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09B1 -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 Google Patents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09B1
KR102605309B1 KR1020217009656A KR20217009656A KR102605309B1 KR 102605309 B1 KR102605309 B1 KR 102605309B1 KR 1020217009656 A KR1020217009656 A KR 1020217009656A KR 20217009656 A KR20217009656 A KR 20217009656A KR 102605309 B1 KR102605309 B1 KR 10260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container film
light
irradiatio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864A (ko
Inventor
사토시 간베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2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with means for heating the material prior to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8Polarisation of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1회의 촬상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정밀하게 실시하는 것 등이 가능한 외관 검사 장치 등을 제공한다. 외관 검사 장치(22)는,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통해 용기 필름(3)을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53)와, 용기 필름(3)을 향해 광을 조사 가능한 제1 조명 장치(51)와, 제2 광원(52A)으로부터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통해 용기 필름(3)에 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명 장치(52)와, 촬상 장치(53)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처리 실행 장치(60)를 구비한다. 촬상측 편광 필터(53B)는,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된 광 중 용기 필름(3)측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을 차광하는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설정된다. 촬상 장치(53)는, 제1 조명 장치(51) 및 제2 조명 장치(52)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용기 필름(3)을 촬상한다.

Description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본 발명은 PTP 시트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외관 검사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를 구비한 PTP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블리스터 시트로서 PTP(프레스 슬루 팩) 시트가 알려져 있다. PTP 시트는 정제가 수용되는 포켓부를 갖는 용기 필름과, 그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장착되는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PTP 시트는 PTP 포장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PTP 포장기는 반송되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포켓부에 정제를 충진하는 수단,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 필름에 대해 띠형상의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수단,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PTP 필름을 PTP 시트 단위로 펀칭하는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PTP 시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용기 필름의 포켓부에 정제를 수용한 후로서 상기 용기 필름에 커버 필름을 장착하기 전에,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한 이물의 부착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는 외관 검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외관 검사 장치는, 예를 들면, 용기 필름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 수단,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 등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양부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정제가 소정 등인 경우에는, 포켓부에 정제를 충진할 때, 정제분이 비산하여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포켓부의 주위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제분은 큰 덩어리로되어 있지 않는 한, 제품 상 특별히 문제는 없다. 그러나,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해 정제분이 모발이나 섬유 찌꺼기 등과 마찬가지로 이물이라고 판정됨으로써, 문제가 없는 PTP 시트가 불량품으로서 처리되어, 결과적으로 생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용기 필름에 부착된 정제분과 이물을 구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외관 검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따른 외관 검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 처리를 실시한다.
우선, 소정의 반사용 광원에 의해 용기 필름측에 광을 조사하면서, 소정의 액정 셔터를 ON 상태(차광 상태)로 한 후,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 필름 등을 촬상함으로써, 칼라 화상인 반사 화상을 얻는다. 계속해서, 상기 반사용 광원을 소등함과 동시에 소정의 투과용 광원을 점등하면서, 상기 액정 셔터를 OFF 상태(투광 상태)로 한 후, 촬상 수단에 의해 용기 필름 등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투과 화상을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반사 화상 및 투과 화상을 사용하여, 이들에 존재하는 이물로 보이는 이물 후보의 색과 위치에 기초하여, 이물 후보가 정제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반사 화상(칼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 후보의 색이 정제의 색과 동일함과 동시에, 반사 화상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 후보의 위치가 투과 화상 중에 있어서의 이물 후보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 이물 후보를 정제분이라고 판정한다.
국제공개 제2015/136598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외관 검사 장치에서는, (1) 장치의 동작 처리에 따른 부담이 크게 되고, (2) 양호한 검사 정밀도와 PTP 시트의 고속 생산을 양립시키는 것이 어렵고, (3) 최초에 상기 판정 처리에서는 정제분을 잘못해서 이물이라고 판정할 우려가 있고, 또한, (4) 상기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한 각종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우선, 상기 (1)에 관해, 투과 화상 및 반사 화상을 얻기 위해 두번의 촬상을 실시할 때, 광원이나 액정 셔터 등의 각종 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장치의 동작 처리에 따른 부담이 크게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2)에 관해, 색 및 위치에 기초한 판정 처리는 비교적 번잡한 것인 바, PTP 포장기에 있어서의 매우 고속(예를 들면, 8000정/분)으로의 정제 포장에 대응하면서, 이와 같은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외관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분해능을 낮출 필요가 있다. 분해능의 저하는, 검사 정밀도의 저하로 연결된다. 한편, 분해능을 어느 정도 유지하려고 하면, 정제를 저속으로 포장하지 않을 수 없고,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3)에 관해, 정제는 통상, 한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약효 성분에 더해, 부형제나 결합제, 붕괴제 등의 각종 첨가재를 포함하고 있고, 약효 성분이나 각 첨가재의 색이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임의의 이물 후보의 색이 정제의 색과 다른 경우에도, 이 이물 후보가 정제분일 수도 있다. 또한, 정제분은 용기 필름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일한 정제분이어도 양 화상에서 위치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색이나 위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정제분인지 이물인지를 판정하는 수법에서는, 정제분을 이물이라고 오판정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4)에 관해, 통상, 용기 필름은 진동을 수반하면서 고속으로 반송되는 바, 액정 셔터의 ON·OFF 상태나 광원의 점등·소등을 전환하면서 두번의 촬상을 실시함으로써 얻은 반사 화상 및 투과 화상에 있어서, 이물 후보에 있어서의 위치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1회의 촬상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정밀하게 실시하는 것 등이 가능한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대해 정제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에 정제가 수용된 후로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되기 전의 단계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한 이물의 부착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외관 검사 장치로서,
소정의 촬상측 편광 필터를 갖고,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를 통해 상기 용기 필름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과는 상기 용기 필름을 통해 반대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소정의 제1 광원을 갖고, 상기 제1 광원에 의해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가 돌출되는 측을 향해 광을 조사 가능한 제1 조사 수단과,
소정의 제2 광원 및 소정의 조사측 편광 필터를 갖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를 통해,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의 개구되는 측을 향해 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양부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는, 상기 제2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 중 상기 용기 필름측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을 차광하는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또한, 「용기 필름에 대한 이물의 부착」이라는 것은 단지 용기 필름 상에 이물이 얹어져 있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촬상 수단에 의해, 제1 조사 수단 및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이 촬상된다.
여기서, 만일 제1 조사 수단으로만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정제분이나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 이외를 통과한 투과광이 촬상 수단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이 경우에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정제분 및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은 각각 암부(暗部)로서 나타난다.
이에 대해, 만일 제2 조사 수단으로만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이물(머리카락이나 섬유찌꺼기 등)은 정제분에 비해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있으므로, 조사된 광은 기본적으로는 정제분에서 난반사하고, 이물에서 정반사한다. 그리고, 촬상측 편광 필터는, 제2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 중 용기 필름측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을 차광하는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제분으로부터의 난반사 광에 관해서는, 촬상측 편광 필터를 통과하는 광량이 많아지고, 한편, 이물로부터의 정반사광에 관해서는, 촬상측 편광 필터를 통과하는 광량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정제분이 존재하는 부분은 명부(明部)로서 나타나고,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은 암부로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만일 양 조사 수단의 한쪽에서만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각각 상기와 같은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는 바, 양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정제분이 존재하는 부분은 이른바 제1 조사 수단에 의한 암부와 제2 조사 수단에 의한 명부가 겹쳐진 상태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명부로서 나타난다. 한편,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은 이른바 제1 조사 수단에 의한 암부와 제2 조사 수단에 의한 암부가 겹쳐진 상태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암부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만이 암부로서 명확히 나타나고, 정제분이 존재하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주위의 명부과 동화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정제분인지 이물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분을 무시하는 형태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제분 및 이물을 구별하기 위한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제의 고속 포장에 대응하면서, 외관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분해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검사 정밀도와 PTP 시트의 고속 생산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검사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를 얻을 때, 양 조사 수단에 의해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을 한번만 촬상하면 된다. 그 때문에, 장치의 동작 처리에 따른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사 수단은 확산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의 확산판을 갖고, 제1 광원으로부터 상기 확산판을 통해 용기 필름을 향해 확산광을 조사하도록 제1 조사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LED로 이루어진 제1 광원이 균일하게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 조명 장치에 의해 제1 조사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수단 2. 상기 양부 판정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휘도값만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외관 검사 장치.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는, 이물이 암부로서 나타나고, 정제분이 명부로서 나타나므로, 상기 수단 2와 같이, 휘도값만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인지 여부를 특정하기 위해 복잡한 처리(예를 들면, 이물이 의심되는 부분의 면적이나 형상을 특정하는 처리 등)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검사에 따른 처리 부담의 저감 및 검사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3. 상기 양부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1 양부 판정과,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 중 한쪽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2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제1 양부 판정 및 상기 제2 양부 판정 중 선택된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외관 검사 장치.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양부 판정 수단은, 양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즉, 정제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상태가 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제1 양부 판정)과, 양 조사 수단 중 한쪽에 의해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즉, 정제분이 나타나는 상태가 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제2 양부 판정)을 각각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양부 판정 수단은, 제1 양부 판정 및 제2 양부 판정 중,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쪽을 실행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제분을 고려하지 않는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양부 판정을 선택하고, 정제분(예를 들면, 정제분의 대소 등)을 고려한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2 양부 판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검사 방법의 선택지를 넓히면서, 각 양부 판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해결하여, 비용의 증대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4.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 검사 장치.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촬상측 편광 필터에 의해 이물을 반사한 정반사광을보다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만을 더 명확히 나타낼 수 있고,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더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수단 5.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 검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상기 수단 1 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PTP 포장기, 예를 들면, 띠형상으로 반송되는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 상기 포켓부에 대해 정제를 충진하는 충진 수단,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띠형상의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장착 수단 및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띠형상의 PTP 필름을 PTP 시트 단위로 절리(切離)하는 절리 수단 등을 구비한다. 또한, PTP 포장기는, 상기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해 불량이라고 판정된 PTP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도 1은 PTP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PTP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외관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외관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양 조명 장치로부터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1 조명 장치로만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PTP 시트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장착된 커버 필름(4)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투광성을 갖고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실런트가 표면에 설치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PTP 시트(1)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 및 띠형상의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형상의 PTP 필름(6)(도 3 참조)이 시트형상으로 펀칭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며,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그 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진 포켓열이, 그 짧은 길이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즉, 총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제(5)는, 평면시 원형상을 이루는 원단형상의 소정이다.
계속해서,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는 PTP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해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의 원단이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롤형상으로 감긴 용기 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롤(13)로 안내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롤(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롤(14)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롤(13)과 간헐 이송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5)에 의해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상기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해진 상태에 있어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형성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시에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포켓부 형성 수단이 구성된다.
간헐 이송롤(14)로부터 보내진 용기 필름(3)은 텐션롤(18), 가이드롤(19) 및 필름받이롤(20)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필름받이롤(20)은 일정하게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기 필름(3)을 연속으로 또 일정한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되어 있고, 간헐 이송롤(14)과 필름받이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롤(19)과 필름받이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정제 충진 장치(21) 및 외관 검사 장치(2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정제 충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으로 충진하는 충진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정제 충진 장치(21)는 필름받이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이며, 이 셔터 개방 동작에 따라서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진된다.
외관 검사 장치(22)는, 용기 필름(3)에 대한 이물의 부착에 관한 검사를 실시한다. 외관 검사 장치(22)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 있어서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롤형상으로 감긴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롤(24)에 의해 가열롤(25)측으로 안내되어 있다.
가열롤(25)은 상기 필름받이롤(20)에 압접 가능하게되어 있고, 양 롤(20, 25)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이송되도록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 롤(20, 25)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장착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폐쇄된다.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수용된 띠형상의 PTP 필름(6)이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받이롤(20) 및 가열롤(25)에 의해 장착 수단이 구성된다.
필름받이롤(20)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롤(27) 및 간헐 이송롤(28)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되어 있고, 상기 필름받이롤(20)과 간헐 이송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간헐 이송롤(28)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롤(31) 및 간헐 이송롤(32)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롤(28,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롤(28)과 텐션롤(31)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절리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 등에서는, 절리용 슬릿이나 각인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간헐 이송롤(32)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롤(35) 및 연속 이송롤(36)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롤(32)과 텐션롤(35)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시트 펀칭 장치(37)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는, PTP 필름(6) 및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부 테두리를 펀칭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해 절리 수단이 구성된다.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해 펀칭된 PTP 시트(1)는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 단, 상기 외관 검사 장치(22)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PTP 시트(1)는, 완성품용 호퍼(40)에 보내지 않고, 배출 수단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불량 시트 배출기구에 의해 별도로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펀칭 후에 띠형상으로 남은 잔재부(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요 필름부(42)는, 텐션롤(35) 및 연속 이송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인도된다. 또한, 연속 이송롤(36)은 종동롤이 압접되어 있고, 불요 필름부(42)를 끼우면서 반송 동작을 실시한다. 재단 장치(41)는, 불요 필름(42)을 소정 치수로 재단한다. 재단된 불요 필름부(42)(스크랩)는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로 폐기 처리된다.
또한, 상기 각 롤(14, 20, 28, 31, 32)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되어 있지만, 간헐 이송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켓부(2)가 찌그러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포켓부(2)가 간헐 이송롤(14) 등의 각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실시됨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히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PTP 포장기(10)에 있어서, 정제(5)는 매우 고속(예를 들면, 8000정/분)으로 포장되도록되어 있다.
계속해서, 외관 검사 장치(22)에 대해 설명한다. 외관 검사 장치(22)는, 반송되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에 있어서의 포켓부(2)에 정제(5)가 수용된 후로서 상기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장착되기 전의 단계에서, 상기 용기 필름(3)(특히, 최종적으로 PTP 시트(1)를 구성하는 부위)에 대한 이물의 부착에 관한 검사를 실시한다.
외관 검사 장치(2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명 장치(51), 제2 조명 장치(52), 촬상 장치(53) 및 처리 실행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조명 장치(51)가 제1 조사 수단에 상당하고, 제2 조명 장치(52)가 제2 조사 수단에 상당하며, 촬상 장치(53)가 촬상 수단에 상당하고, 처리 실행 장치(60)가 양부 판정 수단에 상당한다.
제1 조명 장치(51)는 반송되는 용기 필름(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적외선 등의 광을 조사 가능한 LED 등으로 이루어진 제1 광원(51A)과, 상기 제1 광원(51A) 및 용기 필름(3) 사이에 개재되며, 예를 들면, 불투명 유리 등에 의해 구성된 확산판(51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조명 장치(51)는, 용기 필름(3)에 있어서의 포켓부(2)가 돌출되는 측을 향해 확산광을 조사한다.
제2 조명 장치(52)는 반송되는 용기 필름(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적외선 등의 광을 조사 가능한 LED 등으로 이루어진 제2 광원(52A)과, 소정의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조명 장치(52)는 제2 광원(52A)으로부터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통해, 용기 필름(3)에 있어서의 포켓부(2)가 개구되는 측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통과한 광은 소정 방향으로만 진동한 편광이 된다. 또한, 제2 광원(52A)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통해 용기 필름(3)으로 조사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제2 광원(52A) 및 조사측 편광 필터(52B)의 위치 관계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광원(52A) 및 조사측 편광 필터(52B)를 이간한 상태로 해도 된다.
촬상 장치(53)는 제1 조명 장치(51)와는 용기 필름(3)을 통해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53A) 및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53A)로서, 적어도 적외광에 감도가 있는 CCD 카메라가 채용되어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CMOS 카메라를 채용하고 있다.
카메라(53A)는 조명 장치(51, 52)로부터 조사된 광이 용기 필름(3)을 비추고있을 때,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통해 용기 필름(3)을 이차원 촬상한다. 카메라(53A)가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휘도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53A) 내부에있어서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처리 실행 장치(60)에 입력되도록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53A)의 촬상 범위는, 적어도 PTP 시트(1) 한장분(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장분)을 수납할 수있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촬상측 편광 필터(53B)는 카메라(53A) 및 용기 필름(3)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된 광 중 용기 필름(3)측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을 차광하는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즉,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편광 방향과, 조사측 편광 필터(52B)의 편광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예를 들면, 45도 이상) 다른 것으로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편광 방향과 조사측 편광 필터(52B)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으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편광 방향이 설정됨으로써,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한 용기 필름(3)측으로부터의 반사광 중 정반사광(편광 방향이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과 거의 동일한 광)은, 촬상측 편광 필터(53B)에 의해 차단되어, 카메라(53A)로 대부분 입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한 용기 필름(3)측으로부터의 반사광 중 난반사광(편광 방향이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과 다른 광)은,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통과하여 카메라(53A)로 입사되게 된다.
또한, 카메라(53A) 및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위치 관계는,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통해 카메라(53A)에 의해 용기 필름(3)을 촬상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카메라(53A) 및 촬상측 편광 필터(53B)를 더 이간된 상태로 해도 된다.
처리 실행 장치(60)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구비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처리 실행 장치(60)는 화상 메모리(61), 검사 결과 기억 장치(62), 판정용 메모리(63), 화상·검사 조건 기억 장치(64),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65), 조명 제어 장치(66),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6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메모리(61)는 카메라(53A)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화상 메모리(6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가 실행된다. 물론, 검사의 실행시, 화상에 대해 가공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마스킹 처리나 쉐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쉐이딩 보정은 용기 필름(3) 등의 촬상 범위 전체를 조명 장치(51, 52)의 광으로 균일하게 비추는 것은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위치의 상위에 의해 발생하는 광의 명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이치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은 이치화 화상 데이터나, 마스킹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은 마스킹 화상 데이터 등도 화상 메모리(61)에 기억된다.
검사 결과 기억 장치(62)는, 양부 판정 결과의 데이터나 상기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판정용 메모리(63)는 검사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각종 정보에는, 양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기준(임계값 등)이나 이치화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이치화용 임계값, 검사 대상 범위를 획정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중에 있어서의 정제(5) 부분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나, PTP 시트(1)의 외부 테두리와 포켓부(2)의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설계 데이터 등)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판정 기준으로서 휘도 임계값이나 면적 기준값 등이 기억되어 있다. 휘도 임계값은 휘도에 기초한 양부 판정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면적 기준값은 면적에 기초한 양부 판정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휘도 임계값이나 면적 기준값으로서, 미리 산출된 적절한 수치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화상·검사 조건 기억 장치(64)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불량 판정의 일시나 검사에 사용된 검사 조건 등을 기억한다.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65)는 카메라(53A)의 촬상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촬상 타이밍은 PTP 포장기(1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용기 필름(3)을 소정량 보낼 때마다 카메라(53A)에 의한 촬상이 실시된다.
조명 제어 장치(66)는, 제1 조명 장치(51) 및 제2 조명 장치(52)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명 제어 장치(66)는 후술하는 제1 양부 판정이 실시되는 경우, 양 조명 장치(51, 52)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양 조명 장치(51, 52)를 제어한다. 한편, 조명 제어 장치(66)는, 후술하는 제2 양부 판정이 실시되는 경우, 제1 조명 장치(51)만을 작동시켜 제2 조명 장치(52)를 소등 상태가 되도록 양 조명 장치(51, 52)를 제어한다.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67)는 외관 검사 장치(22)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를 담당한다.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67)는 PTP 포장기(10)의 구성 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불량 시트 배출기구 등을 제어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67)는, 디스플레이 등의 소정의 표시 수단(미도시)에 각종 데이터를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각종 화상이나 검사 결과 등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처리 실행 장치(60)는, 카메라(53A)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을 판정용 메모리(63)의 기억 내용 등을 사용하면서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 실행 장치(60)는, 양부 판정으로서, 제1 양부 판정 및 제2 양부 판정의 2종류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전환 장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처리 실행 장치(60)에서 실행되는 양부 판정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양부 판정을 실시할 때, 처리 실행 장치(60)는 양 조명 장치(51, 52)를 각각 작동시켜 양 조명 장치(51, 52)에 의해 용기 필름(3)을 비춘 상태에서 카메라(53A)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부 판정을 실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실행 장치(60)는 우선,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마스킹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중에 있어서의 용기 필름(3)이 차지하는 영역 중, 정제(5)의 존재 부분을 제외한 최종적으로 PTP 시트(1)가 되는 부분(시트 부분)을 검사 대상 범위로서 설정한다. 또한, 용기 필름(3)이 차지하는 영역 중, 포켓부(2)의 존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검사 범위로서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처리 실행 장치(60)는 설정된 검사 대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각 화소의 휘도값과, 판정용 메모리(63)에 기억된 상기 휘도 임계값에 기초하여, 모발이나 섬유 찌꺼기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의 휘도값이 상기 휘도 임계값보다 큰 경우, 이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양호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이물이 부착되어 있다고 하여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검사 대상 범위를 복수로 분할하여 이루어진 각 구획에 있어서, 구획 내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값을 바탕으로 한 수치(예를 들면, 평균값 등)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수치와 상기 휘도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물의 부착에 관한 양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인접하는 화소 간에 있어서의 휘도차를 산출하고, 산출한 휘도차와 상기 휘도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양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조명 장치(51, 52)를 각각 작동시킨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는, 정제분이 존재하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이물(F1, F2, F3)이 존재하는 부분만이 암부로서 명확히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명 장치(51)만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F1, F2, F3) 및 정제분(K1, K2, K3)은, 각각 휘도값이 비교적 낮은 암부로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제2 조명 장치(52)만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존재에 의해, 이물(F1, F2, F3)을 반사한 정반사광은 카메라(53A)로 거의 입사되지 않고, 정제분(K1, K2, K3)을 반사한 난반사광이 카메라(53A)로 입사되므로, 이물(F1, F2, F3)은 암부로서 나타나지만, 정제분(K1, K2, K3)은 명부로서 나타난다. 그 때문에, 양 조명 장치(51, 52)를 각각 작동시킨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정제분(K1, K2, K3)이 존재하는 부분은, 이른바 제1 조명 장치(51)에 의한 암부와 제2 조명 장치(52)에 의한 명부가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에있어서, 정제분(K1, K2, K3)이 존재하는 부분은 결과적으로 명부가 되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F1, F2, F3)이 존재하는 부분은, 이른바 제1 조명 장치(51)에 의한 암부와 제2 조명 장치(52)에 의한 암부가 겹쳐진 상태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암부로서 명확히 나타난다.
한편, 제2 양부 판정을 실시할 때, 처리 실행 장치(60)는, 제1 조명 장치(51)만을 작동시켜 제1 조명 장치(51)에 의해 용기 필름(3)을 비춘 상태에서, 카메라(53A)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도 8 참조)에 기초하여 양부 판정을 실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실행 장치(60)는, 우선, 판정용 메모리(63)에 기억된 상기 이치화용 임계값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이치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화소의 휘도를 「0(암)」 또는 「1(명)」로 나타낸 이치화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 처리 실행 장치(60)는, 얻어진 이치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 범위를 설정한다. 검사 대상 범위의 설정은, 제1 양부 판정을 실시할 때와 동일한 수법으로 실시된다. 그 후, 설정된 검사 대상 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괴처리를 실시한다. 괴처리에서는, 이치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0(암)」의 화소에 대한 연결 성분을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특정된 연결 성분(괴부분)의 면적(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수)을 산출한다. 그 후, 괴부분의 면적과 판정용 메모리(63)에 기억된 상기 면적 기준값에 기초하여, 용기 필름(3)에 대해, 모발이나 섬유 찌꺼기 등의 이물, 비교적 큰 정제분 등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괴부분의 면적이 상기 면적 기준값보다도 작은 경우, 이물이나 큰 정제분의 부착에 관한 문제는 특별히 없다고 하여 양호라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제1 양부 판정이나 제2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5)에 관한 불량(예를 들면, 정제(5)의 균열이나 정제의 파편의 혼입, 결정, 정제(5)의 형상 차이 등)의 유무에 관한 검사를 함께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2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경우, 면적에 기초한 판정 처리에 더해 또는 대신하여, 연결 성분의 형상에 기초한 판정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양부 판정에서는, 괴처리나 면적 비교 등을 실시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의 휘도값을 휘도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만에 의해, 이물의 부착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즉, 화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정보 중 휘도값에만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양부 판정에서는, 괴처리나 면적 비교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물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정제분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양 조명 장치(51, 52)를 각각 작동시킨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F1, F2, F3)이 존재하는 부분만이 명확히 나타나고, 정제분(K1, K2, K3)이 존재하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정제분인지 이물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분(K1, K2, K3)을 무시하는 형태로 검사를 실시할 있다. 이에 의해,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제분 및 이물을 구별하기 위한 번잡한 판정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제(5)의 고속 포장에 대응하면서, 외관 검사 장치(22)에 있어서의 분해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검사 정밀도와 PTP 시트(1)의 고속 생산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검사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를 얻을 때, 양 조명 장치(51, 52)에 의해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3)을 한번만 촬상하면 된다. 그 때문에, 장치의 동작 처리에 따른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양부 판정에서는, 휘도값만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인지 아닌지를 특정하기 위해 복잡한 처리(예를 들면, 이물이 의심되는 부분의 면적이나 형상을 특정하는 처리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검사에 따른 처리 부담의 저감 및 검사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실행 장치(60)는, 양 조명 장치(51, 52)의 쌍방에 의해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1 양부 판정과, 제1 조명 장치(51)에 의해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2 양부 판정을 각각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실행 장치(60)는 제1 양부 판정 및 제2 양부 판정 중 선택된 쪽을 실행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제분을 고려하지 않는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양부 판정을 선택하고, 정제분(예를 들면, 정제분의 대소 등)을 고려한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2 양부 판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검사 수법의 선택지를 넓히면서, 각 양부 판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해결되어, 비용의 증대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상측 편광 필터(53B)의 편광 방향과 조사측 편광 필터(52B)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촬상측 편광 필터(53B)에 의해, 이물을 반사한 정반사광을 보다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이물이 존재하는 부분만을 더 명확히 나타낼 수 있고, 이물의 부착에 따른 검사를 더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조명 장치(51)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양부 판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2 조명 장치(52)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양부 판정을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5)로서, 평면시 원형상을 이루는 원반형상의 소정(원반형상의 평정)이 예시되어 있지만, 정제의 종류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제에는 의약뿐만 아니라, 음식용으로 사용되는 정제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정제에는 소정뿐만 아니라, 구강 내 붕괴정이나 장용정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정제의 형상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평면시 원형상뿐만 아니라, 평면시 다각형상, 평면시 타원형상, 평면시 장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c) PTP 시트(1)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2열, 10개)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열 12개의 포켓부를 갖는 타입을 비롯하여, 다양한 배열, 개수로 이루어진 PTP 시트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PTP 필름(6)은 그 폭 방향을 따라서 1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어도 된다.
1: PTP 시트
2: 포켓부
3: 용기 필름
4: 커버 필름
5: 정제
10: PTP 포장기
22: 외관 검사 장치
51: 제1 조명 장치(제1 조사 수단)
51A: 제1 광원
52: 제2 조명 장치(제2 조사 수단)
52A: 제2 광원
52B: 조사측 편광 필터
53: 촬상 장치(촬상 수단)
53B: 촬상측 편광 필터
60: 처리 실행 장치(양부 판정 수단).

Claims (9)

  1.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대해 정제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에 정제가 수용된 후로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되기 전 단계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한 이물의 부착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외관 검사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촬상측 편광 필터를 갖고,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를 통해 상기 용기 필름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과는 상기 용기 필름을 통해 반대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소정의 제1 광원을 갖고, 상기 제1 광원에 의해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가 돌출되는 측을 향해 광을 조사 가능한 제1 조사 수단,
    소정의 제2 광원 및 소정의 조사측 편광 필터를 갖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를 통해, 상기 용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포켓부가 개구되는 측을 향해 광을 조사 가능한 제2 조사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양부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는, 상기 제2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 중 상기 용기 필름측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을 차광하는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부 판정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휘도값만에 기초하여, 이물의 부착에 따른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부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1 양부 판정, 및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 중 한쪽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2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제1 양부 판정 및 상기 제2 양부 판정 중 선택된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부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의 쌍방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1 양부 판정, 및
    상기 제1 조사 수단 및 상기 제2 조사 수단 중 한쪽에 의해 광이 조사된 상태의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양부 판정인 제2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제1 양부 판정 및 상기 제2 양부 판정 중 선택된 양부 판정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상기 조사측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90도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 검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관 검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KR1020217009656A 2018-09-18 2019-05-31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KR102605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3505A JP6606244B1 (ja) 2018-09-18 2018-09-18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JP-P-2018-173505 2018-09-18
PCT/JP2019/021676 WO2020059214A1 (ja) 2018-09-18 2019-05-31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64A KR20210058864A (ko) 2021-05-24
KR102605309B1 true KR102605309B1 (ko) 2023-11-22

Family

ID=6853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656A KR102605309B1 (ko) 2018-09-18 2019-05-31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55171A4 (ko)
JP (1) JP6606244B1 (ko)
KR (1) KR102605309B1 (ko)
CN (1) CN112585452A (ko)
WO (1) WO2020059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7286B2 (ja) * 2018-12-20 202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ッピングゴムシートのゴム付き不良検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667A (ja) 1999-09-06 2001-03-23 Ckd Corp シート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01349837A (ja) 2000-06-12 2001-12-21 Kirin Techno-System Corp Ptp製剤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07279064A (ja) 2007-07-04 2007-10-25 Lion Engineering Co Ltd Ptp包装品の外観検査装置
JP2018084496A (ja) * 2016-11-24 2018-05-31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532B2 (ja) * 1991-08-22 1996-09-0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錠剤シ―トの検査装置
JPH08271433A (ja) * 1995-03-30 1996-10-18 Nikon Corp 錠剤検査装置
JP3585305B2 (ja) * 1996-01-11 2004-11-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支持体の内部異物検査装置
JP4034033B2 (ja) * 2000-08-08 2008-01-16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錠剤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ptp包装機
BE1014410A3 (nl) * 2001-10-03 2003-10-07 Geert Coudijzer Inrichting voor het detecteren van de aanwezigheid en/of eigenschappen van objecten in blisterpockets van een blisterverpakking.
JP4368808B2 (ja) * 2005-01-07 2009-11-1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4994183B2 (ja) * 2007-10-22 2012-08-0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Ptp包装機
JP5697168B2 (ja) * 2012-08-07 2015-04-08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WO2015136598A1 (ja) * 2014-03-10 2015-09-17 株式会社東芝 異物検査装置、異物検査方法、異物検査プログラム
SG10201501672PA (en) * 2015-03-05 2016-10-28 Emage Vision Pte Ltd Inspection of sealing quality in blister packages
JP6653958B2 (ja) * 2016-01-29 2020-02-26 東罐興業株式会社 画像検査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667A (ja) 1999-09-06 2001-03-23 Ckd Corp シート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01349837A (ja) 2000-06-12 2001-12-21 Kirin Techno-System Corp Ptp製剤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07279064A (ja) 2007-07-04 2007-10-25 Lion Engineering Co Ltd Ptp包装品の外観検査装置
JP2018084496A (ja) * 2016-11-24 2018-05-31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5171A1 (en) 2021-07-28
WO2020059214A1 (ja) 2020-03-26
EP3855171A4 (en) 2022-06-22
KR20210058864A (ko) 2021-05-24
CN112585452A (zh) 2021-03-30
JP2020046244A (ja) 2020-03-26
JP6606244B1 (ja)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0436A1 (ja) Ptp包装機
CN110537090B (zh) 检查装置、ptp包装机和ptp片的制造方法
KR20190088966A (ko)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JP6040197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6254055B2 (ja) Ptp包装機
JP6062396B2 (ja) 検査システム及びptp包装機
CN111033242A (zh) 外观检查装置和泡罩包装机
JP6613353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CN112639446A (zh) 检查装置、ptp包装机和ptp片的制造方法
CN112673249A (zh) 检查装置、ptp包装机和ptp片的制造方法
JP5873066B2 (ja) Ptp包装機
JP6062102B1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6046585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KR102605309B1 (ko)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JP6502027B2 (ja) 外観検査装置、外観検査方法及びptpシートの製造装置
JP5993358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6857266B1 (ja) 検査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装置並びに検査方法
JP4477516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6943812B2 (ja)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CN111225183B (zh) 检查装置远程对应系统
CN111717440A (zh) 检查装置、ptp包装机和ptp片的制造方法
JP7466613B1 (ja) 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4788870B2 (ja) 不良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12127827A (ja)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6763064B1 (ja) 検査装置及び包装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