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889B1 -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 Google Patents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889B1
KR100960889B1 KR1020090129011A KR20090129011A KR100960889B1 KR 100960889 B1 KR100960889 B1 KR 100960889B1 KR 1020090129011 A KR1020090129011 A KR 1020090129011A KR 20090129011 A KR20090129011 A KR 20090129011A KR 100960889 B1 KR100960889 B1 KR 10096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ing
welding nut
processing
main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색용
Original Assignee
(주)보원화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원화스너 filed Critical (주)보원화스너
Priority to KR102009012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70Making machine elements nuts of special shape, e.g. self-locking nuts, wing nuts
    • B21K1/701Wel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재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재에 용융되어 접합되는 헤드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은 원자재를 타격하여 자리면이 형성된 가공재료로 가공하는 제1 단조단계와, 가공재료에 제1 자리홈을 형성하는 제2 단조단계와, 가공재료에 제2 자리홈 및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3 단조단계와, 헤드부에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4 단조단계와, 제1 자리홈과 제2 자리홈을 연통시키는 제5 단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은 단조장치에 고정되는 본체와, 용접너트가 삽입되는 안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접너트의 타격을 통해 상기 용접너트에 융착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홈부가 형성되는 단조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29011
용접너트, 단조, 융착,

Description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WELDING NUT MANUFACTURING METHOD AND WELDING NUT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재에 용융되어 접합되는 헤드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장치나 자동차는 철판이 여러 형태로 가공 성형된 후에 조립되어 그 외형인 패널들을 형성한다.
이렇게 철판으로 형성되는 패널들은 여러 형태로 가공되고 성형된 후에 서로 연결되거나 고정된다. 즉, 패널들은 패널자체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에 나사나 볼트로 체결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고정하였다.
그러나, 패널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에 나사나 볼트를 체결하여 철판들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면 패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나사부에 볼트나 나사가 체결될 때 나사부가 쉽게 뭉개져서 오랜 시간이 흐르면 나사부에 체결된 볼트나 나사가 헐거워져서 서로 연결된 패널들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패널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이 고정구멍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너트를 용접 고정하여 너트에 볼트나 나사를 체결하여 철판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고정하였다.
전술한 기술은 본 고안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너트는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모재에 접합하여야 하므로 용접작업이 불편하고, 용접면이 모재에 완전하게 접합되지 않아 모재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재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재에 용융되어 접합되는 헤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 법은, 원형의 원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가공용 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원자재를 타격하여 자리면이 형성된 가공재료를 형성하는 제1 단조단계와, 상기 가공재료를 가공용 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자리홈을 상기 가공재료의 일면 형성하는 제2 단조단계와, 상기 제1 자리홈이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가공재료의 타면에 제2 자리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공재료의 타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3 단조단계와, 상기 헤드부가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헤드부의 일면을 융기시켜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4 단조단계 및 상기 융착부가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제1 자리홈과 상기 제2 자리홈을 연통시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제5 단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조단계에서는 타격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는 타격봉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단조단계에서는 상기 제2 자리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타격하는 타격봉에 의해 상기 제2 자리홈에 에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단조단계에서는 상기 가공재료의 관통구멍을 탭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단조단계에서는 상기 제2 자리홈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상기 가공재료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통형 타격봉으로 상기 가공재료의 타단면을 타격하여 상기 제1 자리홈과 상기 제2 자리홈 사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타격봉은 내경이 상기 제1 자리홈 및 상기 제2 자리홈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은, 단조장치에 고정되는 본체와, 용접너트가 삽입되는 안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접너트의 타격을 통해 상기 용접너트에 융착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홈부가 형성되는 단조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조 폼이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조 폼이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조 폼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안치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조 폼 및 상기 본체는, 상기 성형홈부와 연통되는 에어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조 폼은, 상기 용접너트의 바디가 삽입되도록 제1 안치구멍이 형성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용접너트의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블록에 접촉되며, 상기 제1 안치구멍과 연통되는 제2 안치구멍이 형성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서 압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조 폼과 접촉되는 부위에 에어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에 의하면, 모재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재에 용융되어 접합되는 헤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에 의해 가공되는 용접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에 의해 용접너트가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은 일정 길이로 절단된 원형의 원자재(10)를 단조 가공을 통해 용접너트(100)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은 원자재(10)를 타격하여 자리면이 형성된 가공재료(20)로 가공하는 제1 단조단계(S10)와, 가공재료(20)에 제1 자리홈(21)을 형성하는 제2 단조단계(S20)와, 가공재료(20)에 제2 자리홈(23) 및 헤드부(25)를 형성하는 제3 단조단계(S30)와, 헤드부(25)에 융착부(25a)를 형성하는 제4 단조단계(S40)와, 제1 자리홈(21)과 제2 자리홈(23)을 연통시키는 제5 단조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단조단계(S10~S40)에서 가공된 가공재료(20)는 이송장치(도시생략) 또는 작업자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의 단조용 틀로 이동되어 타격봉의 타격에 의한 단조가공이 이루어진다.
제1 단조단계(S10)에서는 원형의 원자재(10)를 일정길이 예를 들어 길이가 14mm가 되도록 절단하여 단조용 틀에 위치시킨 후, 단조장치(도시생략)의 타격봉으로 원자재(10)의 일측면을 타격하여 자리면(20')이 형성된 가공재료(20)를 가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조단계(S10)에서 사용되는 원자재(10)는 그 직경이 15.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조단계(S20)에서는 가공재료(20)를 단조용 틀에 위치시킨 후 가공재 료(20)를 타격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자리홈(21)을 가공재료(20)의 일면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2 단조단계(S20)에서는 제1 단조단계(S10)에서 가공된 가공재료(20)가 자리면이 형성된 면이 타격봉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가공용 틀에 삽입될 때 상하면이 바뀌도록 180도 회전되어 삽입된다.
제3 단조단계(S30)에서는 제1 자리홈(21)이 형성된 가공재료(20)를 타격하여 가공재료(20)의 타면에 제2 자리홈(23)을 형성함과 동시에 가공재료(20)의 타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25)를 형성한다. 이때, 가공재료(20)의 헤드부(25)는 용접물에 접합된다.
또한, 제3 단조단계(S30)에서는 가공재료(20)가 단조용 틀에 삽입되어 안치될 때 단조용 틀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봉이 제1 자리홈(21)에 삽입되도록 안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재료(20)를 타격할 때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타격봉(1)에 에어홀(1a)이 형성되며, 이 타격봉(1)의 에어홀(1a)에 의해 가공재료(20)의 제2 자리홈(23)에 에어핀(23a)이 형성된다.
이때, 타격을 통해 그 길이가 짧아지는 가공재료(20)를 다음 단계의 단조단계로 에어핀(23a)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4 단조단계(S40)에서는 제3 단조단계(S30)의 가공재료(20)를 단조용 틀로 이동시킨 후 타격봉을 이용하여 타격하여 헤드부(25)의 일면을 융기시켜 융착부(25a)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공재료(20)의 융착부(25a)는 완성된 용접너트(100)가 용접물에 용접될 때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용융된다.
또한, 제4 단조단계(S40)에서 사용되는 단조용 틀(3)에는 헤드부(25)의 융착부(25a)가 보다 용이하게 융기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멍(3a)이 형성된다.
제5 단조단계(S50)에서는 제4 단조단계(S40)에서 융착부(25a)가 형성된 가공재료(20)를 단조용 틀에 이동시킨 후 타격하여 탭가공을 위한 관통구멍(27)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구멍(27)은 가공재료(20)의 제1 자리홈(21)과 제2 자리홈(23)을 연통시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5 단조단계(S50)에서의 관통구멍(27) 형성은 가공재료(20)의 제2 자리홈(23)에 단조용 틀(5)의 지지봉(5a)이 삽입되도록 가공재료(20)를 단조용 틀(5)에 안치시킨 후, 원통형 타격봉(5b)으로 가공재료(20)의 타단면을 타격하여 제1 자리홈(21)과 제2 자리홈(23) 사이를 제거하게 된다.
더하여, 제5 단조단계(S50)에서는 타격봉(5b)의 내경이 제1 자리홈(21) 및 제2 자리홈(2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타격을 통해 제거되는 부위가 타격봉(5b)의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5 단조단계(S50)에서는 가공재료(20)의 관통구멍(27)에 탭가공을 통해 나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일정 길이의 원자재를 단조용 틀에 위치시킨 후 단조가공을 통해 용접너트(100)를 제작하므로, 용접너트(100)를 형성한 후 그 표면처리을 위하여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용접너트(100)를 보다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더하여, 용접너트(100)의 헤드부(25) 및 융착부(25a)를 정확한 치수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부(25) 및 융착부(25a)에 의해 용접너트(100)를 용접물인 모재에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을 도 1,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은 단조장치(7)에 고정되는 본체(210)와, 용접너트(100)에 융착부(25a)를 형성하기 위한 단조 폼(220)을 포함한다. 또한,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은 단조 폼(2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30)와, 단조 폼(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본체(210)는 고정부재(230)와 지지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부(2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를 형성할 때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지지부재(2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 배출부(213)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단조 폼(220)의 성형홈부(221a)에 연통된다.
단조 폼(220)은 용접너트(100)가 삽입되는 안치부(225)가 형성되어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용접너트(100)가 타격을 통해 융착부(25a)가 형성되도록 성형홈부(22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조 폼(220)은 용접너트(100)의 바디(20a)가 삽입되도록 제1 안치구멍(225a)이 형성되는 제1 블록(221)과, 용접너트(100)의 헤드부(25)가 삽입되도록 제1 블록(221)에 접촉되는 제2 블록(223)을 포함하며, 고정부재(230)를 통해 본체(2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단조 폼(220)을 고정부재(230)를 통해 본체(210)에 결합하는 것은 단조 폼(220)을 본체(210)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단조 폼(220)의 파손시 단조 폼(220)을 고정부재(230)를 통해 본체(2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조 폼(220)의 제1 블록(221)은 용접너트(100)의 바디(20a)가 제1 안치구멍(225a)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면에 성형홈부(221a)가 형성된다.
단조 폼(220)의 제2 블록(223)은 제1 블록(221)의 접촉되며, 제1 안치구멍(225a)과 연통되는 제2 안치구멍(225b)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블록(223)은 제2 안치구멍(225b)에 용접너트(100)의 헤드부(25)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 안치구멍(225b)의 직경이 제1 안치구멍(225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조 폼(220)은 용접너트(100)가 고정되는 안치부(225)가 제1 안치구멍(225a)과 제2 안치구멍(225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단조 폼(220)의 에어 배출부(227)는 제1 블록(221)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멍(227a)과, 제2 블록(223)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홈(227b)으로 이루어지며, 제1 블록(221)의 성형홈부(221a)와 연통된다.
이때, 제1 블록(221)의 에어 배출구멍(227a)은 제1 블록(221)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240)를 통해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에 연통된다.
제2 블록(223)의 에어 배출홈(227b)은 용접너트(100)의 타격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블록(221)에 접촉되는 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단조 폼(220)은 제1 블록(221)의 외경과 제2 블록(223)의 외경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을 고정부재(23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단조 폼(220)의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30)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본체(210)의 설치공간부(211) 내면에 억지끼워 맞춤된다. 이때, 고정부재(230)는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본체(210)에 삽입되면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수축공간부(231)가 형성된다.
고정부재(230)는 수축공간부(23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결합될 때에는 수축공간부(231)에 의해 그 내경이 넓어지면서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210)의 설치공간부(211)에 삽입될 때에는 수축공간부(231)에 의해 그 내경이 미세하게 작아지면서 내부에 삽입된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단조 폼(220)과 고정부재(230)가 지지되는 지지부재(240)는 본체(210)의 설치공간부(21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중앙부에 제1 블록(221)의 제1 안치구멍(225a)과 연통되는 가이드구멍(241)이 형성된다. 지지부재(240)는 가이드구멍(241)의 통해 단조장치(7)의 지지봉(7a)이 삽입된다.
또한, 지지부재(240)는 단조 폼(220)의 제1 블록(221)이 접촉되는 면에 제1 블록(221)의 에어 배출구멍(227a)과 연통되는 에어 배출홈(243)이 형성되며, 이 에어 배출홈(243)이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와 연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의 결합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재(240)는 에어 배출홈(243)이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와 연통되도록 본체(210)의 설치공간부(2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단조 폼(220)의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을 고정부재(230)에 결합한 후, 고정부재(230)를 본체(210)의 설치공간부(211)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고정부재(230)에 결합되는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은 고정부재(230)의 수축공간부(231)에 의해 고정부재(230)에 용이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결합된 고정부재(230)가 수축공간부(231)에 의해 압축되면서 고정부재(2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더하여, 제1 블록(221)의 에어 배출구멍(227a)은 지지부재(240)의 에어 배출홈(243)에 연통되고, 제2 블록(223)의 에어 배출홈(227b)은 고정부재(230)의 수축공간부(231)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이후,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결합된 고정부재(230)를 본체(210) 의 설치공간부(211)에 삽입하게 되면 고정부재(230)가 수축공간부(231)에 의해 그 내경이 미세하게 작아지면서 내부에 삽입된 제1 블록(221)과 제2 블록(223)이 더욱 강하게 압착되어 단조 폼(220)이 본체(2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에 용접너트(100)를 삽입한 후 단조 가공을 하게 되면 제1 블록(221)의 성형홈부(221a)에 의해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가 형성되며, 이때 제1 블록(221)의 성형홈부(221a)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제1 블록(221)의 에어 배출구멍(227a)과 지지부재(240)의 에어 배출홈(243) 및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를 통해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용접너트(100)의 헤드부(25) 즉, 제2 블록(223)의 제2 안치구멍(225b)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제1 블록(221)의 에어 배출홈(227a)과 지지부재(240)의 수축공간부(231)를 통해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200)은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블록(221)의 성형홈부(221a)가 단조 폼(220) 및 본체(210)의 에어 배출부(213)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를 형성할 때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너트(100)의 융착부(25a)가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 블록(221) 및 제2 블록(223)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 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에 의해 가공되는 용접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제작방법에 의해 용접너트가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단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접너트 가공용 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원자재 20 : 가공재료
25 : 헤드부 25a : 융착부
100 : 용접너트 200 : 가공용 틀
210 : 본체 220 : 단조 폼
221 : 제1 블록 223 : 제2 블록
230 : 고정부재 240 : 지지부재

Claims (13)

  1. 원형의 원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단조용 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원자재를 타격하여 자리면이 형성된 가공재료를 형성하는 제1 단조단계;
    상기 가공재료를 단조용 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자리홈을 상기 가공재료의 일면 형성하는 제2 단조단계;
    상기 제1 자리홈이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가공재료의 타면에 제2 자리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공재료의 타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3 단조단계;
    상기 헤드부가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헤드부의 일면을 융기시켜 융착부를 형성하는 제4 단조단계; 및
    상기 융착부가 형성된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여 상기 제1 자리홈과 상기 제2 자리홈을 연통시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리홈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상기 가공재료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통형 타격봉으로 상기 가공재료의 타단면을 타격하여 상기 제1 자리홈과 상기 제2 자리홈 사이를 제거하는 제5 단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조단계에서는 타격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가공재료를 타격하는 타격봉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조단계에서는 상기 제2 자리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타격하는 타격봉에 의해 상기 제2 자리홈에 에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조단계에서는 상기 가공재료의 관통구멍을 탭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타격봉은 내경이 상기 제1 자리홈 및 상기 제2 자리홈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제작방법.
  7. 단조장치에 고정되는 본체;
    용접너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접너트의 타격을 통해 상기 용접너트에 융착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홈부가 형성되는 단조 폼; 및
    상기 단조 폼이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조 폼이 결합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 폼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10.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 폼 및 상기 본체는, 상기 성형홈부와 연통되는 에어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11.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 폼은,
    상기 용접너트의 바디가 삽입되도록 제1 안치구멍이 형성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용접너트의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블록에 접촉되며, 상기 제1 안치구멍과 연통되는 제2 안치구멍이 형성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원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서 압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조 폼과 접촉되는 부위에 에어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너트 가공용 틀.
KR1020090129011A 2009-12-22 2009-12-22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KR10096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11A KR100960889B1 (ko) 2009-12-22 2009-12-22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11A KR100960889B1 (ko) 2009-12-22 2009-12-22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889B1 true KR100960889B1 (ko) 2010-06-04

Family

ID=4236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11A KR100960889B1 (ko) 2009-12-22 2009-12-22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88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45B1 (ko) 2010-04-16 2011-03-02 (주)보원화스너 핀 아우터 피봇 너트 제조방법
CN102601294A (zh) * 2012-04-01 2012-07-25 常熟新华远紧固件有限公司 一种用于弹垫螺母底部成型的模具组合
KR101344002B1 (ko) 2012-03-12 2013-12-27 이종엽 스노우체인 장착용 고정볼트 제조방법
KR101436488B1 (ko) * 2014-04-03 2014-09-01 (주)보원화스너 차량용 안전벨트의 앙카플레이트 단조방법
KR101447094B1 (ko) * 2014-04-15 2014-11-03 (주)보원화스너 단조장치용 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타트 모터의 피니언 단조방법
KR101811983B1 (ko) * 2017-07-21 2017-12-22 주식회사 대호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의 제조 방법
CN110695303A (zh) * 2019-11-12 2020-01-17 苏州工业园区新凯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菱形点焊螺母的冷镦成型工艺及冷镦模组
KR102070242B1 (ko) * 2019-01-10 2020-01-29 (주)성광스틸 고정너트가 구비된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
CN110788264A (zh) * 2019-08-26 2020-02-14 上海华鞍汽车配件有限公司 多边异形超薄焊点垫块冷镦全尺寸成型工艺
CN114871691A (zh) * 2021-12-26 2022-08-09 湖北博士隆科技有限公司 一种盖型焊接螺母的成型工艺
KR102593051B1 (ko) * 2023-06-29 2023-10-24 (주)보원화스너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45B1 (ko) 2010-04-16 2011-03-02 (주)보원화스너 핀 아우터 피봇 너트 제조방법
KR101344002B1 (ko) 2012-03-12 2013-12-27 이종엽 스노우체인 장착용 고정볼트 제조방법
CN102601294A (zh) * 2012-04-01 2012-07-25 常熟新华远紧固件有限公司 一种用于弹垫螺母底部成型的模具组合
CN102601294B (zh) * 2012-04-01 2014-11-05 常熟新华远紧固件有限公司 一种用于弹垫螺母底部成型的模具组合
KR101436488B1 (ko) * 2014-04-03 2014-09-01 (주)보원화스너 차량용 안전벨트의 앙카플레이트 단조방법
KR101447094B1 (ko) * 2014-04-15 2014-11-03 (주)보원화스너 단조장치용 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타트 모터의 피니언 단조방법
KR101811983B1 (ko) * 2017-07-21 2017-12-22 주식회사 대호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70242B1 (ko) * 2019-01-10 2020-01-29 (주)성광스틸 고정너트가 구비된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
CN110788264A (zh) * 2019-08-26 2020-02-14 上海华鞍汽车配件有限公司 多边异形超薄焊点垫块冷镦全尺寸成型工艺
CN110695303A (zh) * 2019-11-12 2020-01-17 苏州工业园区新凯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菱形点焊螺母的冷镦成型工艺及冷镦模组
CN110695303B (zh) * 2019-11-12 2024-02-09 苏州新凯紧固系统有限公司 一种菱形点焊螺母的冷镦成型工艺及冷镦模组
CN114871691A (zh) * 2021-12-26 2022-08-09 湖北博士隆科技有限公司 一种盖型焊接螺母的成型工艺
KR102593051B1 (ko) * 2023-06-29 2023-10-24 (주)보원화스너 차량용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스토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889B1 (ko) 용접너트 제조방법 및 용접너트 가공용 틀
JP2011038578A (ja) 取付部材を被溶接部材へ固定する固定装置
CN105345495A (zh) 压板式浮动夹具
JP2002035925A (ja) 鋳造部品のばりを除去する自己心合せトリムポンチ及び該ばりの除去方法
KR20090039416A (ko) 파이프 취부장치
CN201415315Y (zh) 金刚石薄壁钻头激光焊接夹具
JP2009202272A (ja) ダイス、工具セット、及びプレス加工方法
JP2008535673A (ja) クランプコレット
CN209439465U (zh) 一种用于装夹薄壁件的新型全包容软爪
KR101018045B1 (ko) 핀 아우터 피봇 너트 제조방법
KR200378452Y1 (ko) 지그맞춤형 동전극
KR101854347B1 (ko) 용접너트 제조방법
KR20060130273A (ko) 용접 너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549B1 (ko) 용접 장치용 팁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CN108326133A (zh) 防偏移自动微调冲压模具
US87279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golf club head, golf club head, and head base body
CN210648890U (zh) 一种放电加工夹具
KR101783769B1 (ko) 아날로그 접속장치의 케이스 가공 방법
JP2000126895A (ja) 溶接用工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溶接接合方法
CN210253781U (zh) 一种冲缺口模具
JPH11222621A (ja) 円筒状ワークの焼入れ用治具
JP3170896U (ja) レーザ加工治具
KR101318901B1 (ko) 너트의 토크 시험용 지그 및 그의 가공방법
CN205290678U (zh) 一种端齿凸缘磨床定位夹具
KR102352200B1 (ko) 선체블록 취부용 단차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