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01U - 전해동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해동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01U
KR20220001701U KR2020200004937U KR20200004937U KR20220001701U KR 20220001701 U KR20220001701 U KR 20220001701U KR 2020200004937 U KR2020200004937 U KR 2020200004937U KR 20200004937 U KR20200004937 U KR 20200004937U KR 20220001701 U KR20220001701 U KR 202200017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unit
winding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호
윤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4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701U/ko
Publication of KR20220001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전착부; 코어(Core)에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전착부에서 상기 권취부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및 코어받침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동박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Copper Foil}
본 고안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동박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부는 동박이 권취되는 코어(Core)가 장착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에 대한 동박의 권취가 완료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상기 코어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졌다.
우선, 작업자가 작업장에 보관된 코어받침대를 상기 교체작업이 필요한 전해동박 제조장치 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작업자가 상기 코어받침대에 새로운 코어를 올려 놓는다. 코어를 작업장의 바닥에 놓으면 코어에 먼지,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를 상기 코어받침대에 올려 놓는 것이다.
다음, 작업자가 상기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권취부로부터 상기 코어를 분리한 후에, 상기 코어받침대에 있는 코어를 상기 권취부에 장작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장에 보관된 코어받침대를 찾아야 하고, 코어받침대를 상기 교체작업이 필요한 전해동박 제조장치 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 상기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의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전해동박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전착부; 코어(Core)에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전착부에서 상기 권취부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및 코어받침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코어받침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본체, 및 상기 수납본체의 하면(下面)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들은 상기 코어받침대가 상기 수납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어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전착부; 코어(Core)에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전착부에서 상기 권취부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코어받침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및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기 이전에 동박으로부터 절단된 절단동박을 권취하는 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회수부의 하측에서 상기 회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납부를 통해 코어받침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수납부에 수납된 코어받침대를 이용하여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코어받침대를 이용하여 새로운 코어가 먼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어받침대를 준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코어받침대를 찾는 시간과 코어받침대를 이동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코어에 대한 교체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동률 증대를 통해 코어에 권취된 동박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수납부를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수납부를 도 4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이용하여 동박(200)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전착부(2), 권취부(3), 운반부(4), 및 수납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착부(2)는 동박(200)을 전착(電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착부(2)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동박(200)을 전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착부(2)는 음극롤러(21), 및 양극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롤러(21)와 상기 양극부재(22)가 전해액을 통해 통전(通電)되어서 전류가 흐르면,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던 동(銅) 이온은 상기 음극롤러(21)에서 환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극롤러(21)의 표면에 동박(200)을 전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음극롤러(2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음극롤러(21)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200)을 표면에 전착시키는 전착작업과 전착된 동박(200)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권출(捲出)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극롤러(21)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착작업과 상기 권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롤러(21)는 음극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재(22)는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롤러(21)와 통전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재(22)는 상기 음극롤러(21)에 대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재(22)는 상기 음극롤러(21)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재(22)의 표면 및 상기 음극롤러(21)의 표면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극롤러(21)가 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되어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양극부재(22)는 반원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되어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권취부(3)는 동박(200)을 권취하는 것이다. 상기 전착부(2)에 의해 제조된 동박(200)은 상기 권취부(3)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전착부(2)에 의해 제조된 동박(200)은 일부가 절단된 후에 남은 부분만 상기 권취부(3)에 권취될 수 있다. 이 경우, 동박(200)은 절단에 의해 절단동박(210, 도 3에 도시됨)과 권취동박(220, 도 3에 도시됨)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절단동박(210)은 동박(2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동박(200)의 양쪽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권취부(3)는 권취롤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3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200)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31)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200)을 권취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롤러(31)는 권취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3)에는 코어(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코어(32)는 상기 권취롤러(31)를 둘러싸도록 상기 권취롤러(3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3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권취동박(220)은 상기 코어(32)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코어(32)는 상기 권취부(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32)에 대한 권취동박(220)의 권취가 완료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권취부(3)로부터 상기 코어(32)를 분리하고 새로운 코어(32)를 장착하는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운반부(4)는 동박(200)을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부(4)에 의해 동박(200)은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3)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4)에 의해 동박(200)이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3)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동박(200)을 건조시키는 건조작업, 동박(200)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작업, 동박(200)에 대한 방청처리를 수행하는 방청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반부(4)는 상기 전착부(2)와 상기 권취부(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4), 상기 전착부(2), 및 상기 권취부(3)는 각각 프레임(100,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가 설치된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4)는 운반롤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롤러(4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200)을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3)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롤러(41)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박(200)을 운반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부(4)는 상기 운반롤러(4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롤러(4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동박(200)을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롤러(41)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운반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납부(5)는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부(5)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부(5)에 수납된 코어받침대(300)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32)에 대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이용하여 새로운 코어(32)가 먼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준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32)에 대한 교체작업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찾는 시간과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이동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32)에 대한 교체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가동률 증대를 통해 상기 코어(32)에 권취된 동박(200)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부(5)는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5)는 수납본체(51), 및 복수개의 돌출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5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51a)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납본체(5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5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본체(51)는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수납공간(51a)에 수납된 코어받침대(3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下面)(511, 도 3과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52)들의 사이에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른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상기 수납부(5)로부터 반출하는 반출작업과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상기 수납부(5)에 반입하는 반입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상기 수납부(5)로부터 반출시키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코어받침대(300)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반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으로부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4에 도시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받침대(3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받침대(300)에 처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수납본체(51)에 4개의 돌출부재(52)들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본체(51)에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돌출부재(52)들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과 상기 수납본체(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각각 입구부재(521,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재(521)는 상기 수납본체(51)에 마련된 출입구(510)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출입구(510)는 상기 반출작업과 상기 반입작업이 이루어질 때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출입구(510)가 마련된 상기 수납본체(51)의 일측은 상기 출입구(510)에 의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재(521)는 상기 출입구(5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높이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재(52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반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에 대한 반입작업이 이루어질 때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돌출부재(52)들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받침대(300)에 대한 반입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입구부재(521)의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반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늘릴 수 있으면 상기 입구부재(521)의 상면은 곡면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각각 돌출본체(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본체(522)는 상기 입구부재(521)에 대해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공간(51a)에 수납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이다.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본체(522)는 상기 수납공간(51a)에 수납된 코어받침대(300)의 하면(下面)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본체(522)와 상기 입구부재(5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납부(5)는 제한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돌출부재(52)들에 대해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제한부재(53)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코어받침대(300)는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본체(51)에 너무 깊숙한 위치에 수납됨에 따라 상기 반출작업의 어려움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반출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출방향(SD 화살표 방향)과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코어받침대(300)는 상기 반출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수납본체(51)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돌출부재(52)들과 상기 수납본체(51)의 후면(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돌출부재(52)들로부터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53)와 상기 돌출부재(52)들의 사이에는 제1이격공간(513, 도 5에 도시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수납본체(51)의 상면(514,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53)와 상기 수납본체(51)의 상면(514) 사이에는 연통공간(515)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공간(51a)에서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해당 이물질이 상기 연통공간(515)을 통해 제2이격공간(516)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공간(516)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한부재(53)와 상기 수납본체(51)의 후면(512) 사이에 마련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제1이격공간(513)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51a)에 대한 청소작업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납본체(51)에 비해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한부재(53)의 길이과 상기 수납공간(51a)의 길이는 서로 대략 일치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반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납부(5)는 댐퍼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제한부재(5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반출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한부재(5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반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제한부재(5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제한부재(53)에 충돌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제한부재(53)에 비해 신축성이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재(54)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반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댐퍼부재(54)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댐퍼부재(54)가 상기 코어받침대(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코어받침대(300)에 대한 반입작업과 반출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5)는 상기 권취부(3)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납부(5)는 상기 권취부(3)에 대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부(5)를 통해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되더라도, 본연의 기능인 동박(200)의 제조작업과 권취작업에 상기 수납부(5)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회수부(6,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절단동박(210)을 회수하는 것이다.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절단동박(210)이 권취되는 회수롤러(61), 상기 절단동박(210)이 상기 회수롤러(61)에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62), 및 상기 가이드롤러(6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서 해당 가이드롤러(62)의 회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6)는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수납부(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부(5)는 상기 회수부(6)에 대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5)는 상기 회수부(6)의 하측에서 상기 회수부(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수납부(5)에 대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부(5)로 인해 상기 회수부(6)의 설치높이를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부재(63)의 설치높이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상기 수납부(5)를 통해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는 기능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부(5)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재(63)의 설치높이를 높여서 작업자가 상기 표시부재(63)를 통해 상기 가이드롤러(62)의 회전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는 절단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7)는 상기 전착부(2)에 의해 제조된 동박(200)을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7)에 의해 동박(200)은 상기 절단동박(210)과 상기 권취동박(22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절단동박(210)은 상기 회수부(6)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동박(220)은 상기 권취부(3)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7)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절단롤러(71,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절단롤러(71)를 따라 이동하는 동박(200)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재(7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7)는 상기 절단부재(7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72)들은 동박(2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동박(200)의 양쪽 가장자리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된 절단동박(210)들은 개별적인 가이드롤러(62)들을 따라 이동되어서 상기 회수롤러(61)에 권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전해동박 제조장치 2 : 전착부
3 : 권취부 4 : 운반부
5 : 수납부 6 : 회수부
7 : 절단부 21 : 음극롤러
22 : 양극부재 31 : 권취롤러
32 : 코어 41 : 운반롤러
51 : 수납본체 51a : 수납공간
510 : 출입구 511 : 수납본체의 하면
512 : 수납본체의 후면 513 : 제1이격공간
514 : 수납본체의 상면 515 : 연통공간
516 : 제2이격공간 52 : 돌출부재
521 : 입구부재 522 : 돌출본체
53 : 제한부재 54 : 댐퍼부재
61 : 회수롤러 62 : 가이드롤러
63 : 표시부재 71 : 절단롤러
72 : 절단부재 100 : 프레임
200 : 동박 210 : 절단동박
220 : 권취동박 300 : 코어받침대

Claims (10)

  1. 동박(200)을 전착(電着)시키는 전착부(2);
    코어(32)(Core)에 동박(200)을 권취하는 권취부(3);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3)로 동박(200)을 운반하는 운반부(4); 및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5)는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51a)이 마련된 수납본체(51), 및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下面)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본체(51)의 하면(5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어받침대(3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51)에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통과하기 위한 출입구(510)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재(52)들은 각각 상기 출입구(510)를 향하도록 배치된 입구부재(521)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부재(521)가 상기 출입구(5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높이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는 상기 코어받침대(300)가 상기 수납공간(51a)으로 반입되는 반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53)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돌출부재(52)들에 대해 상기 반입방향 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는 상기 제한부재(53)에 결합된 댐퍼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반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반출방향으로 상기 제한부재(53)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54)는 상기 제한부재(53)에 비해 신축성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52)들은 상기 반입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에 비해 상기 반입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53)는 상기 돌출부재(52)들로부터 상기 반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납본체(5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는 상기 권취부(3)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3)에 권취되기 이전에 동박(200)으로부터 절단된 절단동박(200)을 권취하는 회수부(6)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수납부(5)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10. 동박(200)을 전착(電着)시키는 전착부(2);
    코어(32)(Core)에 동박(200)을 권취하는 권취부(3);
    상기 전착부(2)에서 상기 권취부(3)로 동박(200)을 운반하는 운반부(4);
    코어받침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 및
    상기 권취부(3)에 권취되기 이전에 동박(200)으로부터 절단된 절단동박(200)을 권취하는 회수부(6)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6)는 상기 수납부(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5)는 상기 회수부(6)의 하측에서 상기 회수부(6)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0200004937U 2020-12-30 2020-12-30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200017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37U KR20220001701U (ko) 2020-12-30 2020-12-30 전해동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37U KR20220001701U (ko) 2020-12-30 2020-12-30 전해동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01U true KR20220001701U (ko) 2022-07-07

Family

ID=8239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37U KR20220001701U (ko) 2020-12-30 2020-12-30 전해동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7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2973A (zh) * 2023-04-21 2023-05-26 圣达电气有限公司 一种电解铜箔涂覆装置及其方法
KR102641961B1 (ko) * 2023-09-18 2024-02-28 (주)아이케이텍 이차전지용 동박 연속도금라인의 통전롤러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2973A (zh) * 2023-04-21 2023-05-26 圣达电气有限公司 一种电解铜箔涂覆装置及其方法
CN116162973B (zh) * 2023-04-21 2023-08-15 圣达电气有限公司 一种电解铜箔涂覆装置及其方法
KR102641961B1 (ko) * 2023-09-18 2024-02-28 (주)아이케이텍 이차전지용 동박 연속도금라인의 통전롤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701U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US11177511B2 (en) System for processing battery plates and arrangement thereof in the provided battery housing
KR20010107985A (ko) 인라인 도금 장치
KR101630979B1 (ko) 금속박판 제조장치
KR101074314B1 (ko) 적어도 표면에서는 전도성을 띠는 작업물을 전해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KR200495516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CN112011808A (zh) 电解槽的出装集成系统和电解槽的出装控制方法
US5762767A (en) Automatic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pparatus of cathode and method thereof
KR200495515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326503B1 (ko) 권취형 소재롤의 소재 박리장치
KR200496426Y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565937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CN210711774U (zh) 电解槽的出装集成系统
KR102528177B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JP6713521B2 (ja) 電解用カソードの供給方法
KR102595709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102598008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200494609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0496463Y1 (ko) 전해동박 지지장치
TWI838203B (zh) 銅箔製造設備及正電極板
KR102629488B1 (ko) 도금장치
KR20220002657U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10056550A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WO2003031693A1 (fr) Systeme et procede d'electroformage
CN1266317C (zh) 金属表面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