistance
US6726994B1 (en) * 1998-11-18 2004-04-27 Daikin Industries, Ltd. Structural member of fluorine-containing polymer having adhesive property at high temperature and sliding material produced by using same
CN1150382C (zh) 1999-11-12 2004-05-19 大金工业株式会社 定影带及其制造方法
JP2004505292A (ja) 2000-07-24 2004-02-1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レーザー誘起熱転写記録プロセス
US6630047B2 (en) 2001-05-21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polymer bonding composition and method
US6994474B2 (en) 2001-05-29 2006-02-07 Nsk Ltd. Rolling sliding member and rolling apparatus
EP1429918B1 (en) * 2001-09-18 2008-04-02 Entegris, Inc. High-strength, chemically resistant laminar film with limited extractables
DE202005006296U1 (de) * 2005-04-20 2005-07-07 Bürkert Werke GmbH & Co. KG Elektromagneteinheit
JP5024913B2 (ja) 2005-06-21 2012-09-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TW200714464A (en) 2005-07-08 2007-04-16 Arkema France Multilayer composition
AT503986B1 (de) * 2006-08-02 2008-05-15 Miba Gleitlager Gmbh Laufschicht für ein lagerelement
EP2225763B1 (en) * 2007-12-28 2013-02-20 Kaneka Texas Corporation Polyimides and fluoropolymer bonding layer with improved adhesive strength
US20100034919A1 (en) 2008-08-08 2010-02-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 Processible Semicrystalline Fluoropolymer having Repeating Units Arising from 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and Hydrocarbon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Multi-Layer Articles Comprising a Layer of the Melt Processible Semicrystalline Fluoropolymer
JP5405900B2 (ja) 2009-02-03 2014-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121528B2 (en) 2009-06-24 2012-02-21 Xerox Corporation Apparatuses useful for printing and methods of treating marking material on media
JP4992136B2 (ja) 2010-03-23 2012-08-08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定着ユニット用部材の製造方法及び定着ユニット用部材
US9588470B2 (en) 2010-08-31 2017-03-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ixing belt
US20140170409A1 (en) * 2011-05-13 2014-06-1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ow-wear fluoropolymer composites
FR2985215B1 (fr) 2011-12-28 2014-09-19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Revetements polymeres deposes sur des substrats par des techniques de projection thermique
JP2014186303A (ja) 2013-02-25 2014-10-02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97658B2 (ja) 2014-01-14 2017-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摺動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72001B2 (ja) 2014-03-18 2017-08-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用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5164624A1 (en) * 2014-04-25 2015-10-2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Thin low friction liners
JP6446916B2 (ja) 2014-08-28 2019-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部材、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8049093A (ja) 2016-09-21 2018-03-29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発熱ユニッ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206840887U (zh) * 2017-05-11 2018-01-05 南京中鸿润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酰亚胺套管
EP3903010A4 (en) 2018-12-27 2022-11-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LOW FRICTION BEARING LINER FOR SOLENOID
JP7168789B2 (ja) * 2018-12-27 2022-11-09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リンタアセンブリの低摩擦ローラライ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9846A (ja) * 2010-09-28 2013-10-28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ブッシュのためのキャストフルオロポリマーフィルム
JP2014518989A (ja) * 2011-04-29 2014-08-07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接着層中のfepまたはpfaによる保守不要のスライドベアリング
DE102014218319A1 (de) * 2014-09-12 2015-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leitlagerkomponente und Lageranordnung mit dieser
JP2018185007A (ja) * 2017-04-26 2018-11-22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摺動部品及び摺動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2567A (zh) 2021-08-17
JP7202466B2 (ja) 2023-01-11
WO2020139640A1 (en) 2020-07-02
US20200208681A1 (en) 2020-07-02
KR20210096696A (ko) 2021-08-05
JP2022514796A (ja) 2022-02-15
EP3903010A4 (en) 2022-11-16
US11162531B2 (en) 2021-11-02
US20220018397A1 (en) 2022-01-20
US11708857B2 (en) 2023-07-25
MX2021007389A (es) 2021-09-30
CN113272567B (zh) 2023-04-18
EP3903010A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938B1 (ko) 솔레노이드 저마찰 베어링 라이너
US11220120B2 (en) Printer assembly low friction roller liner
US10184520B2 (en) Self-lubricated bea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419887B1 (ko) 평베어링재료
JP6883160B2 (ja) シール
JP2018127001A (ja) フルオロポリマー布地を備えた積層体
US20240077107A1 (en) Solenoid low friction bearing liner
US20190186539A1 (en) Sliding Member and Bearing
TR201806972T4 (tr) Bileşik materyalden yapılan kendinden yağlayıcı ve yüksek dinamik yükler altında çalışan menteşe düzeneği.
US20200392993A1 (en) Sliding member and bearing
KR20230124899A (ko) 프린터 조립체 저마찰 롤러 라이너
Fujii et al. Fatigue strength of a paper-based friction material under shear–compressive loading
JP2019537644A (ja) ポリマー組成物、材料および製造方法
JP2020090562A (ja) 組成物、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被膜、該被膜を有する摺動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981037A (zh) 具有改善的耐磨性的衬套和包括这种衬套的滑动轴承
JP2016144877A (ja) 撥油構造物
FR3128403B3 (fr) Objet présentant une structure composite avec une zone déform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