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440B1 -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440B1
KR102587440B1 KR1020217041185A KR20217041185A KR102587440B1 KR 102587440 B1 KR102587440 B1 KR 102587440B1 KR 1020217041185 A KR1020217041185 A KR 1020217041185A KR 20217041185 A KR20217041185 A KR 20217041185A KR 102587440 B1 KR102587440 B1 KR 10258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polysilicon layer
layer
form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343A (ko
Inventor
춘밍 왕
시안 리우
난 도
레오 싱
구오 용 리우
멜빈 디아오
Original Assignee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0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28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gate other tha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e.g. program gate, erase gate or select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4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hot carrier injection
    • H01L29/7885Hot carrier injection from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 위에 제1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1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 절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절연 스페이서 아래에 제1 폴리실리콘 블록을 남기도록 제1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소스 영역이 제1 폴리실리콘 블록의 제1 측부 표면에 인접하게 기판에 형성된다. 제2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2 폴리실리콘 층이 형성된다. 제2 폴리실리콘 층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기판 위에 그리고 제1 폴리실리콘 블록의 제2 측부 표면에 인접하게 제2 폴리실리콘 블록을 남긴다. 제3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3 폴리실리콘 층이 형성된다. 제3 폴리실리콘 층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소스 영역 위에 제3 폴리실리콘 블록을 남긴다. 드레인 영역이 제2 폴리실리콘 블록에 인접하게 기판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9년 7월 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Forming Split-Gate Flash Memory Cell With Spacer Defined Floating Gate And Discretely Formed Polysilicon Gates"인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598339.9호, 및 2020년 2월 2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Forming Split-Gate Flash Memory Cell With Spacer Defined Floating Gate And Discretely Formed Polysilicon Gates"인 미국 특허출원 제16/796,412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분리형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에 관한 것이다.
3개의 게이트를 갖는 분리형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315,056호를 참조하는데, 이는 반도체 기판 내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 - 이때 채널 영역이 그들 사이에 연장됨 -, 채널 영역의 제1 부분 위의 플로팅 게이트, 채널 영역의 제2 부분 위의 제어 게이트(워드 라인 게이트로도 지칭됨), 및 소스 영역 위의 프로그래밍/소거(program/erase, P/E) 게이트를 각각 갖는 분리형 게이트 메모리 셀들을 개시한다.
메모리 셀들의 다양한 요소들의 형성을 더 잘 제어하기 위해 제조 방법 개선들이 요구된다.
전술된 문제들 및 요구는 다음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반도체 기판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제1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1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 절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절연 스페이서 아래에 제1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제1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 제1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은 대향하는 제1 측부 표면 및 제2 측부 표면들을 가짐 -;
제1 측부 표면에 인접하게 기판에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위에 제2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2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제2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그리고 제2 측부 표면에 인접한 그리고 그로부터 절연된 제2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기판 위에 제3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3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영역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제3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제3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제2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에 인접하게 기판에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이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의 검토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분리 영역(isolation region)들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메모리 셀들을 형성함에 있어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한 대안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들을 형성함에 있어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2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들을 형성함에 있어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3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들을 형성함에 있어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플로팅 게이트들이 평면 상부 표면들을 갖는, 도 2e, 도 4d, 도 5c 및 도 6d의 메모리 셀들을 각각 도시하는 측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 셀당 3개의 게이트들을 갖는 비휘발성 분리형 게이트 메모리 셀들을 형성하는 개선된 방법이다. 도면들은 한 쌍의 메모리 셀들만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공정 동안 그러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가 형성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공정은 반도체 기판(10)의 상부 표면 상에 이산화규소(본 명세서에서 "산화물"로도 지칭됨)와 같은 절연 층(12)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먼저 분리 영역들을 형성함으로써 시작된다. 폴리실리콘(본 명세서에서 "폴리(poly)"로도 지칭됨)과 같은 전도성 층(14)이 산화물 층(12) 상에 형성된다. 실리콘 질화물(본 명세서에서 "질화물"로도 지칭됨)과 같은 절연 층(16)이 폴리 층(14) 상에 형성된다. 이들 층들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포토레지스트가 구조물 위에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마스킹) 공정(즉, 포토레지스트 형성, 포토레지스트의 선택적 노출, 하부 재료의 부분들을 노출된 채로 남겨두는 포토레지스트의 선택적 부분들의 제거)을 사용하여 패턴화된다. 여기서, 질화물 층(16)의 부분들이 노출된 채로 남겨진다. 질화물 층(16), 폴리 층(14), 산화물 층(12)을 통해 기판(10) 내로 연장되는 트렌치들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노출된 채로 남겨진 그들 영역들에서 일련의 에칭들이 수행된다. 이어서, 트렌치들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산화물 침착에 의해 그리고 산화물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 CMP)에 의해 절연 재료(18)(예컨대, 산화물)로 충전된다. 산화물(18)의 상단들을 낮추기 위해 산화물 건조 또는 습식 에칭 폴리싱이 사용된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 에칭이 사용되어 질화물(16)을 제거한다. 산화물(18)의 상단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 층(14)의 상단 표면과 평평하거나 또는 약간 더 낮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렌치들 내에 형성된 산화물(18)은 당업계에 얕은 트렌치 분리(shallow trench isolation, STI)로서 알려져 있고, 기판(10)의 활성 영역들의 컬럼(column)들을 한정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때 인접한 활성 영역 컬럼들은 STI 산화물(18)에 의해 서로 절연된다.
절연 재료(20)(예컨대, 질화물)의 블록들이 활성 영역들 각각에서 폴리 층(14) 상에 형성된다. (한 쌍의 메모리 셀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블록(20)은, 예를 들어 폴리 층(14) 상에 질화물의 층을 형성하고, 마스킹 단계를 수행하여 질화물 층의 부분들을 포토레지스트로 선택적으로 커버하면서 다른 부분들을 노출된 채로 남기고, 이방성 질화물 에칭을 사용하여 질화물 층의 노출된 부분들을 제거하여 블록들(20)을 폴리 층(14) 상에 남김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폴리실리콘 경사 에칭(polysilicon sloped etch)이 사용되어 폴리 층(14)의 상부 표면을 에칭하여, 폴리 층(14)에 대한 경사진 상부 표면을 생성하는데, 여기서 상부 표면은 그것이 질화물(20)의 각각의 블록에 접근함에 따라 상향으로 경사진다. 원하는 경우, 플로팅 게이트 임계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이어서 폴리 층(14)의 노출된 부분들 상에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질화물 블록들 중 하나에 대한 생성된 구조물이 도 2a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활성 영역들 중 하나의 부분 단면도(즉, 도 1a 내지 도 1c의 활성 영역에 대한 직교 단면도)이다.
절연 스페이서들(22)(예컨대, 산화물로 형성됨)이 폴리 층(14) 상에 형성된다. 스페이서들의 형성은 잘 알려져 있고, 재료의 침착에 뒤이어 재료의 이방성 에칭을 수반하며, 그에 의해 재료는 수직으로 배향된 구조물들에 맞닿는 그의 부분들을 제외하고 제거된다. 스페이서의 상부 표면은 전형적으로 둥글다. 이러한 경우에, 산화물이 침착되고, 뒤이어 이방성 산화물 에칭이 이어져, 질화물 블록(20)의 측벽들에 맞닿는 산화물 스페이서들(22)을 남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에칭이 수행되어 산화물 스페이서들(22) 및 질화물 블록(20)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폴리 층(14)의 부분들을 제거한다. 워드 라인 임계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이때에 (기판 표면 상의 산화물 층(12)을 버퍼 층으로서 사용하여) 질화물 블록(20) 및 산화물 스페이서들(22)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기판(10)의 부분들 내로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절연 스페이서들(24)이 폴리 층(14)의 노출된 단부들 상에 형성되는데, 이는 결국 완성된 메모리 셀들의 플로팅 게이트들과 워드 라인 게이트들 사이의 주요 분리부일 것이다. 절연 스페이서들(24)은 (고온 산화물(high temperature oxide, HTO) 침착과 같은 산화물 침착 및 이방성 산화물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스페이서들(24)은 대신에, (산화물 침착 및 에칭 후에 질화물 침착 및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산화물과 질화물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스페이서(24)는 폴리 층(14)의 제1 단부들에(즉, 제1 측부 표면들(15a)을 따라) 배치된다. 이어서, 전도성 스페이서들(26)이 스페이서들(22/24)의 외측 측면들 상에,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리콘 침착 및 폴리실리콘 에칭에 의해 형성된다. 전도성 스페이서들(26)의 형성은, 폴리 층(14)의 형성 후의 그리고 폴리실리콘 스페이서 에칭 전의 버퍼 산화물 침착 및 산화물 에칭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질화물 에칭이 수행되어 질화물 블록(20)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 폴리 층(14)의 일부분을 노출된 채로 남긴다. 이어서, 폴리 에칭이 수행되어 폴리 층(14)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아래에 별개의 폴리 블록들(14a)을 남긴다. 각각의 폴리 블록(14a)은 제1 측부 표면(15a) 반대편의 제2 측부 표면(15b)의 단부에서 날카로운 에지(sharp edge)(14b)로 종단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상부 표면을 갖는다.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의 그리고 폴리 블록들(14a) 사이의 기판(10)에 소스 영역(28)을 형성하기 위해 주입 공정이 뒤따른다(즉, 소스 영역(28)은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 존재하는 갭 및 폴리 블록들(14a) 사이에 존재하는 갭 아래에 형성됨). 이러한 시점에서 또는 그 후에 어닐링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소스 영역(28)이 폴리 블록(14a)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게 할 것이다. 이어서, 날카로운 에지들(14b)에 인접한 폴리 블록들(14a)의 노출된 단부들을 포함하여, 구조물들 상에 산화물 층(30)이 침착된다. 산화물 층(30)은 터널 산화물 층으로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완성된 메모리 셀들에 대한 소거 동작 동안 전자들이 이러한 층을 통해 터널링할 것이기 때문이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폴리실리콘의 층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폴리 층은 동일한 기판의 논리 영역(즉, 논리 디바이스들이 형성되는 동일한 기판의 영역)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폴리 층 두께가 논리 영역보다 메모리 어레이 영역(여기서 메모리 셀들)에서 더 두꺼운 것이 요구되는 경우, 캡 산화물 층이 폴리실리콘 층 상에 형성되고 디바이스의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캡 산화물 층을 제거하도록 패턴화될 수 있으며, 뒤이어 메모리 영역에서 폴리 층을 두껍게 하기 위해 추가 폴리실리콘의 침착이 이어진다. 논리 영역 내의 캡 산화물 층 상의 추가 폴리실리콘은 폴리 화학 기계적 연마(CMP)에 의해 나중에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폴리 에칭이 수행되어,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 배치된 폴리 층의 블록(32)을 제외하고, 메모리 어레이 영역 내의 폴리 층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이 수행되어 폴리 스페이서들(26)에 인접하게 기판에 드레인 영역들(34)을 형성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방법은 메모리 셀들(36)의 쌍들을 형성한다. 각각의 메모리 셀 쌍은 공유된 소스 영역(28) 및 2개의 드레인 영역들(34)을 포함하고, 이때 2개의 채널 영역들(38)이 각각 소스 영역(28)과 드레인 영역들(34) 중 하나 사이에 연장된다. 소거 게이트(32)가 소스 영역(28) 위에 배치되고 산화물 층들(12, 30)에 의해 그로부터 절연된다. 각각의 메모리 셀(36)은 채널 영역(38)의 제1 부분 위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절연된(그리고 그의 전도도를 제어하는) 플로팅 게이트(14a), 및 채널 영역(38)의 제2 부분 위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절연된(그리고 그의 전도도를 제어하는) 워드 라인 게이트(26)를 포함한다. 플로팅 게이트(14a)는 소거 게이트(32)에 형성된 노치(notch)(32a)를 대면하는 (경사 표면으로부터 생성된) 날카로운 팁(14b)을 갖는다. 날카로운 팁(14b)은 터널 산화물 층(30)에 의해 소거 게이트(32)로부터 절연된다. 소거 게이트(32) 아래의 전체 절연부(산화물 층들(12, 30))는 플로팅 게이트(14a) 아래의 전체 절연부(산화물 층(12))보다 더 크다.
예시적인(비제한적인) 동작 전압들 및 전류가 하기 표 1에 요약되어 있는데, 여기서 프로그래밍되거나, 소거되거나 판독되고 있는 메모리 셀(선택됨-SEL)에 인가된 전압들/전류, 및 다른 메모리 셀들(선택되지 않음-UnSEL))에 인가된 전압들이 나타내어진다.
[표 1]
메모리 셀들(36)의 쌍들을 형성하는 전술된 공정은 몇 가지 이점들을 갖는다. 플로팅 게이트들(14)은 STI 산화물(18)에 자가 정렬되고, (더 나은 제어를 위해) 산화물 스페이서들(22)에 의해 한정되는 채널 방향에서의 치수들을 갖는다. 워드 라인 게이트들(26)은 플로팅 게이트들(14a)에 자가 정렬된다. 각각의 메모리 셀(36)은 3개의 전도성 게이트들(14a, 26, 32)을 갖고, 이들 각각은 상이한 폴리실리콘 층 침착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따라서 각각의 높이는 독립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14a)는 향상된 소거 성능을 위해 소거 게이트(32)를 대면하는 날카로운 에지(14b)를 갖는다. (채널 영역의 방향에서) 각각의 워드 라인 게이트(26)의 길이는, 더 나은 치수 제어를 위해 그리고 별도의 마스킹 단계를 요구하지 않고서 게이트 자체의 스페이서 형성에 의해 결정된다. 플로팅 게이트(14a)와 워드 라인 게이트(26) 사이의 분리(산화물 또는 산화물/질화물)는 스페이서 형성에 의해 독립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터널 산화물(30)이 플로팅 게이트(14a)의 날카로운 팁(14b) 주위를 둘러싸는 단일 층으로서 형성된다. 위의 방법을 사용하면, 소거 효율과 워드 라인 게이트 성능이 독립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STI 산화물(18)을 형성하기 위한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공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층들을 형성함으로써 시작되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 층(16)과 산화물 층(12) 사이에 폴리 층(14)이 없다. 질화물 층(16)이 패턴화되고(포토레지스트 형성, 노출, 선택적 제거, 질화물 에칭), 뒤이어 산화물 및 실리콘이 에칭되어 질화물 층(16), 산화물 층(12)을 통해 기판(10) 내로 연장되는 트렌치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트렌치들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절연 재료(18)(예컨대, 산화물)로 충전된다. 질화물 에칭이 사용되어 질화물 층(16)을 제거하고, 폴리 침착 및 에칭에 의해 STI 산화물(18) 사이의 산화물 층(12) 상에 폴리 층(14)이 형성된다. 산화물 에칭 및/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층(14)의 상단 표면과 평평하거나, 또는 약간 더 낮게 STI 산화물(18)의 상단들을 낮추는 데 사용되며, 이는 도 1c에 도시된 구조물과 동등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메모리 셀들(36)을 형성하기 위한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하는데, 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스페이서들(26)의 형성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c의 동일한 구조물로 시작된다. 폴리실리콘의 층(40)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마스킹 단계가 수행되어, 질화물 블록(20) 위의 그러한 부분뿐만 아니라 노출된 채로 남겨지는, 질화물 블록(20)에 인접한 산화물 스페이서들(22)의 일부 위의 추가 부분을 제외하고, 폴리 층(40)을 포토레지스트로 커버한다. 폴리 층(40)의 이러한 노출된 부분은,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이어서, 질화물 에칭이 수행되어 질화물 블록(20)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의 폴리 층(14)의 일부분을 노출된 채로 남긴다. 이어서, 폴리 에칭이 수행되어 폴리 층(14)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아래에 별개의 폴리 블록들(14a)을 남긴다.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서 그리고 폴리 블록들(14a) 사이에서 기판(10)에 소스 영역(28)을 형성하기 위한 주입 공정이 뒤따른다. 이러한 시점에서 또는 그 후에 어닐링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소스 영역(28)이 폴리 블록들(14a)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게 할 것이다. 이어서, 날카로운 에지들(14b)에 인접한 폴리 블록들(14a)의 노출된 단부들 및 폴리 층(40)의 노출된 표면들을 포함하여, 구조물들 상에 산화물 층(30)이 침착된다. 이어서, 폴리실리콘의 층(42)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폴리실리콘 및 산화물 에칭들이 사용되어,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의 폴리 층(42)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폴리 블록(42a)을, 그리고 폴리 층(40)의 나머지 부분들로서 스페이서들(22/24)의 외측 측부들 상의 폴리 스페이서들(40a)을 제외하고, 폴리실리콘 층들(40, 42) 및 산화물 층(30)의 부분들을 제거하여, 드레인 주입을 위해 노출된 기판의 부분들을 남긴다. 산화물 층(44)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이어서, 주입이 수행되어 폴리 스페이서들(40a)에 인접하게 기판(10)에 드레인 영역들(34)을 형성한다. 최종 구조물이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c의 구조물로 시작되는, 메모리 셀(36)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 기계적 연마(CMP)가 사용되어, 산화물 스페이서들(22)의 상단 표면까지 아래로 구조물의 상단 표면을 평탄화한다(따라서, 각각의 산화물 스페이서(22)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폴리실리콘이 없고, 그에 따라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의 폴리 층(42)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별개의 폴리 블록(42a)을 한정함).
마스킹 단계가 수행되어 폴리 블록(42a) 및 폴리 층(40)의 부분들을 포토레지스트(46)로 커버하지만, 구조물의 나머지는 노출된 채로 남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및 산화물 에칭들이 수행되어 폴리 층들(42/40) 및 산화물 층(30)의 노출된 부분들을 제거하여, 스페이서들(22/24)의 외측 측부들 상의 폴리 층(40)의 나머지 부분들로서 폴리 블록(40b)을 남긴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에, 산화물 층(48)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이어서, 주입이 수행되어 폴리 블록들(40b)에 인접하게 기판에 드레인 영역들(34)을 형성한다. 최종 구조물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추가 마스킹 단계를 포함하지만, 그것은 리소그래피 마스킹 공정에 의해 한정되는 채널 영역 방향에서의 길이들을 갖는 워드 라인 게이트들을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a의 구조물로 시작되는, 메모리 셀들(36)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폴리실리콘의 층(52)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산화물 층(54)이 폴리 층(52)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 기계적 연마가 사용되어 질화물 블록(20) 위에 있는 그리고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위에 있는 산화물(54) 및 폴리(52)의 부분들을 제거한다. 구조물은 선택적으로 산화되어 폴리 층(52)의 노출된 상단 부분들 상에 산화물 층(56)을 형성하여, 아래에 기술된 폴리 층(14)의 후속 에칭으로부터 폴리 층(52)을 보호한다. 산화물 층(56)이 생략되는 경우, 폴리 층(14)의 에칭은 폴리 층(52)의 상단 부분들이 제거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고, 따라서 폴리 층(52)으로부터 더 짧은 워드 라인 게이트들을 초래할 것이다. 질화물 에칭이 수행되어 질화물 블록(20)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 폴리 층(14)의 일부분을 노출된 채로 남긴다. 이어서, 폴리 에칭이 수행되어 폴리 층(14)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아래에 별개의 폴리 블록들(14a)을 남긴다. 산화물 스페이서들(22) 사이에서 그리고 폴리 블록들(14a) 사이에서 기판(10)에 소스 영역(28)을 형성하기 위한 주입 공정이 뒤따른다. 이러한 시점에서 또는 그 후에 어닐링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소스 영역(28)이 폴리 블록(14a)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게 할 것이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날카로운 에지들(14b)에 인접한 폴리 블록들(14a)의 노출된 단부들을 포함하여, 구조물들 상에 산화물 층(30)이 침착된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의 층이 구조물 위에 형성되고, 뒤이어 스페이서들(22) 사이에 배치된 폴리 블록(58)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폴리실리콘 층을 제거하는 폴리 에칭이 이어진다. 마스킹 단계가 수행되어 폴리 블록(58) 및 폴리 층(52)의 부분들을 포토레지스트로 커버하지만, 구조물의 나머지는 노출된 채로 남긴다. 폴리 및 산화물 에칭들이 수행되어 폴리 층(52) 및 산화물 층들(56/54)의 노출된 부분들을 제거하여, 스페이서들(22/24)의 외측 측부들 상의 폴리 층(52)의 나머지 부분들로서 폴리 블록들(52a)을 남긴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에, 이어서, 주입이 수행되어 폴리 블록들(52a)에 인접하게 기판에 드레인 영역들(34)을 형성한다. 최종 구조물이 도 6d에 도시되어 있다.
플로팅 게이트(14a)의 상단 표면의 경사 에칭이 소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지만, 그 경사 에칭은 향상된 소거 효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된 경사 에칭이 생략되면, 도 2e에 도시된 최종 메모리 셀 구조물은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것일 것이고, 여기서 플로팅 게이트(14a)는 평면 상부 표면을 갖는다. 유사하게, 도 4d에 도시된 최종 메모리 셀 구조물은 대신에 도 8에 도시된 것일 것이고, 도 5c에 도시된 최종 메모리 셀 구조물은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것일 것이고, 도 6d에 도시된 최종 메모리 셀 구조물은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것일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되고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형들을 포괄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대한 언급은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단지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된 재료들, 공정들, 및 수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청구항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모든 방법 단계들이 예시되거나 청구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의 적절한 형성을 허용하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되면 된다. 재료의 단일 층들이 그러한 또는 유사한 재료들의 다수의 층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형성하는" 및 "형성되는"은 재료 퇴적, 재료 성장, 또는 개시되거나 청구된 바와 같은 재료를 제공함에 있어서의 임의의 다른 기술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 위에" 및 "~ 상에" 둘 모두는 "직접적으로 ~ 상에"(어떠한 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도 사이에 배치되지 않음)와 "간접적으로 ~ 상에"(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이 사이에 배치됨)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인접한"은 "직접적으로 인접한"(어떠한 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도 사이에 배치되지 않음)과 "간접적으로 인접한"(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이 사이에 배치됨)을 포함하고, "~에 실장되는"은 "직접적으로 ~에 실장되는"(어떠한 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도 사이에 배치되지 않음)과 "간접적으로 ~에 실장되는"(중간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이 사이에 배치됨)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는"은 "직접적으로 ~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요소들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어떠한 중간 재료들 또는 요소들도 사이에 없음)과 "간접적으로 ~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요소들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중간 재료들 또는 요소들이 사이에 있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판 위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은 어떠한 중간 재료들/요소들도 사이에 갖지 않고서 직접적으로 기판 상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간 재료들/요소들을 사이에 갖고서 간접적으로 기판 상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2)

  1.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반도체 기판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제1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1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 바로 위에 절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 스페이서 아래에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은 대향하는 제1 측부 표면 및 제2 측부 표면들을 가짐 -;
    상기 제2 측부 표면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침착과는 상이한, 제2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2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측부 표면에 인접한 그리고 그로부터 절연된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 위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침착 및 제2 폴리실리콘 침착과는 상이한, 제3 폴리실리콘 침착을 사용하여 제3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영역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제1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제1 폴리실리콘 에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제2 측면 상에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제2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소스 영역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을 남기도록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제2 폴리실리콘 에칭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에칭은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한 후에 수행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 절연 재료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 그리고 상기 절연 재료의 블록 상에 절연 재료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 재료의 블록의 측부 표면에 맞닿는 상기 절연 재료의 층의 상기 절연 스페이서를 남기도록 상기 절연 재료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제1 측면과 정렬된 상기 제1 측부 표면을 한정하기 위해 제1 폴리실리콘 에칭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에칭 후 상기 절연 재료의 블록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제2 측면과 정렬된 상기 제2 측부 표면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절연 재료의 블록을 제거한 후 제2 폴리실리콘 에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상부 표면의 일부분이, 상기 상부 표면의 일부분이 상기 절연 재료의 블록에 접근함에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 상에서 폴리실리콘 경사 에칭(polysilicon sloped etch)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절연 스페이서는 상향으로 경사진 상기 상부 표면의 일부분 상에 형성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은 상기 제2 측부 표면에서 날카로운 에지(sharp edge)로 종단되는 상기 상향으로 경사진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은 상기 날카로운 에지로부터 절연되고 이를 대면하는 노치(notch)를 갖는 측부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 층의 블록은 폴리실리콘의 스페이서인,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17041185A 2019-07-04 2020-03-06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KR10258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98339.9 2019-07-04
CN201910598339.9A CN112185815A (zh) 2019-07-04 2019-07-04 形成具有间隔物限定的浮栅和离散地形成的多晶硅栅的分裂栅闪存存储器单元的方法
US16/796,412 2020-02-20
US16/796,412 US11404545B2 (en) 2019-07-04 2020-02-20 Method of forming split-gate flash memory cell with spacer defined floating gate and discretely formed polysilicon gates
PCT/US2020/021454 WO2021002892A1 (en) 2019-07-04 2020-03-06 Method of forming split-gate flash memory cell with spacer defined floating gate and discretely formed polysilicon g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343A KR20220008343A (ko) 2022-01-20
KR102587440B1 true KR102587440B1 (ko) 2023-10-10

Family

ID=7391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185A KR102587440B1 (ko) 2019-07-04 2020-03-06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04545B2 (ko)
EP (1) EP3994731B1 (ko)
JP (1) JP7473570B2 (ko)
KR (1) KR102587440B1 (ko)
CN (1) CN112185815A (ko)
TW (1) TWI744868B (ko)
WO (1) WO2021002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5970B (zh) * 2019-07-02 2024-05-28 硅存储技术公司 形成分裂栅存储器单元的方法
US11362218B2 (en) * 2020-06-23 2022-06-1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thinned side edge tunnel oxid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130A (en) 1990-01-22 1991-07-02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ingle transistor non-valatile electrically alter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856943A (en) 1996-03-18 1999-01-05 Integrated Memory Technologies, Inc. Scalable flash EEPROM memory cell and array
IT1318145B1 (it) * 2000-07-11 2003-07-23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sso per fabbricare una cella di memoria non-volatile con unaregione di gate flottante autoallineata all'isolamento e con un alto
US6727545B2 (en) 2000-09-20 2004-04-2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low resistance source regions and high source coupling
US6952034B2 (en) 2002-04-05 2005-10-0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buried source line and floating gate
KR100634162B1 (ko) * 2002-05-15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플리트 게이트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747310B2 (en) * 2002-10-07 2004-06-08 Actrans System Inc. Flash memory cells with separated self-aligned select and erase gates, and process of fabrication
US20050012137A1 (en) * 2003-07-18 2005-01-20 Amitay Levi Nonvolatile memory cell having floating gate, control gate and separate erase gate, an array of such memory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315056B2 (en) * 2004-06-07 2008-01-0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program/erase and select gates
JP4845110B2 (ja) * 2006-08-17 2011-12-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プリットゲート型不揮発性メモリとその製造方法
US8138524B2 (en) * 2006-11-01 2012-03-20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lf-aligned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memory cells with source side erase, and a memory array made thereby
US20090039410A1 (en) * 2007-08-06 2009-02-12 Xian Liu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Having A Floating Gate, Control Gate, Select Gate And An Erase Gate With An Overhang Over The Floating Gat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711636B2 (en) 2011-05-13 2014-04-29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operating a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with coupling gate
CN102956643A (zh) * 2011-08-24 2013-03-06 硅存储技术公司 制造非易失浮栅存储单元的方法和由此制造的存储单元
CN103107138B (zh) * 2011-11-11 2014-09-2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带外围电路的分离栅极式快闪存储器的制作方法
US8878281B2 (en) 2012-05-23 2014-11-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non-volatile memory cells
US9018690B2 (en) 2012-09-28 2015-04-28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plit-gate memory cell with substrate stressor reg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975131B2 (en) 2012-09-28 2015-03-10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lf-aligned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single poly layer
US9123822B2 (en) * 2013-08-02 2015-09-0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having a silicon-metal floating g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263293B2 (en) * 2014-01-10 2016-02-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Flash memory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50213898A1 (en) 2014-01-27 2015-07-30 Silicon Storage Technololgy, Inc. Byte Erasable Non-volatile Memory Architecture And Method Of Erasing Same
US9343465B2 (en) * 2014-08-29 2016-05-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tegrated circuit for high-voltage device protection
US9960172B2 (en) 2014-11-19 2018-05-01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Reliable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05655338A (zh) 2014-12-04 2016-06-08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非挥发性存储单元及其制作方法
JP6343721B2 (ja) 2015-01-23 2018-06-13 シリコン ストーリッジ テクノロー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金属ゲートを備えた自己整合型分割ゲートメモリセルアレイ及び論理デバイスの形成方法
US9917165B2 (en) * 2015-05-15 2018-03-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mory cell structure for improving erase speed
US9646978B2 (en) * 2015-06-03 2017-05-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lf-aligned flash memory device with word line having reduced height at outer edge opposite to gate stack
US9570592B2 (en) 2015-06-08 2017-02-1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5 volt logic devices
US9793279B2 (en) * 2015-07-10 2017-10-1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plit gate non-volatile memory cell having a floating gate, word line, erase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859291B2 (en) 2015-08-03 2018-01-02 Iotmemory Technology Inc. Non-volatile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34019B1 (en) * 2015-10-01 2017-04-25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Non-volatile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integrated high K metal g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141321B2 (en) 2015-10-21 2018-11-2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flash memory with separate wordline and erase gates
WO2017078920A1 (en) 2015-11-03 2017-05-1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having metal g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583640B1 (en) 2015-12-29 2017-02-28 Globalfoundries Inc. Method including a formation of a control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semiconductor structure
CN107305892B (zh) 2016-04-20 2020-10-02 硅存储技术公司 使用两个多晶硅沉积步骤来形成三栅极非易失性闪存单元对的方法
WO2017184315A1 (en) * 2016-04-20 2017-10-26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pairs of three-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s using two polysilicon deposition steps
CN107342288B (zh) * 2016-04-29 2020-08-04 硅存储技术公司 分裂栅型双位非易失性存储器单元
CN107425003B (zh) * 2016-05-18 2020-07-14 硅存储技术公司 制造分裂栅非易失性闪存单元的方法
US9978761B2 (en) * 2016-05-27 2018-05-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lf-aligned flash memory device
US10418451B1 (en) 2018-05-09 2019-09-1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plit-gate flash memory cell with varying insulation gate oxid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10784270B2 (en) 2018-06-26 2020-09-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to improve fill-in window for embedded memory
TWI700819B (zh) 2018-11-09 2020-08-01 物聯記憶體科技股份有限公司 非揮發性記憶體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343A (ko) 2022-01-20
EP3994731A1 (en) 2022-05-11
US11404545B2 (en) 2022-08-02
JP7473570B2 (ja) 2024-04-23
TWI744868B (zh) 2021-11-01
WO2021002892A1 (en) 2021-01-07
JP2022539403A (ja) 2022-09-08
CN112185815A (zh) 2021-01-05
US20210005724A1 (en) 2021-01-07
TW202121662A (zh) 2021-06-01
EP3994731B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02B1 (ko) 자가 정렬 플로팅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TWI641114B (zh) 使用兩個多晶矽沉積步驟來形成三柵極非揮發性快閃記憶體單元對的方法
KR101992590B1 (ko) 분리형-게이트, 트윈-비트 비휘발성 메모리 셀
US20150021679A1 (en) Architecture to Improve Cell Size for Compact Array of Split Gate Flash Cell with Buried Common Source Structure
KR102397576B1 (ko) 다양한 절연 게이트 산화물들을 갖는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TWI600144B (zh) 使用增強橫向控制閘至浮閘耦合之改良尺度之分離閘快閃記憶體單元
KR102414347B1 (ko) 분리형 게이트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KR100621553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3169175A (zh) 具有鳍式场效应晶体管结构和hkmg存储器和逻辑栅的分裂栅非易失性存储器单元及其制备方法
JP2008118136A (ja) ソース側消去を伴う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メモリセルの半導体メモリアレイを形成する自己整合法及びこれによって形成されるメモリアレイ
KR102587440B1 (ko) 스페이서 한정된 플로팅 게이트 및 분리되어 형성된 폴리실리콘 게이트들을 갖는 분할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KR20230031334A (ko) 워드 라인 게이트 위에 배치된 소거 게이트를 갖는 스플릿 게이트, 2-비트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26859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