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15B1 -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0115B1 KR102590115B1 KR1020200159155A KR20200159155A KR102590115B1 KR 102590115 B1 KR102590115 B1 KR 102590115B1 KR 1020200159155 A KR1020200159155 A KR 1020200159155A KR 20200159155 A KR20200159155 A KR 20200159155A KR 102590115 B1 KR102590115 B1 KR 1025901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omparative example
- sauce
- perilla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41000229722 Perilla <angiosperm> Species 0.000 title abstract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5113 tomato pastes and puré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DFLYDFMTWWRJMB-UHFFFAOYSA-N 2-acetylhex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C(O)=O)CCCC(O)=O DFLYDFMTWWRJM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477 rna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2658 paprika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1688 paprika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ZDQYSKICYIVCPN-UHFFFAOYSA-L sodium succin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Na+].[Na+].[O-]C(=O)CCC([O-])=O ZDQYSKICYIVCPN-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50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21425 apple cider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29940088447 apple cider vinegar Drug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41000246354 Satureja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QXNVGIXVLWOKEQ-UHFFFAOYSA-N Disodium Chemical compound [Na][Na] QXNVGIXVLWOK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83 umami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MGQYMWWDOXHJM-UHFFFAOYSA-N limon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C1 XMGQYMWWDOXH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VHLZMUFIYAEQB-UHFFFAOYSA-N perilla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C=1C=COC=1 LVHLZMUFIYA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UMOYJJNUMEFDD-SNVBAGLBSA-N (R)-(+)-Perillaldehyde Natural products CC(=C)[C@H]1CCC(C=O)=CC1 RUMOYJJNUMEFDD-SNVBAGLB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XFNLNNUZKHNO-UHFFFAOYSA-N 6-[3-[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idin-1-yl]-3-oxoprop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CN(CC1)C(CCC1=CC2=C(NC(O2)=O)C=C1)=O DEXFNLNNUZKH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23 Lam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0738 Sesamum ori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017 Weight G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7 brai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YQFCXCEBYINGO-IAGOWNOFSA-N delta1-THC Chemical compound C1=C(C)CC[C@H]2C(C)(C)OC3=CC(CCCCC)=CC(O)=C3[C@@H]21 CYQFCXCEBYINGO-IAGOWNOF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66 eicosa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7305 limon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10 limon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843 omega-3 fatty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19 pasta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UMOYJJNUMEFDD-UHFFFAOYSA-N perillyl aldehyde Chemical compound CC(=C)C1CCC(C=O)=CC1 RUMOYJJNUMEF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38 salad dressin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490 sodium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starch syrup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63 vegetarian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적의 살균 및 숙성 온도가 확립되어 풍미, 맛 및 식감이 우수한 소스의 제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들깨오리엔탈 소스, 치킨들깨양념 소스 및 들깨해물탕용 소스로 제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들깨농촌융복합산업사업"의 "2020년 음성들깨 소스상품 개발의 지원"에 따른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최근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해 현대인들은 환경 오염, 불규칙한 식사, 운동 부족, 스트레스, 피로, 음주, 흡연 및 영양 섭취 불균형 등에 의해 자체 면역력이 낮아지고, 환경적 독성 물질에 의해 암, 혈관성 질환, 체중 증가 등 생활 습관병이라 불리는 성인병 발병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하는 식품의 개념과는 다르게 천연 재료에 대한 관심 및 건강과 관련된 3차 기능성을 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들깨(Perilla frutescens)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꿀풀과의 한해살이 풀 또는 그 씨이고, 잎은 깻잎이라고 하며, 씨를 짠 기름을 들기름이라고 한다.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어 신선 잎채소로 이용된다.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두뇌활동 및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들깨를 가루로 만들어 각종 음식재료에 사용하거나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소스는 서양 요리에서 맛이나 빛깔을 내기 위해 음식에 넣거나 위에 얹는 걸죽한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써, 요리 본연의 맛과 조화를 이루어 풍미를 더해주는 기능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음식 문화가 혼합되면서 각 나라의 소스가 교류되어 국물용 소스 등 한식에 사용되는 소스뿐만 아니라, 샐러드 또는 파스타 소스등 다양한 소스를 접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강식과 채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 채소를 사용한 소스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건강하면서도 높은 관능적 특성을 갖는 소스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들깨가루, 대두유, 진간장, L-글루탐산나트륨, 물엿, 백설탕, 흑후추분말, 생강쵸핑, 마늘쵸핑, 양파쵸핑, 대파쵸핑, 사과식초, 미향, 계피분말, 구아검, 파프리카추출색소, 고춧가루, 밀가루, 정제소금, 아세틸아디핀산전분, 저감미당, 토마토페이스트, 백설탕, 고과당, 정제수, 호반산이나트륨, 리보핵산, 가쓰오다시, 된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재료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 단계, 살균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1 숙성 단계 및 제1 숙성된 혼합물을 재숙성하는 제2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들깨 소스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들깨가루, 대두유, 진간장, L-글루탐산나트륨, 물엿, 백설탕, 흑후추분말, 생강쵸핑, 마늘쵸핑, 양파쵸핑, 대파쵸핑, 사과식초, 미향, 계피분말, 구아검, 파프리카추출색소, 고춧가루, 밀가루, 정제소금, 아세틸아디핀산전분, 저감미당, 토마토페이스트, 백설탕, 고과당, 정제수, 호반산이나트륨, 리보핵산, 가쓰오다시, 된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재료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 단계, 살균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1 숙성 단계 및 제1 숙성된 혼합물을 재숙성하는 제2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들깨 소스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스의 모든 재료가 조화를 이루어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살균 및 숙성 조건의 확립에 따른 풍미, 맛 및 식감에 대해 뛰어난 기호도를 나타내는 들깨 소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들깨 소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는 들깨가루, 대두유, 진간장, L-글루탐산나트륨, 물엿, 백설탕, 흑후추분말, 생강쵸핑, 마늘쵸핑, 양파쵸핑, 대파쵸핑, 사과식초, 미향, 계피분말, 구아검, 파프리카추출색소, 고춧가루, 밀가루, 정제소금, 아세틸아디핀산전분, 저감미당, 토마토페이스트, 백설탕, 고과당, 정제수, 호반산이나트륨, 리보핵산, 가쓰오다시, 된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재료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들깨는 분쇄되어 분말로 준비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들깨는 재배된 것 또는 시판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들깨는 흐르는 물에 10분 이상 세척된 다음, 140℃ 내지 160℃에서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처리된 들깨는 입경 0.5mm 내지 1.0mm 크기로 분쇄건조되어 볶은 들깨가루로 준비될 수 있다.
140℃ 내지 160℃의 온도에서 들깨를 가열함으로써 들깨 특유의 향을 유지하면서도 들깨의 고소한 맛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면, 160℃ 초과의 온도에서 들깨를 볶는 경우 들깨에서 탄 맛이 날 수 있고, 140℃ 미만의 온도에서 들깨를 볶는 경우 들깨에서 고소한 맛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들깨의 입경이 0.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씹는 식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가공이 어려울 수 있고, 1.0mm 이상인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커 입안의 거친 식감으로 인하여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마늘쵸핑 및 생강쵸핑은 각각 물로 마늘 또는 생강을 세척한 후 잘게 다져져 준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2cm 내지 1cm)×(0.2cm 내지 1cm)×(0.2cm 내지 0.5cm)의 크기로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쵸핑"은 쵸핑(chopping)의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일정한 모양 내지 크기, 예를 들어, (0.2cm 내지 1cm)×(0.2cm 내지 1cm) × (0.2cm 내지 0.5cm)의 크기로 절단하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가루는 중력1등 밀가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는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물엿, 고과당 및 백설탕과 같은 당류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는 혼합이 쉽지 않으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타 원료와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아검은 백설탕에 우선적으로 혼합된 상태로 다른 재료과 혼합될 수 있고, 전분은 정제수에 녹여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단계는 혼합물을 살균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살균은 열처리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살균 온도는 혼합물의 심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살균 단계는 95℃ 내지 97℃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95℃ 미만의 온도에서는 살균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97℃ 이상의 온도에서는 살균효과는 뛰어나나 관능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단계는 살균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1 숙성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제1 숙성 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1일간 이루어질 수 있다.
40℃ 미만의 온도에서는 충분한 숙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소스의 감칠맛이 저하될 수 있고, 50℃ 초과의 온도에서는 소스가 과발효되어 시큼한 맛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단계는 제1 숙성된 혼합물을 재숙성하는 제2 숙성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숙성된 혼합물이 병입될 수 있고, 병입된 상태로 일정한 온도하에서 재숙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냉에 의한 재숙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혼합물은 볶은들깨가루 2.0 중량부, 대두유 26.5 중량부, 진간장 18.6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0.6 중량부, 물엿 6.5 중량부, 백설탕 11 중량부, 흑후추분말 0.1 중량부, 마늘쵸핑 7.7 중량부, 사과식초 17.5 중량부 및 미향 9.5 중량부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비율에 의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들깨오리엔탈 소스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혼합물은 볶은들깨가루 1.4 중량부, 계피분말 0.1 중량부, 흑후추분말 0.1 중량부, 구아검 0.1 중량부, 파프리카추출색소 0.1 중량부, 고춧가루 0.5 중량부, 밀가루 1.4 중량부, 정제소금 1.5 중량부, 마늘쵸핑 2.0 중량부, 아세틸아디핀산전분 2.5 중량부, 양파쵸핑 3.0 중량부, 저감미당 3.3 중량부, 토마토페이스트 5.0 중량부, 백설탕 7.0 중량부, 고과당 8.5 중량부, 물엿 27.5 중량부 및 정제수 36 중량부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비율에 의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혼합물은 볶은들깨가루 1.5 중량부, 흑후추분말 0.1 중량부, 호박산이나트륨 0.2 중량부, 리보핵산 0.5 중량부, 생강쵸핑 1.0 중량부, 가쓰오다시 2.0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2.5 중량부, 백설탕 3.0 중량부, 대파쵸핑 3.0 중량부, 진간장 3.0 중량부, 고춧가루 13.0 중량부, 마늘쵸핑 4.0 중량부, 양파쵸핑 5.0 중량부, 된장 5.0 중량부, 정제소금 8.0 중량부, 저감미당 21.96 중량부 및 정제수 26.24 중량부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비율에 의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들깨해물탕용 소스의 제조가 가능하다.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최적의 살균 및 숙성 온도가 확립되어 풍미, 맛 및 식감이 우수한 소스의 제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들깨오리엔탈 소스, 치킨들깨양념 소스 및 들깨해물탕용 소스로 제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들깨 소스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들깨오리엔탈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들깨해물탕용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들깨오리엔탈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들깨해물탕용 소스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들깨 소스의 제조
제조예 1-1. 재료 준비 단계
들깨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마늘, 생강, 양파 및 대파를 쵸핑하여 마늘쵸핑, 생강쵸핑, 양파쵸핑 및 대파쵸핑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판되는 들깨를 구입하여 준비하고 준비한 들깨를 흐르는 물에 10분 이상 세척한 다음 140℃ 내지 160℃에서 들깨를 가열하였다. 그 후, 가열 처리된 들깨를 입경 0.5 내지 1.0mm 크기로 분쇄건조하여 볶은 들깨가루를 제조하였다.
한편, 마늘 및 생강은 물로 세척하고 잘게 다져서 마늘쵸핑 및 생강쵸핑을 준비하였고, 양파 및 대파는 물로 세척한 뒤 (0.2cm 내지 1cm) × (0.2cm 내지 1cm) × (0.2cm 내지 0.5cm)의 크기로 양파쵸핑과 대파쵸핑을 준비하였다.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정확한 계측을 실시함으로써 표 1에 기재된 레시피에 따라 각 재료를 준비하였다.
들깨오리엔텔 소스 재료인 미향은 오뚜기 제품을 사용하였고, 간장은 샘표 진간장을 사용하였다. 치킨들깨양념 소스 재료인 토마토 페이스트는 하이즈사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들깨해물탕용 소스 재료인 된장은 사조해표 순창궁 콩재래된장을 사용하였다.
번호 | 들깨오리엔탈 소스 | 치킨들깨양념 소스 | 들깨해물탕용 소스 |
1 | 볶은들깨가루 | 볶은들깨가루 | 볶은들깨가루 |
2 | 대두유 | 계피분말 | 흑후추분말 |
3 | 진간장 | 흑후추분말 | 호박산이나트륨 |
4 | L-글루탐산나트륨 | 구아검 | 리보핵산 |
5 | 물엿 | 파프리카추출색소 | 생강쵸핑 |
6 | 백설탕 | 고춧가루 | 가쓰오다시(혼다시) |
7 | 흑후추분말 | 중력1등 밀가루 | L-글루탐산나트륨 |
8 | 마늘쵸핑 | 정제소금 | 백설탕 |
9 | 사과식초 | 마늘쵸핑 | 대파쵸핑 |
10 | 미향 | 아세틸아디핀산전분 | 진간장 |
11 | - | 양파쵸핑 | 고춧가루 |
12 | - | 저감미당 | 마늘쵸핑 |
13 | - | 토마토페이스트 | 양파쵸핑 |
14 | - | 백설탕 | 된장 |
15 | - | 고과당 | 정제소금 |
16 | - | 물엿 | 저감미당 |
17 | - | 정제수 | 정제수 |
제조예 1-2. 혼합 및 살균 단계
제조예 1-1의 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한 각 재료를 혼합하고 열처리 공정을 통해 살균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물이 일정한 색을 나타내고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부드럽게 저을 수 있을 정도의 밀도를 나타낼 때까지 표 1의 재료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교반을 실시하였다.
모든 재료가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정치식 이중 스팀자켓 탱크로 옮긴 후 일정한 중심온도를 유지하도록 중탕 열처리하여 혼합물을 살균하였다.
제조예 1-3. 1차 숙성 후 병입 단계 및 2차 숙성 단계
혼합물을 가열한 후 일정 온도로 냉각하여 일정 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샘플병(PET)에 병입한 다음, 방냉하여 2차 숙성함으로써 들깨소스를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5℃ 이하의 온도로 3시간동안 방냉하여 2차 숙성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6. 살균 및 숙성 조건을 달리한 볶은 들깨소스의 제조
제조예 1에서 표 2에 따라 사용한 살균 및 숙성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면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15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16은 고온조건하에 완전 멸균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 살균온도(℃) | 1차숙성온도(℃) |
실시예1 | 95 | 40 내지 50 |
비교예1 | 90 | 20 내지 30 |
비교예2 | 90 | 30 내지 40 |
비교예3 | 90 | 40 내지 50 |
비교예4 | 90 | 50 내지 60 |
비교예5 | 93 | 20 내지 30 |
비교예6 | 93 | 30 내지 40 |
비교예7 | 93 | 40 내지 50 |
비교예8 | 93 | 50 내지 60 |
비교예9 | 95 | 20 내지 30 |
비교예10 | 95 | 30 내지 40 |
비교예11 | 95 | 50 내지 60 |
비교예12 | 97 | 20 내지 30 |
비교예13 | 97 | 30 내지 40 |
비교예14 | 97 | 40 내지 50 |
비교예15 | 97 | 50 내지 60 |
비교예16 | 100 | 40 내지 50 |
비교예 17 내지 40. 구성 비율을 달리한 볶은 들깨소스의 제조
들깨오리엔탈 소스
제조예 1에서 사용한 들깨가루 및 사과식초의 비율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면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7 내지 24를 제조하였고, 구체적인 재료 및 중량부를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 | 중량부 | |||
들깨가루 | 사과식초 | 대두유 | 기타재료 | |
실시예 | 2 | 17.5 | 26.5 | 진간장 18.6 L-글루탐산나트륨 0.6 물엿 6.5 백설탕 11 흑후추분말 0.1 마늘쵸핑 7.7 미향 9.5 |
비교예1 | ||||
비교예2 | ||||
비교예3 | ||||
비교예4 | ||||
비교예5 | ||||
비교예6 | ||||
비교예7 | ||||
비교예8 | ||||
비교예9 | ||||
비교예10 | ||||
비교예11 | ||||
비교예12 | ||||
비교예13 | ||||
비교예14 | ||||
비교예15 | ||||
비교예16 | ||||
비교예17 | 1.5 | 17 | 27.5 | |
비교예18 | 1.5 | 17.5 | 27 | |
비교예19 | 1.5 | 18 | 26.5 | |
비교예20 | 2 | 17 | 27 | |
비교예21 | 2 | 18 | 26 | |
비교예22 | 2.5 | 17 | 26.5 | |
비교예23 | 2.5 | 17.5 | 26 | |
비교예24 | 2.5 | 18 | 25.5 |
치킨들깨양념 소스
제조예 1에서 사용한 들깨가루 및 토마토 페이스트의 비율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면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5 내지 32를 제조하였고, 구체적인 재료 및 중량부를 표 4에 기재하였다.
구분 | 중량부 | |||
들깨가루 | 토마토페이스트 | 정제수 | 기타재료 | |
실시예 | 1.4 | 5 | 36 | 계피분말 0.1 흑후추분말 0.1 구아검 0.1 파프리카추출색소 0.1 고춧가루 0.1 중력1등 밀가루 1.4 정제소금 1.5 마늘쵸핑 2.0 아세틸아디핀산전분 2.5 양파쵸핑 3.0 저감미당 3.3 백설탕 7.0 고과당 8.5 물엿 27.5 |
비교예1 | ||||
비교예2 | ||||
비교예3 | ||||
비교예4 | ||||
비교예5 | ||||
비교예6 | ||||
비교예7 | ||||
비교예8 | ||||
비교예9 | ||||
비교예10 | ||||
비교예11 | ||||
비교예12 | ||||
비교예13 | ||||
비교예14 | ||||
비교예15 | ||||
비교예16 | ||||
비교예25 | 0.9 | 4.5 | 37 | |
비교예26 | 0.9 | 5 | 36.5 | |
비교예27 | 0.9 | 5.5 | 36 | |
비교예28 | 1.4 | 4.5 | 36.5 | |
비교예29 | 1.4 | 5.5 | 35.5 | |
비교예30 | 1.9 | 4.5 | 36 | |
비교예31 | 1.9 | 5 | 35.5 | |
비교예32 | 1.9 | 5.5 | 35 |
들깨해물탕용 소스
제조예 1에서 사용한 들깨가루 및 된장의 비율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면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3 내지 40을 제조하였고, 구체적인 재료 및 중량부를 표 5에 기재하였다.
구분 | 중량부 | |||
들깨가루 | 된장 | 정제수 | 기타재료 | |
실시예 | 2 | 5 | 26.24 | 흑후추분말 0.1 호박산이나트륨 0.2 리보핵산 0.5 생강쵸핑 1.0 가쓰오다시(혼다시) 2.0 L-글루탐산나트륨 2.5 백설탕 3.0 대파쵸핑 3.0 진간장 3.0 고춧가루 13.0 마늘쵸핑 4.0 양파쵸핑 5.0 정제소금 8.0 저감미당 21.96 |
비교예1 | ||||
비교예2 | ||||
비교예3 | ||||
비교예4 | ||||
비교예5 | ||||
비교예6 | ||||
비교예7 | ||||
비교예8 | ||||
비교예9 | ||||
비교예10 | ||||
비교예11 | ||||
비교예12 | ||||
비교예13 | ||||
비교예14 | ||||
비교예15 | ||||
비교예16 | ||||
비교예33 | 1.5 | 4.5 | 27.24 | |
비교예34 | 1.5 | 5 | 26.74 | |
비교예35 | 1.5 | 5.5 | 26.24 | |
비교예36 | 2 | 4.5 | 26.74 | |
비교예37 | 2 | 5.5 | 25.74 | |
비교예38 | 2.5 | 4.5 | 26.24 | |
비교예39 | 2.5 | 5 | 25.74 | |
비교예40 | 2.5 | 5.5 | 25.24 |
실험예 1. 최적의 살균 및 숙성 조건 확인
가열 살균 방식은 대부분의 미생물 영양세포는 사멸하나 열에 약한 향신료 등의 품질 저하가 일어날 수 있어 첨가 원료에 따른 온도 및 시간 설정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들깨 소스의 최적의 살균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살균온도 및 숙성온도에서 대장균 및 일반세균 검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6에 따른 살균 및 숙성 온도에 따른 최적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3M 간이 시험법에 따라 대장균 및 일반세균 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 살균온도(℃) | 1차숙성온도(℃) | 대장균 | 일반세균 |
실시예1 | 95 | 40 내지 50 | - | - |
비교예1 | 90 | 20 내지 30 | + | ++ |
비교예2 | 90 | 30 내지 40 | + | + |
비교예3 | 90 | 40 내지 50 | - | + |
비교예4 | 90 | 50 내지 60 | - | + |
비교예5 | 93 | 20 내지 30 | - | + |
비교예6 | 93 | 30 내지 40 | - | + |
비교예7 | 93 | 40 내지 50 | - | - |
비교예8 | 93 | 50 내지 60 | - | - |
비교예9 | 95 | 20 내지 30 | - | - |
비교예10 | 95 | 30 내지 40 | - | - |
비교예11 | 95 | 50 내지 60 | - | - |
비교예12 | 97 | 20 내지 30 | - | - |
비교예13 | 97 | 30 내지 40 | - | - |
비교예14 | 97 | 40 내지 50 | - | - |
비교예15 | 97 | 50 내지 60 | - | - |
비교예16 | 100 | 40 내지 50 | - | - |
표 6에 따르면, 95℃ 이상의 살균온도에서 살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들깨 소스의 살균 및 숙성을 위한 최적의 온도 조건을 확립하였다.
실험예 2. 구성 재료의 최적 비율 확인
실험예 2-1. 들깨 오리엔탈 소스
들깨가루 및 사과식초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7 내지 24의 들깨 오리엔탈 소스의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0대의 남녀 직장인 50명을 대상으로 5점 평점법(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에 의해 들깨 오리엔탈 소스의 풍미, 맛 및 식감에 대한 기호도를 각각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균값을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 풍미 | 맛 | 식감 | 전체적인 기호도 |
실시예1 | 4.60 | 4.70 | 4.50 | 4.60 |
비교예1 | 4.51 | 4.61 | 4.41 | 4.51 |
비교예2 | 4.52 | 4.62 | 4.42 | 4.52 |
비교예3 | 4.53 | 4.63 | 4.44 | 4.53 |
비교예4 | 4.52 | 4.62 | 4.43 | 4.52 |
비교예5 | 4.51 | 4.63 | 4.41 | 4.52 |
비교예6 | 4.50 | 4.61 | 4.40 | 4.50 |
비교예7 | 4.53 | 4.63 | 4.44 | 4.53 |
비교예8 | 4.49 | 4.60 | 4.40 | 4.50 |
비교예9 | 4.50 | 4.58 | 4.41 | 4.49 |
비교예10 | 4.51 | 4.63 | 4.43 | 4.52 |
비교예11 | 4.50 | 4.62 | 4.40 | 4.51 |
비교예12 | 4.45 | 4.51 | 4.39 | 4.45 |
비교예13 | 4.42 | 4.49 | 4.37 | 4.43 |
비교예14 | 4.40 | 4.47 | 4.34 | 4.40 |
비교예15 | 4.38 | 4.45 | 4.40 | 4.41 |
비교예16 | 4.30 | 4.40 | 4.39 | 4.36 |
비교예17 | 3.23 | 3.45 | 3.18 | 3.28 |
비교예18 | 3.56 | 3.84 | 3.42 | 3.60 |
비교예19 | 2.98 | 3.22 | 3.70 | 3.3 |
비교예20 | 4.05 | 4.25 | 4.31 | 4.20 |
비교예21 | 4.15 | 4.30 | 4.23 | 4.27 |
비교예22 | 3.79 | 3.71 | 4.01 | 3.84 |
비교예23 | 4.02 | 4.17 | 4.10 | 4.10 |
비교예24 | 3.61 | 3.48 | 4.21 | 3.77 |
표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들깨 오리엔탈 소스의 혼합비율로 제조하는 것이 풍미, 맛, 식감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들깨 오리엔탈 소스에서 사과 식초의 중량비가 18(비교예 19, 비교예 21 및 비교예 24)로 높아짐에 따라 들깨의 고소한 향이 사과식초의 시큼한 향에 의해 중화되어 들깨의 풍미가 반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식초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비교예 17, 비교예 20 및 비교예 22)에는 오히려 사과식초 상큼함이 들깨의 고소한 향에 압도되어 맛의 풍부함이 반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은 들깨의 고소한 향과 사과 식초의 시큼한 향이 어우러져 오리엔탈 소스로써 가장 훌륭한 풍미를 느끼게 하였고 입맛을 돋우는 샐러드 드레싱으로서 우수한 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맛에 있어서, 들깨가루 대비 사과식초의 양이 많은 경우(비교예 19, 비교예 21 및 비교예 24)에는 사과식초의 새콤한 맛이 들깨가루의 고소한 맛을 압도하여 전체적으로 신맛이 강한 오리엔탈 소스가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들깨가루 대비 사과식초의 양이 적은 경우(비교예 17, 비교예 20 및 비교예 22)에는 들깨가루의 고소한 맛이 도드라져 사과식초의 새콤한 맛이 부족해 샐러드 소스로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깨가루 대비 사과식초의 양이 많을수록(비교예 19, 비교예 21 및 비교예 24)에는 사과식초의 상큼한 맛이 샐러드의 아삭거리는 식감과 조화를 이루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호도 평가에 따르면, 비교예 9 내지 16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대장균수는 적었으나 맛에 있어서 관능성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9 내지 11은 살균온도가 실시예 1의 살균온도인 95℃임에도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은 것으로 볼 때 최적의 숙성 조건이 40℃ 내지 50℃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비교예 12 내지 16의 경우에는 소스를 열처리 하는 살균과정에서 97℃ 이상의 온도로 살균한 경우 소스의 점도가 높아져 들깨의 텁텁한 식감을 도드라지게 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2. 치킨들깨양념 소스
들깨가루 및 토마토 페이스트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25 내지 32의 들깨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0대의 남녀 직장인 50명을 대상으로 5점 평점법(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에 의해 들깨 오리엔탈 소스의 풍미, 맛 및 식감에 대한 기호도를 각각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균값을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 풍미 | 맛 | 식감 | 전체적인 기호도 |
실시예1 | 4.69 | 4.62 | 4.50 | 4.60 |
비교예1 | 4.57 | 4.54 | 4.38 | 4.50 |
비교예2 | 4.58 | 4.55 | 4.39 | 4.51 |
비교예3 | 4.61 | 4.56 | 4.43 | 4.53 |
비교예4 | 4.61 | 4.54 | 4.41 | 4.52 |
비교예5 | 4.62 | 4.54 | 4.42 | 4.53 |
비교예6 | 4.62 | 4.55 | 4.43 | 4.53 |
비교예7 | 4.63 | 4.56 | 4.43 | 4.54 |
비교예8 | 4.63 | 4.54 | 4.43 | 4.53 |
비교예9 | 4.63 | 4.55 | 4.42 | 4.48 |
비교예10 | 4.62 | 4.51 | 4.42 | 4.52 |
비교예11 | 4.64 | 4.52 | 4.43 | 4.53 |
비교예12 | 4.61 | 4.52 | 4.41 | 4.51 |
비교예13 | 4.62 | 4.53 | 4.42 | 4.52 |
비교예14 | 4.63 | 4.52 | 4.41 | 4.52 |
비교예15 | 4.61 | 4.53 | 4.38 | 4.50 |
비교예16 | 4.59 | 4.49 | 4.28 | 4.45 |
비교예25 | 3.67 | 3.55 | 3.50 | 3.57 |
비교예26 | 3.99 | 3.98 | 3.79 | 3.92 |
비교예27 | 3.81 | 3.79 | 3.99 | 3.86 |
비교예28 | 4.23 | 4.01 | 4.22 | 4.15 |
비교예29 | 4.47 | 4.26 | 4.41 | 4.38 |
비교예30 | 3.87 | 3.85 | 3.97 | 3.90 |
비교예31 | 4.32 | 4.29 | 4.25 | 4.28 |
비교예32 | 4.10 | 4.01 | 4.00 | 4.03 |
표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혼합비율로 제조하는 것이 풍미, 맛, 식감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치킨들깨양념 소스에서 토마토 페이스트 중량비가 5.5인 경우(비교예 27, 비교예 29 및 비교예 32)에는 토마토 페이스트의 시큼한 향이 도드라져 들깨의 고소한 풍미가 반감되었고, 반대로 토마토 페이스트의 양이 적은 경우(비교예 25, 비교예 28 및 비교예 30)에는 시큼한 향이 부족하여 식욕을 돋게 하는 소스의 풍미가 반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은 들깨의 고소한 향과 토마토 페이스트의 상큼향이 어우러져 입맛을 돋우는 최상의 풍미를 느끼게 하여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맛에 있어서 토마토 페이스트의 비율이 높은 경우(비교예 27, 비교예 29 및 비교예 32)에는 새콤한 맛이 들깨의 고소한 맛을 중화시켜 들깨의 맛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고 토마토 페이스트의 씁쓸한 잔맛이 느껴졌을 뿐만 아니라 되직한 소스가 치킨의 일부분에 뭉친 상태로 도포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소스의 맛이 치킨 전체에서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토마토 페이스트의 비율이 낮은 경우(비교예 25, 비교예 28 및 비교예 30)에는 새콤한 맛이 부족하고 치킨 양념의 감칠맛이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소스가 전체적으로 묽어져 진한 양념 맛이 충분히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 1은 토마토 페이스트의 새콤한 맛과 들깨의 고소한 맛이 조화를 이루어 관능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마토 페이스트의 중량부가 높은 경우(비교예 27, 비교예 29 및 비교예 32) 소스가 전체적으로 걸죽해지므로 치킨에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여 양념이 과하게 도포된 부분과 부족하게 도포된 부분과의 차이가 발생해 양념을 수 회 도포하는 동안 튀김옷이 눅눅해져 식감에 좋지 못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토마토 페이스트의 중량부가 낮은 경우(비교예 25, 비교예 28 및 비교예 30)에는 소스 점도가 낮게 형성되어 튀김옷이 전체적으로 빠르게 눅눅해져서 바삭거리는 튀김의 식감이 느껴지지 않아 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실시예 1의 제조 비율에 따른 들깨가루 및 토마토 페이스트 비율로 제조된 경우 최적 점도의 소스가 튀김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바삭한 식감과 함께 들깨소스의 풍미 및 양념 맛이 극대화 되어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호도 평가에 따르면, 실시예 1 대비 비교예 9 내지 16은 풍미, 맛 및 식감에 있어서 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40℃ 내지 50℃의 숙성 온도에서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혼합물이 깊은 맛을 낼 수 있도록 충분히 조화를 이루는 것이 비교예 9 내지 11의 살균 조건이 실시예 1과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다는 점 및 비교예 3, 비교예 7 및 비교예 14이 다른 숙성온도 조건 대비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다는 점으로 확인된다. 또한, 치킨들깨양념 소스를 95℃가 넘는 온도로 살균하였고, 소스가 걸죽해지고 짠맛이 도드라져 비교예 12 내지 16 대비 실시예 1에서의 관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3. 들깨해물탕용 소스
들깨가루 및 된장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제조예 1과 비교예 33 내지 40의 들깨 치킨들깨양념 소스의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0대의 남녀 직장인 50명을 대상으로 5점 평점법(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에 의해 들깨 오리엔탈 소스의 풍미, 맛 및 식감에 대한 기호도를 각각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균값을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 풍미 | 맛 | 식감 | 전체적인기호도 |
실시예1 | 4.68 | 4.80 | 4.61 | 4.70 |
비교예1 | 4.57 | 4.68 | 4.50 | 4.58 |
비교예2 | 4.58 | 4.69 | 4.51 | 4.59 |
비교예3 | 4.62 | 4.71 | 4.53 | 4.62 |
비교예4 | 4.61 | 4.7 | 4.52 | 4.61 |
비교예5 | 4.6 | 4.7 | 4.52 | 4.61 |
비교예6 | 4.61 | 4.71 | 4.51 | 4.61 |
비교예7 | 4.63 | 4.72 | 4.54 | 4.63 |
비교예8 | 4.62 | 4.7 | 4.51 | 4.61 |
비교예9 | 4.60 | 4.69 | 4.52 | 4.60 |
비교예10 | 4.61 | 4.7 | 4.52 | 4.61 |
비교예11 | 4.62 | 4.69 | 4.51 | 4.61 |
비교예12 | 4.59 | 4.7 | 4.52 | 4.60 |
비교예13 | 4.60 | 4.68 | 4.52 | 4.60 |
비교예14 | 4.62 | 4.71 | 4.53 | 4.62 |
비교예15 | 4.60 | 4.69 | 4.50 | 4.59 |
비교예16 | 4.56 | 4.67 | 4.48 | 4.57 |
비교예33 | 3.14 | 3.30 | 3.01 | 3.15 |
비교예34 | 3.59 | 3.72 | 3.21 | 3.51 |
비교예35 | 3.33 | 3.51 | 3.40 | 3.41 |
비교예36 | 4.21 | 4.25 | 4.15 | 4.20 |
비교예37 | 4.52 | 4.49 | 4.40 | 4.47 |
비교예38 | 3.87 | 3.95 | 3.70 | 3.84 |
비교예39 | 4.32 | 4.39 | 3.92 | 4.21 |
비교예40 | 4.05 | 4.19 | 4.09 | 4.11 |
표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들깨해물탕용 소스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풍미, 맛, 식감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들깨해물탕용 소스에서 된장의 중량비가 5.5로 가장 높은 경우(비교예 35, 비교예 37 및 비교예 40)에는 된장의 고유한 쿰쿰한 냄새로 인하여 들깨 특유의 고소항 향이 반감되는 반면, 된장의 중량비가 4.5로 가장 낮은 경우(비교예 33, 비교예 36 및 비교예 38)에는 오히려 된장의 구수한 풍미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시예 1의 경우 된장의 은은하면서도 구수한 향이 들깨의 향긋한 향이 상승효과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소스의 향이 풍부하면서 깊게 어우러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맛에 있어서 된장의 중량비가 5.5로 가장 높은 경우(비교예 35, 비교예 37 및 비교예 40) 된장의 짠맛이 과하여 다른 소스의 재료 맛이 잘 느껴지지 않았고, 된장의 양이 가장 부족한 경우(비교예 33, 비교예 36 및 비교예 38)에는 감칠맛이 충분하지 못하고 된장 특유의 시원한 맛이 덜하였다. 실시예 1은 각 재료의 고유의 맛이 풍부하게 느껴지면서도 전체적으로 된장의 담백하고 구수한 맛과 들깨의 고소한 맛이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된장의 중량부가 가장 높은 경우(비교예 35, 비교예 37 및 비교예 40)에는 소스의 점도가 높아 풀리지 않은 덩어리가 국물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들깨가루의 비율이 높으면 입안에 들깨 입자의 텁텁함이 남아 선호도가 높지 못하였다. 된장의 양이 적은 경우(비교예 33, 비교예 36 및 비교예 38)에는 해물의 탱탱함이 반감된 것으로 나타나, 된장이 해물탕의 해물의 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들깨의 거친 식감이 과하게 느껴져 찌개 소스로는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호도 평가에 따르면, 실시예 1 대비 비교예 12 내지 16은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고, 이는 들깨해물탕용 소스를 95℃가 넘는 온도로 열처리한 경우에는 소스가 걸죽해지고 짠맛이 도드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실시예 1 대비 비교예 9 및 10의 대장균 수는 적게 측정되었으나 기호도 측면에서 다소 낮게 평가된 것으로 볼 때,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들깨해물탕용 소스의 혼합물이 깊은 맛을 낼 수 있도록 충분히 숙성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재료 준비 단계; 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 단계; 살균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1 숙성 단계; 및 제1 숙성된 혼합물을 재숙성하는 제2 숙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단계는 95 내지 96℃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1 숙성 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2 숙성 단계는 제1 숙성된 혼합물을 병입 후 방냉하여 숙성하는 것인 들깨 소스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은 볶은들깨가루 1.4 중량부; 계피분말 0.1 중량부; 흑후추분말 0.1 중량부; 구아검 0.1 중량부; 파프리카추출색소 0.1 중량부; 고춧가루 0.5 중량부; 밀가루 1.4 중량부; 정제소금 1.5 중량부; 마늘쵸핑 2.0 중량부; 아세틸아디핀산전분 2.5 중량부; 양파쵸핑 3.0 중량부; 저감미당 3.3 중량부; 토마토페이스트 5.0 중량부; 백설탕 7.0 중량부; 고과당 8.5 중량부; 물엿 27.5 중량부; 및 정제수 36 중량부 로 혼합된 것인 들깨 소스 제조 방법.
- 재료 준비 단계; 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 단계; 살균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1 숙성 단계; 및 제1 숙성된 혼합물을 재숙성하는 제2 숙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단계는 95 내지 96℃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1 숙성 단계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2 숙성 단계는 제1 숙성된 혼합물을 병입 후 방냉하여 숙성하는 것인 들깨 소스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은 볶은들깨가루 1.5 중량부; 흑후추분말 0.1 중량부; 호박산이나트륨 0.2 중량부; 리보핵산 0.5 중량부; 생강쵸핑 1.0 중량부; 가쓰오다시 2.0 중량부; L-글루탐산나트륨 2.5 중량부; 백설탕 3.0 중량부; 대파쵸핑 3.0 중량부; 진간장 3.0 중량부; 고춧가루 13.0 중량부; 마늘쵸핑 4.0 중량부; 양파쵸핑 5.0 중량부; 된장 5.0 중량부; 정제소금 8.0 중량부; 저감미당 21.96 중량부; 및 정제수 26.24 중량부 로 혼합된 것인 들깨 소스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155A KR102590115B1 (ko) | 2020-11-24 | 2020-11-24 |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155A KR102590115B1 (ko) | 2020-11-24 | 2020-11-24 |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112A KR20220072112A (ko) | 2022-06-02 |
KR102590115B1 true KR102590115B1 (ko) | 2023-10-18 |
Family
ID=8198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9155A KR102590115B1 (ko) | 2020-11-24 | 2020-11-24 |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011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0014B1 (ko) * | 2010-12-21 | 2013-05-31 | 최은경 | 가금류 치킨용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102285450B1 (ko) | 2018-11-30 | 2021-08-03 | 고창군 | 복분자 발사믹 드레싱 소스 조성물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9155A patent/KR102590115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셀러드 레시피]오리엔탈 소스 만들기, (2018.03.25.), (https://junskitchen.tistory.com/51) 1부.* |
들깨드레싱, 요리레시피, (2008.01.07.), (https://www.fourfree.com/cook/view.ff?bd_no=542&bd_category=&bd_category_md=)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112A (ko)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114072A (ko) | 조직콩단백질을 이용한 콩소시지 제조방법 | |
KR102202782B1 (ko) | 저염식 어묵 반죽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저염식 어묵 | |
KR102590115B1 (ko) | 들깨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03274908A (ja) |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6896925B2 (en) | Cooking salt formulations and methods | |
KR101766580B1 (ko) | 산마늘이 함유된 만두 제조방법 | |
KR20190037634A (ko) | 다목적용 김치미트소스의 제조방법 | |
KR101972396B1 (ko) |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3812607A (zh) | 一种洋葱酒香拌面酱及其制备方法 | |
KR101863287B1 (ko) | 김치 볶음밥용 소스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김치 볶음밥 | |
KR101894985B1 (ko) | 홍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33714B1 (ko) |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강된장 소스 | |
KR102616350B1 (ko) | 닭비린내가 제거된 닭갈비의 제조방법 | |
CN104187576A (zh) | 具有果粒感的湿态型番茄酱调料包及其制备方法 | |
KR102440036B1 (ko) | 중국향(向)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30120245A (ko) | 간장 숙성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137577A (ko) | 고추장 소스를 이용한 반건어물 구이 | |
KR20150031620A (ko) | 빈대떡 프리믹스 가루의 제조방법 | |
KR101620686B1 (ko)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
KR102443671B1 (ko) | 다진 양념의 제조방법 | |
KR102645365B1 (ko) | 채소, 해물 분말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70742B1 (ko) | 콩빈대떡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30046435A (ko) | 김치시즈닝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06370A (ko) | 저염 마늘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염 마늘 고추장 | |
KR20230052345A (ko) | 채소류 조미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