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68Y1 -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68Y1
KR200481668Y1 KR2020160002889U KR20160002889U KR200481668Y1 KR 200481668 Y1 KR200481668 Y1 KR 200481668Y1 KR 2020160002889 U KR2020160002889 U KR 2020160002889U KR 20160002889 U KR20160002889 U KR 20160002889U KR 200481668 Y1 KR200481668 Y1 KR 200481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ide mold
injection molding
parting lin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58U (ko
Inventor
엄대호
윤완호
Original Assignee
엄대호
윤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대호, 윤완호 filed Critical 엄대호
Priority to KR2020160002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6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캐비티측 금형과 코아측 금형이 형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파팅라인 상의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파팅라인이 예리한 칼날형상을 이루던 종래의 금형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후, 미세 연마가공된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를 기 제작되어 있는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것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공정 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MOLD DIE FOR INJECTION OF CAR DOOR OUT SIDE HAND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고안은 프라스틱성형을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비티측 금형과 코아측 금형이 형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파팅라인 상의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파팅라인이 예리한 칼날형상을 이루던 종래의 금형구조와는 달리,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이후, 상기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를 기 제작되어 있는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시켜,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 함은 차체에 설비된 원동기로써 바퀴를 굴려, 땅 위를 주행하며, 사람이나 화물 따위를 운반하거나, 각종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를 지칭한다.
상기 자동차에는 가솔린, 디젤의 내연 기관 외에 증기 기관, 전동기, 가스 터빈 등의 원동기를 원동력으로 하는 것 등이 포함되며, 승용 자동차, 승합 자동차, 화물 자동차, 특수 자동차 및 이륜 자동차 따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는 대략적으로 차종에 따라서 2 ~ 3만개 정도의 부품이 결합된다.
그러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의 프라스틱 성형제품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데, 상기와 같은 개선전 성형제품(10)에는 개선전 파팅라인(11)이 성형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선전 파팅라인(11) 상의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개선전 파팅라인(11)이 예리한 칼날형상을 나타내어,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출성형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0180838호 (1998.12.03.)
본 고안은,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은, 캐비티측 금형; 및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성형제품이 사출성형되는 코아측 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사출성형되는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에는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예리한 칼날형상의 성형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아측 금형 일측에는, 제1 인서트부 및 제2 인서트부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제 2 인서트부는,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후 파팅라인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출성형후 파팅라인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제 2 인서트부는, 상기 코아측 금형 일측에 최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출성형후 파팅라인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제 2 인서트부는,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은, 캐비티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파팅라인을 구성할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별도로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최종결합되는 코아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와 상기 캐비티측 금형의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되는 단계;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기 제작되어 있는 상기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은,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확인되는 단계; 최종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는 단계; 및 수정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원위치되어 최종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캐비티측 금형과 코아측 금형이 형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파팅라인 상의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파팅라인이 예리한 칼날형상을 이루던 종래의 금형구조와는 달리,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이후, 상기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를 기 제작되어 있는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시켜,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제품을 나탄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개선전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에 있어서, 공정개선이 이루어지는 부위 및 그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후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이 이루어진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최종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이 이루어진 제1 인서트부/제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최종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후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제품에 있어서, 도금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후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은,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 및 상기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과 형합되어 개선후 성형제품(110)이 사출성형되는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를 포함하되, 상기 사출성형되는 개선후 성형제품(110)의 개선후 파팅라인(111)에는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예리한 칼날형상의 성형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 일측에는,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는, 상기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와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향후 개선후 파팅라인(111)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출성형후 개선후 파팅라인(111)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는, 상기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 일측에 최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사출성형후 개선후 파팅라인(111)을 구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는,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이 이루어진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최종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은, 하부측에 제 1 인서트부(130a)와 제 2 인서트부(130b)이 각각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측 금형인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 및 상기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과 형합되며, 내측의 공간에 사출용 성형재료가 용융되어 채워지는 상부측 금형인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인서트부(130a)와 제 2 인서트부(130b)이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과 형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개선후 성형제품(110)의 개선후 파팅라인(111)에는,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예리한 칼날형상의 성형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기술적 특징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이 이루어진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최종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후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제품에 있어서, 도금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 일측에는 각각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가 인서트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에서 사출성형된 개선후 성형제품(110)의 개선후 파팅라인(111)에는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예리한 칼날형상의 성형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조공정에 따르면,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과 형합되어 개선후 파팅라인(111)을 구성할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가 별도로 제작가공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가공된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를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과 예비결합시킨다.
또한,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와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의 예비결합된 부위를 미세 연마가공하는데, 이를 금형제조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미각기'라고 한다.
끝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연마가공된 제 1 인서트부(130a) 및 제 2 인서트부(130b)를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에 인서트 결합시켜 금형제작을 마무리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은, 캐비티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파팅라인을 구성할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별도로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최종결합되는 코아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와 상기 캐비티측 금형의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되는 단계;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기 제작되어 있는 상기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은,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확인되는 단계; 최종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는 단계; 및 수정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제 2 인서트부가 코아측 금형에 원위치되어 최종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개선전 캐비티측 금형(20)과 개선전 코아측 금형(30)이 형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개선전 파팅라인(11) 상의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개선전 파팅라인(11)이 예리한 칼날형상을 이루던 종래의 금형구조와는 달리,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120) 일측에 제 1 인서트부(130a)/제 2 인서트부(130b)가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된 이후, 상기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130a)/제 2 인서트부(130b)를 기 제작되어 있는 개선후 코아측 금형(140)과 최종결합시켜,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개선후 성형제품(110)의 개선후 파팅라인(111)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공정중에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사출성형시 제작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개선후 성형제품(110)의 개선후 파팅라인(111)의 외관에 어떠한 형상의 예리한 칼날형태의 버어(BURR)가 발생치 않음으로써, 자동차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작동시에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개선전 성형제품 11 : 개선전 파팅라인
20 : 개선전 캐비티측 금형 30 : 개선전 코아측 금형
110 : 개선후 성형제품 111 : 개선후 파팅라인
120 : 개선후 캐비티측 금형 130a : 제1 인서트부
130b : 제2 인서트부 140 : 개선후 코아측 금형

Claims (2)

  1.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의 프라스틱 성형제품의 사출성형시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파팅라인이 예리한 칼날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작업공정뿐만 아니라 실사용시에도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에 있어서,
    내측의 공간에 사출용 성형재료가 용융되어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캐비티측 금형; 및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파팅라인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예비결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 후 상기 파팅라인을 형성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 되고,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 및 상기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어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인서트부 및 제 2 인서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성형제품이 사출성형 되는 코아측 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출성형되는 성형제품의 파팅라인에 단차 또는 미세한 플레시에 의하여 예리한 칼날형상의 성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2. 청구항 1항에 기재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내측의 공간에 사출용 성형재료가 용융되어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캐비티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캐비티측 금형 제작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과 형합되어 파팅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인서트부 및 제 2 인서트부가 별도로 제작가공되는 인서트 제작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가 최종 결합되는 코아측 금형이 제작가공되는 코아측 금형 제작단계;
    상기 캐비티측 금형 일측에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가 예비결합되는 예비결합단계;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와 상기 캐비티측 금형의 예비결합된 부위가 미세 연마가공되는 인서트 가공단계;
    미세 연마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가 기제작되어 있는 상기 코아측 금형과 최종결합되는 인서트 결합단계;
    시험사출하여 사출성형된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 부품의 파팅라인의 단차 및 미세한 플레시가 존재하는지 확인되는 시험사출단계;
    상기 시험사출단계의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최종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가 상기 코아측 금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및 상기 미세한 플레시가 해소되도록 수정가공되는 인서트 수정가공단계; 및
    수정가공된 상기 제 1 인서트부 및 상기 제 2 인서트부가 상기 코아측 금형에 원위치되어 최종결합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의 제작방법.
KR2020160002889U 2016-05-27 2016-05-27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200481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89U KR200481668Y1 (ko) 2016-05-27 2016-05-27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89U KR200481668Y1 (ko) 2016-05-27 2016-05-27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29A Division KR20160065069A (ko) 2016-05-27 2016-05-27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58U KR20160002258U (ko) 2016-06-29
KR200481668Y1 true KR200481668Y1 (ko) 2016-10-28

Family

ID=5634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89U KR200481668Y1 (ko) 2016-05-27 2016-05-27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0365B1 (en) * 2018-01-19 2023-03-08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354A (ja) 2000-04-28 2001-11-06 Mi Morude:Kk 射出成形用金型
JP2004306351A (ja) 2003-04-04 2004-11-04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装置及び成形品
KR101486948B1 (ko) 2014-06-10 2015-01-27 (주)부원테크 버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74B1 (ko) * 1999-07-08 2002-02-16 이종석 사출성형용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354A (ja) 2000-04-28 2001-11-06 Mi Morude:Kk 射出成形用金型
JP2004306351A (ja) 2003-04-04 2004-11-04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装置及び成形品
KR101486948B1 (ko) 2014-06-10 2015-01-27 (주)부원테크 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58U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81665A (ja) 自転車用中空クランクとその製造方法
KR200481668Y1 (ko)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JP3732832B2 (ja) 合成樹脂製中空体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KR20160065069A (ko)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102031596B1 (ko) 단조 부품을 재성형하기 위한 방법
US1119228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component by means of an injection moulding process
KR20160016145A (ko)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CN112757558B (zh) 包含圆环状树脂部的成型品的制造方法
WO2009139307A1 (ja) 枠体付きガラスの射出成形用金型
JP3791787B2 (ja) インサート埋設の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型成形品の製造方法
CN105081715A (zh) 用于在成形工具组件中精加工配合面的方法
JP2016196115A (ja) ハイブリッド成形方法
JPH04246520A (ja) プラスチック製スポイ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5305B1 (ko) 에어백 도어의 힌지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460103Y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외면을 선택 컷팅하는 금형 구조
KR100707738B1 (ko) 자동차 스티어링휠용 허브
JP3937163B2 (ja) 鍛造成形方法および鍛造型
CN216732727U (zh) 成型模具和接头件
KR100845123B1 (ko) 이젝트핀 및 그 제조방법
JPH0597008A (ja) バンパーレインフオースメントの接合構造
WO2014045642A1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689526B1 (ko) 중공형 구조물의 제조방법
JP2570309B2 (ja) ステアリングヨ−クのバリ取り方法
KR100645467B1 (ko) 자동차용 스포일러의 제조방법
JP2001080432A (ja) 車両装着部材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