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102B1 -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102B1
KR102603102B1 KR1020160081092A KR20160081092A KR102603102B1 KR 102603102 B1 KR102603102 B1 KR 102603102B1 KR 1020160081092 A KR1020160081092 A KR 1020160081092A KR 20160081092 A KR20160081092 A KR 20160081092A KR 102603102 B1 KR102603102 B1 KR 10260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play panel
seating portion
recesse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27A (ko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102B1/ko
Priority to CN201710505621.9A priority patent/CN107539574B/zh
Publication of KR2018000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표시 패널용 트레이는 표시 패널이 수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의 외곽에 안착부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표시 패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수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안착부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TRAY FOR DISPLAY PANEL AND TRAY ASSEMBLY}
본 발명은 표시 패널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깨짐 불량을 방지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이러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과 같은 표시 패널들은 갈수록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을 적재하는 과정 및 운반하는 과정 등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표시 패널들은 제조된 표시 패널들을 적재할 수 있는 전용 트레이를 준비한 후에 이러한 트레이에 표시 패널을 적재하여 포장 및 운반하게 된다. 이 경우, 트레이에는 하나의 표시 패널이 적재될 수도 있으나, 적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트레이에는 복수의 표시 패널들이 적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패널들은 소형이므로 공정의 효율을 위하여 복수의 표시 패널들을 한꺼번에 적재, 운반 및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트레이들을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복수의 트레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부의 트레이들의 무게에 의하여 하부의 트레이들에 적재된 표시 패널들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트레이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용 트레이는 표시 패널이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수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안착부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수평 거리는 약 0.1 밀리미터(mm) 내지 약 1mm 정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면의 외곽에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면의 내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 그리고 상기 장변들과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패드부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변과 상이한 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두 개의 장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각기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장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나의 장변과 대향하는 장변과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용 트레이는 상기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상기 스토퍼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레이 집합체는 제1 표시 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제1 트레이, 그리고 상기 제1 트레이 상에 적층되고, 제2 표시 패널이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안착부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수평 거리는 약 0.1mm 내지 약 1mm 정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면의 외곽에서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면의 내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 그리고 상기 장변들과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패드부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변과 상이한 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두 개의 장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각기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장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나의 장변과 대향하는 장변과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는 상기 제1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트레이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상기 스토퍼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집합체는 상기 제1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들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는 트레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레이의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스토퍼의 저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의 저면의 상부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는 수납 부재의 안착부와 손잡이부가 중첩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트레이들이 적층되는 경우에도, 상기 트레이들에 적재되는 표시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들이 적층되는 트레이 집합체를 이용하여 다수의 표시 패널들을 안전하게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 집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레이 집합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들, 상기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트레이 집합체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용 트레이(100)는 수납 부재(110), 지지 부재(12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110)는 안착부(111) 및 손잡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110)에는 표시 패널(400)이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40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4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트레이(100)는 복수의 수납 부재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트레이(100)에 복수의 표시 패널(400)들이 수용되어, 표시 패널(400)의 보관 및 운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착부(111)에는 표시 패널(400)이 수용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표시 패널(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수납 공정의 용이성, 표시 패널(400)의 무게 및 낙하 충격에 의한 휨 발생 등을 고려하여 안착부(111)의 면적은 표시 패널(4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도 있다.
트레이들(100)이 적층되는 경우에 표시 패널(4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부(111)의 높이는 표시 패널(4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다만, 트레이(100)의 높이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 표시 패널(400)의 상하 유동 폭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안착부(111)의 높이는 과도하게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12)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안착부(111)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수용된 표시 패널(400)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꺼낼 경우에, 손잡이부(112)는 표시 패널(400)을 집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12)는 수납 부재(110)로부터 표시 패널(40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안착부(111)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이 위치하는 수납 부재(110)의 상부에서 수납 부재(110)를 바라보는 경우에, 안착부(111)와 손잡이부(112)는 서로 실질적으로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부재(110)의 상부에서 수납 부재(110)를 바라보는 경우에,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표시 패널(400)과 손잡이부(112)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착부(111)와 손잡이부(112) 사이의 수평 거리는 약 0.1 밀리미터(mm) 내지 약 1mm 정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는 안착부(111)의 단부에서 손잡이부(112)의 단부까지의 수평 거리로 해당할 수 있다. d가 약 0.1mm 보다 작은 경우에, 다시 말해, 안착부(111)와 손잡이부(112)가 일부 중첩되거나, 실질적으로 접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표시 패널(400)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d가 약 1mm 보다 큰 경우에, 손잡이부(112)의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표시 패널(400)을 수납 부재(110)로부터 꺼내기 위한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착부(111)는 표시 패널(400)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1111) 및 제1 면(1111)을 둘러싸며 제1 면(111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11)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표시 패널(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면(1112)은 제1 면(1111)을 둘러싸며 안착부(111)의 외곽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면(1112)은 제1 면(1111) 보다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1112)의 높이(h2)는 제1 면(1111)의 높이(h1)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1111)의 높이(h1) 및 제2 면(1112)의 높이(h2)는 각기 지지 부재(120)의 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평면으로부터 제1 면(1111) 및 제2 면(1112)까지의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면(1111)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패널(400)은 제2 면(111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제2 면(1112)의 외곽에서 제2 면(1112)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잡이부(112)의 높이(h0)는 제2 면(1112)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112)의 높이(h0)는 지지 부재(120)의 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평면으로부터 손잡이부(112)까지의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안착부(111)에 제2 면(1112)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 패널(400)의 측부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400)의 하부의 일부에도 표시 패널(400)을 노출시키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400)을 수납 부재(11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착부(111)는 제1 면(1111)의 내측에 제1 면(111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1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113)은 제2 면(1112)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면(1113)의 높이(h3)는 제2 면(1112)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면(1113)의 높이(h3)는 지지 부재(120)의 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평면으로부터 제3 면(1113)까지의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면(1113)은 안착부(111)에 포함되는 제1 면(1111), 제2 면(1112) 및 제3 면(1113) 중에서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0)는 트레이(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20)는 트레이(100)의 가장자리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20)를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트레이들(100)이 접촉할 수 있고, 상하로 적층되는 트레이들(100)이 일정 간격 이하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20)는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들(100)이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에,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의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의 상기 하부 지지부가 접촉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가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수납 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00)는 복수의 스토퍼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토퍼들(130)은 복수의 수납 부재들(1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복수의 트레이들(100)이 적층되는 경우에 상하로 인접한 트레이들(100)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여, 트레이들(100)이 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100)에 적재된 표시 패널(400)이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100)에 의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30)는 손잡이부(112)와 같이 함몰된 상태로 마련되어 트레이(100)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하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들(100)이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에,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의 스토퍼(130)의 오목부에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00)의 스토퍼(130)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인접한 트레이들(100)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부재(120)의 저면 및 스토퍼(130)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용 트레이의 수납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400)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411, 412),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421, 422), 및 장변들(411, 412)과 단변들(421, 422) 중에서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패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40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네 개의 변들(411, 412, 421, 422)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430)는 네 개의 변들(411, 412, 421, 42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430)는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400) 내의 구동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400)에 포함된 화소들을 구동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전에 트레이(100)에 적재되어 보관 및 운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400)의 패드부(43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400)을 트레이(100)의 수납 부재(110)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외부에 노출된 패드부(430)가 손가락 등에 접촉하는 경우에, 패드부(430)가 손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손잡이부(112)는 표시 패널(400)의 네 개의 변들(411, 412, 421, 422) 중에서 패드부(430)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변과 상이한 변들에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430)가 표시 패널의 네 개의 변들(411, 412, 421, 422) 중에서 하나의 변(411)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손잡이부(112)는 상기 하나의 변(411)과 상이한 변들(412, 421, 422)에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430)는 표시 패널(400)의 단변들(421, 422)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손잡이부(112)는 표시 패널(400)의 두 개의 장변들(411, 412)에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각기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400)은 단변들(421, 422)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패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납 부재(110)는 각기 장변들(411, 412)에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손잡이부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들(112)은 안착부(11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부재(110)에서 표시 패널(40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표시 패널(400)을 꺼내는 과정에서 패드부(4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430)는 표시 패널(400)의 두 개의 장변들(411, 412) 중 하나(41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손잡이부(112)는 상기 하나의 장변(411)에 대향하는 다른 장변(412)과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400)은 장변들(411, 412) 중 하나(411)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패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납 부재(110)는 상기 하나의 장변(411)과 상이한 다른 장변(412)과 대응되는 안착부(111)의 외곽에 위치하는 하나의 손잡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400)을 꺼내는 과정에서 패드부(4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 집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레이 집합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 집합체(10)는 제1 트레이(100) 및 제2 트레이(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트레이들 및 트레이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트레이 집합체(10)는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100)는 제1 표시 패널(400)을 수납할 수 있고, 제2 트레이는 제2 표시 패널(500)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레이(100)에는 복수의 제1 표시 패널들(400)이 수납될 수 있고, 제2 트레이(200)에는 복수의 제2 표시 패널들(500)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트레이(100)와 제2 트레이(2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트레이 집합체(10)에 포함되는 제1 트레이(100) 및 제2 트레이(200)의 구성 및/또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용 트레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레이 커버(300) 상에 제1 표시 패널(400)이 적재되는 제1 트레이(100)가 배치되고, 제1 트레이(100) 상에 제2 표시 패널(500)이 적재되는 제2 트레이(200)가 적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은 각기 수납 부재(110, 210), 지지 부재(120, 220) 및 스토퍼(13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부재(110, 210)는 안착부(111, 211) 및 손잡이부(112,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손잡이부(112, 212)는 안착부(111, 211)의 외곽에 안착부(111, 211)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111, 211)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트레이의 수납 부재에 있어서, 안착부와 손잡이부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트레이들이 적층되는 경우에,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안착부에 수용되는 표시 패널의 외곽부의 상면이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안착부로부터 함몰되는 손잡이부와 접촉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트레이(100)와 제2 트레이(200)가 적층되는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10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제1 표시 패널(400)의 외곽부의 상면(402)이 제2 트레이(200)의 안착부(211)로부터 함몰되는 손잡이부(212)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레이(100)와 제2 트레이(200)가 적층되는 경우에도 제1 표시 패널(40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착부(111, 211)는 표시 패널(400, 500)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1111, 2111), 제1 면(1111, 2111)을 둘러싸며 제1 면(1111, 211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1112, 2112), 그리고 제1 면(1111, 2111)의 내측에 제1 면(1111, 211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1113, 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100)의 안착부(111)의 제1 면(1111)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제1 표시 패널(4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트레이(200)의 손잡이부(212)는 제2 면(2112)의 외곽에 제2 면(2112)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트레이(200)의 손잡이부(212)는 제1 표시 패널(400)의 상면(402)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100)의 안착부(211)와 제2 트레이(200)의 손잡이부(212)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트레이(200)의 제2 면(2112)은 제1 표시 패널(400)의 상면(402)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패널(400)의 외곽부의 상면(402)은 제2 트레이(200)의 안착부(211)의 제2 면(2112) 및 손잡이부(212)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트레이(200)의 제3 면(2113)은 제2 트레이(200)의 제2 면(2112)보다 깊게 함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레이(200)의 제3 면(2113)은 안착부(211)에 포함되는 제1 면(2111), 제2 면(2112) 및 제3 면(2113) 중에서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트레이(200)의 안착부(211)의 제3 면(2113)은 제1 트레이(100)에 적재되는 제1 표시 패널(400)의 상면(402)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 상에 복수의 트레이들이 적층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트레이들의 무게로 인하여 제2 트레이(200)의 안착부(211)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안착부(211)의 하부가 제1 트레이(100)에 적재되는 제1 표시 패널(400)의 상면(402)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211)의 내측에 형성되며, 높이(h3)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3 면(2113)은 제1 표시 패널(400)의 중심부의 상면(402)에 접촉할 수 있고, 안착부(211)의 외측에 형성되며, 높이(h2)가 상대적으로 큰 제2 면(2112)은 제1 표시 패널(400)의 외곽부의 상면(402)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면(2113)이 제1 표시 패널(400)의 중심부의 상면(402)에 접촉함으로써, 제2 면(2112)이 제1 표시 패널(400)의 외곽부의 상면(40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 커버(300)는 제1 트레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트레이 커버(300)는 저면 및 상기 저면의 외주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은 트레이 커버(300)에 담겨 보관되거나 운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트레이 커버(300)는 소정의 길이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커버(300)의 두께는 약 12mm 이상일 수 있다. 적층되는 복수의 트레이들(100, 200)을 수용하는 트레이 커버(300)가 상기 소정의 길이 이상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트레이 커버(300)의 변형이 방지되고, 트레이 커버(300) 상에 적층되는 트레이들(100, 200)이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의 지지 부재(120, 220)의 저면 및 스토퍼(130, 230)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트레이(100)의 지지 부재(120)의 저면과 스토퍼(130)의 저면은 각기 트레이 커버(300)의 저면의 상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 커버(300) 내에 제1 및 제2 트레이들(100, 200)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레이들이 적층되는 경우에도, 제1 트레이(100)의 몸체가 트레이 커버(300)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트레이(100)가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등을 비롯한 표시 패널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용 트레이들, 및 상기 표시 패널용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트레이 집합체들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 트레이 집합체 100: 트레이, 제1 트레이
110: 수납 부재 111: 안착부
1111: 제1 면 1112: 제2 면
1113: 제3 면 112: 손잡이부
120: 지지 부재 130: 스토퍼
200: 제2 트레이 300: 트레이 커버
400: 표시 패널, 제1 표시 패널 411, 412: 장변들
421, 422: 단변들 430: 패드부
500: 제2 표시 패널

Claims (19)

  1. 표시 패널이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를 노출시켜 상기 표시 패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의 수평 거리는 0.1 밀리미터(mm) 내지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 면의 외곽에서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면의 내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 및 상기 장변들과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패드부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변과 상이한 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두 개의 장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각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장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나의 장변과 대향하는 장변과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상기 스토퍼의 저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용 트레이.
  9. 제1 표시 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1 트레이 상에 적층되고, 제2 표시 패널이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측부를 노출시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의 수평 거리는 0.1mm 내지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 면의 외곽에서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면의 내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면보다 깊게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 및 상기 장변들과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패드부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변과 상이한 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단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두 개의 장변들에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각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장변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나의 장변과 대향하는 장변과 대응되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는 상기 제1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트레이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상기 스토퍼의 저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들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는 트레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의 지지 부재의 저면 및 스토퍼의 저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의 저면의 상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집합체.
KR1020160081092A 2016-06-28 2016-06-28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KR10260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92A KR102603102B1 (ko) 2016-06-28 2016-06-28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CN201710505621.9A CN107539574B (zh) 2016-06-28 2017-06-28 显示面板用托盘及托盘集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92A KR102603102B1 (ko) 2016-06-28 2016-06-28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7A KR20180002127A (ko) 2018-01-08
KR102603102B1 true KR102603102B1 (ko) 2023-11-17

Family

ID=6097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92A KR102603102B1 (ko) 2016-06-28 2016-06-28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3102B1 (ko)
CN (1) CN107539574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484A (ja) * 2005-11-18 2007-06-07 Pioneer Electronic Corp 搬送トレイおよび搬送システム
CN201566966U (zh) * 2009-12-30 2010-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包装托盘
JP2011162236A (ja) * 2010-02-10 2011-08-25 Sekisui Plastics Co Ltd 1つの隅部に突起を有する板状体のための搬送容器
JP5983988B2 (ja) * 2012-02-15 2016-09-06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輸送用トレイ、それを用いた輸送資材及び輸送方法
CN202624944U (zh) * 2012-03-26 2012-12-26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包装盒
JP2014183299A (ja) * 2013-03-21 2014-09-29 Nitto Denko Corp 封止シート収容器
KR101442084B1 (ko) * 2014-02-26 2014-09-23 주식회사 성곡 보강트레이
KR20150125485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장치 연결 방법
CN204548971U (zh) * 2014-12-09 2015-08-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承载液晶显示模组的托盘
CN204548702U (zh) * 2015-02-11 2015-08-12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可粘附毛边碎屑的托盘
CN204624126U (zh) * 2015-05-07 2015-09-09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的托盘
CN205186708U (zh) * 2015-12-15 2016-04-27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吸塑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7A (ko) 2018-01-08
CN107539574B (zh) 2023-11-28
CN107539574A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486B1 (ko) 기판수납용기
WO2013011672A1 (ja) トレイ
JP4360431B2 (ja) 半導体チップ収容トレイ
TWI471254B (zh)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torage tray
JP5470060B2 (ja) 収納トレイ
JP2009010119A (ja) 基板収容容器
CN211767725U (zh) 一种包装箱
US20110259840A1 (en) Semiconductor package magazine
KR102603102B1 (ko)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TW201401403A (zh) 承載裝置與承載裝置及被載物之組合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WO2009131014A1 (ja) トレイ
JP2008100693A (ja) 収納トレイ
JPWO2015015615A1 (ja) 基板収納容器を梱包するための梱包構造
JP2009184687A (ja) ワーク搬送用トレイ
KR100689629B1 (ko) 프로브 카드 보관 케이스
JP2001278238A (ja) 電子部品収納用トレイ
JP5448949B2 (ja) 配線基板用容器
JP4941527B2 (ja) 半導体チップ収容トレイ
JP3198007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KR101035628B1 (ko) 기판용 트레이
US20120032054A1 (en) Stackable holder for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JP6369683B2 (ja) ガラス板トレイ
JP2009202883A (ja) レンズユニット収納用トレイ
KR101351256B1 (ko) 백라이트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