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51B1 -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51B1
KR102593051B1 KR1020230084284A KR20230084284A KR102593051B1 KR 102593051 B1 KR102593051 B1 KR 102593051B1 KR 1020230084284 A KR1020230084284 A KR 1020230084284A KR 20230084284 A KR20230084284 A KR 20230084284A KR 102593051 B1 KR102593051 B1 KR 10259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forging
groove
form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색용
Original Assignee
(주)보원화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원화스너 filed Critical (주)보원화스너
Priority to KR102023008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6Making machine elements elements not mentioned in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봉재를 절단하여 원기둥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와, 상기 원기둥 소재를 상기 제1가공툴에서 단조 처리하여 마름모 형상의 제1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1처리 공정과, 상기 제1성형 소재를 상기 제1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2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1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확장 및 압축하면서 일면에 제1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2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2처리 공정과, 제2성형 소재를 상기 제2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3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2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2성형 소재의 타면에 상기 제1단조홈과 대응하는 제2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3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3처리 공정과, 상기 제3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1단조홈 또는 상기 제2단조홈에 관통홀을 성형하기 위한 홀성형 자리홈이 형성되도록 제4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4처리 공정과, 상기 제4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래치부의 성형을 위한 제거단부가 형성되도록 제5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5처리 공정과, 상기 제거단부의 제거를 통해 상기 래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홀성형 자리홈의 제거를 통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스토퍼를 성형하는 제6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STOPPER MANUFACTURING METHOD FOR PRETENSIONER OF VEHICLE SEAT BEL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를 주조와 절삭 공정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조가공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구비하며, 이 안전벨트가 인출속도에 따라 그 인출이 제한되면서 착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안전벨트의 인출속도에 따라 인출을 제한하기 위하여 안전벨트가 리트랙터에 권취된다.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리트랙터는 웨빙의 인출속도를 감지하여 록킹되도록 하는 웨빙감지방식과 차체가 기울기를 가지게 되면 불관성력에 의해 포울이 작동하여 록킹되도록 하는 비클감지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들은 대개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급정지나 급가속 또는 충돌과 비탈길 운행 및 추락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각기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연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예민한 반응 및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신속하게 벨트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안전벨트의 리트랙터에는 벨트를 되감아주는 프리텐셔너가 설치된다. 프리텐셔너(PRETENSIONER)는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안전벨트를 조여주면서 웨빙의 느슨함을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리텐셔너는 리트렉터와 일체화된 방식이거나, 고정앵커나 버클의 앵커 쪽에 설치되어 벨트 또는 버클을 당겨주는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프리텐셔너로 스틸볼 타입의 프리텐셔너가 있다. 이러한 프리텐셔너는, 안전벨트를 권취하는 스풀과 스풀에 설치되어 웨빙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 샤프트를 포함하며, 스풀과 토션 샤프트에 스토퍼가 결합된다. 여기서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는 탑승자의 어께 부위 벨트에 설정값 이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안전벨트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프리텐셔너는, 그 부품 중 하나인 스토퍼를 생산할 때 주조, 절삭 및 연마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6844호(등록일:2017.08.03)에는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00-0012617호(공개일:2000.03.06)에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샤프트 프리텐셔너 성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를 주조와 절삭 공정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조가공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원형의 봉재를 절단하여 원기둥 소재를 준비하고, 제1성형툴에 투입하는 소재준비단계와, 상기 제1가공툴에 투입되는 상기 원기둥 소재를 제1가공툴을 이용하여 단조 처리하여 마름모 형상의 제1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1처리 공정과, 상기 제1처리 공정에서 단조 처리되는 상기 제1성형 소재를 상기 제1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2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1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확장 및 압축하면서 일면에 제1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2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2처리 공정과, 상기 제2처리 공정에서 처리되는 상기 제2성형 소재를 상기 제2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3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2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2성형 소재의 타면에 상기 제1단조홈과 대응하는 제2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3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3처리 공정과, 상기 제3성형 소재를 상기 제3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4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3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1단조홈 또는 상기 제2단조홈에 관통홀을 성형하기 위한 홀성형 자리홈이 형성되도록 제4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4처리 공정과, 상기 제4성형 소재를 상기 제4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5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4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래치부의 성형을 위한 제거단부가 형성되도록 제5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5처리 공정과, 상기 제5성형 소재를 상기 제5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6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거단부의 제거를 통해 상기 래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홀성형 자리홈의 제거를 통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스토퍼를 성형하는 제6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처리 공정은, 상기 제1성형 소재를 투입할 때 상하를 반전시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처리 공정은, 상기 제2성형 소재를 투입할 때 상하를 반전시켜 투입하고, 상기 래치부의 성형을 위한 래치성형 단턱부를 하면에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3처리 공정과 제4처리 공정은, 상기 제1단조홈을 순차적으로 깊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처리 공정은, 상기 래치부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를 성형하면서 상기 제1단조홈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처리 공정은, 상기 제2단조홈을 가공하여 상기 홀성형 자리홈을 성형할 때 상기 제2단조홈의 중앙부를 융기시켜 융기돌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5처리 공정은, 상기 제거단부를 상기 제6처리 공정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거단부의 높이를 상기 래치부의 높이에 대하여 1/3 이하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를 주조와 절삭 등의 공정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조가공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조 공정을 통해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조를 통해 제품의 물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따른 성형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에 따른 성형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리텐셔너용 스토퍼(100)는, 스풀(도시생략)과 토션 샤프트(도시생략)에 결합되어 안전벨트의 어께 부위에 설정값 이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스풀의 회전을 구속시킨다. 즉 스토퍼(100)는 토션 샤프트에 결합되어 스풀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100)는 중앙부에 결합을 위한 관통홀(110)이 형성되고, 외면에 래치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래치부(120)는 스토퍼(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2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고정을 위한 걸림단부(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100)는 단조 방식을 통해 절삭과 연마 등의 가공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크게 소재준비단계(S10)와, 제1처리 공정(S20)과, 제2처리 공정(S30)과, 제3처리 공정(S40)과, 제4처리 공정(S50)과, 제5처리 공정(S60)과 제6처리 공정(S70)을 포함하며, 제1처리 공정(S20) 내지 제6처리 공정(S70)이 단조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재준비단계(S10)는 원형의 봉재(도시생략)를 특정 길이로 절단하여 원기둥 소재(10)를 생산한다. 이때 원기둥 소재(10)의 직경과 길이는 최종 제품인 스토퍼(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소재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되는 원기둥 소재(10)는 제1가공툴(2)에 투입되어 제1처리 공정(S20)이 진행된다.
제1처리 공정(S20)은 원기둥 소재(10)를 제1가공툴(2)에 투입하고, 제1가공툴(2)을 이용하여 단조 처리하여 마름모 형상의 제1성형 소재(20)를 성형한다. 이때, 제1가공툴(2)은 단조기계일 수 있다.
제1처리 공정(S20)에서 성형되는 제1성형 소재(20)는 상면에 마름모 형상의 평탄면(21)을 형성하고, 하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또한, 제1성형 소재(20)는 하면 중앙부에 원형의 단조 자리면(23)이 형성되며, 단조 자리면(23)의 성형을 통해 제2처리 공정(S30)에서 단조 고정을 더욱 안정되게 진행할 수 있다.
제2처리 공정(S30)은 제1가공툴(2)에서 단조 처리된 제1성형 소재(20)를 제2가공툴(3)에 투입하여 제1성형 소재(20)를 단조 처리하여 확장 및 압축하여 제2성형 소재(30)를 성형한다. 이때 제2처리 공정(S30)에서의 단조처리는 제1성형 소재(20)의 단조 자리면(23)을 펀치로 타격하여 단조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제2성형 소재(30)를 불량을 줄이면서 더욱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다.
특히, 제2처리 공정(S30)은 제1성형 소재(20)를 상하 반전시켜 투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성형 소재(20)의 평탄면(21)이 제2가공툴(3)의 내측을 향하고, 단조 자리면(23)이 제2가공툴(3)의 외측을 향하도록 제1성형 소재(20)를 제2가공툴(3)에 투입한다.
또한, 제2처리 공정(S30)에서는 제2성형 소재(30)에 제1단조홈(31)이 형성되도록 펀치를 이용하여 제1성형 소재(20)를 단조 자리면(23)을 중심으로 타격하여 제1단조홈(31)을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형 소재(20)의 단조 자리면(23)을 이용하여 제2성형 소재(30)의 일면에 제1단조홈(31)을 성형한다. 이때, 제2성형 소재(30)의 타면 중앙부에 홈성형 자리면(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성형 소재(30)의 홈성형 자리면(33)은 제1성형 소재(20)의 단조 자리면(2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모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처리 공정(S30)에서 성형되는 제2성형 소재(30)는 제2가공툴(3)에서 분리되어 제3처리 공정(S40)이 이루어진다.
제3처리 공정(S40)은 제2가공툴(3)에서 분리되는 제2성형 소재(30)를 제3가공툴(4)에 투입할 때 상하를 반전시켜 투입한 후, 펀치를 이용한 단조 공정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제3처리 공정(S40)에서는 제2성형 소재(30)를 단조 처리하여 제1단조홈(31)과 대응하는 제2단조홈(41)을 형성하여 제3성형 소재(40)를 성형한다. 여기서, 제3성형 소재(40)의 일면과 타면에 제1단조홈(31)과 제2단조홈(41)을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은 스토퍼(100)의 관통홀(110)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3처리 공정에서 성형되는 제3성형 소재(40)는 제1단조홈(31)의 깊이가 제2성형 소재(30)의 제1단조홈(31)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또한, 제3성형 소재(40)는 제1단조홈(31)이 형성되는 하면에 래치부(120)의 성형을 위한 래치성형 단턱부(43)가 성형된다. 이때, 제3성형 소재(40)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래치성형 단턱부(43)의 대응하는 양단부에 래치부(1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처리 공정(S40)에서는 제3성형 소재(40)에 래치성형 단턱부(43)를 형성함으로써, 래치성형 단턱부(43)의 외측으로 래치부(120) 성형을 위한 래치성형 돌출부(45)의 부위를 명확하게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제1처리 공정(S20)에서 성형되는 제1성형 소재(20)를 제2가공툴(3)에 투입할 때 제1성형 소재(20)의 상면과 하면을 반대로 회전시켜 투입하고, 제2처리 공정(S30)에서 성형되는 제2성형 소재(30)를 제3가공툴(4)에 투입할 때 제2성형 소재(30)의 상면과 하면을 반대로 회전시켜 투입한다. 그리고 제4처리 공정(S50)과 제5처리 공정(S60)과 제6처리 공정(S70)에서는 성형하는 소재의 상면과 하면을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하여 처리한다.
이는, 스토퍼(100)의 처리 공정을 보다 최소한의 공정으로 정확하게 성형함은 물론, 각 처리 공정시에 불량률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3처리 공정(S40)에서 단조 성형이 완료되는 제3성형 소재(40)는 제3가공툴(4)에서 분리되어 제4가공툴(5)로 투입되어 제4처리 공정(S50)이 진행된다.
제4처리 공정(S50)은 제3성형 소재(40)를 제3가공툴(4)에서 분리하여 제1단조홈(31)이 제4가공툴(5)의 내부를 향하도록 제4가공툴(5)에 투입하고, 펀치를 이용하여 제3성형 소재(40)를 단조 처리하여 제1단조홈(31)의 깊이를 더 깊게 성형하면서 제2단조홈(41)에 관통홀(110)을 성형하기 위한 홀성형 자리홈(51)이 형성되는 제4성형 소재(50)를 성형한다.
또한, 제4처리 공정(S50)은 래치부(120)의 걸림단부(130) 성형을 위하여 래치성형 돌출부(45)에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를 성형하면서 관통홀(110)의 성형을 위한 홀성형 자리홈(51)을 제2단조홈(41)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이때 제4성형 소재(50)는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를 성형함에 따라 래치성형 돌출부(45)의 넓이가 넓어지면서 그 형상이 더욱 명확하게 형성된다.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는 래치성형 돌출부(45)의 하면에 단차지게 성형된다.
더하여 제4처리 공정(S50)에서는 제2단조홈(41)을 이용하여 홀성형 자리홈(51)을 형성하므로, 제3성형 소재(40)의 크기를 크게 변형하지 않으면서 제4성형 소재(5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4처리 공정(S50)에서는 제2단조홈(41)을 가공하여 홀성형 자리홈(51)을 성형할 때 제2단조홈(41)의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융기돌부(55)를 성형하여, 융기돌부(55)를 중심으로 홀성형 자리홈(51)이 링 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융기돌부(55)가 형성되도록 홀성형 자리홈(51)을 성형하게 되면 제2단조홈(41)의 내경 변화를 최소화면서 홀성형 자리홈(51)의 깊이를 더욱 깊게 성형할 수 있어 관통홀(110) 성형을 위하여 제6처리 공정(S70)에서 융기돌부(55)와 홀성형 자리홈(51)을 제거할 때 용이하고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4처리 공정(S50)에서 성형되는 제4성형 소재(50)는 래치성형 돌출부(45)에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가 형성되면서 래치성형 돌출부(45)의 형태가 확장되면서 명확하게 형성되며, 제1단조홈(31)의 깊이가 더 깊어지며, 제2단조홈(41)에 융기돌부(55)와 홀성형 자리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처리 공정(S50)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4성형 소재(50)는 제5가공툴(6)로 이송되어 제5처리 공정(S60)을 진행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5처리 공정(S60)은 제4성형 소재(50)를 제4가공툴(5)에서 분리하여 상면과 하면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4성형 소재(50)를 제5가공툴(6)에 투입하고, 제4성형 소재(50)를 단조 처리하여 래치부(120)의 성형을 위한 제거단부(57)가 형성되도록 제5성형 소재(60)를 성형한다.
이러한 제5처리 공정(S60)에서는 제5가공툴(6)에 제4성형 소재(50)를 투입할 때 제4성형 소재(50)의 상단부가 제5가공툴(6)의 성형부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이는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를 가압하여 제거단부(57)를 성형할 때 제거단부(57)를 더욱 얇게 확장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얇게 확장 형성되는 제거단부(57)에 의해 제5가공툴(6)과 이에 대응하는 펀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5처리 공정(S60)에서는 제5성형 소재(60)의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53)를 가압함에 따라 성형되는 제거단부(57)의 두께를 래치성형 돌출부(45)의 두께보다 1/3 이하로 성형한다. 이를 통해 제6처리 공정(S70)에서 제거단부(57)의 제거를 정확하고 불량 없이 진행하기 위함이다.
제5처리 공정(S60)을 통해 성형되는 제5성형 소재(60)는 제6가공툴(7)로 이송되어 제6처리 공정(S70)이 진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6처리 공정(S70)은 제5성형 소재(60)를 제5가공툴(6)에서 분리하여 제6가공툴(7)에 투입하고, 펀치를 이용한 단조 공정을 진행하여 제5성형 소재(60)의 제거단부(57)를 제거하면서 중앙부의 홀성형 자리홈(51)과 융기돌부(55)를 제거하여 완전한 스토퍼(100)를 성형한다.
또한, 제6처리 공정(S70)에서는 제5성형 소재(60)의 제거단부(57)를 제6가공툴(7)의 하측으로 중앙부의 홀성형 자리홈(51)과 융기돌부(55)를 제6가공툴(7)의 상측으로 제거한다. 이는 제6가공툴(7)에서 성형되는 제5성형 소재(60)를 제6가공툴(7)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성형하는데, 이는 제5성형 소재(60)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할 때 스토퍼(100)의 성형 불량을 줄이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프리텐셔너의 스토퍼(100)를 제작할 때 주조와 절삭 등과 같은 공정으로 사용하지 않고, 단조가공만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스토퍼(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토퍼(100)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은 스토퍼(100)를 단조 공정을 통해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조를 통해 스토퍼(10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고, 별도의 표면 연마 공정 없이 표면 허용오차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제1가공툴 2 : 제2가공툴
3 : 제3가공툴 4 : 제4가공툴
5 : 제5가공툴 6 : 제6가공툴
10 : 원기둥 소재 20 : 제1성형 소재
21 : 평탄면 23 : 단조 자리면
30 : 제2성형 소재 31 : 제1단조홈
33 : 홈성형 자리면 40 : 제3성형 소재
41 : 제2단조홈 43 : 래치성형 단턱부
45 : 래치성형 돌출부 50 : 제4성형 소재
51 : 홀성형 자리홈 53 : 래치 걸리면 성형단부
55 : 융기돌부 57 : 제거단부
60 : 제5성형 소재 100 : 스토퍼
110 : 관통홀 120 : 래치부
130 : 걸림단부

Claims (5)

  1. 원형의 봉재를 절단하여 원기둥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 상기 원기둥 소재를 제1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원기둥 소재를 상기 제1가공툴에서 단조 처리하여 마름모 형상의 제1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1처리 공정; 상기 제1처리 공정에서 단조 처리되는 상기 제1성형 소재를 상기 제1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2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1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확장 및 압축하면서 일면에 제1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2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2처리 공정; 상기 제2처리 공정에서 처리되는 상기 제2성형 소재를 상기 제2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3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2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2성형 소재의 타면에 상기 제1단조홈과 대응하는 제2단조홈이 형성되도록 제3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3처리 공정; 상기 제3성형 소재를 상기 제3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4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3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상기 제1단조홈 또는 상기 제2단조홈에 관통홀을 성형하기 위한 홀성형 자리홈이 형성되도록 제4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4처리 공정; 상기 제4성형 소재를 상기 제4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5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4성형 소재를 단조 처리하여 래치부의 성형을 위한 제거단부가 형성되도록 제5성형 소재를 성형하는 제5처리 공정; 및 상기 제5성형 소재를 상기 제5가공툴에서 분리하여 제6가공툴에 투입하고, 상기 제거단부의 제거를 통해 상기 래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홀성형 자리홈의 제거를 통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스토퍼를 성형하는 제6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 공정은, 상기 제1성형 소재를 투입할 때 상하를 반전시켜 투입하며,
    상기 제3처리 공정은, 상기 제2성형 소재를 투입할 때 상하를 반전시켜 투입하고, 상기 래치부의 성형을 위한 래치성형 단턱부를 하면에 성형하고,
    상기 제3처리 공정과 상기 제4처리 공정은, 상기 제1단조홈의 깊이를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하며,
    상기 제4처리 공정에서는, 상기 래치부의 성형을 위하여 래치 걸림면 성형단부를 성형하면서 상기 제1단조홈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고,
    상기 제5처리 공정은, 상기 제거단부를 상기 제6처리 공정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거단부의 두께를 상기 래치부의 두께에 대하여 1/3 이하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처리 공정은, 상기 제2단조홈을 가공하여 상기 홀성형 자리홈을 성형할 때 상기 제2단조홈의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융기돌부를 성형하고, 상기 홀성형 자리홈가 상기 융기돌부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30084284A 2023-06-29 2023-06-29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KR10259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284A KR102593051B1 (ko) 2023-06-29 2023-06-29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284A KR102593051B1 (ko) 2023-06-29 2023-06-29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51B1 true KR102593051B1 (ko) 2023-10-24

Family

ID=8851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284A KR102593051B1 (ko) 2023-06-29 2023-06-29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889B1 (ko) * 2009-12-22 2010-06-04 (주)보원화스너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KR20180081189A (ko) * 2017-01-05 2018-07-16 주식회사 세림티앤디 고정밀 냉간단조를 이용한 무가공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휠 기어 제조 장치
JP2021195032A (ja) * 2020-06-16 2021-12-2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889B1 (ko) * 2009-12-22 2010-06-04 (주)보원화스너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KR20180081189A (ko) * 2017-01-05 2018-07-16 주식회사 세림티앤디 고정밀 냉간단조를 이용한 무가공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휠 기어 제조 장치
JP2021195032A (ja) * 2020-06-16 2021-12-2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0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JP2008522902A (ja) エアバッグカバー
JP3445241B2 (ja) シートベルト吊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01413B1 (ko) 차량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너용 피니언 기어 제조방법
KR102601414B1 (ko) 차량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너용 피스톤 제조방법
US20010054327A1 (en) Steering wheel
US660142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gear rack, and a stamp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0612758B1 (ko) 고정밀 평기어의 제조방법
JPH11347683A (ja) 長軸、長軸製造方法及び長軸製造装置
US10926730B2 (en) Passenger side airbag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assenger side airbag for vehicle
US20020180199A1 (en) Breakaway web stop for seat belts
JP3807859B2 (ja) 自動車ホイール用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4291916B2 (ja) 歯付リング及びその凸歯成形方法
KR102428801B1 (ko) 자동차용 필러앵커 및 그 제조방법
JPH0334814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カバ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型
KR200481668Y1 (ko)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JP2008229630A (ja) ボトルの製造方法、ボトル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42809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CN210817235U (zh) 一种汽车安装带绕紧装置用轴芯中间齿形冲压成型模具工装
KR101624669B1 (ko) 볼륨 조절 버튼의 버튼 캡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버튼 캡
US6142004A (en) Load-bearing shaped pa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aped parts
JPH07256377A (ja) 板金製歯形部品の成形方法
CN113997519A (zh) 加工装置和注塑成型方法
CN219214944U (zh) 安全气囊气袋、总成和具有相应安全气囊总成的车辆
JP3781172B2 (ja) 歯車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