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26Y1 -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26Y1
KR200496426Y1 KR2020170006421U KR20170006421U KR200496426Y1 KR 200496426 Y1 KR200496426 Y1 KR 200496426Y1 KR 2020170006421 U KR2020170006421 U KR 2020170006421U KR 20170006421 U KR20170006421 U KR 20170006421U KR 200496426 Y1 KR200496426 Y1 KR 200496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electrode
electrolyte
members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20U (ko
Inventor
김상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26Y1/ko
Priority to CN201822096053.4U priority patent/CN209227084U/zh
Publication of KR20190001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20Separation of the formed objects from the electrodes with no destruction of said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 및 상기 양극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들은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에 결합된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of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Electrolytic Copper Foil}
본 고안은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동박을 제조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동박 전착(電着)에 이용되는 설비로,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양극부, 및 음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부는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는 전기도금을 수행함에 있어 양극으로 기능한다.
상기 음극부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음극부는 전기도금을 수행함에 있어 음극으로 기능한다.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가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음극부의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면,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음극부는 서로 통전되면서 전기도금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전해액에 용해된 동(銅) 이온이 상기 음극부에서 환원(還元)됨에 따라, 상기 음극부는 동박을 전착시킨다. 상기 음극부는 음극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의 전착작업 및 권출(捲出)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음극부 사이에 정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전해액에 용해된 동 이온이 상기 음극부에서 환원됨에 따라 점차 농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동박이 전착되는 속도는 점차 감소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상기 음극부가 전착시키는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저하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해액이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음극부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키는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양극부 및 음극부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키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 및 상기 양극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들은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 상기 양극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극부; 상기 음극부로부터 권출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로부터 운반된 동박의 양측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들은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해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음극부 및 양극부 사이를 따라 유동되다가 전극부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극부 및 양극부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음극부가 전착시키는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극부 및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차폐부가 전극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대한 전해동박 전착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銅箔)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운반부(11), 절단부(12), 및 권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운반부(11,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동박을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부(11)는 동박을 상기 절단부(12)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11)는 복수개의 롤러 등을 이용해 동박을 운반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부(11)는 동박을 운반하면서, 동박의 표면에 남은 전해액 등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절단부(12,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운반부(11)로부터 운반된 동박을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2)는 전착 과정에서 동박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동박의 양측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2)는 동박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박의 양측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2)에 의해 양측이 절단된 동박은 상기 권취부(13)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권취부(13,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절단부(12)에 의해 절단된 동박을 권취(捲取)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부(13)는 권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동박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3)에 권취된 동박은,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폭으로 재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3)는 전체적으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부(11), 상기 절단부(12), 및 상기 권취부(13)를 통해 운반되고 권취되는 동박을 제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전해동박 전착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동박을 전착(電着)시켜 동박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를 통해 제조된 동박은 상기 운반부(11), 상기 절단부(12) 등을 거쳐 상기 권취부(13)에 권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음극부(2),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2)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3),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4), 및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극부(5)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5)들은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해액공급부(4)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전극부(5)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가 전착시키는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극부(2), 상기 양극부(3), 상기 전해액공급부(4), 및 상기 전극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음극부(2)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음극부(2)는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음극(陰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가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면, 전해액에 용해된 동 이온은 상기 음극부(2)에서 환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부(2)의 표면에는 동박이 전착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음극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음극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표면에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과 전착된 동박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권출(捲出)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에 대해 상방(上方)(U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되면서 전착작업과 권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양극부(3)는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양극(陽極)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에 대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음극부(2)에 대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극부(2)가 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양극부(3)는 반원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에는 전해액공급슬릿(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전해액이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상기 양극부(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해, 전해액은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양극부(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은 동박이 운반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축(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해액공급부(4,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액공급부(4)는 전해액이 저장된 저장조(미도시)로부터 이송된 전해액을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의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액은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채워지게 되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가 서로 통전되도록 전해질(電解質)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부(4)는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부(4)는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에 대해 하방(下方)(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공급부(4)로부터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극부(5)들은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극부(5)들은 상기 양극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5)들은 일측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전원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전극부(5)들을 통해 상기 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5)들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상기 전극부(5)들 사이에는 유동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51)은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동되기 위한 홈이다.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로 공급되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해액공급부(4)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상기 전극부(5)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가 전착시키는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5)들은 상기 양극부(3)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5)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외부로 유동된 전해액은 다시 수집되어 상기 저장조로 유동될 수 있다. 전해액은 상기 저장조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또는 상기 저장조에서 동 이온을 보충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은 제1전극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상기 양극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상기 양극부(3)로부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양극부(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통해, 상기 전극부(5)들의 타측이 상기 양극부(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들과 상기 전원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지점들이 상기 양극부(3)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연결지점들이 부식되어 손상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가 동박을 전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양극부(3)가 상기 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더 안정적으로 연결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상기 양극부(3)에 비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양극부(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구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은 제2전극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상기 전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및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통해,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로부터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통해, 상기 전극부(5)들의 타측이 상기 양극부(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들과 상기 전원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지점들이 상기 양극부(3)로부터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연결지점들이 부식되어 손상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가 동박을 전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양극부(3)가 상기 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더 안정적으로 연결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비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및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및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각각은 단일의 바(Bar)형태의 부재를 절곡(切曲)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구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연결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전극부(5)들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전극부(5)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이 상기 전원장치에 연결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상기 연결부(6)를 통해 전체 저항이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6)가 상기 전극부(5)들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극부(5)들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를 통해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부(5)들의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6)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전극부(5)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연결부(6)가 상기 전극부(5)들에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되는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들에 외부에서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전극부(5)들이 충격에 의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로 이동되어 상기 양극부(3)와의 결합지점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들의 교체, 수리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차폐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7)는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전극부(5)들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차폐부(7)는 상기 전극부(5)를 가림으로써,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부(5)들이 전해액에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가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전해액으로부터 석출된 석출물이 상기 전극부(5)에 누적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누적된 석출물이 상기 유동홈(51)의 일부를 가리게 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석출물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외부로 유동되는 전해액을 간섭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정체되는 전해액의 양을 더 감소시켜 상기 음극부(2)가 전착시키는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가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전해액에 의해 부식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극부(5)가 부식됨에 따라 저항이 증대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를 통해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7)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폐부(7)는 Polycarbonate(PC),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imid(PI)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양극부(3)로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부(5)에서 전력이 누설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부(5)에 석출물이 석출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부(7)는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폐부(7)는 Polycarbonate(PC),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imid(PI)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차폐부(7)가 전해액에 의해 부식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차폐부(7)에 대한 교체주기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가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차폐부(7)는 복수개의 제1차폐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각각은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각각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71)들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가림으로써,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이 전해액에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각각은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가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각각은 전해액이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사이로 유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가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이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전해액으로부터 석출된 석출물이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에 누적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누적된 석출물로 인해 상기 유동홈(51)이 가려지는 정도를 감소시켜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외부로 유동되는 배출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이 전해액에 부식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의 저항이 증대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를 통해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차폐부(7)는 복수개의 제2차폐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각각은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각각은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은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가림으로써,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각각은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각각에 대해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가릴 수 있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양극부(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각각은 전해액이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사이로 유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가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전해액으로부터 석출된 석출물이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에 누적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누적된 석출물로 인해 상기 유동홈(51)이 가려지는 정도를 감소시켜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외부로 유동되는 배출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부식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의 저항이 증대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를 통해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차폐부(7)는 제3차폐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사이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사이를 가림으로써, 전해액이 상기 유동홈(51)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전해액으로부터 석출된 석출물이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사이에 누적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이 전해액에 부식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3차폐부재(73)가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되는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외부에서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이 충격에 의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및 상기 제2전극부재(53)들로부터 이탈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의 교체, 수리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상기 제1차폐부재(71)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폐부재(71)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상기 제3차폐부재(73)를 상기 제1차폐부재(71)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결합하는 결합작업 및 노후된 상기 제3차폐부재(73)를 교체하는 교체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전해동박 전착장치 2 : 음극부
3 : 양극부 4 : 전해액공급부
5 : 전극부 6 : 연결부
7 : 차폐부 10 : 전해동박 제조장치
11 : 운반부 12 : 절단부
13 : 권취부 21 : 음극축
31 : 전해액공급슬릿 51 : 유동홈
52 : 제1전극부재 53 : 제2전극부재
71 : 제1차폐부재 72 : 제2차폐부재
73 : 제3차폐부재

Claims (10)

  1.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2);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2)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3);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4); 및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극부(5)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5)들은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이 유동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되며,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은 상기 양극부(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제1전극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은 상기 제1전극부재(52)의 단부로부터 상방(UD 화살표 방향)(上方)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52)에 결합된 제2전극부재(53)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5)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각각에 결합된 연결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재(53) 및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양극부(3)의 최상단 보다 높게 배치되며,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전극부(5)들을 가리도록 상기 전극부(5)들에 결합된 차폐부(7)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7)는,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차폐부재(71);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차폐부재(72); 및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결합된 제3차폐부재(73)를 포함하고,
    상기 제3차폐부재(73)는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및 상기 제2차폐부재(72)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5)들 각각은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된 제1전극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7)는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차폐부재(7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71)들 각각은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1전극부재(52)들을 가리도록 상기 제1전극부재(52)들 각각에 대해 상방(U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부재(72)들 각각은 전해액으로부터 상기 제2전극부재(53)들을 가리도록 상기 제2전극부재(53)들 각각에 대해 상기 양극부(3)를 향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7)는 Polycarbonate(PC),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imid(PI)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10. 제1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9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로서,
    상기 음극부(2)로부터 권출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11);
    상기 운반부(11)로부터 운반된 동박의 양측을 절단하는 절단부(12); 및
    상기 절단부(12)에 의해 절단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0170006421U 2017-12-13 2017-12-13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0496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21U KR200496426Y1 (ko) 2017-12-13 2017-12-13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CN201822096053.4U CN209227084U (zh) 2017-12-13 2018-12-13 电解铜箔电沉积装置及电解铜箔制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21U KR200496426Y1 (ko) 2017-12-13 2017-12-13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20U KR20190001520U (ko) 2019-06-21
KR200496426Y1 true KR200496426Y1 (ko) 2023-01-26

Family

ID=6700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21U KR200496426Y1 (ko) 2017-12-13 2017-12-13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6426Y1 (ko)
CN (1) CN2092270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90A (ko) * 2021-12-01 2023-06-08 에이티엑스 주식회사 동박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84B1 (ko) * 2015-01-13 2016-06-13 (주)피엔티 금속박 배출 및 권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883A (ja) * 1995-07-14 1997-03-31 Yoshizawa L Ee Kk 電解用電極の給電方法および給電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84B1 (ko) * 2015-01-13 2016-06-13 (주)피엔티 금속박 배출 및 권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20U (ko) 2019-06-21
CN209227084U (zh)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4574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электроосаждения для покрытия пеноматериала
KR200496426Y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333938B1 (ko) 동박 제조장치
KR200495516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00010033A (ko) 동장 적층판
KR200494323Y1 (ko) 전해액 공급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20001701U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0748791B1 (ko) 수직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KR102565937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CN215947439U (zh) 一种电镀装置
KR200495515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JP6367664B2 (ja) 部分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95709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JP2017119894A (ja) 部分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98008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CN202323068U (zh) 一种线路板电镀辅助边条
TWI838203B (zh) 銅箔製造設備及正電極板
KR102629488B1 (ko) 도금장치
EP2436805A1 (en) Barrel apparatus for barrel plating
KR102528177B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JP6839992B2 (ja) 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1112267U (zh) 电解铜箔电沉积装置以及电解铜箔制造装置
TWI841335B (zh) 正電極板以及製造銅箔的設備
US20130126340A1 (en) Barrel apparatus for barrel plating
KR20220000688U (ko) 전해동박 트리머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