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62B1 -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62B1
KR102519062B1 KR1020210106314A KR20210106314A KR102519062B1 KR 102519062 B1 KR102519062 B1 KR 102519062B1 KR 1020210106314 A KR1020210106314 A KR 1020210106314A KR 20210106314 A KR20210106314 A KR 20210106314A KR 102519062 B1 KR102519062 B1 KR 10251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anode frame
frame unit
copper foi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209A (ko
Inventor
최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원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3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불용성 금속전극이 설치되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되는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Assembly structure of an anode electrode for manufacture of electrolytic copper foil}
본 발명은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동박의 규격 변경시에도 애노드전극의 전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구성만을 교체하여 전해동박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이 포함된 도금액 속에서 도금 대상을 음극으로 하고 바탕이 되는 금속 또는 불용성 금속의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도금하고 싶은 금속의 이온을 도금대상의 표면에 환원 석출시켜 도금하는 도금법이며, 대표적으로 전기도금을 통해 얻는 동박은 매우 얇은 두께의 동재 박판으로 제조되어 배터리,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기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됨으로 동박의 품질향상, 대량생산을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동 도금을 위해 전착법이 가능한 전기 도금장치를 이용하는데, 동박을 제조하는 도금장치는 통상 황산 도금조에 연속 회전하는 드럼이 결합되고, 상기 황산 도금조에는 양극을 형성하는 애노드가 드럼의 저부에 임의 간격으로 감싸며 마련되는 상태에서 상기 애노드와 드럼 사이로 전해액이 채워지고, 상기 애노드는 불용성 양극을 형성하고 드럼은 음극으로서 전기 인가에 따라 전기도금이 시작되면서 드럼의 표면에 동박이 전착 형성되도록 한다.
전해에 의한 동박 제조장치는 전류가 전해조 내에 함유된 동 전해액에 그 하부가 침지된 음극으로서의 대형 음극 롤러와, 반대 전극으로서의 불용성 양극 사 이를 흐르는 동안, 음극 롤러의 표면상에 연속적으로 동(銅)을 도금하기 위하여 양극의 전해액 공급 슬릿을 통 하여 전해액을 공급하고 석출된 금속동은 음극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박판의 제조장치는 전해액(2)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전해조(1)와, 상기 전해조(1)의 전해액(2)에 그 일부가 잠긴 채로 회전하는 음극드럼(4)과, 상기 음극드럼(4)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애노드전극(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해액(2)은 황산, 구리 이온 및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황산동, 염산철, 염산니켈 등의 용액으로서 강산성의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전해액(2)은 음극드럼(4) 부근에서 용해금속 이온의 결핍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조(1)내에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공급 순환된다. 또한, 상기 음극드럼(4)의 표면재질은 전해액(2)에 대해 내산성을 유지하고, 금속박판(5)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티타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음전위로 대전된 음극드럼(4)과 양전위로 대전된 애노드전극(3)사이에 전해액(2)을 매질로 하여 높은 밀도의 전류를 가하게 되면, 전해액(2)에 포함된 양이온 용해상태의 금속이 음극드럼에 융착하게 되고, 따라서 고체로 응고 및 석출된다.
상기 석출된 용해금속은 회전하는 음극드럼(4)의 표면을 따라 금속박판 형태의 전해동박(5)으로 제박되고, 상기 제박된 전해동박(5)은 가이드로울러(6)들의 안내를 받아 보빈(7)에 감기게 된다.
한편, 상기 음극드럼에 대응되어 전해액에 침지되는 애노드전극의 일예가 일본공개특허 1993-20249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3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애노드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애노드전극(3)은 금속기체(32)의 일면 즉, 음극드럼과 마주하는 면에 박판상의 불용성 금속전극(33)이 나사(34)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금속전극(33)은 규격화된 크기로 분할되어 각각이 금속기체(32)에 연속적으로 나사(34)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전해동박을 생산하는 제조장치는 음극드럼의 폭에 맞는 애노드전극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전해동박의 규격변화가 있는 경우, 음극드럼과 양극 전극이 변경된 사이즈에 맞춰서 함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애노드전극의 경우에는 전해조 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전체 설비를 교체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있고,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해동박의 규격별로 애노드전극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재고 관리에 따른 부담과 함께 비용부담을 갖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4554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해동박의 규격 변경시에도 애노드전극의 전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구성만을 교체하여 전해동박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불용성 금속전극이 설치되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되는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는, 음극드럼과 마주하는 제1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1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1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단부를 제1곡면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곡면부 내측의 꺽여진 모서리를 모따기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후면측과 일정 폭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2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2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2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수평단부에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걸림턱 후면과 측면에 "ㄴ"형태로 맞닿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 전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에서 "ㄴ"형태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는 다단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되, 음극드럼과 마주하는 제3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3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3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수평단부를 모따기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해동박의 규격 변경시에도 애노드전극의 전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구성만을 교체하여 전해동박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라인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애노드전극을 규격별로 갖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고관리가 편리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애노드전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불용성 금속전극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설치예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불용성 금속전극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100)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 및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 전면에는 박판상의 불용성 금속전극(1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불용성 금속전극은 나사 등의 체결수단(SC)을 이용해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 표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홀(H)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5는 불용성 금속전극 및 나사, 나사홀에 관한 도시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는 음극드럼(도1 참조)과 마주하는 제1곡면부(111)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100)는 좌우반체 형태로 전해조 내에 설치되어 음극드럼의 하부면과 대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는 음극드럼의 하면 1/4구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는 제1곡면부(111)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1수직단부(112)를 형성하고,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1수평단부(11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수평단부(113)를 제1곡면부(111)의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걸림턱(11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4)은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의 결합시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의 단부가 걸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곡면부(111) 내측의 꺽여진 모서리를 제1모따기면(115)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모따기면(115)은 도 8,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노드전극의 외면측 직교방향에서 유입된 전해액이 음극드럼과의 이격공간으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모따기면(115)과 유사한 작용과 효과를 갖는 라운드면의 형태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양측 단부에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가 결합된다.
이하,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후면측과 일정 폭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2곡면부(12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는 제2곡면부(121)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2수직단부(122)를 형성하고,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2수평단부(12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수평단부(123)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걸림턱(114) 후면과 측면에 "ㄴ"형태로 맞닿는 걸림홈(124)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14) 전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25)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연장부(125)의 끝에서 "ㄴ"형태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126)를 형성하는 다단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 전면에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 전면에는 박판상의 불용성 금속전극(1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는 음극드럼(도1 참조)과 마주하는 제3곡면부(131)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100)는 좌우반체 형태로 전해조 내에 설치되어 음극드럼의 하부면과 대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는 음극드럼의 하면 1/4구간을 확장하여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는 제3곡면부(131)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3수직단부(132)를 형성하고,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3수평단부(13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수평단부(133)를 제3모따기면(135)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3모따기면(135)은 도 8,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노드전극의 외면측 직교방향에서 유입된 전해액이 음극드럼과의 이격공간으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3모따기면(135)과 유사한 작용과 효과를 갖는 라운드면의 형태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의 폭은 제2애노드 프레임부(120)의 수평연장부(125) 폭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측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불용성 금속전극의 면적을 확대하거나 줄이는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동박의 규격 변경시에도 애노드전극의 전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구성 즉, 규격에 맞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전해동박 제조공정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생산라인의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하고, 애노드전극 전체를 규격별로 갖추지 않는 대신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 만을 규격별로 갖추기 때문에 제고관리가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3애노드 프레임부(130)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와 동일한 재질과 곡면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의 제1수직단부(112)에는 고정브라켓(14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일측이 제1애노드 프레임부(110) 측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부(141)를 형성하고, 타측이 전해조(도1참조) 측에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142)를 형성한다.
이때, 전해조 측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142)는 결합부 사이 사이를 이격시켜 슬릿홈(143)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홈(143)은 음극 드럼의 회전에 의해 전해조 위쪽으로 퍼올려져 이동한 전해액이 고정브라켓 위에 고여있지 않고 다시 전해조 아래로 낙하하여 포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의 설치예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 조립체(100)를 좌우반체 형태로 조립한 예시도로서, 제2애노드 프레임부의 간격유지부(126)이 상호 맞닿아 슬릿홀(SH)을 마련하게 된다.
이때의 슬릿홀은 전해조 내의 전해액이 음극 드럼과 애노드전극 사이로 신속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애노드전극 조립체 110: 제1애노드 프레임부
111: 제1곡면부 112: 제1수직단부
113: 제1수평단부 114: 걸림턱
115: 제1모따기면 120: 제2애노드 프레임부
121: 제2곡면부 122: 제2수직단부
123: 제2수평단부 124: 걸림홈
125: 수평연장부 126: 간격유지부
130: 제3애노드 프레임부 131: 제3곡면부
132: 제3수직단부 133: 제3수평단부
135: 제3모따기면 140: 고정브라켓
141: 제1결합부 142: 제2결합부
143: 슬릿홈 150: 불용성 금속전극
SC: 체결수단 SH: 슬릿홀
H: 체결홀

Claims (5)

  1. 전면에 불용성 금속전극이 설치되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되는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는 제3애노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애노드 프레임부는, 음극드럼과 마주하는 제1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1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1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단부를 제1곡면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걸림턱을 형성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부 내측의 꺽여진 모서리를 모따기면으로 형성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애노드 프레임부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후면측과 일정 폭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2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2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2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수평단부에는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걸림턱 후면과 측면에 "ㄴ"형태로 맞닿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 전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에서 "ㄴ"형태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는 다단구조를 제공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애노드 프레임부는 제2애노드 프레임부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애노드 프레임부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불용성 금속전극 설치면적을 제공하되, 음극드럼과 마주하는 제3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곡면부의 상측단부에 전해조 측과 결합되는 제3수직단부를 형성하며, 하측단부에는 좌우반체 구조의 대향 지점을 이루는 제3수평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수평단부를 모따기면으로 형성하는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KR1020210106314A 2021-04-07 2021-08-11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KR102519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981 2021-04-07
KR20210044981 202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09A KR20220139209A (ko) 2022-10-14
KR102519062B1 true KR102519062B1 (ko) 2023-04-10

Family

ID=8359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14A KR102519062B1 (ko) 2021-04-07 2021-08-11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0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89B1 (ko) 2017-02-21 2018-08-06 (주)진일테크 도금용 래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3266B2 (ja) * 1992-01-28 1999-10-18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不溶性電極構造体
KR102124406B1 (ko) * 2018-03-28 2020-06-18 주식회사 익스톨 수평 도금 장치 및 방법
KR102254554B1 (ko) 2020-12-30 2021-05-21 (주)아이케이텍 동박 제조용 전기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89B1 (ko) 2017-02-21 2018-08-06 (주)진일테크 도금용 래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09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56140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AU648599B2 (en) Apparatus for electrodepositing metal
CN101479409B (zh) 金属线材电镀用不溶性阳极和采用它的金属线材电镀方法
KR102519062B1 (ko) 전해동박 제조용 애노드전극 조립체
JP5109821B2 (ja) 電解めっき装置及び電解めっき方法
CN112064066A (zh) 金属箔制造装置
CN107090589B (zh) Pcb电镀装置及电镀厚度控制方法
KR100686778B1 (ko) 금속 전해박 제조장치
CN102534733A (zh) 电镀装置以及电镀方法
TWI785154B (zh) 金屬箔製造裝置及電極板安裝體
JPS63274794A (ja) 誘電体コアの電解メツキ方法
KR20210035299A (ko) 도금 장치
JP6646331B2 (ja) 部分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5440740U (zh) 不溶性阳极及脉冲电镀设备
US6361673B1 (en) Electroforming cell
CN110528054B (zh) 一种pcb板不停槽电沉积镍的装置和方法
JP2022536258A (ja) 電気化学的プロセス用の電極アセンブリ
KR100847047B1 (ko) 열선 제조방법
CN215925131U (zh) 用于镀膜机的钛蓝、钛蓝组件及镀膜机
JP4204125B2 (ja) 電気メッキ用陽極装置
JP6839992B2 (ja) 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1170929U (zh) 一种电镀加工用的遮蔽装置
KR100727270B1 (ko) 인쇄 회로 기판 제작을 위한 도금 전극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도금 장치
KR20100131279A (ko) 저전류부 도금두께 균일화를 위한 랙
CN110777423B (zh) 退锡液以及回收锡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