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59B1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59B1
KR102606159B1 KR1020170172361A KR20170172361A KR102606159B1 KR 102606159 B1 KR102606159 B1 KR 102606159B1 KR 1020170172361 A KR1020170172361 A KR 1020170172361A KR 20170172361 A KR20170172361 A KR 20170172361A KR 102606159 B1 KR102606159 B1 KR 10260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operating
posture
arm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557A (ko
Inventor
도모노리 다나카
마코토 미야자키
다츠야 기타노
다쿠미 구리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7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0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0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70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10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운전부가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수확기에 있어서, 운전부의 자세 변경에 대응한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를 얻는다.
브레이크 조작구(12)와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21)에, 브레이크 조작구(12)측의 조작구측 부분(17)과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19)이 구비되고,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조작구측 부분(17)과 브레이크측 부분(19)이 분리된다. 조작구측 부분(17) 및 브레이크측 부분(19) 중 한쪽 및 다른 쪽에, 면 부재(19b) 및 이동 부재(18)가 구비되고, 운전부의 통상 자세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구(12)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이동 부재(18)가 면 부재(19b) 상을 이동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된다.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이동 부재(18)의 이동 방향 C1이 교차한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에 구비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기에 있어서, 기체에 지지된 작업 장치(예취부나 탈곡 장치 등)의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 등의 수확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기체 본체에 구비되고, 운전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가 링크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속된 것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 조작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서는, 예취부(작업 장치에 상당) 및 탈곡 장치(작업 장치에 상당)가 기체에 지지되며, 예취부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예취 클러치 및 탈곡 장치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의 조작계의 구조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운전부의 조작 패널의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조작 레버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를 조작하는 전동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가 작동하여,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619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92093호 공보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기체 본체에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운전부에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경우에,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운전부의 자세 변경에 대응한 적절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운전부의 브레이크 조작구와 기체 본체의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운전부의 자세 변경에 대응한 적절한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조작 레버의 기부에 부채형의 조작판이 하향으로 연결되며, 조작판의 하방에 복수개의 리미트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조작판이 요동하여, 리미트 스위치가 조작된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2에서는, 조작 레버의 기부의 하방에, 조작판이나 리미트 스위치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라는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경하는 수확기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면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무리없이 흡수되면서, 브레이크 조작구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조작구측 부분, 이동 부재 및 면 부재, 브레이크측 부분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된다.
다음에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를 무리없이 제동측으로 조작할 수 있고,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수확기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은, 면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무리없이 흡수되면서, 브레이크 조작구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조작구측 부분, 이동 부재 및 이면 부재, 브레이크측 부분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되면,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를 접속하는 링크 기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수확기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직교함으로써, 운전부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될 때에,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또한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리없이 이격될 수 있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이격될 때에 링크 기구가 더욱 손상을 받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상기 제1 축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축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하는 아암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의 바닥부에, 상기 아암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아암 부재의 하측 단부에 상기 제1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 형상의 아암 부재가 관통 구멍을 통과하므로, 직선 형상의 아암 부재를 채용하는 것에 비해, 관통 구멍의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구로부터 아암 부재에 전달되는 조작력을 브레이크측 부분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측으로 가볍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작용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축심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한쪽을 구비하고, 제2 축심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에 작용부를 구비하는 요동 부재를 채용하는 것에 비해, 요동 부재의 설치에 필요한 전후 방향 스페이스를 소스페이스로 하면서, 요동 부재의 역점측과 작용점측의 링크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작용부가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제동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 부재이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롤러 부재가 면 부재 상을 구르는 상태로 되므로,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 궤적과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부의 조작 궤적의 차가, 더욱 무리없이 원활하게 흡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상기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확기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경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기체 본체에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운전부에 브레이크 조작구를 구비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전술한 유지 기구를 운전부에 구비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면, 브레이크 조작구와 유지 기구가 운전부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는 유지 기구에 의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반해, 기체 본체에 구비된 주차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조작구와의 연계가 해제됨으로써 해제측으로 조작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다음에 운전부를 통상 자세로 변경하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해제측으로 조작된 주차 브레이크가 연계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 경우, 제동측 및 해제측이라는 차이에 의해, 이동 부재와 면 부재의 상태가 서로 다르게 되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잘 연계 상태, 즉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유지 기구를 기체 본체에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면, 운전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기체 본체에 구비된 유지 기구가 이격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구는 해제측으로 조작되는 것이며, 기체 본체에 구비된 주차 브레이크도, 브레이크 조작구와의 연계가 해제됨으로써 해제측으로 조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상태에서, 다음에 운전부를 통상 자세로 변경하면, 해제측으로 조작된 브레이크 조작구와, 해제측으로 조작된 주차 브레이크가 연계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조작구와 주차 브레이크가 동일한 해제측으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로 되어, 이동 부재와 면 부재가 연계 상태, 즉 이동 부재가 면 부재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무리없이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조작구에 의해 유지 기구의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여, 유지 기구를 해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브레이크 조작구를 해제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조작구가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링크 기구의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해제 조작구가 브레이크 조작구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상태로 되어, 해제 조작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확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운전부의 조작 패널에 배치되며,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 조작에 의해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의 변경을 지령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센서와,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센서는, 상기 요동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각도 검출 센서에 의해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 상의 위치에,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축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요동 축심과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중복되는 상태로 되므로, 회전 각도 검출 센서가 요동 축심으로부터 하방으로 크게 나오는 일이 없어, 조작 레버의 부근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하방의 영역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조작 레버의 하방에 다른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영향을 받지 않고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에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 파지부와,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제1 아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는 제2 아암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제1 아암부의 측방 중 상기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아암부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 또한, 상기 제2 아암부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아암부 또는 상기 제2 아암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레버에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구비하여, 조작 레버에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 레버에 있어서,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에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제2 아암부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에서 제2 아암부의 하방의 영역에, 디텐트 기구를 배치하고 있고, 디텐트 기구가 제1 아암부 또는 제2 아암부에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의 위치 유지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조작 레버에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 의한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한 경우, 조작 레버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에 둘러싸인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디텐트 기구를 무리없이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운전부 및 그레인 탱크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브레이크 페달, 요동 부재, 유지 기구 및 중립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 및 요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 및 요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작용 위치에서의 입력 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후퇴 위치에서의 입력 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중립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부 및 그레인 탱크가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의 전체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 구조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해제 조작구가 답입 조작된 경우의 브레이크 페달, 연계 아암, 유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 변속 레버 및 중립 조작 기구의 부근의 측면도.
도 16은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17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18은 조작 패널의 부근의 우측면도.
도 19는 조작 레버의 부근의 평면도.
도 20는 도 19에 있어서의 V-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VI-V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2은 제어 장치, 조작 레버, 전동 모터,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있어서의 IX-IX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5은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수확기의 일례인 벼용의 자탈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형식의 주행 장치(2)에 의해 기체 본체(1)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전방부에 예취부(3)가 지지되고, 기체 본체(1)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캐빈으로 덮인 운전부(4)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좌측부에 탈곡 장치(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6)가 지지되어 있고,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우측부에 그레인 탱크(7) 및 곡립 배출 장치(8)가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의 곡간이 예취부(3)에 의해 예취되고, 예취된 곡간의 밑동이, 탈곡 장치(5)에 구비된 피드 체인(9)에 전달되어 후방측으로 반송되는 것이며, 곡간의 이삭 끝이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 및 회수된 곡립이 그레인 탱크(7)에 공급되고, 탈곡 처리가 종료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6)에 공급되어 세단 처리되어 포장에 방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배출 장치(8)는 그레인 탱크(7)의 곡립을 외부의 운반차 등에 배출하는 것이며, 기체 본체(1)의 후방부의 상하 방향의 종축심 P1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7)는 주행 시의 통상 자세 B1과, 통상 자세 B1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종축심 P1 주위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를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변경함으로써, 탈곡 장치(5)의 이면측이나 그레인 탱크(7)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에 구비된 운전 좌석(10)의 하측에, 엔진(11) 및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39)나, 보조 기기류가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4)의 후방부의 좌측부의 상하 방향의 종축심 P2 주위로, 운전부(4)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 A1과, 통상 자세 A1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7)를 메인터넌스 자세 B2로 변경한 후,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함으로써, 엔진(11) 및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39)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브레이크 페달 및 변속 레버의 관계의 개략)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기체 본체(1)에 지지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11)의 동력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전달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미션 케이스의 내부 전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주행 장치(2) 및 탈곡 장치(5) 등에 전달된다.
주행 장치(2)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22)가 미션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22)를 제동측으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12)이 운전부(4)에 구비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운전부(4)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변속 레버(23)에 걸쳐 중립 조작 기구(37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이것과 동시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
이하에, 브레이크 페달(12), 주차 브레이크(22) 등의 구조 및 각 부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레이크 페달의 구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의 좌측 하부에 브레이크 페달(12)(브레이크 조작구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운전부(4)의 바닥부(14)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아암부(12a)와, 답입부(12b)(조작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12a)의 후단부가 지지축(50)을 통해 사이드 패널 지주(51)에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 지주(51)는 운전부 프레임(52)에 기립 설치되며, 사이드 패널(29)(도 1, 도 2 참조)을 지지하고 있다. 운전부 프레임(52)은, 통상 자세 A1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 가능한 운전부(4)를 구성하고 있고, 종축심 P2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은 답입부(12b)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축(5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X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12a)로부터 연장된 스프링 걸이 부재(53)와 사이드 패널 지주(51)의 스프링 걸이부(51a)에 스프링(54)이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은 도 4에 도시한 해제 위치에 스프링(54)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면, 아암부(12a)에 구비된 접촉부(12c)의 단부(12d)가 센서 지지 부재(55)에 맞닿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접촉부(12c)에 의해 해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센서 지지 부재(55)는 사이드 패널 지주(51)에 지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지지 부재(55)에 접촉 형식의 브레이크 센서(15)가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에 접촉한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것이 브레이크 센서(15)에 의해 검출된다.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 구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12a)로부터 아암 부재(56)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 부재(56)는 제1 축심 X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4)에, 아암 부재(56)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 부재(56)는 브레이크 페달(12)이 조작됨으로써, 관통 구멍(57)을 삽입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축심 X 주위로 상하로 요동한다. 관통 구멍(57)에 시일재(58)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부(14)와 아암 부재(56)의 간극이 시일재(58)에 의해 폐색되어, 바닥부(14)의 하방으로부터 관통 구멍(57)을 통해 운전부(4)에 모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이 직결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지만,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 등에 의해서는,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 페달(12)을 중계 부재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연동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4)의 하방에 있어서, 요동 부재(59)가 지지축(60)을 통해 지지 부재(6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61)는 지지 프레임(62)을 통해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요동 부재(59)는 지지축(6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Y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요동 부재(59)의 지지축(60)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위치 결정부(59a)가 구비되어 있다. 요동 부재(59)는 위치 결정부(59a)가 지지 부재(61)의 상부에 맞닿는 대기 위치에 스프링(64)에 의해 요동 가압되어 있다.
요동 부재(59)에 있어서의 제2 축심 Y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입력 핀 부재(65)가 구비되어 있다. 요동 부재(59)에 있어서의 제2 축심 Y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출력 핀 부재(66)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핀 부재(66)와 주차 브레이크(22)의 조작부(22a)에 조작 케이블(67)이 연결되고, 출력 핀 부재(66)는 조작 케이블(67)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22)에 연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는 요동 부재(59)와, 요동 부재(59)가 구비하는 가이드부(59b)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작용 위치와 후퇴 위치에 걸쳐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가 작용 위치에 위치하면, 입력 핀 부재(65)의 일단측의 수동부(65a)가 가이드부(59b)로부터 아암 부재(56)가 위치하는 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수동부(65a)에 접촉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핀 부재(65)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면, 입력 핀 부재(65)가 작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입력 핀 부재(65)의 일단측의 수동부(65a)가 가이드부(59b)측으로 후퇴한다. 요동 부재(59)와 가이드부(59b) 사이에 있어서, 입력 핀 부재(65)에 위치 결정 핀(68) 및 스프링(69)이 장착되어 있다. 입력 핀 부재(65)는 위치 결정 핀(68)이 가이드부(59b)에 맞닿음으로써 작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입력 핀 부재(65)는 스프링(69)에 의해 작용 위치에 슬라이드 가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21A)가 접속되어 있다. 링크 기구(21A)는, 아암 부재(56), 요동 부재(59) 및 조작 케이블(67)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가 링크 기구(21A)의 조작구측 부분으로 되고, 요동 부재(59) 및 조작 케이블(67)이 링크 기구(21A)의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된다.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조작구측 부분에 구비된 제1 부재로서의 면 부재로 된다. 면 부재[하단면(56a)]는 조작구측 부분에 있어서의 입력 핀 부재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입력 핀 부재(65)가 브레이크측 부분에 구비된 제2 부재로서의 이동 부재로 된다. 출력 핀 부재(66)가 요동 부재(59)에 구비되어, 주차 브레이크(22)에 연계된 작용부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부재(56)에 면 부재를 구비하고, 요동 부재(59)에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만, 아암 부재(56)에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요동 부재(59)에 면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21A)에,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되고, 링크 기구(21A)의 조작구측 부분에 제1 부재로서의 면 부재[하단면(56a)]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링크 기구(21A)의 브레이크측 부분에 제2 부재로서의 이동 부재[입력 핀 부재(65)]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구조)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걸이 부재(53)와, 스프링 걸이 부재(53)가 구비하는 아암부(53a)에 걸림 결합 부재(71)가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가 지지축(73)을 통해 브래킷(74)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74)은 스테이(75)를 통해 운전부 프레임(52)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71)의 아암부측 부분(71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상태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측 부분(71a)으로부터 분리되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로 지지축(73)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브래킷(74)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72)는 스프링(76)에 의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 가압되어 있다. 유지 부재(72)에 조작 아암부(72a)가 구비되고, 조작 아암부(72a)로부터 해제 조작구(77)가 기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 부재(72) 및 해제 조작구(77)는 브래킷(74) 및 스테이(75)를 통해 운전부 프레임(52)에 지지되고,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와 통상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 브레이크 페달(12)과 함께 이동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에 유지 기구(27A)가 구비되어 있고, 유지 기구(27A)는, 유지 부재(72) 및 스프링(76)을 구비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기구(27A)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부터 하강 요동해 가면, 걸림 결합 부재(71)의 아암부측 부분(71a)이 유지 부재(72)에 있어서의 훅부의 외측 경사부(72b)에 맞닿아, 유지 부재(72)를 스프링(76)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시키면서 하강해 간다.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되면, 아암부측 부분(71a)이 유지 부재(72)의 외측 경사부(72b)로부터 떨어지고, 유지 부재(72)가 스프링(76)에 의한 조작에 의해 아암부측 부분(71b)에 걸림 결합한다. 이 걸림 결합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부재(72)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해제 조작구(77)가 끌어올림 조작됨으로써, 유지 부재(72)가 스프링(76)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해제 상태로 요동 조작되어,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조작하는 중립 조작 기구의 구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사이드 패널(29)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는 지지축(80)을 통해 스테이(81)에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81)는 사이드 패널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변속 레버(23)는 지지축(80)의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중립 위치 N과, 중립 위치 N보다 전방측의 전진측과, 중립 위치 N보다 후방측의 후진측으로 전환된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립 조작 기구(37A)는, 변속 레버(23)의 기부에 구비된 조작부(82)와, 조작부(82)의 전방부와 스프링 걸이 부재(53)의 아암부(53a)를 연동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83)와, 조작부(82)의 후방부와 아암부(53a)를 연동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8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부재(83)와 아암부(53a)의 연결 및 제2 링크 부재(84)와 아암부(53a)의 연결의 각각은, 링크 부재(83, 84)에 형성된 긴 구멍(85)과, 긴 구멍(8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리는 상태에서 아암부(53a)에 설치된 연결 핀(86)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3)를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하고자 하면, 제1 링크 부재(83)와 아암부(53a)가 긴 구멍(85)에 의해 상대 이동하고, 제2 링크 부재(84)와 아암부(53a)가 긴 구멍(85)에 의해 상대 이동하므로, 변속 레버(23)를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주차 브레이크 및 유지 기구의 작동)
도 4에 도시한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이다. 도 4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측으로 조작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의 하강에 의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제1 부재, 면 부재)과, 입력 핀 부재(65)(제2 부재, 이동 부재)의 수동부(65a)가 접촉하여 하단면(56a)이 입력 핀 부재(65)에 압박 작용한다. 이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조작구측 부분으로서의 아암 부재(56)와, 브레이크측 부분으로서의 요동 부재(59)가 연계됨과 함께 브레이크 페달(12)의 조작력이 아암 부재(56)로부터 요동 부재(59)에 전달된다.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가 다른 축심 주위로 요동하므로, 입력 핀 부재(65)(이동 부재)가 하단면(56a)(면 부재) 상을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아암 부재(56)로부터 요동 부재(59)에 조작력이 전달된다. 요동 부재(59)에 전달된 조작력이 출력 핀 부재(66)(작용부)로부터 조작 케이블(67)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22)의 조작부(22a)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조작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되면, 유지 기구(27A)가 작동하여 유지 부재(72)가 걸림 결합 부재(71)에 걸림 지지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에 유지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 및 입력 핀 부재(65)는 종축심 P2를 지나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의 직선 L 상 또는 거의 직선 L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점 T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이 위치하는 개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선 K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에 있어서의 점 T의 이동 규제, 즉, 하단면(56a)의 이동 궤적이다. 도 2에 도시한 선 S는, 이동 궤적 T에 있어서의 점 T에서의 접선이다. 도 2에 도시한 화살표가 부착된 선 T-Z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에 있어서의 하단면(56a)의 초기 이동의 궤적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하단면(56a)이 접선 S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C2는,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C1은,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어, 입력 핀 부재(65)가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에 의한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이동 조작될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운전부(4)는 기체 상하 방향의 종축심 P1 주위로 자세 변경되고, 입력 핀 부재(65)를 구비하는 요동 부재(59)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Y 주위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측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이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입력 핀 부재(65)가 주차 브레이크(22)를 조작할 때의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이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90도보다도 대각도의 교차각이나, 90도보다도 소각도의 교차각에서 교차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측으로 조작하였을 때,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전진 영역이나 후진 영역의 변속 상태로 한 채여도,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에 의해 중립 조작 기구(37A)가 작동하고, 변속 레버(23)가 제1 링크 부재(83) 및 제2 링크 부재(84)에 의해 중립 위치 N으로 강제적으로 전환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상태로 변속된다.
(운전부의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로의 자세 변경에 대하여)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주차 브레이크(22) 및 요동 부재(59)가 기체 본체(1)에 남겨지고, 브레이크 페달(12), 아암 부재(56) 및 유지 기구(27A)가 운전부(4)와 함께 메인터넌스 자세 A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로 유지된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요동 부재(59)의 입력 핀 부재(65) 사이에서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가 분리된다. 링크 기구(21A)를 브레이크 페달측 부분과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하단면(56a)이 접선 S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운전부(4)가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자세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초기에 있어서, 운전부(4)가 입력 핀 부재(65)의 이동 방향 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아암 부재(56)와 요동 부재(59)를 신속히 분리시키면서, 운전부(4)를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자세 변경되는 경우,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될 때까지는, 하단면(56a)에 의한 입력 핀 부재(65)의 압박에 의해 요동 부재(59)가 제동측의 요동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되면, 요동 부재(59)는 주차 브레이크(22)의 단절 상태로의 복원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운전부의 메인터넌스 자세로부터 통상 자세로의 자세 변경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된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의 상방으로 되돌아가서,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가 대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 조작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2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브레이크 페달(12)이 유지 기구(27A)에 의해 제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되는 경우,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의 직전에 위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부재(56)의 측면이 입력 핀 부재(65)의 아암 부재측의 단부면에 맞닿고, 이후,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를 스프링(69)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로 누름 조작하면서 요동 부재(59)측으로 이동한다. 아암 부재(56)와 입력 핀 부재(65)의 맞닿음에 상관없이, 입력 핀 부재(65)가 운전부(4)에 이동 장해로 되지 않고,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 된 후, 유지 기구(27a)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로의 유지를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브레이크 페달(12)이 스프링(54)에 의해 해제 위치로 복귀 조작되어 아암 부재(56)가 상승한다. 아암 부재(56)가 상승하면, 아암 부재(56)가 입력 핀 부재(65)로부터 분리되어, 입력 핀 부재(65)가 스프링(69)에 의해 작용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아암 부재(56)의 하단면(56a)과, 입력 핀 부재(65)의 수동부(65a)가 대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 조작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22)의 제동측으로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
다음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의 구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의 하부의 좌측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3 주위로, 브레이크 페달(12)(브레이크 조작구에 상당)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아암부(12a)와, 답입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가 운전부(4)의 바닥부(14)(도 11 참조)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가 운전부(4)의 바닥부(14)로부터 상측으로 나와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스프링(13)이 접속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12)이 도 13에 도시한 해제 위치에 스프링(13)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접촉부(12c)가 연결되고, 접촉부(12c)의 상측에 접촉 형식의 브레이크 센서(15)가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페달(12)의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에 접촉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엔진(11)의 시동 조작을 행해도, 엔진(11)은 시동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되면, 브레이크 페달(12)의 접촉부(12c)가 브레이크 센서(15)로부터 이격되므로, 이 상태에서 엔진(11)의 시동 조작을 행하면, 엔진(11)이 시동된다.
(브레이크 페달과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 구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에 이동 아암(17)이 하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 아암(17)의 하부의 횡축심 P4(후술하는 이동 방향 C1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에 상당) 주위로, 롤러 부재(18)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횡축심 P4는 횡축심 P3과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에 연결된 프레임(16)에 지지축(38)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축(38)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5 주위로, 연계 아암(19)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계 아암(19)은 판재가 구부러진 것이며, 우측 및 좌측의 종벽부(19a)와, 우측 및 좌측의 종벽부(19a)의 상부에 걸쳐 접속되는 횡방향의 상면부(19b)를 구비하고 있고, 상면부(19b)가 이동 아암(17) 및 롤러 부재(18)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에 있어서,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와는 반대측의 종벽부(19a)의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연계 로드(20)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에 걸쳐,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21)가 접속되어 있고, 링크 기구(21)는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연계 아암(19) 및 연계 로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링크 기구(21)의 조작구측 부분으로 되고, 연계 아암(19) 및 연계 로드(20)가 링크 기구(21)의 브레이크측 부분으로 된다. 롤러 부재(18)가 이동 부재(제2 부재에 상당)로 되고,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면 부재(제1 부재에 상당)로 되는 것이며,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 사이가, 링크 기구(21)의 분리 부분으로 된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21)에,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되고, 링크 기구(21)의 브레이크측 부분에 면 부재가 구비되고, 링크 기구(21)의 조작구측 부분에 이동 부재가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구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의 프레임(16)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24)가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 부재(24)의 상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6 주위로, 유지 부재(25)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5)가 접촉하는 받침부(24a)가 지지 부재(24)에 연결되어 있고, 유지 부재(25)를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6)(가압 부재에 상당)이 지지 부재(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본체(1)의 프레임(16)에 유지 기구(27)가 구비되어 있고, 유지 기구(27)는 유지 부재(25) 및 스프링(2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는, 스프링(26)에 의해, 유지 부재(25)가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측으로 가압되어, 유지 부재(25)가 지지 부재(24)의 받침부(24a)에 접촉하여, 도 13에 도시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5)측의 부분에, 노치부(17a)가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
(유지 기구의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의 구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의 상부의 횡축심 P7 주위로, 해제 조작구(28)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조작구(28)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해제 조작구(28)의 하부인 조작부(28a)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인접하고 있다. 해제 조작구(28)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해제 조작구(28)의 상부인 답입부(28b)가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심 P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28c)이 해제 조작구(28)에 개구되어 있고, 이동 아암(17)에 연결된 핀(17b)이 해제 조작구(28)의 긴 구멍(28c)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해제 조작구(28)의 긴 구멍(28c)의 범위에서, 해제 조작구(28)는 요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조작하는 중립 조작 기구의 구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23)가 구비되고, 변속 레버(23)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40)가 운전부(4)에 고정된 지지판(41)의 좌우 방향 지지축(3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운전부(4)의 좌측의 사이드 패널(29)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는 지지축(30)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8 주위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중립 위치 N,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0)의 하부에 핀 형상의 조작부(40a)가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횡축심 P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41a)이 지지판(41)에 개구되어 있고,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지지판(41)의 긴 구멍(41a)을 통해 변속 레버(23)와는 반대측으로 나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41)에 대하여 변속 레버(23)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부재(31)의 상부가, 횡축심 P8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축(30)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사이에 두도록, 링크 부재(3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하부에,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측 및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a)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31)에 있어서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측 및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a)를 구비하는 것은, 한 쌍의 링크 부재(31)를 공통의 부재로 하기 위해서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하부에 핀 부재(42)를 통해, 링크 부재(32)의 상부가, 횡축심 P8과 평행한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32)의 하부에, 연계 부재(33)의 상부가 핀 형상의 접속 부재(34)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접속(피봇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와 연계 부재(33)의 하부에 걸쳐, 연계 로드(35)가 접속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41)의 하부에, 상하 방향의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부(36)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에 삽입되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접속 부재(3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가이드부(36)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심 P8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지지축(30)과 가이드부(36)를 연결하는 직선이, 변속 레버(23)의 중립 위치 N과 일치하고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에 중립 조작 기구(37)가 구비되어 있고, 중립 조작 기구(37)는 링크 부재(31, 32), 접속 부재(34) 및 가이드부(36)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되면, 중립 조작 기구(37)에 의해 변속 레버(23)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주차 브레이크 및 유지 기구의 작동)
도 13에 도시한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된 상태이며, 중립 조작 기구(37)에 있어서,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로부터 이격되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한 상태이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도 13 내지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하측인 연계 아암(19)측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측인 유지 기구(27)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 13 내지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이동 방향 C1을 따라서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 상을 횡축심 P5측으로 구른다. 이 경우, 롤러 부재(18)가 회전하는 횡축심 P4가, 이동 방향 C1과 평면에서 보아 90°로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이 횡축심 P5 주위로 요동하고, 연계 로드(20)가 연계 아암(19)측으로 당김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조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아암(17)이 연계 아암(19)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지 기구(27)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아암(17)이 유지 부재(25)에 접촉하여 유지 부재(25)를 조금 밀어올리는 것이며, 다음에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조작구(28)의 답입부(28b)를 답입 조작하면, 해제 조작구(28)가 횡축심 P7 주위로 요동하고, 해제 조작구(28)의 조작부(28a)에 의해,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로부터 압출되어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5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다. 이것과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22)에 구비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연계 아암(19)이 요동하여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였을 때의 중립 조작 기구의 작동)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중립 조작 기구(37)에 있어서,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상부에 위치하고,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로부터 이격되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위치로 답입 조작하면, 연계 로드(35)가 브레이크 페달(12)측으로 당김 조작되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링크 부재(32)가 끌어내려지고,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하면, 한쪽의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누름 조작한다.
변속 레버(23)가 후진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31)가 폐쇄 조작되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양측으로부터 접근하면, 다른 쪽의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누름 조작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위치에 도달하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하부에 도달하고,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를 중립 위치 N에서 끼워 넣어, 변속 레버(23)를 중립 위치 N에서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됨으로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해제 조작구(28)의 답입부(28b)가 답입 조작되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면, 연계 로드(35)가 링크 부재(31, 32)측으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34)가 가이드부(36)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링크 부재(31, 32)가 개방 조작되어,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변속 레버(23)가 전진측으로 조작되어 있어도, 후진측으로 조작되어 있어도, 링크 부재(31)가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에 직접 접촉하여 변속 레버(23)를 중립 위치 N으로 조작하므로, 변속 레버(23)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변속 레버(23)가 확실하게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다.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링크 부재(31)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되므로,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조작된 후에,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부터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금 움직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조금 조작되어 버리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링크 부재(31)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되는 경우,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의 볼록부(31a)에 의해, 지지 부재(40)의 조작부(40a)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3)가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링크 부재(31)가 서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는 되지 않고, 링크 부재(31)가 서로 조금 이격된 상태로 되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링크 부재(31)가 서로 무리없이 이격되어,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34)는 브레이크 페달(12)의 제동 위치로의 답입 조작 및 해제 위치로의 조작을 링크 부재(31, 32)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부(36)와의 협동에 의해 링크 부재(31, 32)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가이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였을 때의 각 부의 상태)
브레이크 페달(12),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변속 레버(23) 및 중립 조작 기구(37)가 운전부(4)에 구비되어 있고, 주차 브레이크(22), 연계 아암(19) 및 유지 기구(27)가 기체 본체(1)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면, 주차 브레이크(22), 연계 아암(19) 및 유지 기구(27)가 기체 본체(1)에 남겨지고, 브레이크 페달(12), 이동 아암(17), 롤러 부재(18), 변속 레버(23) 및 중립 조작 기구(37)가 운전부(4)과 함께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이동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은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방향 C1도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연계 아암(19)으로부터 기체 본체(1)의 후방으로 연장된 가상선의 근방에, 종축심 P2가 배치되어 있고, 운전부(4)의 통상 자세 A1이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는, 평면에서 보아 기체 본체(1)의 좌우 방향으로 되어 있다. 기체 본체(1)의 좌우 방향인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기체 본체(1)의 전후 방향인 이동 방향 C1이,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페달(12)이 해제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롤러 부재(18)는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도 12 참조)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이격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의 연계가 해제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에 접근하는 것이며,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앞에 도달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근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접근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가 연계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를 통상 자세 및 메인터넌스 자세로 변경하였을 때의 각 부의 상태)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2)이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된 상태[주차 브레이크(22)가 제동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부(4)가 통상 자세 A1로부터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면서, 이동 아암(17)이 유지 기구(27)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동 아암(17)의 노치부(17a)가 유지 부재(25)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2)이 도 13에 도시한 해제 위치로 조작된다. 이것과 동시에,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로부터 이격되어, 주차 브레이크(22)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22)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연계 아암(19)이 요동하여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이격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의 연계가 해제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운전부(4)가 메인터넌스 자세 A2로부터 통상 자세 A1로 변경되면,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에 접근하는 것이며, 전술과 마찬가지로 롤러 부재(18)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앞에 도달하면, 롤러 부재(18)가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로 이동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근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의 바로 위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롤러 부재(18)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가 서로 동일한 해제측의 상태에서 접근하는 것이며, 브레이크 페달(12)과 주차 브레이크(22)가 연계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밖의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
브레이크 페달(12) 대신에, 손으로 조작되는 브레이크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브레이크 조작구로서 구비해도 된다. 해제 조작구(28)를 브레이크 조작구에 지지시켜도 된다.
롤러 부재(18) 대신에, 회전하지 않는 접촉부를 이동 부재로서 이동 아암(17)에 구비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이동 아암(17)의 접촉부가,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에 접촉하여, 연계 아암(19)의 상면부(19b) 상을 따라서 미끄러지도록 미끄럼 이동하는 상태로 된다.
이동 아암(17)에 면 부재를 구비하고, 연계 아암(19)에 이동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면 부재가 이동 부재에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면 부재 상을 이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면 부재에 의해 이동 부재가 누름 조작되는 상태로 된다.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이동 방향 C1을, 직교하는 상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부(4)의 초기 이동의 방향 C2와 이동 방향 C1이, 90°보다도 조금 큰 각도, 또는 90°보다도 조금 작은 각도로 교차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유지 기구(27)에 있어서, 유지 부재(25)가 이동 아암(17)에 걸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유지 부재(25)가 브레이크 페달(12)의 아암부(12a)나, 브레이크 페달(12)의 답입부(12b)에 걸림 결합하여, 브레이크 페달(12)을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중립 조작 기구(37)를, 변속 레버(23)가 아니라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조작부(트러니언축)에 직접 작용시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조작부(트러니언축)를 중립 위치 N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링크 부재(32) 대신에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해도 된다.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 및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하는 경우,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기체 본체(1)의 횡측으로 평행 이동시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해도 된다. 운전부(4)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운전부(4)를 통상 자세 A1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리도록 요동시켜 메인터넌스 자세 A2로 변경해도 된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6 및 도 17에, 수확기의 일례인 벼용의 자탈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형식의 주행 장치(1002)에 의해 기체 본체(1001)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001)의 전방부에 예취부(1003)(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되고, 기체 본체(1001)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캐빈으로 덮인 운전부(1004)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본체(1001)의 후방부의 좌측부에 탈곡 장치(1005)(작업 장치에 상당히)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되어 있고, 기체 본체(1001)의 후방부의 우측부에 그레인 탱크(1007) 및 곡립 배출 장치(1008)가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의 곡간이 예취부(1003)에 의해 예취되고, 예취된 곡간의 밑동이, 탈곡 장치(1005)에 구비된 피드 체인(1009)에 전달되어 후방측으로 반송되는 것이며, 곡간의 이삭 끝이 탈곡 장치(1005)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1005)에 의해 탈곡 및 회수된 곡립이 그레인 탱크(1007)에 공급되고, 탈곡 처리가 종료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에 공급되어 세단 처리되어 포장에 방출된다.
(예취부, 탈곡 장치 및 배출 짚 세단 장치의 조작계의 개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03)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여 예취부(1003)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예취 클러치(1010)가 구비되고,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여,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탈곡 클러치(1011)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는 전동 모터(1012)(액추에이터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가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 레버(1014)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13)로부터 전동 모터(1012)에 조작 지령이 출력되어, 전동 모터(1012)가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이하와 같이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한다(작업 장치의 작업 상태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경되는 상태에 상당).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1014)를 제1 위치 A1001(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가 단절 상태로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1014)를 제2 위치 A1002(조작 위치에 상당)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의 상세 구조)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04)에 있어서, 운전 좌석(1016)의 횡측에 조작 패널(1017)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가 조작 패널(1017)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a)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용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1018)가, 조작 레버(1014)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있고, 변속 레버(1018)가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b)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종방향의 지지 부재(1019)에, 원통형의 지지 부재(1020)가 좌우 방향의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조작축(1021)이 니들 베어링(1022)에 의해 지지 부재(10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조작 레버(1014)가 연결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가 조작축(1021)의 축심인 횡방향의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는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조작축(1021)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1014a)와, 제1 아암부(1014a)의 상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운전 좌석(1016)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1014b)와, 제2 아암부(1014b)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3 아암부(1014c)와, 제3 아암부(1014c)의 상부에 연결되는 파지부(1014d)가 구비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스토퍼 링(1023)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스토퍼 링(1023)에 의해, 지지 부재(1020)에 있어서의 요동 축심 P1001의 방향에서의 조작축(1021)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20)의 운전 좌석(1016)측의 단부에 있어서,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링 형상의 간극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지지 부재(1020)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링 형상의 간극이, 스토퍼 링(102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020)와 조작축(1021) 사이의 간극에의 먼지 등의 인입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스토퍼 링(1023)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며, 니들 베어링(1022)이 보호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제2 아암부(1014b)가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의 제3 아암부(1014c)가 조작 패널(1017)의 안내 구멍(1017a)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조작 레버(1014)의 파지부(1014d)가 조작 패널(101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파지부(1014d)를 잡고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를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할 수 있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의 상세 구조)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채널 형상의 지지 부재(1024)가 지지 부재(1019)에 연결되어 있고, 포텐시오미터 형식의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지지 부재(1024)에 볼트(1025)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요동 축심 P1001과 동심상의 오목부(1021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축(1021)의 오목부(1021a)에 삽입되고, 접속 부재(1026)를 통해 조작축(1021)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축(1021)과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가 요동 축심 P1001 상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되면, 조작축(1021)을 통해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이 조작 레버(1014)와 일체로 회전 조작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 및 조작축(1021)의 회전 각도가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에 의해 검출되고,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된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 신호에,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1013)는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조작된 것을 판별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13)로부터 전동 모터(1012)에 조작 지령이 출력되어, 전동 모터(1012)가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를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한다.
(디텐트 기구의 상세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 레버(1014)에 있어서,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로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1027)가 구비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19)의 하부로부터 지지부(1019a)가 조작 레버(1014)측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디텐트판(1028)이 지지 부재(1019)의 지지부(1019a)에 볼트(1029)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디텐트판(1028)이 구부러지면서 요동 축심 P1001을 가로질러,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의 하면 부근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는, 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 P100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에, 3개의 오목부 형상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가 형성되어 있다.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가 단절 위치 AA100에 대응하고,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b)가 제1 위치 A1001에 대응하고,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c)가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고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에 있어서,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원통형의 지지 부재(1030)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030)의 하부에 볼 부재(1031)가 지지 부재(1030)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볼 부재(1031)를 돌출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32)이 지지 부재(1030)에 구비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요동 축심 P1001 주위로 요동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상변부를 타고 이동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며,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에 들어가거나,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로부터 나오거나 한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4)를 단절 위치 AA100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에 유지된다.
조작 레버(1014)를 제1 위치 A1001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b)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제1 위치 A1001에 유지된다.
조작 레버(1014)를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하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c)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디텐트 기구(1027)는 디텐트판(1028),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 기구(1027)는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의 측방 중 제1 아암부(1014a)에 대하여 제2 아암부(1014b)가 연장되는 측의 측방, 또한, 조작 레버(1014)의 제2 아암부(1014b)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
도 19, 도 20, 도 21에 있어서,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에 횡방향으로 연결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디텐트판(1028)의 노치부(1028a, 1028b, 1028c)를 폐지하고, 디텐트판(1028) 횡면부의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볼 부재(1031)가 디텐트판(1028)의 개구부에 들어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조작 레버(1014)가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
조작 레버(1014)의 제1 아암부(1014a) 및 제2 아암부(1014b)에 의한 구부러짐 구조를 폐지하고, 조작축(1021)에 연결된 조작 레버(1014)를 곧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축(1021)의 운전 좌석(1016)측[조작 레버(1014)측]의 단부에, 회전 각도 검출 센서(1015)의 검출축(1015a)을 접속해도 된다.
디텐트 기구(1027)에 있어서, 디텐트판(1028)을 조작 레버(1014)에 구비하고,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을 지지 부재(1019)에 구비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위치 고정의 지지 부재(1030), 볼 부재(1031) 및 스프링(1032)에 대하여, 디텐트판(1028)이 조작 레버(1014)와 함께 요동 조작되는 상태로 된다.
예취부(1003), 탈곡 장치(1005) 및 배출 짚 세단 장치(1006)뿐만 아니라, 곡립 배출 장치(1008)를 작업 장치로 하여, 곡립 배출 장치(1008)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하는 배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 레버(1014)에 대하여 단절 위치 AA100, 제1 위치 A1001 및 제2 위치 A1002 이외에, 배출 클러치에 대응한 조작 위치가 추가된다. 작업 장치를 곡립 배출 장치(1008)의 하나로 하면, 조작 레버(1014)에 대하여 배출 클러치의 단절 위치 및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조작 위치가 설정된다.
요동 축심 P1001 및 조작축(1021)을 좌우 방향의 횡방향이 아니고, 전후 방향의 횡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조작 레버(1014)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므로, 조작 레버(1014)를 운전 좌석(1016)의 횡측의 조작 패널(1017)이 아니라, 운전 좌석(1016)의 전방측의 조작 패널에 구비해도 좋다.
1개의 전동 모터(1012)에 의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을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장치의 각각에 작업 상태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해도 된다.
전동 모터(1012) 대신에, 전동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액추에이터로서 사용해도 된다.
(조작 레버의 다른 구조)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 조작 레버(1014)의 구조 대신에,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한 조작 레버(1051)의 구조도 생각된다.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017)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평판 형상의 지지판(1040)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1040)의 단부가 상향으로 구부러져, 종벽부(1040a)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를 따라서 가이드 부재(1041)가 연결되어 있다.
2개의 리미트 스위치(1052, 1053)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지지판(1040)에 연결되어 있고,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검출 신호가 도 22에 도시한 제어 장치(1013)에 입력된다.
앵글 형상의 지지판(1042)이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에 연결되고, 원통형의 지지 부재(1043)가 지지판(1042)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043)의 단부에 볼 부재(1044)가 지지 부재(10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볼 부재(1044)를 돌출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45)이 지지 부재(1043)에 구비되어 있다.
판재를 구부려서 형성된 조작판(1046)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판(1046)은 저판부(1047), 저판부(1047)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종벽부(1048), 종벽부(1048)로부터 횡측으로 연장된 상측부(1049), 상측부(1049)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종벽부(105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판(1046)의 저판부(1047)에, 조작 레버(1051)가 구비되어 있고,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에, 3개의 개구부(1050a, 1050b, 1050c)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개구되어 있다.
조작판(1046)의 상측부(1049) 및 종벽부(1048, 1050)가,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 및 가이드 부재(1041)에 상측으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조작판(1046)이 지지판(1040)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판(1046)이 지지판(1040)의 종벽부(1040a) 및 가이드 부재(1041)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1051)에 의해 조작판(1046)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에 접촉하거나 이격하거나 하여, 리미트 스위치(1052, 1053)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 22에 도시한 전동 모터(1012)에 의해, 이하의 설명과 같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 및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 레버(1051)를 단절 위치 AA100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며,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a)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단절 위치 AA100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되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되어 있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단절 상태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1051)를 제1 위치 A1001로 조작하면,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b)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제1 위치 A1001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2)에 접촉하여, 리미트 스위치(1052)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가 입력 상태, 리미트 스위치(1053)가 단절 상태로 되어, 탈곡 클러치(1011)가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1051)를 제2 위치 A1002로 조작하면, 볼 부재(1044)가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개구부(1050c)에 들어가 걸림 결합하여, 조작 레버(1051)가 제2 위치 A1002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의 단부(1050d)가 리미트 스위치(1053)에 접촉하여, 리미트 스위치(1053)가 입력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며, 조작판(1046)의 종벽부(1050)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는 입력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52, 1053)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되어, 예취 클러치(1010) 및 탈곡 클러치(1011)의 양쪽이 입력 상태로 조작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의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의 콤바인, 사탕수수 수확기, 옥수수 수확기, 조사료나 혼합 사료용의 작물을 수확하고 세단하여 롤 형상으로 곤포하는 사료 수확기 등의 수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기체 본체
2 : 주행 장치
4 : 운전부
12 : 브레이크 조작구(브레이크 페달)
14 : 바닥부
17 : 조작구측 부분
18 : 제2 부재(이동 부재, 롤러 부재)
19 : 브레이크측 부분
19b : 제1 부재(상면부, 면 부재)
21 : 링크 기구
21A : 링크 기구
22 : 주차 브레이크
25 : 유지 부재
26 : 가압 부재(스프링)
27 : 유지 기구
28 : 해제 조작구
56 : 아암 부재
56a : 제1 부재(면 부재, 하단면)
57 : 관통 구멍
59 : 요동 부재
65 : 제2 부재(입력 핀 부재, 이동 부재)
66 : 작용부(출력 핀 부재)
A1 : 통상 자세
A2 : 메인터넌스 자세
C1 :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
C2 :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
P3 : 축심(횡축심)
X : 제1 축심
Y : 제2 축심
1003, 1005, 1006 : 작업 장치
1004 : 운전부
1012 : 액추에이터
1014 : 조작 레버
1014a : 제1 아암부
1014b : 제2 아암부
1014d : 파지부
1015 : 회전 각도 검출 센서
1017 : 조작 패널
1027 : 디텐트 기구
AA100, A1001, A1002 : 조작 위치
P1001 : 요동 축심

Claims (10)

  1.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이며,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면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확기.
  2. 운전부가, 주행 시의 통상 자세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이격된 메인터넌스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본체에 지지된 수확기이며,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며, 주행 장치를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와,
    상기 운전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연계하는 링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측의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주차 브레이크측의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조작구측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이 분리되어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연계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제1 부재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다른 쪽에 제2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접촉 압박 작용에 의해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 중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부재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은, 면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일 때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면 부재 상을 이동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고,
    상기 운전부가 상기 통상 자세로부터 상기 메인터넌스 자세측으로 변경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초기 이동의 방향과 상기 이동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수확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제1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상기 제1 축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체 전방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축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하는 아암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운전부의 바닥부에, 상기 아암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아암 부재의 하측의 단부에 상기 제1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측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의 제2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한쪽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요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심보다도 하측의 부분에,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작용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 부재인, 수확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기구에,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를 상기 제동 조작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조작하는 해제 조작구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 또는 상기 조작구측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72361A 2016-12-21 2017-12-14 수확기 KR102606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7613 2016-12-21
JP2016247612A JP6861024B2 (ja) 2016-12-21 2016-12-21 収穫機
JP2016247613 2016-12-21
JPJP-P-2016-247612 2016-12-21
JPJP-P-2017-190588 2017-09-29
JP2017190588A JP6847014B2 (ja) 2016-12-21 2017-09-29 収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57A KR20180072557A (ko) 2018-06-29
KR102606159B1 true KR102606159B1 (ko) 2023-11-27

Family

ID=627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361A KR102606159B1 (ko) 2016-12-21 2017-12-14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159B1 (ko)
CN (1) CN1082073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610343U (zh) 2018-09-27 2020-05-2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割草机以及适用于割草机的刀片组件
CN113226012B (zh) 2018-09-27 2023-03-17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割草机
USD995569S1 (en) 2019-04-18 2023-08-1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Mower blade assembl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41A (ja) * 2000-01-07 2001-07-17 Kubota Corp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5035484A (ja)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CN101138970A (zh) 2006-09-06 2008-03-12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2008077178A (ja) * 2006-09-19 2008-04-03 Kubota Corp 作業車
JP4237310B2 (ja) 1998-11-20 2009-03-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駐車ブレーキ機構
JP2011092093A (ja) *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178241A (ja) 2010-02-26 2011-09-15 Kubota Corp 作業車のブレーキ構造
JP5594461B2 (ja) 2010-03-12 2014-09-2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259B1 (ko) * 1999-09-27 2002-08-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승용형 수전 작업기
JP2003127847A (ja) * 2001-10-22 2003-05-08 Tokico Ltd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605009B1 (ko) * 2004-12-27 2006-07-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용 페달 장치
US7798939B2 (en) * 2005-10-03 2010-09-21 Mtd Products Inc Latching member for parking brake and cruise control
JP2008105537A (ja) * 2006-10-25 2008-05-08 Yanmar Co Ltd キャビン付作業車両
JP5486444B2 (ja) 2010-09-16 2014-05-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2064152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作業車
SE540761C2 (sv) * 2012-05-03 2018-10-30 Ksr Ip Holdings Llc Pedalaggregat för elektroniskt bromssystem
CN203661607U (zh) * 2012-08-06 2014-06-25 株式会社久保田 玉米收获机及联合收获机
CN203020078U (zh) * 2012-12-20 2013-06-26 三一集团有限公司 离合及制动踏板装置和工程车辆
CN203211282U (zh) * 2013-02-21 2013-09-2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新型制动踏板结构
JP2015010478A (ja) * 2013-06-26 2015-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車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7310B2 (ja) 1998-11-20 2009-03-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駐車ブレーキ機構
JP2001191941A (ja) * 2000-01-07 2001-07-17 Kubota Corp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5035484A (ja)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CN101138970A (zh) 2006-09-06 2008-03-12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2008077178A (ja) * 2006-09-19 2008-04-03 Kubota Corp 作業車
JP2011092093A (ja) *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178241A (ja) 2010-02-26 2011-09-15 Kubota Corp 作業車のブレーキ構造
JP5594461B2 (ja) 2010-03-12 2014-09-2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7334A (zh) 2018-06-29
CN108207334B (zh) 2022-04-26
KR20180072557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159B1 (ko) 수확기
EP2650513B1 (en) Working machine
US6584757B2 (en) Mowing machine with dumping grass catcher
JP4690981B2 (ja) 作業車
KR20150115601A (ko) 자탈형 콤바인
JP6847014B2 (ja) 収穫機
JP5244071B2 (ja) コンバイン
KR20190068437A (ko) 콤바인
JP6861024B2 (ja) 収穫機
JP2006238800A (ja) 走行型芝刈機
JP5452185B2 (ja) コンバイン
JP6141225B2 (ja) コンバイン
JP7089704B2 (ja) コンバイン
JPS5811153Y2 (ja) コンバイン
CN208462418U (zh) 收割机
JP2006238796A (ja) 走行型芝刈機
JP4382628B2 (ja) コンバイン
JP3662189B2 (ja)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JP5204671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S5839065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伝動装置
JPS588622Y2 (ja) 自動操向制御装置付移動車
JPH0310814Y2 (ko)
JPH0613670Y2 (ja) コンバイン塔載脱穀装置の安全装置
JP2008199974A (ja) コンバイン
JPH01187006A (ja) 農業用作業機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