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948B1 - 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948B1
KR101486948B1 KR20140070094A KR20140070094A KR101486948B1 KR 101486948 B1 KR101486948 B1 KR 101486948B1 KR 20140070094 A KR20140070094 A KR 20140070094A KR 20140070094 A KR20140070094 A KR 20140070094A KR 101486948 B1 KR101486948 B1 KR 10148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fixed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철
Original Assignee
(주)부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원테크 filed Critical (주)부원테크
Priority to KR2014007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알미늄 등 비철금속재를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서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 되는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홀(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블럭(50)의 고정부재(52)가 상기 상판홀(32)에 삽입될 때 다수개의 상판(31)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31)의 상부면에 삽입된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를 수직하강하면서 제거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부(51)와, 중앙에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된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수직 하강하면 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사출물이 지지부(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버 제거장치{BURR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알미늄 등 비철금속재를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서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 되는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 또는 프레스기(이하 '성형프레스장치'라 함)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성형공간을 이용하여 교축(Drawing), 굽힘(Bending), 절단(Cutting) 등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출 성형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마그네슘, 알미늄 등 비철금속을 용해 시키고 이를 다이캐스팅 사출금형에 고압으로 주입시켜서 각종 제품을 성형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성형프레스장치는 규칙적으로 성형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부금형이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상부금형을 하부금형 쪽으로 가압하여 성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금형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금형에 복수개의 밀핀을 구성하게 되고, 동밀핀 지점에는 사출 공정에서 발생 되는 용융재료의 압력에 의해 용융된 소재가 틈입 되어 제조된 사출물에는 버(Burr)가 발생 되고 상기 버(Burr)는 상품의 불량 요인이 되므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사출 제조된 각종 부품 및 제품의 버(Burr)는 제품 제조에 장애 요인이 되므로 끌과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버를 제거하게 되므로 노동력의 소요가 많고, 작업자에 따라 버(Burr)의 제거 상태가 달라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고 버(Burr) 제거에 노동력의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 제조된 원형의 부품 및 제품의 경우 버(Burr)를 제거할 때는 회전될 수 있는 장치에 사출 제조된 원형의 제품을 고정 시킨 뒤, 연마석이나 브러쉬 페이퍼를 이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연마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며, 이로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날카로운 버(Burr)에 의하여 손이 베일수도 있으며, 제거된 버(Burr)가 비산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에 다양한 기능의 버(Burr) 제거장치가 개발되고, 이중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7-0054267호(사출물의 버 제거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998-0043254호(금속제 프레스 절단물의 버 제거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4-0112643호(주조품용 버어제거금형 및 버어제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원 형상의 제품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제품을 온전히 고정시키지 않아 제품이 이탈되거나 이동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버(Burr)의 제거 상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거된 버(Burr)가 비산되어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부당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버(Burr)의 제거시간을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환형(環形)의 사출물이 이탈되거나 이동되지 않고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만 정확하게 제거되어 품질을 획일화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는,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형(環形)의 사출물(P)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홀(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블럭(50)의 고정부재(52)가 상기 상판홀(32)에 삽입될 때 다수개의 상판(31)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31)의 상부면에 삽입된 환형(環形)의 사출물(P)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를 수직하강하면서 제거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부(51)와, 중앙에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된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수직 하강하면 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사출물이 지지부(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도록 프레스부(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는 원형판 형상의 상부면 중앙에 원형의 고정홈(11)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고정홈(11)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가이드홈(21)과 중심부에 하판홀(22)이 형성되는 원형판 형상의 고정하판(20)과 상기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고정상판(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10)는 원형판 형상으로 가이드축(4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면 양측으로 원형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고정하판(2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판(20)의 너비만큼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의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수 있도록 지지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하판(2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1)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판홀(22)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고정상판(30)의 고정돌기(33)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1)은 고정하판(20) 상부면에 형성된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상판(30)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의(31) 폭 만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가이드홈(21)의 단부에는 탄성체(23)가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상판(30)은 상기 고정하판(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상판홀(3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의 폭 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홀(32)은 고정부재(52)가 삽입되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의 둘레만큼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홀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부(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 상부면 양측에 절단블럭(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축(4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중심에 실린더(43)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 실린더(43)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의 하부면에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된 절단부(51)를 형성하고 하부면 중심에 상기 상판홀(32)과 하판홀(22)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에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되는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기 상부플레이트(40)는 사각형상의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 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실린더(43)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블럭(5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환형(環形)의 사출물(P) 외측에 형성된 버(Burr)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되는 절단부(51)가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2)는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판홀(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고정부재(52)가 상판홀(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분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 상기 고정부재(52) 외측방향으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環形)의 사출물(P)을 고정 시 고정상판(30)에 결합되어 위치한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장치(54)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푸쉬장치(54)는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때 상기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봉(54a)사이에 지지봉(54a)을 결합하는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절단블럭(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고, 푸쉬장치(54)가 환형의 사출물(P)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봉(54a)의 신축 작용을 이용하여 지지봉(54a)이 환형의 사출물(P)을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3)는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a)이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이 상기 가이드홀(53a)에 결합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가이드축(4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버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수공구를 이용한 버 제거방법에 비하여 버(Burr) 제거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연삭하지 않고 절단 제거되도록 하여 금속 분말의 비산이 방지되어 작업환경이 향상되며, 사출물이 이동되지 않아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만 정확하게 제거되어 품질의 획일화가 보장되고, 이로 인해 고객으로부터 제품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고정하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고정상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절단블럭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사용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고정하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고정상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구성 중 절단블럭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홀(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블럭(50)의 고정부재(52)가 상기 상판홀(32)에 삽입될 때 다수개의 상판(31)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31)의 상부면에 삽입된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를 수직하강하면서 제거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부(51)와, 중앙에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된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수직 하강하면 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사출물이 지지부(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0)는 원형판 형상의 상부면 중앙에 원형의 고정홈(11)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고정홈(11)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가이드홈(21)과 중심부에 하판홀(22)이 형성되는 원형판 형상의 고정하판(20)과 상기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고정상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가이드축(4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면 양측으로 원형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고정하판(2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판(20)의 너비만큼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의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수 있도록 지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하판(2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하부플레이트(1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1)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판홀(22)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고정돌기(33)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1)은 고정하판(20) 상부면에 형성된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상판(30)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3)의 폭 만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가이드홈(21)의 단부에는 탄성체(23)가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상판(30)은 상기 고정하판(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상판홀(3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의 폭 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상판(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판홀(32)은 고정부재(52)가 삽입되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의 둘레만큼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홀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에 상기 고정상판(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결합되고, 상기 절단블럭(50)의 하부면 내측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의 상판홀(32)과 하판홀(22)에 삽입되면서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을 따라 고정하판(20)의 중심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가이드홈(21) 단부에 탄성체(23)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52)가 하판홀(22)과 상판홀(32)에서부터 이탈되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었던 고정돌기(33)가 탄성체(23)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스부(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 상부면 양측에 절단블럭(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축(4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중심에 실린더(43)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 실린더(43)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의 하부면에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된 절단부(51)를 형성하고 하부면 중심에 상기 상판홀(32)과 하판홀(22)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에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되는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0)는 사각형상의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 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실린더(43)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블럭(5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환형의 사출물(P) 외측에 형성된 버(Burr)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되는 절단부(51)가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또한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 상기 고정부재(52) 외측방향으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의 사출물(P)을 고정 시 고정상판(30)에 결합되어 위치한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장치(54)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2)는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좁아지게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판홀(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고정부재(52)가 상판홀(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분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푸쉬장치(54)는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때 상기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봉(54a)사이에 지지봉(54a)을 결합하는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블럭(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고, 푸쉬장치(54)가 환형의 사출물(P)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봉(54a)의 신축 작용을 이용하여 지지봉(54a)이 환형의 사출물(P)을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53)는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a)이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이 상기 가이드홀(53a)에 결합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가이드축(4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의 사용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홀(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블럭(50)의 고정부재(52)가 상기 상판홀(32)에 삽입될 때 다수개의 상판(31)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31)의 상부면에 삽입된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를 수직하강하면서 제거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부(51)와, 중앙에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된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수직 하강하면 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사출물이 지지부(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0)는 원형판 형상으로 상부면 양측에 원형의 결합홈(12)을 형성하여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상부면 중심부에 고정하판(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판(20)의 너비만큼 고정홈(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11)의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홈(13)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하판(20)은 원형판 형상으로 상부면 중앙에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판홀(22)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고정상판(30)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상판(30)은 상기 고정하판(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상판홀(3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의 폭 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고정상판(30)이 위치하게 되고,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에 고정상판(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삽입되어 가이드홈(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1)의 일측 단부에 탄성체(23)가 구비되어 고정돌기(33)가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것을 막고, 고정부재(52)에 의하여 고정상판(30)이 이동된 후에도 탄성체(23)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구비된 실린더(43)에 절단블럭(50)을 설치하고, 절단블럭(50) 양측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53)의 가이드홀(53a)에 가이드축(41)을 결합하여 상기 절단블럭(50)이 가이드축(4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프레스부(200)를 상기 하부플레이트(10) 상부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가이드축(41)의 하부면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상판(30) 상부면에 환형의 사출물(P)을 결합하고 작동시키면, 상부플레이트(40)에 연결된 절단블럭(50)이 가이드축(41)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단블럭(50)의 중심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의 형성된 상판홀(32)과 하판홀(22)을 지나 하부플레이트(10) 중심에 형성된 지지홈(13)까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에 삽입될 때 고정상판(30)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고정하판(20)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상판(30)이 상판홀(3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상판(30) 상부면에 결합되었던 환형의 사출물(P)이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52) 외측방향으로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푸쉬장치(54)가 환형의 사출물(P)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스프링의 신축 작용을 이용하여 지지봉(54a)이 환형의 사출물(P)을 눌러주며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상판(30)의 고정돌기(33) 가이드홈(21)을 따라 고정상판(30)을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상판(30)에 결합되었던 환형의 사출물(P)을 단단히 고정시킨 뒤 절단블럭(50)에 형성된 절단부(51)에 의하여 환형의 사출물(P) 외측에 형성된 버(Burr)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수공구를 이용한 버 제거방법에 비하여 버(Burr) 제거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연삭하지 않고 절단 제거되도록 하여 금속 불말의 비산이 방지되어 작업환경이 향상되며, 사출물이 이동되지 않아 환형의 사출물의 버(Burr)만 정확하게 제거되어 품질의 획일화가 보장되고, 이로 인해 고객으로부터 제품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7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지지부
10 : 하부플레이트 11 : 고정홈 12 : 결합홈 13 : 지지홈
20 : 고정하판 21 : 가이드홈 22 : 하판홀 23 : 탄성체
30 : 고정상판 31 : 고정돌기 32 : 상판홀
200 : 프레스부
40 : 상부플레이트 41 : 가이드축 42 : 상판 43 : 실린더
50 : 절단블럭 51 : 절단부 52 : 고정부재
53 : 가이드부재 53a : 가이드홀
54 : 푸쉬장치 54a : 지지봉 54b : 스프링

Claims (14)

  1.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때 금형의 밀핀 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형의 사출물(P)의 버(Burr)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버 제거장치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다수개의 상판(31)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홀(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블럭(50)의 고정부재(52)가 상기 상판홀(32)에 삽입될 때 다수개의 상판(31)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31)의 상부면에 삽입된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를 수직하강하면서 제거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부(51)와, 중앙에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된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수직 하강하면 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사출물이 지지부(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의 사출물(P)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도록 프레스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00)는 원형판 형상의 상부면 중앙에 원형의 고정홈(11)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의 고정홈(11)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가이드홈(21)과 중심부에 하판홀(22)이 형성되는 원형판 형상의 고정하판(20)과 상기 고정하판(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판홀(32)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고정상판(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10)는 원형판 형상으로 가이드축(4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면 양측으로 원형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고정하판(2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판(20)의 너비만큼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의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수 있도록 지지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판(2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하부플레이트(1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1)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부면 중앙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판홀(22)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고정상판(30)의 고정돌기(33)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1)은 고정하판(20) 상부면에 형성된 하판홀(2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상판(30)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의(31) 폭 만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가이드홈(21)의 단부에는 탄성체(23)가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판(30)은 상기 고정하판(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결합된 원형의 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상판(31)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고정부재(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상판홀(3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3)가 가이드홈(21)의 폭 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홀(32)은 고정부재(52)가 삽입되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의 둘레만큼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홀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 상부면 양측에 절단블럭(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축(4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중심에 실린더(43)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 실린더(43)에 연결되고 원형판 형상의 하부면에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된 절단부(51)를 형성하고 하부면 중심에 상기 상판홀(32)과 하판홀(22)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에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되는 절단블럭(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상부플레이트(40)는 사각형상의 상판(42)과, 상기 상판(42)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절단블럭(5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봉 형상의 가이드축(41)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실린더(43)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블럭(5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환형의 사출물(P) 외측에 형성된 버(Burr)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단부가 날카롭게 돌출되는 절단부(51)가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52)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부재(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2)는 원뿔기둥의 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좁아지게 형성된 상판홀(32)에 삽입되어 고정상판(30)이 고정하판(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판홀(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고정부재(52)가 상판홀(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분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블럭(50)의 하부면에 상기 고정부재(52) 외측방향으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의 사출물(P)을 고정 시 고정상판(30)에 결합되어 위치한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장치(5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장치(54)는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어 환형의 사출물(P)이 고정될 때 상기 환형의 사출물(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봉(54a)사이에 지지봉(54a)을 결합하는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절단블럭(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재(52)가 고정상판(30)과 고정하판(20)에 삽입되고, 푸쉬장치(54)가 환형의 사출물(P)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봉(54a)의 신축 작용을 이용하여 지지봉(54a)이 환형의 사출물(P)을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53)는 상기 절단블럭(50) 외측면에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a)이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가이드축(41)이 상기 가이드홀(53a)에 결합되어 상기 절단블럭(50)이 가이드축(4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제거장치.
KR20140070094A 2014-06-10 2014-06-10 버 제거장치 KR10148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094A KR101486948B1 (ko) 2014-06-10 2014-06-10 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094A KR101486948B1 (ko) 2014-06-10 2014-06-10 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948B1 true KR101486948B1 (ko) 2015-01-27

Family

ID=5259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0094A KR101486948B1 (ko) 2014-06-10 2014-06-10 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8U (ko) * 2016-05-27 2016-06-29 엄대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CN114523017A (zh) * 2021-12-25 2022-05-24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动力总成盘型冲压件的去毛刺设备
KR102418349B1 (ko) * 2021-08-09 2022-07-06 장원준 버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 제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54B1 (ko) 1998-10-16 2001-11-22 박주환 금속제프레스절단물의버제거방법및장치
KR20050018781A (ko) * 2004-12-27 2005-02-28 한라정공(주) 주조품용 버어제거금형 및 버어제거방법
KR100848780B1 (ko) 2007-02-09 2008-07-28 안정호 사출물의 버 제거장치
KR100877584B1 (ko) 2007-04-18 2009-01-09 하이퍼테크주식회사 다이캐스트 주조물의 런너 및 밀핀 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54B1 (ko) 1998-10-16 2001-11-22 박주환 금속제프레스절단물의버제거방법및장치
KR20050018781A (ko) * 2004-12-27 2005-02-28 한라정공(주) 주조품용 버어제거금형 및 버어제거방법
KR100848780B1 (ko) 2007-02-09 2008-07-28 안정호 사출물의 버 제거장치
KR100877584B1 (ko) 2007-04-18 2009-01-09 하이퍼테크주식회사 다이캐스트 주조물의 런너 및 밀핀 버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8U (ko) * 2016-05-27 2016-06-29 엄대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200481668Y1 (ko) 2016-05-27 2016-10-28 엄대호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 프라스틱사출 성형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102418349B1 (ko) * 2021-08-09 2022-07-06 장원준 버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 제거방법
CN114523017A (zh) * 2021-12-25 2022-05-24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动力总成盘型冲压件的去毛刺设备
CN114523017B (zh) * 2021-12-25 2024-04-09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动力总成盘型冲压件的去毛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948B1 (ko) 버 제거장치
US10315253B2 (en) Mould, method for producing a green compact and use of the mould
KR101611844B1 (ko)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CN101176895A (zh) 冲压加工装置及其方法
JP2014161878A (ja)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US10124383B2 (en) Extrusion method for extruded material
KR101604333B1 (ko) 중공형상의 단조품 성형 금형의 단조품 취출구조
KR101377985B1 (ko)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제조 방법 및 타이어 가류용 몰드
JP2007111731A (ja) パンチ加工装置
KR100830700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캐리어커팅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5946A (ko) 트리밍장치
JP2013128963A (ja) プレス加工方法およびプレス加工装置
EP2436500A3 (de) Spritzgussverfahren zur wahlweisen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und ohne Durchbruch
US9827607B2 (en) Mold for molding a case of a mobile device and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se of a mobile device
JP5652869B2 (ja) 剪断加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剪断加工方法
US20140220169A1 (en) Pastry cutter
CN107175719B (zh) 一种打孔装置
KR101750164B1 (ko) 심 제작용 블랭킹 프레스 금형
JP3764353B2 (ja) 鍛造プレス
JP6309693B2 (ja) 高度の真空環境で金属を成形する金型装置
CN105251855A (zh) 适用于板面材料用切边模具
JP2015186820A (ja) セミホロー材のプレス剪断加工装置
KR102418349B1 (ko) 버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 제거방법
KR101794090B1 (ko) 금형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가공방법
JP2018075577A (ja) パンチングメタル製造用のパンチ金型、ダイ金型、金型セット、及びパンチングメタ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