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118B1 -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118B1
KR102587118B1 KR1020217019627A KR20217019627A KR102587118B1 KR 102587118 B1 KR102587118 B1 KR 102587118B1 KR 1020217019627 A KR1020217019627 A KR 1020217019627A KR 20217019627 A KR20217019627 A KR 20217019627A KR 102587118 B1 KR102587118 B1 KR 10258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igot
collar structure
connector socket
shee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342A (ko
Inventor
모르간 뤼만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슈비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슈비츠 아게 filed Critical 외티커 슈비츠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9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48Arrangements for sealing connectors to header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오리피스(10a)에 스피곳(12)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소켓이며,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오리피스(10a)를 갖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 및 상기 오리피스(10a)를 둘러싸는 돌출 칼라 구조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구조부(16)는 시트 금속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시트 금속으로 일체식으로 제조되는, 커넥터 소켓.

Description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본 발명은 냉각 액체와 같은 액체 유동을 위한 액체 커넥터용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이다.
튜브 또는 호스를 통해 액체를 안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용기 또는 다른 종류의 리셉터클과 튜브 또는 호스 사이에 유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벽 또는 용기 또는 리셉터클에 스피곳(spigot)을 부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용기 벽은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스피곳은 오리피스에 삽입되거나 부착된다. 스피곳과 벽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예측되는 힘을 견디고 밀봉되기에 충분히 강건해야 한다. 시트 금속으로 이루어진 벽의 경우에, 이는 보통 돌출 소켓 또는 수형 커넥터 부분을 금속 시트 상에 용접, 납땜 또는 브레이징함으로써 달성된다. 스피곳은 이후 소켓에 장착되거나 커넥터 부분과 연결된다.
이러한 장착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연결부를 밀봉하기에 충분한 접촉 압력을 생성하도록 나사 체결하기 위한, 소켓 및 공구를 필요로 한다. 소켓은 일반적으로 용접 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오리피스를 갖는 벽에 부착된다. 이는 번거롭고 잠재적인 에러의 원인이다.
본 발명은 소형이고 경량이며 사용하기 쉬운 커넥터 소켓, 이러한 소켓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 이러한 소켓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스피곳을 오리피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오리피스를 갖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오리피스를 둘러싸는 돌출 칼라 구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 구조부는 시트 금속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시트 금속 플레이트의 시트 금속으로 일체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제안된다.
시트 금속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시트 금속 플레이트와 일체식으로 칼라 구조부를 형성함으로써, 브레이징 또는 용접을 포함하는 추가의 제조 단계를 피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칼라 구조부는 매우 강성이고 실질적으로 절단될 수 없다. 구조부 자체가 보강 리브를 형성한다. 브레이징 또는 용접-공정으로부터 기인하는 불순물 또는 불완전한 용접으로 인한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시트 금속 성형 공정은, 선택적으로 레이저 절단에 의해 보완되는, 스탬핑, 딥 드로잉, 펀칭, 블랭킹, 스탬핑, 엠보싱, 벤딩, 성형, 탭 압출 또는 코일 압출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곳은 예를 들어 냉각제 또는 냉각 액체와 같은 액체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칼라 구조부가 상기 스피곳의 수형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이는 소켓 내의 스피곳의 깊은 안착에 의해서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소켓이 스피곳과 칼라 구조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커넥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수단은 칼라 구조부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링-형상의 스냅온(snap-on)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냅온 모듈은 상기 칼라 구조부의 오리피스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삽입 부분을 포함하고, 삽입 방향에서의 원통형 삽입 부분의 원격 단부는 칼라 구조부와 맞물리는 제1 스냅온 구조부를 구비한다. 스냅온 모듈은 공구 없이도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도 하는 한편, 스피곳을 위한 신뢰성 있고 강건하며 정밀한 연결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스냅온 모듈을 갖는 실시예에서, 용기 또는 리셉터클의 내부에 도달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 스피곳이 용기 또는 리셉터클의 외측에서부터 장착되어야 하는 적용예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수단은 칼라 구조부 및 스피곳의 수형 단부 모두와 스냅-잠금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공구 없이 전체 조립체의 용이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의 삽입 부분의 원통형 내부 벽이 O-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치를 구비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제1 O-링은 스냅온 모듈 내의 오리피스의 내부 벽과 스피곳의 수형 단부의 외부 벽 사이에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 구조부의 내부 원주부가, 제2 O-링을 삽입부의 외부 벽과 칼라 구조부 사이에 배열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노치 또는 플랜지와 같은 구조부를 포함한다. 제2 O-링은 스냅온 모듈과 칼라 구조부 사이의 신뢰성 있는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제2 O-링이 칼라 구조부의 외측 벽 주위로 제공되는 것 및/또는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이 상기 칼라 구조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 및 스냅온 모듈의 외부 벽과 칼라 구조부 사이의 갭 내에 제공되는 제2 O-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제안한다. 제2 O-링은 스냅온 모듈과 칼라 구조부 사이의 신뢰성 있는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칼라 구조부의 내부 측 상의 O-링 및 칼라 구조부의 외부 측 상의 O-링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형상 스냅온 모듈은 플라스틱 부품이다. 이는 경량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신뢰성 있는 해결책이다. 플라스틱은 적용예에 의해서 부여되는 화학적 및 열적 요건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섬유 보강재 또는 금속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칼라 구조부는 시트 금속을 뒤집어 절첩함(folding back)으로써 얻어지는 원통형 이중층 구조부이며, 시트 금속의 림은 칼라 구조부의 내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림은 스피곳 또는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의 래칭 구조부를 위한 안정되고 날카로우며 잘-규정된 맞물림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곳의 수형 단부가 그 단부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래칭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구조부는 상기 커넥터 수단의 원통형 내부 표면 상의 대응하는 래칭 구조부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이는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스피곳의 쉽고 간단한 스냅온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곳의 단부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의 래칭 구조부는 상기 커넥터 수단의 원통형 내부 표면의 림 주위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수단의 원통형 내부 표면은 상기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의 원통형 내부 표면이다. 스냅온 모듈 내로의 스피곳의 삽입 및 래칭에 의해서, 모듈이 칼라 구조부를 향해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스냅온 모듈은 제 위치에서 잠금 된다.
스냅온 모듈과 칼라 구조부 사이의 스냅온 연결 및 스피곳과 스냅온 모듈 사이의 스냅온 연결 모두는, 예를 들어, 스피곳 및 스냅온 모듈 또는 다른 요소를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칼라 및/또는 스냅온 모듈은, 연결이 적절한 세그먼트를 정렬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도록 분할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앞서 규정된 커넥터 소켓 및/또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특히 배터리 조립체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 청구범위 및 도면은 특정 조합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개시한다. 숙련된 기술자는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그 특정 요구에 적용시키기 위해 그 특징들을 별개로 고려하고 추가의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을 얻기 위해 그 특징들을 조합하여 고려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구조부를 포함하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와 스냅온 모듈을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구조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구조부를 포함하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스피곳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냅온 모듈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 및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냉각 액체를 열 교환기로 안내한다. 열 교환기의 벽 중 하나는 오리피스(10a)를 갖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이다. 스피곳(12)은 오리피스(10a)에 부착된다. 스피곳(12)은 액체, 예를 들어 플레이트(10)의 오리피스(10a) 내에 배열되는 스피곳(10c)의 오리피스(10c)에서 종료되는 냉각제 또는 물을 위한 내부의 각진 유로를 갖는다. 오리피스(10c)를 통과하는 유로 내에서 유동하는 액체를 안내하기 위해 스피곳(12)을 금속 플레이트(1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수단(14)이 제공된다. 커넥터 수단(14)은 오리피스(10a)를 둘러싸는 돌출 칼라 구조부(16)를 갖는 커넥터 소켓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구조부(16)는 펀칭 및 딥 드로잉과 같은 시트 금속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시트 금속으로 일체식으로 제조된다. 원형 원통형 칼라 구조부(16)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주 평면 또는 접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원통-배럴 형상의 원형 벽으로서 시트 금속 플레이트(10)로부터 돌출한다. 강성도(stiffness)의 관점에서, 칼라 구조부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의 원형 보강 리브이다.
칼라 구조부(16)는 스피곳(12)과 시트 금속 플레이트(10) 사이의 연결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칼라 구조부(16)의 중심에 제공된 오리피스(10a)의 림을 안정화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칼라 구조부(16)는 시트 금속을 뒤집어 절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시트 금속의 림은 칼라 구조부(16)의 내측 상에 배열된다.
커넥터 수단(14)은 칼라 구조부(16)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을 추가로 포함한다. 스냅온 모듈(18)은 상기 칼라 구조부(16)의 오리피스(10a)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삽입 부분(18a)을 포함하고, 삽입 방향으로의 원통형 삽입 부분(18a)의 원격 단부는 칼라 구조부(16)의 하부 림과 맞물리는 제1 스냅온 구조부로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냅-끼움 돌출부를 갖는 복수의 래치(18b)를 구비한다.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의 삽입 부분(18a)의 원통형 내부 벽은 제1 O-링(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치(18c)를 구비한다.
상기 스피곳(12)의 수형 단부가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의 오리피스(10b) 내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칼라 구조부(16) 내에 삽입되며 커넥터 수단(14)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 위치에 잠금되도록 구성된다. 스피곳의 플랜지(28)가 스냅온 모듈(18) 내로의 스피곳의 삽입 깊이를 제한한다. 래치(18b)의 내측 편향은 삽입된 스피곳(12)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스피곳(12)의 수형 단부는 그 단부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복수의 래칭 구조부를 포함하고, 래칭 구조부는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의 원통형 내부 표면의 하부 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원통형 삽입부분(18a)을 칼라 구조부(16)의 오리피스(10a) 내로 삽입할 때, 래치(18b)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고 최종 맞물림 위치에 도달할 때 다시 스냅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곳(12)의 래칭 단부는 스냅온 모듈(18)의 내부 (하부) 표면 위로 약간 돌출한다.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은,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6)의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칼라 구조부(16) 상으로 클립핑된 뒤집어진 U-형상의 프로파일이도록, 칼라 구조부(16)를 둘러싸고 칼라 구조부(16)의 반경 방향 외부 벽에 맞닿는 외부 벽을 더 포함한다.
스냅온 모듈(18)과 금속 플레이트(10)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하는 제2 O-링(22)이 칼라 구조부(16)의 내부 원주부 상에 배열되고, 칼라 구조부는 칼라 구조부(16)와 삽입 부분(18a)의 외부 벽 사이에 배열된 제2 O-링(2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6a)를 포함한다.
스피곳(12)의 원격 단부는, 예를 들어 호스 클램프에 의해 추가로 고정될 수 있는, 냉각제 호스에 끼워지는 미늘(barb) 구조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스피곳(12)의 원격 단부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호스 또는 튜브를 연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스피곳(12), 스냅온 모듈(18), 스피곳(12)과 스냅온 모듈(18)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는 제1 O-링(20) 및 스냅온 모듈(18)과 금속 플레이트(10)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는 제2 O-링(22)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은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운반 가능한 유닛으로 금속 플레이트(10)의 칼라 구조부(16) 상에 사전-조립 및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사전-조립된 구조부가 도 5에 도시된다. 사전-조립된 유닛은 스냅온 모듈(18)의 손실 위험 없이 운반될 수 있고, 이후 스피곳(12) 및 호스가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적용예의 최종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 구조부(16)를 갖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는 냉각 플레이트, 열 교환기 또는 배터리 플레이트 조립체의 일부이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임의의 재료의 모든 종류의 리셉터클을 위한 쉽게 연결 가능한 스피곳(12)에 적용될 수 있다.
시트 금속 플레이트(10) 및 커넥터 조립체는 냉각 액체를 운반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 특히 배터리 조립체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추가 실시예의 후속하는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으로 제한된다. 변경되지 않은 특징부와 관련하여, 숙련된 기술자는 제1 실시예의 앞선 설명을 참조한다.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유사한 효과를 갖는 특징부의 동일한 특징부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스냅온 모듈(18)과 시트 금속 플레이트(10)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해 O-링(22)이 외부 벽과 칼라 구조부(16) 사이의 갭 내에 제공된다. 칼라 구조부(16)의 내측 상의 플랜지는 이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스피곳(12) 및 스냅온 모듈을 도시하며, 스냅온 모듈(18)의 오리피스(10b) 내로 삽입될 스피곳(12)의 단부 부분에는 스냅온 모듈(18)의 래치(18b1)의 서브세트의 내향 돌출하는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24)가 제공된다. 제2 서브세트의 래치(18b2)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오리피스(10a)(도시되지 않음)와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맞물린다. 원주 방향으로의 리세스(24)의 제한된 폭은 스피곳(12) 및 스냅온 모듈(18)의 상대 회전 위치를 규정하고, 이는 스냅온 모듈(18)의 상부 표면 및 스피곳(12)의 플랜지(28) 상의 정합 구조부(26, 26')에 의해 추가로 규정된다.

Claims (15)

  1. 오리피스(10a)에 스피곳(12)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소켓으로서,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오리피스(10a)를 갖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 및 상기 오리피스(10a)를 둘러싸는 돌출 칼라 구조부(16)를 포함하는, 커넥터 소켓에 있어서,
    상기 칼라 구조부(16)는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주 평면 또는 접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통-배럴 형상의 원형 벽으로서 시트 금속 플레이트(10)로부터 돌출하고, 스피곳(12)을 연결하기 위한 삽입 부분(18a)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칼라 구조부(16)는 시트 금속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시트 금속 플레이트(10)의 시트 금속으로 일체식으로 제조되고,
    상기 칼라 구조부(16)는 칼라 구조부(16)의 내측 상의 상기 오리피스(10a)의 측면 상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림을 갖는 원통형 이중층 구조부이며, 상기 칼라 구조부(16)의 내부 원주는 칼라 구조부(16)와 삽입 부분(18a)의 외부 벽 사이의 O-링(2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칼라 구조부(16)는 스피곳(12)의 수형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칼라 구조부(16)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링-형상 스냅온 모듈(18)을 포함하는 커넥터 수단(14)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냅온 모듈(18)은 오리피스(10a)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삽입 부분(18a)을 포함하고, 삽입 방향으로의 원통형 삽입 부분(18a)의 원격 단부에는 칼라 구조부(16)와 맞물리는 제1 스냅온 구조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커넥터 수단(14)이 칼라 구조부(16) 및 스피곳(12)의 수형 단부 모두와 스냅-잠금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O-링(20)을 추가로 포함하고,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의 삽입 부분(18a)의 원통형 내부 벽에 제1 O-링(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노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라 구조부(16)의 외부 벽 주위에 제공되는 O-링(2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이중층 구조부는 시트 금속을 뒤집어 절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8. 제3항에 따른 커넥터 소켓 및 상기 스피곳(12)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곳(12)의 수형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래칭 구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 구조부는 상기 커넥터 수단(14)의 원통형 내부 표면 상의 대응하는 래칭 구조부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스피곳(12)의 단부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의 상기 래칭 구조부는 상기 커넥터 수단(14)의 원통형 내부 표면의 림 주위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단(14)의 원통형 내부 표면은 상기 링-형상의 스냅온 모듈(18)의 원통형 내부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삽입 부분(18a)의 칼라 구조부(16)와의 맞물림은 상기 스피곳(12)의 상기 수형 단부의 삽입에 의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항에 따른 커넥터 소켓 또는 제8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각 플레이트.
  13. 제1항에 따른 커넥터 소켓 또는 제8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를 위한, 냉각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19627A 2018-11-29 2018-11-29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KR102587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83068 WO2020108764A1 (en) 2018-11-29 2018-11-29 Connector socket, connector assembly, cooling plate and cool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or so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342A KR20210093342A (ko) 2021-07-27
KR102587118B1 true KR102587118B1 (ko) 2023-10-16

Family

ID=6466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627A KR102587118B1 (ko) 2018-11-29 2018-11-29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835166B2 (ko)
EP (1) EP3887701A1 (ko)
JP (1) JP7213350B2 (ko)
KR (1) KR102587118B1 (ko)
CN (1) CN113167411B (ko)
BR (1) BR112021008885B1 (ko)
CA (1) CA3118970C (ko)
MX (1) MX2021005563A (ko)
WO (1) WO2020108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108A1 (en) * 2020-01-23 2021-07-28 Valeo Autosystemy SP. Z.O.O. A plate and spigot connection system
DE202020103791U1 (de) 2020-06-30 2021-10-04 Reinz-Dichtungs-Gmbh Stutzen zur Anbringung an einem plattenartigen Fluidbehälter sowie ein plattenartiger Fluidbehälter mit einem derartigen Stutzen
FR3115089A1 (fr) * 2020-10-09 2022-04-15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traversee de paroi
KR20220060817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쿨런트 포트 어셈블리
DE102021126530A1 (de) 2021-10-13 2023-04-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emperiervorrichtung für Batterie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884A1 (en) * 2001-03-21 2004-05-06 Jurgen Faller Brake servo comprising a connecting element with a defined angular position
JP4588933B2 (ja) * 2001-07-10 2010-12-01 株式会社ティラド 樹脂製パイプとタンクと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22978A (fr) 1962-02-22 1963-04-05 Chausson Usines Sa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d'une boîte à eau d'un échangeur de chaleur avec une tubulure, notamment une tubulure d'amenée de liquide
DE2353362C3 (de) * 1973-10-25 1982-05-13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Wasserkasten für Wärmetauscher
JPS5877720A (ja) 1981-10-31 1983-05-11 Aisin Warner Ltd 3重折りボス部付環状フランジ板の製造方法
JPH0542893Y2 (ko) * 1987-09-08 1993-10-28
JPH082464Y2 (ja) * 1989-04-18 1996-01-2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5131572A (en) * 1990-09-24 1992-07-21 Tolco Corporation Jug and dispensing valve
JPH078947Y2 (ja) * 1991-10-29 1995-03-06 株式会社ヒロテック フランジ付パイプの結合構造
JPH0618130U (ja) * 1992-08-17 1994-03-08 トキコ株式会社 気圧式倍力装置
DE29802029U1 (de) * 1998-02-06 1998-03-26 Hummel Anton Verwaltung Anschlußarmatur mit axial vorstehendem Befestigungsvorsprung
JP2000088167A (ja) * 1998-09-18 2000-03-31 Usui Internatl Ind Co Ltd 分岐管の接続構造
FR2808322B1 (fr) * 2000-04-27 2002-09-06 Valeo Thermique Moteur Sa Echangeur de chaleur avec collecteur d'encombrement redui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6942255B2 (en) * 2002-04-23 2005-09-13 Q3Jmc, Inc. Twist fitting for air tank connections
JP2004100864A (ja) * 2002-09-11 2004-04-02 Tacmina Corp 継手装置
DE102004016051B4 (de) 2003-08-18 2014-08-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JP5182540B2 (ja) * 2004-12-07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ケース
US7862090B1 (en) * 2007-12-28 2011-01-04 R.L. Hudson & Company Plug-in fitting for direct connection to housing
JP5877720B2 (ja) * 2012-01-17 2016-03-08 西場 重蔵 包装用筒状収縮フィルム、並びに、収縮フィルムのセンターシール方法及び装置
KR101210861B1 (ko) * 2012-01-17 2012-12-11 오두만 고온고압의 기체가 흐르는 관로의 플랜지 접속을 위한 스테인리스 가스켓의 제조방법
DE202012102342U1 (de) * 2012-06-26 2013-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Rohrleitungen
JP6299681B2 (ja) * 2015-06-17 2018-03-28 マツダ株式会社 電動車両用バッテリ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884A1 (en) * 2001-03-21 2004-05-06 Jurgen Faller Brake servo comprising a connecting element with a defined angular position
JP4588933B2 (ja) * 2001-07-10 2010-12-01 株式会社ティラド 樹脂製パイプとタンク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4205A (ja) 2022-02-10
CA3118970A1 (en) 2020-06-04
US11835166B2 (en) 2023-12-05
CA3118970C (en) 2024-01-16
BR112021008885A2 (pt) 2021-08-10
BR112021008885B1 (pt) 2023-10-24
WO2020108764A1 (en) 2020-06-04
KR20210093342A (ko) 2021-07-27
US20220003346A1 (en) 2022-01-06
JP7213350B2 (ja) 2023-01-26
CN113167411B (zh) 2023-12-19
EP3887701A1 (en) 2021-10-06
MX2021005563A (es) 2021-07-02
CN113167411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118B1 (ko) 커넥터 소켓, 커넥터 조립체, 냉각 플레이트 및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KR102587123B1 (ko) 커넥터 조립체, 이러한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JPH0323798B2 (ko)
US11796099B2 (en) Connector having a pilot with an indicator
US11391403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fluidic arrangement and related fluidic arrangement
US6805383B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secure electrical contact
JPS62502282A (ja) 自動車用熱交換器の流体タンクおよびそれを液体回路に接続するための急速作動カップリング
RU2773766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и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узел
RU2773858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гнездо,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и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гнездо
US1121530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CN210034700U (zh) 管道连接结构
US11413559B2 (en) J-hook filter assembly
BR112021008856B1 (pt) Montagem de conector, e sistema de refrigeração incluindo tal montagem
CN114423984A (zh) 用于多腔型材和/或管线的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1179610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vessel to a fluid tube
EP4296553A1 (en) Cooling element for an electric component,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 battery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WO2021165715A1 (en) Quick connector
CN112096991A (zh) 用于连接阳接头和柔性管的快速连接器
MX2012010338A (es) Montaje de cuel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