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03B1 -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03B1
KR102606403B1 KR1020180066915A KR20180066915A KR102606403B1 KR 102606403 B1 KR102606403 B1 KR 102606403B1 KR 1020180066915 A KR1020180066915 A KR 1020180066915A KR 20180066915 A KR20180066915 A KR 20180066915A KR 102606403 B1 KR102606403 B1 KR 10260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grip
swing
weigh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433A (ko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세이지 하야세
겐지 다카스
다카시 나카노
다이스케 고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81Substantially flexible shafts; Hinged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63B2209/023Long, oriented fibres, e.g. wound filaments, woven fabrics, m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스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제공.
(해결 수단) 골프 클럽 (2) 은, 헤드 (4), 샤프트 (6) 및 그립 (8) 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럽 (2) 의 순식 클럽 플렉스는 170 ㎜ 이상이다. 순식 클럽 플렉스는, 완성된 골프 클럽의 상태에서 측정된다. 상기 헤드의 중량이 Wh 로 되고, 클럽의 중량이 Wc 로 된다. Wh/Wc 는 0.72 이상이다. 이 골프 클럽 (2) 에서는, 스윙 중에 신체에 작용하는 힘이 저감될 수 있다. 이 골프 클럽 (2) 은, 스윙을 안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클럽{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타구의 방향 안정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골프 클럽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9510호는, 리얼 로프트가 11°이하이고, 클럽 진동수가 240 cpm 이하이고, 또한 이들 리얼 로프트와 클럽 진동수가 소정의 관계에 있는 골프 클럽을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01911호는, 골프 클럽의 총 중량이 285 g 이하로 되고, 클럽의 길이가 111 ㎝ 이상으로 되고, 또한 골프 클럽의 총 중량에서 차지하는 헤드의 질량 비율이 73 % 이상 81 % 이하로 된 골프 클럽을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95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01911호
본 발명자는, 골프 클럽의 추가적인 개선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골프 클럽이 스윙의 안정성에 주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제공에 있다.
어느 측면에 있어서, 골프 클럽은,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구비하고 있다. 순식 (順式) 클럽 플렉스가 170 ㎜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헤드의 중량이 Wh 로 되고, 클럽의 중량이 Wc 로 될 때, Wh/Wc 가 0.72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그립 중량 Wg 가 30 g 이하여도 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클럽 길이가 45.7 인치 이상 46.5 인치 이하여도 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웨이트는 D5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그립의 후단에서 상기 그립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가 Lg1 로 되고, 상기 그립의 길이가 Lg2 로 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Lg1/Lg2 가 0.37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되는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140 ㎏·㎠ 이하여도 된다.
어깨 중심 그립 GLL = Wg × L × L … (1)
단, 이 식 (1) 에 있어서, Wg 는 상기 그립의 중량 (㎏) 이고, L 은 하기 식 (2) 로 계산되는 값이다. 이 식 (2) 에 있어서 Lg1 은 상기 그립의 후단에서 상기 그립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 이다.
L = [602 + (Lg1)2]1/2 … (2)
스윙 중에 인체에 작용하는 힘이 억제되어, 스윙이 안정화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을 나타낸다.
도 2 는 스윙 중의 골퍼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에는, 다운 스윙 중에 신체에 작용하는 힘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스윙의 각 국면에 있어서 신체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는 다운 스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팔과 클럽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는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플렉스용 길이를 나타낸다.
도 6 은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클럽 진동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축 방향」이란, 휘지 않은 곧은 상태의 샤프트의 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2) 을 나타낸다. 골프 클럽 (2) 은, 헤드 (4) 와, 샤프트 (6) 와, 그립 (8) 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 (6) 의 팁부에 헤드 (4) 가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 (6) 의 버트부에 그립 (8) 이 장착되어 있다.
골프 클럽 (2) 은, 비거리 성능이 우수하다. 골프 클럽 (2) 은, 드라이버 (1 번 우드) 이다. 통상적으로 드라이버의 클럽 길이는 43 인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골프 클럽 (2) 은 우드형 골프 클럽이다.
클럽 (2) 은, 클럽 중량 Wc 를 갖는다.
도 1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c 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클럽 길이이다. 이 클럽 길이 (Lc) 의 측정 방법은 후술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 (4) 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헤드 (4) 는, 우드형이다. 헤드 (4) 는, 하이브리드형 (유틸리티형) 이어도 된다. 헤드 (4) 는, 아이언형이어도 된다. 헤드 (4) 는 퍼터형이어도 된다. 헤드 (4) 의 재질로서, 금속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티탄 합금, 순티탄, 스테인리스강 및 연철이 예시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헤드 (4) 는, 헤드 중량 Wh 를 갖는다.
샤프트 (6) 는, 섬유 강화 수지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샤프트 (6) 는, 관상체이다. 샤프트 (6) 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도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6) 는, 팁단 (Tp) 과 버트단 (Bt) 을 갖는다. 팁단 (Tp) 은, 헤드 (4)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버트단 (Bt) 은, 그립 (8)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샤프트 (6) 는, 샤프트 중량 Ws 를 갖는다.
도 1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f2 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샤프트 길이이다. 샤프트 길이 (Lf2) 는, 팁단 (Tp) 과 버트단 (Bt) 사이의 축 방향 거리이다. 도 1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f1 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버트단 (Bt) 에서 샤프트 무게 중심 (Gs) 까지의 축 방향 거리이다. 샤프트 무게 중심 (Gs) 은, 샤프트 (6) 단체의 무게 중심이다. 이 무게 중심 (Gs) 은, 샤프트 축선 상에 위치한다.
샤프트 (6) 는, 이른바 카본 샤프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6) 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경화시켜 이루어진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에서는, 섬유는 실질적으로 일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섬유가 실질적으로 일 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는, UD 프리프레그로도 칭해진다. 「UD」란, 유니디렉션의 약어이다. UD 프리프레그 이외의 프리프레그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시트에 함유되는 섬유가 짜여져 있어도 된다.
프리프레그 시트는, 섬유와 수지를 갖고 있다. 이 수지는, 매트릭스 수지로도 칭해진다. 전형적으로는, 이 섬유는 탄소 섬유이다. 전형적으로는, 이 매트릭스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샤프트 (6) 는, 이른바 시트 와인딩 제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매트릭스 수지는, 반경화 상태에 있다. 샤프트 (6) 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되고 또한 경화되어 이루어진다.
프리프레그 시트의 매트릭스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외에, 에폭시 수지 이외의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 강도의 관점에서,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샤프트 (6) 의 제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설계 자유도의 관점에서, 시트 와인딩 제법에 의해 제조된 샤프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 (6) 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샤프트 (6) 는, 예를 들어, 스틸 샤프트여도 된다.
그립 (8) 은, 스윙 중에 있어서 골퍼에 의해 쥐어지는 부분이다. 그립 (8) 은, 그립 중량 Wg 를 갖는다.
그립 (8) 의 재질로서, 고무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이 예시된다. 이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무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N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이소프렌 고무 (IR), 부타디엔 고무 (BR), 클로로프렌 고무 (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BR)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천연 고무, 또는 천연 고무에 친화성이 양호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혹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블렌드 (혼합)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립성과 내마모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립 (8) 의 상기 고무 조성물은, 발포 고무여도 된다. 발포 고무에는, 발포제가 배합되어도 된다. 이 발포제의 일례는, 열분해형 발포제이다. 이 열분해형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르본아미드와 같은 아조 화합물,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과 같은 니트로소 화합물 및 트리아졸 화합물이 예시된다. 발포 고무는, 그립 (8) 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발포율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가 사용되어도 된다. 발포율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에는, 무발포의 고무 (발포율이 제로)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복수 종의 고무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그립 무게 중심 (Gg) (후술) 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립 (8) 의 제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립 (8) 은, 공지된 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제법으로서, 프레스 성형 및 사출 성형이 예시된다.
발포율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프레스 성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 발포율로 성형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무 시트 1 과, 제 2 발포율로 성형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무 시트 2 가 준비된다. 이들 시트의 각각을 금형 내의 임의의 위치에 두고, 가열 및 가압을 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발포율이 상이한 고무 각각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1. 스윙 중에 인체에 작용하는 힘 F 와 스윙의 안정성의 관계]
본 발명자는, 새로운 시점에 기초하여, 골프 클럽의 개량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결과, 골프 클럽 그 자체뿐만 아니라, 스윙과 골프 클럽의 관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스윙 중에 인체에 작용하는 힘 F 가 스윙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 것, 및 골프 클럽의 사양에 따라 이 힘 F 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 이 힘 F 의 해석에서는, 클럽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팔의 움직임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 스윙 중에 인체에 작용하는 힘 F]
도 2 는 스윙 중의 골퍼를 상방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는 탑 오브 스윙 근방으로서, 다운 스윙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탑 오브 스윙은, 간단히 탑으로도 칭해진다.
스윙은, 인체 (h10) 의 중심을 스윙축으로 한 회전 운동으로 간주된다. 인체 (h10) 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동체 (胴體) (h12) 이다. 스윙에서는, 골프 클럽 (2) 이 회전하지만, 동시에 팔 (왼팔 (h14) 및 오른팔 (h16)) 도 회전한다. 인체 (h10) 의 중심 (동체 (h12)) 에는, 팔의 원심력 (F1) 과 클럽의 원심력 (F2) 이 작용한다. 상기 힘 F 는, 실질적으로 팔의 원심력 (F1) 과 클럽의 원심력 (F2) 의 총 합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통상적인 골프 스윙에 있어서는, 다운 스윙에 있어서의 팔의 원심력 (F1) 은, 클럽의 원심력 (F2) 보다 크다 (도 2 참조). 왜냐하면, 팔의 중량이 클럽 (2) 의 중량보다 현격히 크기 때문이다. 클럽 중량이 0.2 ∼ 0.5 ㎏ 정도인 데에 대하여, 양 팔의 중량의 합계는, 체중 50 ㎏ 인 사람이라도 6 ㎏ 정도이다. 다운 스윙에 있어서의 대부분의 국면에 있어서, 클럽 (2) 은 팔보다 스윙축으로부터 멀고, 클럽 (2) 쪽이 팔보다 회전 속도가 빠르지만, 이 큰 중량차에서 기인하여, 팔의 원심력 (F1) 은 클럽의 원심력 (F2) 보다 크다. 본 발명자는 스윙의 연구에 의해 클럽의 원심력이 200 ∼ 300 N 정도인 데에 대하여, 팔의 원심력이 400 N 정도인 것을 알아냈다.
[1-2. 상기 힘 F 와 인체의 밸런스의 관계]
도 3 은 스윙 중에 있어서의 양 다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스윙 중의 인체에 있어서, 전후 방향 (D1) 및 타구 방향 (D2) 이 정의된다. 전후 방향 (D1) 이란, 인체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타구 방향 (D2) 이란, 볼의 위치와 타깃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방향 (D1 및 D2) 은 지면에 평행이다.
스윙 중에 있어서, 인체 (h10) 는, 왼발 (LF) 과 오른발 (RF) 로 밸런스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나, 스윙 중에 인체에 작용하는 힘 F 에 의해, 이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다. 밸런스가 무너지면, 볼과 스윙축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 결과, 타점이 변동한다. 이 타점의 변동에 의해, 타구 결과에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타구 결과란, 타구의 비거리, 타구의 방향, 타출각, 스핀량, 탄도 등이다. 또한, 밸런스가 무너지면, 스윙축이 흔들려, 원활한 스윙이 방해된다. 밸런스는 중요하다.
왼발 (LF) 과 오른발 (RF) 은, 타구 방향 (D2)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인체 (h10) 는, 방향 (D2) 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한 2 개 지점에서 접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타구 방향 (D2) 을 따른 힘에 대해서는, 밸런스는 비교적 잘 무너지지 않는다. 한편, 전후 방향 (D1) 을 따른 힘에 대해서는, 밸런스는 무너지기 쉽다. 특히,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면, 인체 (h10) 는 비틀거리기 쉽다.
도 3 은 다운 스윙에서 임팩트까지의 각 시점에 있어서, 인체의 중심 (CB) 에 작용하는 힘 F 를 나타낸다. 도 3 은 종래의 골프 클럽의 경우이다. 힘 F 로서, 터닝의 시점에 있어서의 힘 (Fa), 다운 스윙 전반에 있어서의 힘 (Fb), 다운 스윙의 중간에 있어서의 힘 (Fc), 임팩트 직전에 있어서의 힘 (Fd), 및 임팩트에 있어서의 힘 (Fe) 이 도시되어 있다. 다운 스윙의 초기 단계에서는, 팔 및 클럽 (2) 의 회전 속도가 느려, 힘 F 는 작다 (Fa, Fb 참조). 다운 스윙의 후반에서부터 임팩트에서는, 팔 및 클럽 (2) 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힘 F 는 크다 (Fc, Fd 및 Fe 참조).
임팩트 근방의 국면에서는, 클럽 (2) 및 팔은 인체 (h10) 의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리스트 콕이 풀려 클럽 (2) 이 인체 (h10) 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문에, 큰 힘 F 가 전방으로 작용한다. 즉, 임팩트 근방의 국면에서는, 힘 F 의 전후 방향 성분이 크다 (Fc, Fd 및 Fe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 (h10) 를 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은, 인체 (h10) 의 밸런스를 무너뜨리기 쉽다. 이 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억제할 수 있으면, 인체 (h10) 의 밸런스 (자세) 는 유지되기 쉽다. 인체 (h10) 의 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으면, 스윙축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타점의 편차가 저감된다.
[2. 힘 F 를 저감시킬 수 있는 클럽]
이상의 해석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자는, 힘 F 를 저감시킬 수 있는 클럽에 대해 검토하였다.
동체 (h12) 와 클럽 (2) 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는, 스윙 중에 변화한다. 이 변화의 한 요인은, 샤프트 (6) 의 휨이다 (도 2 의 이점쇄선을 참조). 샤프트 (6) 의 휨의 정도에 따라, 클럽 (2) 과 스윙축 (동체 (h12)) 사이의 거리는 변화한다. 이 거리가 가까워지면, 스윙축 둘레의 클럽 (2) 의 관성 모멘트는 작아진다.
탑에서 다운 스윙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이, 탑으로부터의 터닝으로도 칭해진다. 이 탑으로부터의 터닝에서는, 스윙의 진행 방향이 반전할 때에 헤드 (4) 의 관성력이 작용함으로써, 샤프트 (6) 가 휠 수 있다. 이 샤프트 (6) 의 휨은, 다운 스윙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헤드 (4) 가 느린 휨이다 (도 2 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클럽 (2) 을 참조). 본원에 있어서, 이 다운 스윙의 초기에 있어서의 휨이 초기 휨으로도 칭해진다.
초기 휨은, 클럽 (2) 의 무게 중심이 인체 (h10) 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휨이다. 초기 휨이 크면, 클럽 (2) 의 무게 중심이 상기 회전 중심에 가까워지고, 상기 스윙축 둘레의 클럽 (2) 의 관성 모멘트는 작아진다. 반대로, 이 휨이 작으면, 클럽 (2) 의 무게 중심은, 당해 휨이 큰 경우에 비해, 상기 스윙축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상기 스윙축 둘레의 클럽 (2) 의 관성 모멘트는 커진다.
상기 초기 휨이 큰 경우, 헤드 (4) 의 궤도가 동체 (h12) 에 가까워진다. 바꿔 말하면, 헤드 (4) 의 궤도가 스윙축에 가까워진다. 이 결과, 다운 스윙의 전반에 있어서, 스윙축 둘레의 클럽 (2) 의 관성 모멘트가 작아져, 팔의 회전 속도가 증가한다 (팔 속도 증대 효과 A). 이 회전 에너지가 클럽 (2) 에 전달되어, 헤드 (4) 가 가속된다.
헤드 (4) 가 가속된 클럽 (2) 에서는, 클럽 (2) 의 스윙축에 대한 원심력이 증가하여, 클럽 (2) 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클럽 (2) 의 회전이 촉진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 헤드 (4)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그립 (8) 은, 다운 스윙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그립 (8) 은 팔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그립 (8) 에는 팔을 감속시키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인체 (h10) 의 손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한편으로, 헤드 (4) 는 달린다. 요컨대, 다운 스윙의 후반에서는, 헤드 (4) 는 가속되고, 팔의 회전 속도는 작아진다 (팔 속도 억제 효과).
이와 같이, 상기 초기 휨을 크게 함으로써, 임팩트 근방에서의 헤드 스피드는 증대되고, 또한 임팩트 근방에서의 팔의 회전 속도는 감소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팔의 원심력 (F1) 과 클럽의 원심력 (F2) 의 합계인 힘 F 는 작아진다. 왜냐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팔의 중량이 클럽 (2) 의 중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팔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 것에 의한 원심력 (F1) 의 감소량은, 헤드 (4) 가 빨라지는 것에 의한 원심력 (F2) 의 증가량을 상회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힘 F, 특히 인체 (h10) 를 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감소하여, 스윙이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초기 휨을 크게 함으로써, 힘 F 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힘 F 의 전후 방향 성분이 증가하는 국면인 임팩트 근방에 있어서, 힘 F 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 (h10) 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스윙이 안정되고, 타점의 편차가 억제된다. 이 효과가, 스윙 안정화 효과로도 칭해진다.
또, 임팩트 근방에서의 팔의 회전 속도가 억제됨에도 불구하고, 헤드 스피드는 높아진다. 이 결과,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는 것에 추가하여, 헤드 스피드도 증대된다. 이 클럽에서는, 비거리가 증대됨과 함께, 그 비거리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바꿔 말하면, 평균 비거리가 증대된다.
[2-1. 순식 클럽 플렉스]
순식 클럽 플렉스가 힘 F 에 영향을 주는 것이 판명되었다. 순식 클럽 플렉스는, 완성된 클럽에 있어서 측정된다.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 조건은, 각 클럽의 사양에 대응하고 있다. 순식 클럽 플렉스는, 스윙 중에 있어서의 클럽의 거동을 양호한 정밀도로 반영할 수 있다.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에서는, 그립측이 고정되고, 헤드측에 중량이 부여된다. 이 상태는,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의 클럽의 상황에 가깝다. 게다가, 순식 클럽 플렉스는, 샤프트 단체에서의 플렉스와는 상이하게, 개개의 클럽의 상태에 적합한 조건으로 측정된다. 이 순식 클럽 플렉스는, 상기 초기 휨의 정도를 양호한 정밀도로 반영할 수 있다.
순식 클럽 플렉스가 크게 됨으로써,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 샤프트가 휘기 쉽다. 순식 클럽 플렉스가 크게 됨으로써, 상기 초기 휨이 증대된다. 이 결과, 다운 스윙 전반에 있어서 스윙축 둘레의 클럽 (2) 의 관성 모멘트가 감소함으로써 팔의 회전 속도가 빨라진다. 이로써, 클럽 (2) 의 스윙축에 대한 원심력이 증가하여, 클럽 (2) 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한 클럽 (2) 의 회전이 촉진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 헤드 (4)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그립 (8) 은, 다운 스윙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그립 (8) 은 팔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그립 (8) 에는 팔을 감속시키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의 작용에 의해 팔은 감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팔의 회전 에너지가 클럽 (2) 에 전달되는 결과, 팔의 회전 속도의 저하와 헤드 스피드의 향상이 달성된다. 요컨대, 상기 초기 휨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에너지 전달을 촉진시키는 클럽 (2) 의 원심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팔에서 클럽 (2) 으로의 에너지 전달률이 향상됨과 함께, 상기 힘 F 가 감소하여, 스윙이 안정된다. 큰 순식 클럽 플렉스는, 스윙의 안정화와 평균 비거리의 증대에 기여한다.
[2-2. Wh/Wc]
비 (Wh/Wc) 는, 헤드 중량 Wh 의 클럽 중량 Wc 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헤드 중량 Wh 가 크면, 헤드의 운동 에너지가 증대되고, 반발 계수가 향상된다. 또, 헤드 중량 Wh 가 크면, 헤드의 관성이 증대되고, 탑에서의 헤드의 정지 (靜止)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이 결과,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 샤프트가 휘기 쉽다. Wh/Wc 가 크게 됨으로써, 상기 초기 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헤드 중량 Wh 가 크면, 클럽의 원심력 (F2) 이 증대되므로, 스윙 중에 신체에 작용하는 힘 F 도 증대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체 (h10) 의 밸런스가 무너져, 스윙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스윙 안정화 효과에 의해, 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윙의 안정은 유지되면서, 헤드의 운동 에너지는 높아진다. 또한, 헤드의 관성에서 기인하는 초기 휨의 증대가, 스윙 안정화 효과를 더욱 높인다. 따라서, 스윙이 안정되어, 타점의 편차가 감소하고, 또한 볼 초속이 높아진다. 이 결과, 평균 비거리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2-3. 클럽 길이 (Lc)]
클럽 길이 (Lc) 가 크면, 스윙의 회전 반경이 커져 헤드 스피드가 증가한다는 이점이 있지만, 타점의 편차가 증대된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순식 클럽 플렉스를 크게 함으로써,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 샤프트가 휘기 쉽고, 스윙 안정화 효과가 얻어진다. 긴 클럽에 이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결점인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면서, 상기 이점을 살릴 수 있다. 이 결과, 헤드 스피드가 향상되고, 평균 비거리가 증대된다.
[2-4. 스윙 웨이트 (14 인치 밸런스)]
스윙 웨이트는, 일반적으로 스윙 밸런스로도 칭해지고 있다. 헤드 중량 Wh 를 증가시킴으로써, 스윙 웨이트가 크게 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의 스윙 웨이트는, 14 인치 밸런스이다.
스윙 웨이트가 크면, 헤드 중량 Wh 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헤드의 운동 에너지가 증대되어, 볼 초속이 향상된다. 또, 스윙 웨이트가 크면, 헤드의 관성이 증대되고, 탑에서의 헤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이 결과,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 샤프트가 휘기 쉽다. 스윙 웨이트가 크게 됨으로써, 상기 초기 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스윙 웨이트가 크면, 클럽의 원심력 (F2) 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스윙 중에 신체에 작용하는 힘 F 도 증대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체 (h10) 의 밸런스가 무너져, 스윙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스윙 안정화 효과에 의해, 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윙의 안정은 유지되면서, 헤드의 운동 에너지는 높아진다. 또한, 헤드의 관성에서 기인하는 초기 휨의 증대가, 스윙 안정화 효과를 더욱 높인다. 따라서, 스윙이 안정되어, 타점의 편차가 감소하고, 또한 볼 초속이 높아진다. 이 결과, 평균 비거리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2-5. 그립 중량 Wg]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힘 F 의 해석에서는, 클럽 및 팔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고려된다. 임팩트에 있어서, 클럽 및 팔의 각 부는, 탑에서 만든 리스트 콕이 풀려 대략 일직선이 된다. 이 임팩트에서는, 샤프트 무게 중심 및 헤드 무게 중심이 스윙축 (동체의 중심) 에서 멀다. 한편, 일반적인 골퍼의 탑에서는, 리스트 콕에 의해, 샤프트 무게 중심 및 헤드 무게 중심이 임팩트시보다 스윙축에 가깝게 되어 있지만, 그립 무게 중심과 스윙축의 거리는 거의 변함없다. 그 때문에, 이 탑에서의 그립 무게 중심의 위치에서 기인하여, 그립 중량 Wg 는,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의 팔의 회전 속도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립 중량 Wg 가 가볍게 됨으로써,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의 팔의 회전 속도가 증대된다 (팔 속도 증대 효과 B).
한편, 그립 중량 Wg 가 가벼운 경우, 손잡이가 과도하게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손잡이의 거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팔 속도 억제 효과에 의해, 팔의 원심력 (F1) 이 감소되어, 손잡이의 거동이 안정된다. 결과적으로, 손잡이의 거동의 불안정함은 해소되면서, 상기 스윙 안정화 효과가 발휘된다. 또, 상기 서술한 팔 속도 증대 효과 A 에 추가하여, 상기 팔 속도 증대 효과 B 가 발휘된다. 이들 효과에 의해, 평균 비거리가 효과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2-6. 어깨 중심 그립 GLL]
본원에서는,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정의된다. 도 4 는 이 어깨 중심 그립 GLL 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는 탑으로부터의 터닝의 국면에 있어서의 왼팔 (h14) 및 클럽 (2) 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형적인 스윙에 있어서, 이 국면에서는, 왼팔 (h14) 과 클럽 (2) 의 샤프트 축선 (z) 이 이루는 각도 (θ) 는 대략 90°이다. 이 각도 (θ) 는, 리스트 콕에 의해 발생한다. 이 터닝의 국면에서는,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는 왼팔 (h14) 과 클럽 (2) 이, 스윙축 (Zs) (양 어깨의 중심)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터닝에서의 회전에 대한 그립 (8) 의 동적인 영향의 지표로서,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정의된다. 이 어깨 중심 그립 GLL 의 산정에서는, 스윙축 (Zs) 과 그립 엔드 사이의 거리가 60 ㎝ 로 설정된다. 이 거리는, 평균적인 팔의 길이에 기초한다.
그립 (8) 은, 무게 중심 (Gg) 을 갖고 있다. 그립 무게 중심 (Gg) 은, 그립 단체의 무게 중심이다. 클럽 (2) 에 있어서, 그립 무게 중심 (Gg) 은, 샤프트 축선 (z) 상에 위치한다. 도 4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g1 로 도시되는 것은, 그립 (8) 의 후단에서 그립 무게 중심 (Gg) 까지의 거리이다. 도 4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g2 로 도시되는 것은, 그립 (8) 의 전체 길이이다. Lg1 및 Lg2 는, 샤프트 축선 (z) 을 따라 측정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도 (θ) 는 90°로 될 수 있다. 거리 (Lg1) 의 단위가 센티미터일 때, 스윙축 (Zs) 과 그립 무게 중심 (Gg) 의 거리 (L) (센티미터) 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로부터 다음과 같다.
L = [602 + (Lg1)2]1/2
이 거리 (L) (센티미터) 에 기초하여, 어깨 중심 그립 GLL (㎏·㎠) 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어깨 중심 그립 GLL = Wg × L × L
단, Wg 는 그립 중량 (킬로그램) 이다.
어깨 중심 그립 GLL 을 작게 함으로써, 다운 스윙 초기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운 스윙의 전반에 있어서 팔의 회전 속도가 증대된다 (팔 속도 증대 효과 C). 이 팔 속도 증대 효과 C 는, 전술한 팔 속도 증대 효과 A, B 와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2-7. Lg1/Lg2 ; 그립 무게 중심률]
그립 (8) 의 후단과 그립 무게 중심 (Gg) 사이의 거리가 Lg1 로 된다. 그립 (8) 의 전체 길이가 Lg2 로 된다. Lg1/Lg2 를 크게 함으로써, 그립단 둘레의 그립 (8) 의 회전이 억제되어, 다운 스윙의 초기에 있어서 리스트 콕이 유지되기 쉽다. 이로써, 다운 스윙의 초기에 있어서의 팔의 회전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탑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각도 (θ) 는, 약 90 도이다. 이 때문에, Lg1 이 커져도, L 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Lg1 이 커져도, 어깨 중심 그립 GLL 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Lg1/Lg2 가 큰 것에 의한 상기 효과와,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작은 것에 의한 상기 팔 속도 증대 효과 C 는 양립할 수 있다.
[3. 바람직한 값]
각 사양의 바람직한 값은, 이하와 같다.
[3-1. 순식 클럽 플렉스]
상기 초기 휨을 증대시켜, 스윙 안정화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순식 클럽 플렉스는, 14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7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순식 클럽 플렉스가 과대하면, 스윙 중에 있어서의 샤프트의 거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순식 클럽 플렉스는, 2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2. Wh/Wc]
상기 스윙 안정화 효과를 증대시킴과 함께 반발 계수를 높이는 관점에서, 비 (Wh/Wc) 는, 0.70 이상이 바람직하고, 0.7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7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윙 용이성을 고려하면, 과대한 헤드 중량 Wh 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 비 (Wh/Wc) 는, 0.82 이하가 바람직하고, 0.8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3. 클럽 길이 (Lc)]
상기 스윙 안정화 효과를 증대시킴과 함께 헤드 스피드를 높이는 관점에서, 클럽 길이 (Lc) 는, 45.5 인치 이상이 바람직하고, 45.7 인치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6.0 인치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윙 용이성을 고려하면, 클럽 길이 (Lc) 는, 48 인치 이하가 바람직하고, 47.5 인치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7 인치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4. 스윙 웨이트 (14 인치 밸런스)]
상기 스윙 안정화 효과를 증대시킴과 함께 반발 계수를 높이는 관점에서, 스윙 웨이트는, D2 이상이 바람직하고, D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D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D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윙 용이성을 고려하면, 스윙 웨이트는, E5 이하가 바람직하고, E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E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5. 그립 중량 Wg]
스윙 안정화 효과 및 상기 팔 속도 증대 효과 B 의 관점에서, 그립 중량 Wg 는, 36 g 이하가 바람직하고, 34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8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립의 강도를 고려하면, 그립 중량 Wg 는, 15 g 이상이 바람직하고, 17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9 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3-6. 어깨 중심 그립 GLL]
어깨 중심 그립 GLL 을 작게 함으로써, 다운 스윙 초기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팔 속도 증대 효과 C 가 발휘된다. 이 관점에서, 어깨 중심 그립 GLL 은, 1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설계상의 제약에서, 어깨 중심 그립 GLL 은, 60 ㎏·㎠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3-7. Lg1/Lg2 ; 그립 무게 중심률]
Lg1/Lg2 를 크게 함으로써, 그립단 둘레의 그립 (8) 의 회전이 억제되어, 다운 스윙의 초기에 있어서 리스트 콕이 유지되기 쉽다. 이 유지에 의해, 다운 스윙의 초기에 있어서의 헤드 (4) 의 궤도가 스윙축에 가까워지고, 전술한 팔 속도 증대 효과 A 가 더욱 높아진다. 이 관점에서, Lg1/Lg2 는, 0.37 이상이 바람직하고, 0.3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9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설계상의 제약에서, Lg1/Lg2 는, 0.52 이하가 바람직하고, 0.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Lg1 을 조정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하를 들 수 있다.
(a) 그립의 두께 분포를 조정한다.
(b) 비중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를 사용하여, 그것들의 배치를 조정한다.
(c) 발포율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를 사용하여, 그것들의 배치를 조정한다.
[4. 측정 방법]
각 사양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4-1. 클럽 길이 (Lc)]
본원에 있어서의 클럽 길이 (Lc) 는, R & A (Royal and Ancient Golf Club of Saint Andrews ; 전영국 골프 협회)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이 규정은, R & A 가 발행하는 최신의 골프 규칙에 있어서,「부속 규칙 Ⅱ 클럽의 디자인」의「1 클럽」에 있어서의「1c 길이」에 기재되어 있다. 도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클럽 길이 (Lc) 의 측정에서는, 클럽 재치 (載置) 평면 (Pc) 에 대하여 60°의 평면에 솔이 맞닿는다. 이 60°의 평면과 클럽 재치 평면 (Pc) 의 교선에서 클럽의 후단까지의 거리가, 클럽 길이 (Lc) 이다. 또한, 실제의 측정에서는, 클럽 재치 평면 (Pc) 은 수평하게 된다.
[4-2. 순식 클럽 플렉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순식 클럽 플렉스는, 샤프트의 플렉스와는 상이하게, 완성된 클럽의 상태에서 측정된다. 순식 클럽 플렉스는, 개개의 클럽의 사양에 적합한 조건으로 측정된다. 이하, 도 5 및 도 6 을 사용하여,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의 준비로서, 플렉스용 길이 (L1) 가 결정된다. 이 플렉스용 길이 (L1) 는, 전술한 클럽 길이 (R & A 방식의 클럽 길이 (Lc)) 와는 상이하다. 플렉스용 길이 (L1) 는, 클럽 플렉스의 측정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결정된다. 이 길이 (L1) 를 사용하는 것은, 개개의 클럽의 사양을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순식 클럽 플렉스에 반영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5 는 플렉스용 길이 (L1) 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럽 (2) 의 라이각 (α) 대로, 클럽 (2) 의 솔을 평면 (p) 에 맞댄다. 샤프트 축선 (z) 을 포함하고 평면 (p) 에 수직인 평면과 헤드 (4) 의 솔측 외면의 교선 상의 점 중, 평면 (p) 으로부터의 거리가 0.625 인치인 점을 기준점 (k) 으로 한다. 이 기준점 (k) 과 그립 (8) 의 버트측 에지 (g) 사이의 축 방향 거리가 길이 (L1) 이다.
다음으로, 결정된 길이 (L1) (㎜) 를 사용하여, 치수 (L2) 가 결정된다. 이 치수 (L2) (㎜) 는, 다음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L2 = L1 - (140 + L3 + 40)
여기서, L3 은 번수마다 결정된 정수 (定數) 이다. L3 은 다음과 같다.
[L3 의 값 (우드)]
· W#1 (1 번 우드) : 860 ㎜
· W#2 (2 번 우드) : 847 ㎜
· W#3 (3 번 우드) : 835 ㎜
· W#4 (4 번 우드) : 822 ㎜
· W#5 (5 번 우드) : 809 ㎜
· W#7 (7 번 우드) : 796 ㎜
· W#9 (9 번 우드) : 784 ㎜
· W#11 (11 번 우드) : 772 ㎜
[L3 의 값 (유틸리티 및 하이브리드)]
· U#2 (2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96 ㎜
· U#3 (3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84 ㎜
· U#4 (4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72 ㎜
· U#5 (5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60 ㎜
· U#6 (6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48 ㎜
· U#7 (7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36 ㎜
· U#8 (8 번 유틸리티/하이브리드) : 724 ㎜
[L3 의 값 (아이언]
· I#1 (1 번 아이언) : 771 ㎜
· I#2 (2 번 아이언) : 758 ㎜
· I#3 (3 번 아이언) : 745 ㎜
· I#4 (4 번 아이언) : 733 ㎜
· I#5 (5 번 아이언) : 720 ㎜
· I#6 (6 번 아이언) : 707 ㎜
· I#7 (7 번 아이언) : 695 ㎜
· I#8 (8 번 아이언) : 682 ㎜
· I#9 (9 번 아이언) : 669 ㎜
· PW (피칭 웨지) : 656 ㎜
예를 들어, W#1 (드라이버) 에 있어서, 길이 (L1) 가 1160 ㎜ 인 경우, L3 은 860 ㎜ 이고, 치수 (L2) 는 1160 - (140 + 860 + 40) = 120 ㎜ 이다.
이 치수 (L2) 를 사용하여, 순식 클럽 플렉스가 측정된다. 이 측정은, 사단 법인 일본 골프 용품 협회의 골프 클럽 플렉스 계측 측정 기준 (1991년 4월 1일자 서면) 에 준하여 실시하며, 이 일본 골프 용품 협회로부터 구입한 표준 측정기가 사용된다. 이하에 기재가 없는 부분은, 상기 골프 클럽 플렉스 계측 측정 기준에 따른 것으로 한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지지점 (S1) 과 하측 지지점 (S2) 이 설정된다. 상측 지지점 (S1) 은, 상측으로부터 클럽 (2) 을 지지한다. 하측 지지점 (S2) 은, 하측으로부터 클럽 (2) 을 지지한다. 상측 지지점 (S1) 과 하측 지지점 (S2) 사이의 거리는, 140 ㎜ 이다. 이들 상측 지지점 (S1) 및 하측 지지점 (S2) 에 클럽 (2) 을 세팅한다. 샤프트 축선 (z) 이 수평해지도록, 상측 지지점 (S1) 및 하측 지지점 (S2) 의 연직 방향 위치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트측 에지 (g) 와 상측 지지점 (S1) 의 거리가, 상기 치수 (L2) 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수평하게 세팅된 클럽 (2) 에 순식 측정용 추 (WJ) 가 매달아진다. 추 (WJ) 의 중량은 2.7 ㎏ 이다. 추 (WJ) 는, 상기 기준점 (k) 으로부터 수평 방향 그립측으로 40 ㎜ 떨어진 위치에 매달아진다. 상기 기준점 (k) 으로부터 수평 방향 그립측으로 65 ㎜ 떨어진 위치에 휨 측정점 (t1) 이 설정된다. 추 (WJ) 를 매달기 전과 매단 후의 사이에서, 휨 측정점 (t1) 의 이동 거리가 계측된다. 이 이동 거리는, 연직 방향의 거리이다. 이 이동 거리가, 순식 클럽 플렉스이다.
또한, 순식 클럽 플렉스의 측정시에는, 추 (WJ) 를 매달기 전 및 후 중 어느 때에 있어서도, 상측 지지점 (S1) 과 하측 지지점 (S2) 사이에 있어서의 샤프트 축선 (z) 이 수평해지도록, 상기 조정이 이루어진다.
[4-3. 스윙 웨이트 (14 인치 밸런스)]
스윙 웨이트는, DAININ 사 제조의 상품명「BANCER-14」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 스윙 웨이트는, 14 인치 밸런스이다.
스윙 웨이트는, 알파벳 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인 기호에 의해 표현된다. 알파벳은 A ∼ F 중 하나이다. 수치는 0 내지 9 의 정수 (整數) 이다. 또한, 이 수치의 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되어 있다. 이 스윙 웨이트에서는, 그립 엔드로부터 14 인치 떨어진 위치가 지지점으로 된다. 이 지지점에서 클럽 무게 중심까지의 축 방향 거리 (인치) 에 클럽 중량 (온스) 을 곱한 수치에 기초하여, 스윙 웨이트가 결정된다. 이 수치가 A 내지 F 의 6 단계로 분류된다. 또한, A 내지 F 의 각각에 있어서, 0 내지 9 의 수치에 의해 세분화가 이루어진다. A 에서 F 를 향할수록 스윙 웨이트가 큰 것을 의미하며, 수치가 클수록 스윙 웨이트가 큰 것을 의미한다.
[5. 다른 사양]
다른 바람직한 사양은, 다음과 같다.
[5-1. 헤드 중량 Wh]
상기 초기 휨 및 반발 계수의 관점에서, 헤드 중량 Wh 는, 188 g 이상이 바람직하고, 19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92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윙 용이성의 관점에서, 헤드 중량 Wh 는, 21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07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5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5-2. 샤프트 중량 Ws]
비 (Wh/Wc) 를 높이면서도 스윙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샤프트 중량 Ws 는 가벼운 편이 바람직하다. 초기 휨의 증대와 스윙 용이성의 관점에서, 샤프트 중량 Ws 는, 50 g 미만이 바람직하고, 48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6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4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3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샤프트의 강도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 샤프트 중량 Ws 는, 33 g 이상이 바람직하고, 35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7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5-3. Lf1/Lf2 : 샤프트 무게 중심률]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 Lf1 은 샤프트 (6) 의 팁단 (Tp) 과 샤프트 무게 중심 (Gs) 사이의 거리이고, 거리 Lf2 는 샤프트 (6) 의 전체 길이이다. Lf1 및 Lf2 는 축 방향의 거리이다.
Wh/Wc 를 높여도 스윙하기 쉽게 하려면, Lf1/Lf2 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휨의 증대와 스윙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Lf1/Lf2 는, 0.46 이하가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설계상의 제약에서, Lf1/Lf2 는, 0.33 이상이 바람직하고, 0.3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5-4. 번수]
긴 클럽일수록, 비거리 성능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다. 또, 긴 클럽일수록, 타점의 편차가 큰 것은 드라이버이다. 이 관점에서, 우드형 클럽이 바람직하고, 드라이버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버의 리얼 로프트는 통상적으로 7°이상 15°이하이다. 헤드의 체적은, 3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2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 강도의 관점에서, 헤드의 체적은, 470 ㏄ 이하가 바람직하다.
[5-5. 클럽 중량 Wc]
스윙 용이성의 관점에서, 클럽 중량 Wc 는, 29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8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75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72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클럽의 강도를 고려하면, 클럽 중량 Wc 는, 23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24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45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5-6. 클럽 진동수]
클럽 진동수는, 완성된 클럽에 있어서 측정된다. 클럽 진동수는, 정적인 특성이 아니라, 동적인 특성이다. 스윙은 동적이다. 클럽 진동수는, 스윙 중에 있어서의 클럽의 거동을 양호한 정밀도로 반영할 수 있다.
클럽 진동수의 측정에서는, 클럽의 그립측이 고정되고, 클럽의 헤드측에 부하가 부여되어, 클럽이 진동한다. 이 상태는,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의 클럽의 상황에 가깝다. 게다가, 클럽 진동수는 동적인 지표이다. 이 클럽 진동수는, 스윙 중의 동적인 거동을 양호한 정밀도로 반영할 수 있다.
클럽 진동수가 작게 됨으로써, 탑으로부터의 터닝에 있어서 샤프트가 휘기 쉽다. 즉, 클럽 진동수가 작게 됨으로써, 상기 초기 휨이 증대된다. 이 결과, 다운 스윙 당초에 있어서 팔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이 회전 에너지가 클럽에 전달됨과 함께, 그 반작용으로, 팔의 회전 속도의 저하와 헤드 스피드의 향상이 달성된다. 따라서, 팔에서 클럽으로의 에너지 전달률이 향상됨과 함께, 상기 힘 F 가 감소하여, 스윙이 안정된다. 작은 클럽 진동수는, 전술한 스윙 안정화 효과를 높여, 평균 비거리의 증대에 기여한다.
상기 초기 휨을 증대시켜, 스윙 안정화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클럽 진동수는, 230 c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20 c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10 c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클럽 진동수가 과소하면, 역 C 자형 휨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 관점에서, 클럽 진동수는, 150 cpm 이상이 바람직하고, 160 c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70 cp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 은 클럽 진동수의 측정기에 클럽 (2) 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클럽 진동수의 측정에는, 후지쿠라 고무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GOLF CLUB TIMING HARMONIZER」을 사용한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CP1) 에 의해, 그립 엔드로부터 7 인치의 지점에서 그립 엔드까지가 고정된다. 즉, 고정 부분의 길이 (F1) 는 7 인치 (약 178 ㎜) 이다. 헤드 (4) 에 대하여 하방을 향하여 임의의 부하를 부가하여, 샤프트 (6) 를 진동시킨다. 1 분간당의 진동수가 클럽 진동수 (cpm) 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분명해지지만,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샘플 1]
단조된 페이스 부재와 주조된 보디 부재를 용접시킴으로써, 티탄 합금제의 드라이버 헤드를 얻었다.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 와인딩 제법에 의해 샤프트를 얻었다. 고무 조성물을 금형 내에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그립을 얻었다. 그립의 성형에서는, 발포율이 상이한 3 종의 고무를 사용하였다. 발포율이 비교적 낮은 제 1 고무가, 그립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외층에 사용되었다. 발포율이 비교적 높은 제 2 고무가, 그립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층에 사용되었다. 또한, 무발포인 제 3 고무가, 그립의 선단부에만 사용되었다. 이들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조립함으로써, 골프 클럽 샘플 1 을 얻었다. 샘플 1 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하기의 표 3 에 나타나 있다.
[샘플 2 ∼ 34]
하기의 표 3 ∼ 9 에 나타내는 사양 외에는 샘플 1 과 동일하게 하여, 골프 클럽 샘플 2 ∼ 34 를 얻었다.
또한, 헤드 중량 Wh 는, 헤드의 내부에 점착제를 배치함으로써 조정되었다. 이 점착제는, 헤드 내면에 고착시켜 사용하였다. 이 점착제는 열가소성이며, 상온에서는 헤드 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착되고, 고온에서는 유동한다. 이 점착제는, 고온으로 되어 헤드 내부에 유입되고, 그 후, 실온으로 냉각되어 고정되었다. 이 점착제는, 헤드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도록 배치되었다.
순식 클럽 플렉스 등의 샤프트 사양은, 프리프레그 시트의 적층 설계 및 프리프레그 재료에 의해 조정되었다. 하기의 표 1 및 표 2 는, 사용 가능한 프리프레그 시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다종의 시트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샤프트 사양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 후단 부분층 및 선단 부분층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순식 클럽 플렉스 및 Lf1/Lf2 가 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1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2
그립 중량 Wg 등의 그립 사양은, 발포율이 상이한 복수 종의 고무의 체적 비율 및 배치에 의해 조정되었다. 전술한 제 3 고무 (무발포 고무) 는, 비교적 비중이 크고 또한 국소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 (Lg1) 의 조정에 도움이 된다.
각 샘플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하기의 표 3 ∼ 9 에 나타나 있다. 각 사양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평가 방법]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헤드 스피드]
핸디캡이 0 에서 20 까지인 10 명의 테스터가 실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각 테스터가 각 클럽으로 5 구씩 타격하고, 이들 타격의 각각에 대해, 헤드 스피드와 타점이 계측되었다. 50 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하기의 표로 나타낸다.
[타점의 표준 편차]
상기 실타 테스트에 있어서, 헤드 스피드와 함께 타점이 측정되었다. 타점은, 쇼트 마커 (임팩트 마커) 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이 쇼트 마커를 헤드의 페이스면에 첩부하고, 페이스면 상에 있어서의 타격흔의 위치가 측정되었다. 페이스 센터로부터의 타점의 거리 (어긋남 거리) 가 측정되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 거리 (㎜) 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 거리 (㎜) 가 측정되었다. 좌우 방향이란, 토우-힐 방향을 의미한다. 상하 방향이란, 탑-솔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타점 및 상하 타점의 표준 편차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또한, 타점은,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윙의 편차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하는 지표로서 도움이 된다. 즉, 타점은, 스윙의 안정성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하는 데에 유효하다.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3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4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5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6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7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8
Figure 112018057094312-pat00009
표 3 에서는, 순식 클럽 플렉스가 변경되어 있다. 이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식 클럽 플렉스가 부드러운 편이 타점의 편차가 적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즉, 순식 클럽 플렉스가 크게 됨으로써,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큰 순식 클럽 플렉스가 스윙의 안정성에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 순식 클럽 플렉스가 크게 됨으로써, 헤드 스피드도 높아지고 있다.
표 4 에서도, 순식 클럽 플렉스가 변경되어 있다. 이 표 4 에서도, 순식 클럽 플렉스가 크게 됨으로써,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표 4 의 샘플은, 표 3 의 샘플과 비교하여 그립 중량 Wg 가 작다. 표 4 의 각 샘플은, 대응하는 표 3 의 각 샘플과 비교하여, 타점의 편차가 더욱 억제되고, 헤드 스피드도 향상되고 있다.
표 5 에서는, 비 (Wh/Wc) 가 변경되어 있다. 비 (Wh/Wc) 가 큰 편이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6 에서는, 그립 중량 Wg 가 변경되어 있다. 그립 중량 Wg 가 작은 편이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헤드 스피드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표 6 에서는,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변경되어 있다.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작은 편이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헤드 스피드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7 에서는, Lg1/Lg2 가 변경되어 있다. Lg1/Lg2 가 큰 편이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헤드 스피드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8 에서는, 스윙 웨이트가 변경되어 있다. 스윙 웨이트가 큰 편이 타점의 편차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스윙 웨이트가 증가한 것에 비해서는, 헤드 스피드가 저하되지 않았다.
표 9 에서는, 클럽 길이가 변경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긴 클럽일수록, 헤드 스피드는 증대되지만, 타점의 편차는 커지기 쉽다. 그러나, 소정의 클럽 길이의 범위에서는, 클럽이 길게 되어도 타점의 편차가 커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위성은 분명하다.
이상 설명된 골프 클럽은, 우드형, 유틸리티 (하이브리드) 형, 아이언형 등, 모든 골프 클럽에 적용될 수 있다.
2 : 골프 클럽
4 : 헤드
6 : 샤프트
8 : 그립
Gs : 샤프트의 무게 중심
Gg : 그립의 무게 중심
z : 샤프트 축선
Tp : 샤프트의 팁단
Bt : 샤프트의 버트단

Claims (6)

  1.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순식 클럽 플렉스가 170 ㎜ 이상이고,
    상기 헤드의 중량이 Wh 로 되고, 클럽의 중량이 Wc 로 될 때, Wh/Wc 가 0.72 이상이고,
    상기 그립의 후단에서 상기 그립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가 Lg1 로 되고, 상기 그립의 길이가 Lg2 로 될 때, Lg1/Lg2 가 0.37 이상인 골프 클럽.
  2. 제 1 항에 있어서,
    그립 중량 Wg 가 30 g 이하인 골프 클럽.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럽 길이가 45.7 인치 이상 46.5 인치 이하인 골프 클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윙 웨이트가 D5 이상인 골프 클럽.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되는 어깨 중심 그립 GLL 이 140 ㎏·㎠ 이하인 골프 클럽.
    어깨 중심 그립 GLL = Wg × L × L … (1)
    단, 이 식 (1) 에 있어서, Wg 는 상기 그립의 중량 (㎏) 이고, L 은 하기 식 (2) 로 계산되는 값이다. 이 식 (2) 에 있어서 Lg1 은 상기 그립의 후단에서 상기 그립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 이다.
    L = [602 + (Lg1)2]1/2 … (2)
  6. 삭제
KR1020180066915A 2017-07-10 2018-06-11 골프 클럽 KR102606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4292 2017-07-10
JP2017134292A JP6305611B1 (ja) 2017-07-10 2017-07-10 ゴルフクラ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33A KR20190006433A (ko) 2019-01-18
KR102606403B1 true KR102606403B1 (ko) 2023-11-24

Family

ID=6182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15A KR102606403B1 (ko) 2017-07-10 2018-06-11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220278B2 (ko)
JP (1) JP6305611B1 (ko)
KR (1) KR102606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5611B1 (ja) * 2017-07-10 2018-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648853B1 (ja) 2019-04-26 2020-0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648851B1 (ja) 2019-04-26 2020-0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7326850B2 (ja) 2019-04-26 2023-08-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7283213B2 (ja) 2019-04-26 2023-05-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7283212B2 (ja) 2019-04-26 2023-05-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7363089B2 (ja) 2019-04-26 2023-10-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7283209B2 (ja) 2019-04-26 2023-05-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21180776A (ja) * 2020-05-19 2021-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22112382A (ja) * 2021-01-21 2022-08-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791A (ja) * 2011-06-02 2012-12-20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ゴルフクラブ
JP2016054981A (ja) * 2014-09-10 2016-04-2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1231B2 (ja) 1990-12-30 1997-11-26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3735223B2 (ja) 1999-11-30 2006-0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04201911A (ja) 2002-12-25 2004-07-22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
US7524248B2 (en) * 2006-09-19 2009-04-28 Sri Sports Limited Shaft for golf clubs and golf club
JP2010000155A (ja) * 2008-06-19 2010-01-07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
US8066583B2 (en) * 2008-08-12 2011-11-29 Acushnet Company Golf club shaft with high balance point and golf club including same
JP5199421B2 (ja) * 2011-05-18 2013-05-1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5848521B2 (ja) * 2011-05-18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5756732B2 (ja) * 2011-10-12 2015-07-2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KR101766630B1 (ko) * 2012-05-29 2017-08-0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우드용 골프 샤프트
JP5577440B1 (ja) * 2013-07-31 2014-08-2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JP5826905B1 (ja) * 2014-09-10 2015-12-0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5824592B1 (ja) * 2015-05-29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305611B1 (ja) * 2017-07-10 2018-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946794B2 (ja) 2017-07-10 2021-10-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922491B2 (ja) 2017-07-10 2021-08-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946793B2 (ja) 2017-07-10 2021-10-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791A (ja) * 2011-06-02 2012-12-20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ゴルフクラブ
JP2016054981A (ja) * 2014-09-10 2016-04-2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1729A1 (en) 2019-05-23
JP6305611B1 (ja) 2018-04-04
US11123618B2 (en) 2021-09-21
US20190009155A1 (en) 2019-01-10
US10220278B2 (en) 2019-03-05
JP2019013604A (ja) 2019-01-31
KR20190006433A (ko) 2019-01-18
US20200222773A1 (en) 2020-07-16
US10632355B2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03B1 (ko) 골프 클럽
JP6922491B2 (ja) ゴルフクラブ
US20170282032A1 (en) Golf club with improved weight distribution
US8128508B2 (en) Shaft set for golf clubs and club set including the same
JP4528241B2 (ja) ゴルフクラブ
JP5260151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及びそれ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
JP2006515210A (ja) 釣合いおもり付きゴルフクラブ
JP2006204893A (ja) ゴルフクラブ
JP6946793B2 (ja) ゴルフクラブ
US10987555B2 (en) Golf club
JP6946794B2 (ja) ゴルフクラブ
US11130031B2 (en) Golf club
JP5826904B1 (ja) ゴルフクラブ
US20060019765A1 (en) Gravity compensated golf putter
US10987554B2 (en) Golf club
US10987553B2 (en) Golf club
US11130030B2 (en) Golf club
JP5826905B1 (ja) ゴルフクラブ
US11040257B2 (en) Golf club
JP5886392B1 (ja) ゴルフクラブ
JP5748443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及びそれ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