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008B1 -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008B1
KR102598008B1 KR1020220074191A KR20220074191A KR102598008B1 KR 102598008 B1 KR102598008 B1 KR 102598008B1 KR 1020220074191 A KR1020220074191 A KR 1020220074191A KR 20220074191 A KR20220074191 A KR 20220074191A KR 102598008 B1 KR102598008 B1 KR 10259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positive electrode
plate
base
copper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수정
김혜원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008B1/ko
Priority to JP2023041850A priority patent/JP2023184425A/ja
Priority to CA3193228A priority patent/CA3193228A1/en
Priority to CN202310363643.1A priority patent/CN117248252A/zh
Priority to TW112113140A priority patent/TW202400851A/zh
Priority to US18/132,153 priority patent/US20230407513A1/en
Priority to EP23179463.7A priority patent/EP42931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부; 및 상기 전착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착부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전해동박을 전착시키는 음극드럼, 및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과 통전되는 양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부는 상기 음극드럼과 이격된 양극본체, 상기 양극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양극판, 및 상기 양극판들 각각을 상기 양극본체에 체결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판들 중에서 제1양극판은 상기 체결부재들 중에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양극판들 중에서 제2양극판은 상기 체결부재들 중에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양극판은 상기 제1체결부재를 가리도록 상기 제1양극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가림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Positive Electrode Plate fo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을 제조하기 위한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음극드럼,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과 통전되는 양극판, 및 상기 양극판을 지지하는 양극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은 나사와 같은 베이스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는 상기 베이스체결부재와 상기 양극판이 조립 단차로 인해 상기 음극드럼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는 상기 베이스체결부재와 상기 양극판의 주위에서 전류밀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는 상기 음극드럼에 전착되는 동박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므로, 동박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체결부재로 인해 전류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동박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박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부; 및 상기 전착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착부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전해동박을 전착시키는 음극드럼, 및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과 통전되는 양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상기 음극드럼과 이격된 양극본체, 상기 양극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양극판, 및 상기 양극판들 각각을 상기 양극본체에 체결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판들 중에서 제1양극판은 상기 체결부재들 중에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들 중에서 제2양극판은 상기 체결부재들 중에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양극판은 상기 제1체결부재를 가리도록 상기 제1양극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가림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극판들을 양극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들이 다른 양극판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양극판 주위에 형성되는 전류밀도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상된 품질을 갖는 동박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판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선을 기준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판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도 7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양극판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극판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이용하여 동박(100)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전착부(2), 및 권취부(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전착부(2)는 동박(100)을 전착(電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착부(2)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동박(100)을 전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착부(2)는 음극드럼(3), 및 양극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드럼(3)과 상기 양극부(4)가 전해액을 통해 통전(通電)되어서 전류가 흐르면,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던 동(銅) 이온은 상기 음극드럼(3)에서 환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착부(2)는 상기 음극드럼(3)의 표면에 동박(100)을 전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음극드럼(3)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음극드럼(3)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100)을 표면에 전착시키는 전착작업과 전착된 동박(100)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권출(捲出)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극드럼(3)은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착작업과 상기 권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드럼(3)은 음극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음극드럼(3)은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가 설치된 작업장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4)는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3)과 통전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4)는 상기 음극드럼(3)에 대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4)는 상기 음극드럼(3)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4)의 표면 및 상기 음극드럼(3)의 표면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극드럼(3)이 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되어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양극부(4)는 반원의 장방체로 형성되어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권취부(8)는 동박(100)을 권취하는 것이다. 상기 전착부(2)에 의해 제조된 동박(100)은 상기 권취부(8)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8)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8)는 권취롤러(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귄취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100)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81)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100)을 권취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롤러(81)는 권취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8)에는 코어(8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코어(82)는 상기 권취롤러(81)를 둘러싸도록 상기 권취롤러(8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81)가 회전됨에 따라, 동박(100)은 상기 코어(82)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코어(82)는 상기 권취부(8)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82)에 대한 동박(100)의 권취가 완료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권취부(8)로부터 상기 코어(82)를 분리하고 새로운 코어(82)를 장착하는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82)와 상기 권취롤러(8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82)에 대한 동박(100)의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코어(82)와 상기 권취롤러(81)가 일체로 분리된 후에 후속공정을 위한 설비로 운반될 수 있다.
동박(100)은 운반부(80)에 의해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8)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80)는 동박(100)을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부(80)에 의해 동박(100)이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8)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동박(100)을 건조시키는 건조작업, 동박(100)에 대한 방청처리를 수행하는 방청작업, 동박(100)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반부(80)는 상기 전착부(2)와 상기 권취부(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80)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80)는 운반롤러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운반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100)을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8)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롤러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100)을 운반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부(80)는 상기 운반롤러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롤러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동박(100)을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롤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운반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음극드럼(3)과 상기 양극부(4) 사이에 위치된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4)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양극부(4)는 양극본체(5), 복수개의 양극판(6), 및 복수개의 체결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본체(5)는 상기 음극드럼(3)과 이격된 것이다. 상기 양극본체(5)에는 상기 양극판(6)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본체(5)는 상기 양극판(6)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양극본체(5)는 상기 음극드럼(3)의 아래쪽에 상기 음극드럼(3)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본체(5)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에 배치되어서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3)과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양극본체(5)와 상기 음극드럼(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되어서,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양극판(6)들을 가압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을 통해 상기 양극부(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들은 상기 양극판(6)들 각각을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7)들은 상기 양극판(6)들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들은 상기 양극판(6)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양극본체(5)와 상기 양극판(6)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7)들은 상기 양극판(6)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제1양극판(61)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제1체결부재(71)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제2양극판(62)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제2체결부재(72)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1체결부재(71)를 가리도록 상기 제1양극판(6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가림부재(621), 및 상기 제2체결부재(72)가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제2가림부재(621)를 통해 상기 제1체결부재(7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양극판(6)들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류밀도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동박(10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더 향상된 품질을 갖는 동박(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양극판(6)들이 상기 제1양극판(61), 상기 제2양극판(62), 및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극판(6)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4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양극본체(5)의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양극판(61)은 제1벤딩부재(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밴딩부재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양극판(61)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된 경우 상기 양극본체(5)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된 경우 상기 양극본체(5)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양극본체(5)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양극판(61)은 제1결합홈(614) 및 제1가림홈(6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614)은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상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결합홈(614)에는 상기 제2양극판(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614)에는 상기 제2양극판(62)이 배치되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홈(615)은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가림홈(615)에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홈(615)에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림홈은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양극본체(5)의 사이에 배치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홈(615)에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611)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베이스체결부재(73)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를 통해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양극판(6)들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류밀도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동박(10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더 향상된 품질을 갖는 동박(10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제2양극판(6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의 상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2결합부재(622), 및 상기 제2가림부재(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622)는 상기 제2체결부재(72)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재(622)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72)가 삽입되기 위한 상기 체결공(7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72)는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재(6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622)는 상기 제2체결부재(72)를 통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621)는 상기 제2결합부재(622)로부터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제2가림부재(621)는 상기 제1양극판(61)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621)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는 상기 제2가림부재(621)가 배치되어서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상면과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상면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면(面)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양극판(62)은 제2벤딩부재(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부재(623)는 상기 제2결합부재(622)와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벤딩부재(623)는 상기 제2결합부재(622)와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622)와 상기 제2가림부재(6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벤딩부재(623)는 상기 제2결합부재(622)와 상기 제2가림부재(621)가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가림부재(621)와 상기 제2결합부재(622)는 상기 제2벤딩부재(623)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결합부재(622)는 상기 제2양극판(62)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된 경우 상기 양극본체(5)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가림부재(621)는 상기 제2양극판(62)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된 경우 상기 양극본체(5)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양극판(62)은 제2결합홈(624) 및 제2가림홈(6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624)은 상기 제2결합부재(622)의 상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양극판(6)들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홈(624)에는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양극판(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홈(625)은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가림홈(625)은 상기 제2가림부재(621)와 상기 양극본체(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림홈(625)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림부재(621)는 상기 제1체결부재(71)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제2가림부재(621)를 통해 상기 제1체결부재(7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양극판(6)들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류밀도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전해액 내의 전류밀도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동박(100)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더 향상된 품질을 갖는 동박(10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양극판(6)은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제1양극판(6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양극본체(5)의 좌측단과 상기 양극본체(5)의 우측단 사이에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이 상기 양극본체(5)의 좌측단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이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우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이 상기 양극본체(5)의 우측단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이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좌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양극본체(5)의 좌측단과 상기 양극본체(5)의 우측단 사이에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대해 상기 제1양극판(61)과 상기 제2양극판(62)이 배치된 방향 쪽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양극판(6)들이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제1베이스부재(631), 및 제2베이스부재(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는 상기 제1양극판(61)으로부터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의 상면은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에 의해 가려진 것이다.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1가림홈(61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에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가 배치되어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상면과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의 상면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면(面)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양극판(6)들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양극판(6)의 상면이 연결된 하나의 면(面)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가림부재(621)와 상기 제1가림부재(611)가 중첩된 부분 및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가 중첩된 부분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림부재(621), 상기 제1가림부재(611), 및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가 결합되어 평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체결부(7)는 상기 제1체결부재(71), 상기 제2체결부재(72), 및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 상기 제2양극판(62), 및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71), 상기 제2체결부재(72), 및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공(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71)는 상기 제1양극판(61)을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체결부재(71)는 상기 제1양극판(61)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부재(71)는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양극판(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71)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71)가 상기 제1양극판(61)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들의 개수는 상기 제1체결부재(71)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72)는 상기 제2양극판(62)을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체결부재(72)는 상기 제2양극판(62)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72)는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양극판(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72)는 상기 제2결합부재(622)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72)가 상기 제2양극판(62)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부재(622)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들의 개수는 상기 제2체결부재(72)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는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74)들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7,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양극판(6)들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1양극판(61)과 대략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양극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기준으로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6)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양극판(61)은 경사지게 배치된 제1벤딩부재(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를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양극본체(5)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재(613)가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벤딩부재(613)에 형성된 벤딩경사면(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경사면(616)은 상기 베이스양극판(63) 쪽을 향해 배치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벤딩경사면(616)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형성된 제1경사면(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벤딩경사면(616)이 상기 제1경사면(633)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벤딩경사면(616)과 상기 제1경사면(633)을 통해 제1양극판(61)과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결합하는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양극본체(5)를 향하는 결합방향(CD)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재(613)에 상기 벤딩경사면(616)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611)에는 가림경사면(6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경사면(617)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경사면(617)은 베이스양극판(63) 쪽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611)가 상기 가림경사면(617)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가림경사면(617)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에 형성된 제2경사면(6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가림경사면(617)이 상기 제2경사면(634)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가림경사면(617)과 상기 제2경사면(634)을 통해 복수개의 지점에서 상기 제1양극판(61)의 결합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제1양극판(61)과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결합하는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양극판(6)들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1양극판(61)과 대략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양극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기준으로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제1감소부재(6111), 및 제1감소면(FD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부재(611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감소부재(6111)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감소부재(6111)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의 상면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면(FDF)은 상기 제1감소부재(6111)에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감소면(FDF)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제2감소부재(6121), 및 제2감소면(SD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소부재(6121)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감소부재(6121)는 상기 양극본체(5)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감소부재(6121)는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소면(SDF)은 상기 제2감소부재(6121)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2양극판(63, 도 3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감소면(SDF)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에는 안착면(6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635)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양극판(61)이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감소면(FDF)은 상기 안착면(63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면(FDF)과 상기 안착면(635)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서 중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동박 제조장치 2: 전착부
3: 음극드럼 4: 양극부
5: 양극본체 6: 양극판
61: 제1양극판 611: 제1가림부재
6111: 제1감소부재 612: 제1결합부재
6121: 제2감소부재 613: 제1벤딩부재
614: 제1결합홈 615: 제1가림홈
616: 벤딩경사면 617: 가림경사면
62: 제2양극판 621: 제2가림부재
622: 제2결합부재 623: 제2벤딩부재
624: 제2결합홈 625: 제2가림홈
63: 베이스양극판 631: 제1베이스부재
632: 제2베이스부재 633: 제1경사면
634: 제2경사면 635: 안착면
7: 체결부 71: 제1체결부재
72: 제2체결부재 73: 베이스체결부재
74: 체결공 8: 권취부
81: 권취롤러 82: 코어
80: 운반부 100: 동박

Claims (17)

  1.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100)을 전착시키는 전착부(2); 및
    상기 전착부(2)로부터 공급되는 동박(100)을 권취하는 권취부(8)를 포함하고,
    상기 전착부(2)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전해동박을 전착시키는 음극드럼(3), 및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드럼(3)과 통전되는 양극부(4)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부(4)는 상기 음극드럼(3)과 이격된 양극본체(5), 상기 양극본체(5)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양극판(6), 및 상기 양극판(6)들 각각을 상기 양극본체(5)에 체결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7)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제1양극판(61)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제1체결부재(71)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며,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제2양극판(62)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제2체결부재(72)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고,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1체결부재(71)를 가리도록 상기 제1양극판(6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가림부재(621), 및 상기 제2체결부재(72)가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6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제1가림부재(6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제2양극판(6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제1감소부재(6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제1가림부재(611), 상기 제1가림부재(6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결합부재(612), 및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연결하는 제1벤딩부재(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가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체결부(7)들 중에서 베이스체결부재(73)에 의해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고,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를 가리도록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가림부재(611), 및 상기 제1체결부재(71)가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6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베이스체결부재(73)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제1양극판(61)으로부터 이격된 제1베이스부재(631), 및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연결된 제2베이스부재(6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상측에 배치된 제1결합홈(614), 및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하측에 배치된 제1가림홈(615)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가림홈(615)에 삽입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632)를 가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상측에 배치된 제1결합홈(614), 및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하측에 배치된 제1가림홈(615)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제2양극판(6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6)은 상기 제1양극판(6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양극판(62)에서 상기 제1양극판(61)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감소부재(6111)에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감소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소면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양극판(6)들 중에서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제1가림부재(611), 상기 제1가림부재(6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결합부재(6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상측에는 상기 제2가림부재(621)가 배치되어서,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상면과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6)은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벤딩부재(613)에 형성된 벤딩경사면(616)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제1양극판(61)로부터 이격된 제1베이스부재(631), 및 상기 벤딩경사면(616)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재(631)에 형성된 제1경사면(63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를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벤딩경사면(616)이 상기 제1경사면(633)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6)은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은 상기 양극본체(5)의 좌측단과 상기 양극본체(5)의 우측단의 사이에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며,
    상기 양극판(6)들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대해 상기 제1양극판(61)과 상기 제2양극판(62)이 배치된 방향 쪽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
  11.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6)으로,
    상기 동박 제조장치의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제1양극판(61);
    상기 제1양극판(61)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2양극판(62); 및
    상기 제1양극판(61)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된 베이스양극판(6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양극판(62)은 상기 제1양극판(61)에 결합된 제1체결부재(71)를 가리도록 상기 제1양극판(6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가림부재(621), 및 상기 제2가림부재(621)에 연결된 제2결합부재(6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베이스양극판(63)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양극본체(5)에 결합되는 제1가림부재(6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제2양극판(6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제1감소부재(6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판(61)은 상기 제1가림부재(6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결합부재(612), 및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를 연결하는 제1벤딩부재(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가림부재(61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2)가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부재(613)는 상기 제1결합부재(612)에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베이스양극판(63)에 결합된 베이스체결부재(73)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부재(611)는 상기 제1양극판(61)에서 상기 제2양극판(6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61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612)의 상측에는 상기 제2가림부재(621)가 배치되어서, 상기 제2가림부재(621)의 상면과 상기 제1가림부재(611)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KR1020220074191A 2022-06-17 2022-06-17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10259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91A KR102598008B1 (ko) 2022-06-17 2022-06-17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JP2023041850A JP2023184425A (ja) 2022-06-17 2023-03-16 銅箔製造装置
CA3193228A CA3193228A1 (en) 2022-06-17 2023-03-1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CN202310363643.1A CN117248252A (zh) 2022-06-17 2023-04-07 铜箔制造装置以及铜箔制造装置用阳极板
TW112113140A TW202400851A (zh) 2022-06-17 2023-04-07 銅箔製造設備及正電極板
US18/132,153 US20230407513A1 (en) 2022-06-17 2023-04-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EP23179463.7A EP4293142A1 (en) 2022-06-17 2023-06-15 Positive electrode plate for copper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pper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91A KR102598008B1 (ko) 2022-06-17 2022-06-17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008B1 true KR102598008B1 (ko) 2023-11-02

Family

ID=8685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191A KR102598008B1 (ko) 2022-06-17 2022-06-17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407513A1 (ko)
EP (1) EP4293142A1 (ko)
JP (1) JP2023184425A (ko)
KR (1) KR102598008B1 (ko)
CN (1) CN117248252A (ko)
CA (1) CA3193228A1 (ko)
TW (1) TW2024008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918976U (zh) * 2018-01-23 2018-09-28 福建清景铜箔有限公司 一种生箔机阳极组装结构
JP6970603B2 (ja) * 2017-12-08 2021-11-24 日鉄工材株式会社 金属箔製造装置,電極板及び金属箔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538A (en) * 1993-01-11 1994-09-06 Gould Inc. Thin plate anode
JPH0987883A (ja) * 1995-07-14 1997-03-31 Yoshizawa L Ee Kk 電解用電極の給電方法および給電構造
JP7005558B2 (ja) * 2019-06-10 2022-01-21 日鉄工材株式会社 金属箔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0603B2 (ja) * 2017-12-08 2021-11-24 日鉄工材株式会社 金属箔製造装置,電極板及び金属箔の製造方法
CN207918976U (zh) * 2018-01-23 2018-09-28 福建清景铜箔有限公司 一种生箔机阳极组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3228A1 (en) 2023-12-17
US20230407513A1 (en) 2023-12-21
CN117248252A (zh) 2023-12-19
EP4293142A1 (en) 2023-12-20
JP2023184425A (ja) 2023-12-28
TW202400851A (zh) 202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9821B2 (ja) 電解めっき装置及び電解めっき方法
KR102598008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102595709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200495516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20001701U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565937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TWI841335B (zh) 正電極板以及製造銅箔的設備
WO2023157329A1 (ja) 部分めっき用マスク部材及び部分めっき方法
TWI838203B (zh) 銅箔製造設備及正電極板
JP6646331B2 (ja) 部分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96426Y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0495515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10053001A (ko) 전해 동박의 전착 장치 및 제조 장치
KR102338739B1 (ko) 전해 도금 장치
KR102528177B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US11230779B2 (en) Substrate plating method
KR20230000667U (ko) 동박용 절단장치
KR102519062B1 (ko)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JP6839992B2 (ja) 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77605B1 (ko) Pcb용 전해도금장치
JPH073000B2 (ja) 電気めっき装置
KR20210056550A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10000552U (ko) 전해동박 제조시스템
KR20210000134U (ko) 전해동박 제조시스템
JPH0766535A (ja) プリント基板のめっき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