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37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374B1
KR102586374B1 KR1020217001165A KR20217001165A KR102586374B1 KR 102586374 B1 KR102586374 B1 KR 102586374B1 KR 1020217001165 A KR1020217001165 A KR 1020217001165A KR 20217001165 A KR20217001165 A KR 20217001165A KR 102586374 B1 KR102586374 B1 KR 10258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control signal
emission control
display device
pixe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542A (ko
Inventor
타카노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other tha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프레임리스화를 실현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1)는 기판(2)과,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3), 발광 제어 신호선(4), 주사 신호선(5), 주사 신호선(4)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및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7)을 구비한다. 구동 제어 신호선(7)은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7a)과, 제1부분(7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7b)과,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제1부분(7a)과는 반대측의,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7c)을 포함한다. 발광 제어 신호선(4)은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을 포함하고,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1부분(7a)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3부분(7c)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개시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를 발광부에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복수 갖는, 백라이트 장치가 불필요한 자발광형의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197543호 공보
최근,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부를 확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화상 표시부 둘레 가장자리의 프레임 부분의 폭을 좁히거나, 또는 프레임 부분을 실질적으로 없애는(이하, 총칭하여, 「프레임리스화한다」라고 한다)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표시 장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가 화상 표시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리스화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 최근,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부를 확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그것에 따라, 화상 표시부 둘레 가장자리의 프레임 부분의 폭을 매우 좁힌 표시 장치, 또는 프레임 부분을 실질적으로 없앤 표시 장치(이하, 총칭하여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라고 한다)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표시 장치는, 게이트 드라이버, 소스 드라이버 등의 드라이버 회로가 화상 표시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로 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단지, 드라이버 회로 및 드라이버 회로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선을 화상 표시부에 배치했을 경우, 제어 신호선을 전달하는 제어 신호가 발광소자의 구동 전류에 영향을 주어, 표시되는 화상에 색얼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다.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으로서,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 또는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와 역극성의 신호가 공급되는 보상 신호선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다. 상기 보상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다.
또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으로서,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보상 신호선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다. 상기 보상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4부분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5부분과 같은 측으로 연장되는 제6부분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많고,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와 동극성의 신호가 외부로부터 상기 제6부분에 공급된다.
본 개시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를 화상 표시부에 배치할 수 있고, 표시 장치를 프레임리스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개시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발광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b는 발광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c는 발광부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a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의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b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의 주사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c는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의 진리값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7b는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8은 제3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4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다.
도 11은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2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a는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3b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4는 제5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7은 제6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본 개시의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재 중,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 않은 회로기판, 배선 도체, 제어 IC, LSI 등의 주지의 구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발광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4b는 발광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4c는 발광부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a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의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5b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의 주사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5c는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의 진리값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3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배선층이 2층으로 이루어질 경우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있다. 배선층이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배선 레이아웃과는 다른 배선 레이아웃이어도 좋다. 다른 배선층에 배치된 신호선은, 예를 들면, 배선층간 콘택트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는 기판(2), 화소 어레이(3),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4),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5),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은 유리기판 등의 절연성 기판이며, 제1면(한쪽 주면)(2a) 및 제1면(2a)과는 반대측의 제2면(다른쪽 주면)(2b)을 갖고 있다. 화소 어레이(3), 발광 제어 신호선(4), 주사 신호선(5),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은,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2)은 제1면(2a)의 측에 화상 표시부(2c)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2c)에는 화소 어레이(3),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2)의 제2면(2b)측에는 발광 제어 신호선(4) 및 주사 신호선(5)을 구동하는 구동소자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동소자는, 예를 들면, 제2면(2b)에 COG(Chip On Glass) 방식 등의 수단에 의해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구동소자 대신에, 발광 제어 신호선(4) 및 주사 신호선(5)의 구동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이 기판(2)의 제2면(2b)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화소 어레이(3)는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복수의 발광부(이하, 화소라고 할 경우가 있다)(8)가 m행 n열의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다(m, n은 자연수). 각 발광부(8)는 발광소자(9),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및 용량소자(11)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행수 m 및 열수 n의 양쪽이 256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화소 어레이의 행수 m 및 열수 n은 256 이외의 수이어도 좋다. 또한, 화소 어레이(3)의 행수 m과 화소 어레이(3)의 열수 n은 서로 달라도 좋다.
발광소자(9)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발광소자(9)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칩형의 LED, 모놀리식형의 LED 등이어도 좋다. 또한, 발광소자(9)는 자발광형의 소자이면 좋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 Luminescence: EL) 소자, 무기 EL 소자, 반도체 레이저 소자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발광부(8)가 2개의 TFT(10a), TFT(10b) 및 1개의 용량소자(11)를 포함하고 있다. TFT(10a, 10b)는,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막을 갖고,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인 3단자를 갖고 있다. 기판(2)이 유리기판이며, TFT(10a, 10b)가 저온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막을 가질 경우, 기판(2) 상에 TFT를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의 박막 형성법에 의해 직접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FT(10a, 10b)는 게이트 전극에 소정 전위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반도체막(채널)에 전류를 흘리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한다.
도 4a에 나타낸 발광부(8)는, n채널형 TFT인 TFT(10a)와 p채널형 TFT인 TFT(10b)를 갖고 있다. TFT(10a)는 게이트 전극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가 도통하여 온 상태로 되어 전류가 흐른다. TFT(10a)는 발광소자(9)에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로서 사용되고 있다. TFT(10a)가 온 상태로 되면, 발광 제어 신호선(4)을 전달하는 신호인 발광 제어 신호(이하, 화상 신호라고 할 경우가 있다)(Sig)의 레벨(전압)이 화소 노드(Vg)에 기록된다. TFT(10b)는 게이트 전극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가 도통하여 온 상태로 되어 전류가 흐른다. TFT(10b)는 발광 제어 신호(Sig)의 레벨(전압)에 따른, 정전압(3V∼5V 정도: VDD)과 부전압(-3V∼0V 정도: VSS)의 전위차(발광신호)로부터 발광소자(9)를 전류 구동하기 위한 구동소자로서 사용되고 있다. TFT(10b)는 게이트 전극에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고, 발광 제어 신호의 레벨에 따른 전위차(발광신호)가 발광소자(9)의 정전극(애노드 전극) 및 부전극(캐소드 전극)에 인가된다. 용량소자(11)는 TFT(10b)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을 접속하는 접속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용량소자(11)는 TFT(10b)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된 발광 제어 신호의 전압을 다음의 재기록까지의 기간(1프레임의 기간) 유지하는 유지 용량으로서 기능한다.
도 4a에서는, 각 발광부(8)가 n채널형 TFT(10a)와 p채널형 TFT(10b)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각 발광부(8)는,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n채널형 TFT(10c, 10d)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 발광부(8)는 2개의 p채널형 TFT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각 발광부(8)가 1개의 발광소자(9)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발광부(8)는 적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R), 녹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G) 및 청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B)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적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R)는 적색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색 발광소자(9R)를 갖고, 녹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G)는 녹색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녹색 발광소자(9G)를 갖고, 청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B)는 청색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청색 발광소자(9B)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풀컬러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된다. 또한, 각 발광부(8)는 적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R), 녹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G) 및 청색 발광용의 부발광부(8B)에 추가해서, 예를 들면, 백색 발광용의 부발광부, 황색 발광용의 부발광부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각 발광부(8)가 백색 발광용의 부발광부를 갖고 있을 경우, 부발광부(8R, 8G, 8B)를 사용해서 백색을 표현할 경우와 비교하여 백색 발광시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각 발광부(8)가 황색 발광용의 부발광부를 갖고 있을 경우, 부발광부(8R, 8G, 8B)를 사용해서 황색을 표현할 경우와 비교하여 황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c에서는, 부발광부(8R, 8G, 8B)의 주사 신호선(GLR, GLG, GLB)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주사 신호선(GLR, GLG, GLB)은 별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부발광부(8R, 8G, 8B)의 발광 제어 신호선(SLR, SLG, SLB)은, 예를 들면, 부발광부(8R, 8G, 8B)에 1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을 통해서 발광 제어 신호를 시분할로 출력하는 시분할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4)(SL1, SL2, …)은,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화소 어레이(3)의 열마다 배치되어 있다. 발광 제어 신호선(4)은 구동소자의 화상신호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각 발광 제어 신호선(4)은 상기 발광 제어 신호선(4)이 배치되어 있는 화소 어레이(3)의 열에 속하는 발광부(8)에 화상신호를 공급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제어 신호선(4)의 입력단부에는, 스위칭 소자(12)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칭 소자(12)로서는, 예를 들면, CMOS 트랜스퍼 게이트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CMOS 트랜스퍼 게이트 소자는, p채널 TFT와 n채널 TFT를, 소스 전극끼리를 접속하고, 드레인 전극끼리를 접속해서 구성된다. CMOS 트랜스퍼 게이트 소자의 각 소스 전극은, 기판(2)의 측면(2d)에 형성된 측면 도체를 통해서 구동소자의 화상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CMOS 트랜스퍼 게이트 소자의 각 드레인 전극은, 발광 제어 신호선(4)에 접속되어 있다. p채널 TFT의 게이트 전극 및 n채널 TFT의 게이트 전극은, 제어 입력 전극으로 되어 있다. p채널 TFT의 게이트 전극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n채널 TFT의 게이트 전극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흘러서 화상신호가 발광 제어 신호선(4)에 입력된다.
측면 도체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등의 도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판(2)의 제1면(2a)과 제2면(2b)을 접속하는 측면(2d)에 배치되어 있다. 측면 도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측면(2d)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에 도금법, 증착법, CVD법 등의 박막 형성법 등에 의해 도체막을 성막하는 방법, 측면(2d)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에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소성해서 도체층을 제작하는 압막 형성법, 및 측면(2d)의 소정 부위에 에칭법 등에 의해 홈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홈에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소성해서 도체층을 제작하는 압막 형성법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주사 신호선(5)(GL1, GL2, …)은,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화소 어레이(3)의 행마다 배치되어 있다. 주사 신호선(5)은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접속되어 있다. 각 주사 신호선(5)은 상기 주사 신호선(5)이 배치되어 있는 화소 어레이(3)의 행에 속하는 발광부(8)에 주사선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은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이하, 디코드 회로라고 할 경우가 있다)(6a), 및 주사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이하, 드라이버 회로라고 할 경우가 있다)(6b)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행마다 1개의 디코드 회로(6a)가 배치되어 있다. 디코드 회로(6a)는,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정 논리합(NOR)의 논리 게이트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디코드 회로(6a)에는, 구동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주사선 선택 신호가 입력된다.
화소 어레이(3)의 행수가 256일 경우, 주사선 선택 신호는, 예를 들면, 8개의 선택 신호(A0∼A7), 및 선택 신호(A0∼A7)의 각각을 반전시킨 반전 선택 신호(XA0∼XA7)의 16개의 신호로부터 선택되는 8개의 신호이면 좋다. 주사선 선택 신호는 구동소자에 의해 생성되어, 16개의 주사선 선택 신호선(14)(GS0∼GS15) 중 8개를 통해서 디코드 회로(6a)의 입력부(IN0∼IN7)에 입력된다. 디코드 회로(6a)는 입력된 8개의 신호의 전부가 로우레벨의 신호일 경우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8개의 신호 중 적어도 1개가 하이레벨의 신호일 경우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는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된다.
드라이버 회로(6b)는 디코드 회로(6a)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회로(6b)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논리곱(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회로(6b)에는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 및 구동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이하, 구동 제어 신호라고 할 경우가 있다)(GATE_EN)가 입력된다. 드라이버 회로(6b)는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양쪽이 하이레벨의 신호일 경우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 중 적어도 1개가 로우레벨의 신호일 경우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드라이버 회로(6b)의 출력 신호는 화소 어레이(3)의, 상기 드라이버 회로(6b)가 배치되어 있는 행의 주사 신호선(5)(GL1, GL2, …)에 입력된다.
상기 구성의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의하면, 선택 신호(A0∼A7) 및 반전 선택 신호(XA0∼XA7)의 조합이 28=256가지 있으므로,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에 입력하는 선택 신호(A0∼A7) 및 반전 선택 신호(XA0∼XA7)에 의해, 주사 신호선(5)(GL1, GL2, …)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디코드 회로(6a)에는, 도 5c에 나타내는 진리값표에 따라서, 주사 신호선 중 1개(선택 GL)가 선택되도록, 선택 신호(A0∼A7) 및 반전 선택 신호(XA0∼XA7) 중 8개를 입력하면 좋다.
또, 도 5a에 나타낸 디코드 회로(6a)에서는, 부정 논리합(NOR)의 논리 게이트 회로를,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부정 논리합(NOR)의 논리 게이트 회로와, 부정 논리곱(N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 및 상기 부정 논리곱(N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회로 규모(게이트수)의 증대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드라이버 회로(6b)에서는, 논리곱(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를, 부정 논리곱(N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와, 상기 부정 논리곱(NAND)의 논리 게이트 회로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회로 규모(게이트수)의 증대를 억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각 행에 1개의 드라이버 회로(6b)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화소 어레이(3)의 각 행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드라이버 회로(6b), 및 상기 드라이버 회로(6b)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다른 드라이버 회로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 회로(6b)의 입력부에 있어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2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한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고, 다른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6b)의 입력부에 있어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가 2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한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고, 다른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 및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는 상기 다른 드라이버 회로에 입력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에 있어서의 주사 신호선(5)의 구동 타이밍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신호선(7)은 기판(2)의 제1면(2a)측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주사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6b)에 공급한다. 구동 제어 신호선(7)은 기판(2)의 제1면(2a)측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부(2c)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입력 패드(15)는, 예를 들면, 기판(2)의 측면(2d)에 형성된 측면 도체를 통해서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입력 패드(15)는 기판(2)의 제1면(2a)으로부터 제2면(2b)으로 관통하는 관통 도체를 통해서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구동 제어 신호선(7)에는,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가 설치되어 있다.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된 일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동 제어 신호선(7)은,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제1부분(7a)과, 제2부분(7b)과, 복수의 제3부분(7c)을 포함하고 있다. 제1부분(7a)은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부분(7b)은 제1부분(7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부분(7c)은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부분(7c)은 제2부분(7b)에 대하여 제1부분(7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부분(7a)는 간선부이며, 제2부분(7b)은 간선부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분기부이며, 제3부분(7c)은 분기선부이다. 또, 도 2 및 도 3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각 화소행에 1개의 제3부분(7c)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 제어 신호선(7)은 1개의 제3부분(7c)이 2개 이상의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도록 라우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부분(7c)의 수가 화소 어레이(3)의 행수보다 작아진다.
발광 제어 신호선(4)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을 포함하고 있다.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구동 제어 신호선(7)과의 교차 개소의 수가 서로 다르고,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1부분(7a)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3부분(7c)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즉, 간선부인 제1부분(7a)과 교차하는 발광 제어 신호선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며, 분기선부인 제3부분(7c)과 교차하는 발광 제어 신호선이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다. 또한,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는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인접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배선 밀도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인접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배선 밀도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 의하면,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와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7)을 화상 표시부(2c)에 배치하고,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선택 신호(A0∼A7) 및 반전 선택 신호(XA0∼XA7)를 공급하는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을 제1면(2a)의 측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배치되어 있는 화소열(예를 들면, 도 1∼도 3에 나타낸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6열)에 인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를 프레임리스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시 장치(1)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N개 존재하고(N은 자연수), N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은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N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N열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선 밀도가, 제1열∼제N열 이외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선 밀도보다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을 화상 표시부(2c)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함과 아울러,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을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N열의 근방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의 라우팅이 용이해진다. 또, 신호 입력 패드(15)는, 예를 들면, 기판(2)의 측면(2d)에 형성된 측면 도체를 통해서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입력 패드(15)는 기판(2)의 제1면(2a)으로부터 제2면(2b)으로 관통하는 관통 도체를 통해서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에는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의,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된 일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a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며, 도 7b는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또, 도 6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 대하여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의 구성이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4)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은 기판(2)의 제1면(2a)측에 배치되고, 평면으로 볼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다. 발광 제어 신호선(4)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은, 표시 장치(1)가 구비하는 복수층의 배선층의 다른 배선층에 배치되어 있고,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은 층간 절연막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이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하는 개소는,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으로 층간 절연막을 끼우는 구조로 되고, 기생용량이 발생한다. 표시 장치(1)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배치된 화소열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배치된 화소열에서,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배선 레이아웃이 다르다. 그 때문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배치된 화소열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배치된 화소열에서,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이 다르다. 따라서, 화소 어레이(3)의 인접하는 화소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4)에 대하여 같은 레벨의 화상신호를 공급했다고 해도,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통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발광부(8)에 기록되는 신호 레벨에 화소열 사이에서 차가 생길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가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 다르고, 화소열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색얼룩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도 7a를 참조하여,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 선택 신호(A0∼A7)의 전부가 로우레벨이며,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배치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화소 어레이(3)의 제1행 제1열의 화소(도 3에 나타내는 P11) 및 제1행 제7열의 화소(도 3에 나타내는 P17)에 동일 레벨의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 P11의 동작은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있어서의 제2열∼제6열의 화소에 대해서도 개략 같고, P17의 동작은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있어서의 제8열 이후의 화소에 대해서도 개략 같다.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에 배치된 발광 제어 신호선(SL1), 및 화소 어레이(3)의 제7열에 배치된 발광 제어 신호선(SL7)에는, 동일 레벨의 화상신호(Sig1, Sig7)가 공급되고 있다.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배치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로우레벨로부터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주사 신호선(GL1)이 활성화된다. 주사 신호선(GL1)이 활성화되면,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의 각 화소의 TFT(10a)가 온 상태로 되고, P11, P17의 화소 노드(Vg)에의 발광 제어 신호선(SL1, SL7)의 각각의 전위의 기록이 개시된다. 그 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이레벨로부터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주사 신호선(GL1)이 비활성화하면, P11,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가 유지되지만,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에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통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화상신호(Sig1)가 ΔSig1만큼 밀려 내려가고, 화상신호(Sig7)가 ΔSig7만큼 밀려 내려간다. 또한, 화상신호(Sig1, Sig7)의 저하에 따라서, P11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1)가 ΔV11만큼 밀려 내려가고,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7)가 ΔV17만큼 밀려 내려간다. 여기에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보다 작기 때문에, ΔSig1은 ΔSig7보다 작아진다. 그것에 따라서, ΔV11은 ΔV17보다 작아지고, P11의 화소 노드(Vg)에 유지되는 전위가 P17의 화소 노드(Vg)에 유지되는 전위보다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P11과 P17에서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P11의 발광휘도와 P17의 발광휘도에 차가 발생하여, 색얼룩으로서 시인될 경우가 있다.
상술의,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기인하는 색얼룩은, 발광 제어 신호선(SL1, SL7)에 공급하는 발광 제어 신호(Sig1, Sig7) 중 적어도 한쪽을 미리 보정함으로써 상쇄할 수 있지만, 발광 제어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회로, 보정 처리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보정 회로, 보정 처리 등은,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의 증대,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의 증대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4)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발광 제어 신호에 대한 보정을 행하지 않고, 색얼룩을 억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평면으로 볼 때에 구동 제어 신호선(7)과 겹치는 부위에 제1폭광부(4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증대시켜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제1폭광부(4c)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증대시키는 형상이면 좋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예를 들면, 원형상, 정사각형상, 직사각형상 등이어도 좋고, 기타의 형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의 제1폭광부(4c)의 형상을 직사각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제1폭광부(4c)의 길이 방향을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에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폭광부(4c)의 면적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구동 제어 신호선(7)과의 사이의 기생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존재할 경우, 복수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형성되는 제1폭광부(4c)의 형상은 서로 달라도 좋다.
도 7b는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7b에 나타내는 파형도에 있어서, 선택 신호(A0∼A7), 주사 신호선(GL1),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대해서는, 도 7a에 나타낸 파형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발광 제어 신호(Sig1, Sig7) 및 화소(P11,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1, V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에서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발광 제어 신호(Sig1)가 밀려 내려가는 양(ΔSig1)을, 발광 제어 신호(Sig7)가 밀려 내려가는 양(ΔSig7)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소전위(V11)가 밀려 내려가는 양(ΔV11)을, 화소전위(V17)가 밀려 내려가는 양(ΔV17)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11과 P17의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를 실질적으로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A)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프레임리스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개시의 제3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3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8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3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B)는 제1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 대하여 구동 제어 신호선이 용량 조정 도체를 갖는 점에서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B)는 구동 제어 신호선(7)이 용량 조정 도체(7d)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량 조정 도체(7d)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용량 조정 도체(7d)는 제2부분(7b)에 대하여 제1부분(7a)과 같은 측으로 연장되고,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교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증대시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기인하는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B)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프레임리스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8에서는, 용량 조정 도체(7d)의 폭이 제1부분(7a)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량 조정 도체(7d)의 폭은 제1부분(7a)의 폭과 동등하여도 좋고, 제1부분(7a)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또한, 도 8에서는, 2개의 용량 조정 도체(7d)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량 조정 도체(7d)는 1개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3개 이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8에서는, 용량 조정 도체(7d)는 일단부가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개방단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량 조정 도체(7d)의 타단부에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주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용량 조정 도체(7d)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용량 조정 도체(7d)의 타단부끼리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용량 조정 도체(7d)는 서로 다른 폭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본 개시의 제4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4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9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 이외의 배선에 대해서는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C)는, 제3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B)에 대하여 제1발광 제어선이 제2폭광부를 갖는 점에서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C)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평면으로 볼 때에 용량 조정 도체(7d)와 겹치는 부위에 제2폭광부(4d)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기인하는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량 조정 도체(7d)의 폭이 제1부분(7a)의 폭보다 클 경우에는, 제2폭광부(4d)와 용량 조정 도체(7d)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효과적으로 증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에 기인하는 색얼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에서는, 복수의 제2폭광부(4d)가 동일 형상을 갖고 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제2폭광부(4d)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9에서는, 2개의 용량 조정 도체(7d)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량 조정 도체(7d)는 1개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3개 이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9에서는 용량 조정 도체(7d)는 일단부가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개방단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량 조정 도체(7d)의 타단부에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주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용량 조정 도체(7d)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용량 조정 도체(7d)의 타단부끼리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개의 용량 조정 도체(7d)는 서로 다른 폭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0은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며, 도 12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a는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며, 도 13b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4는 제5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2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및 구동 제어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조정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배선층이 2층으로 이루어질 경우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있다. 배선층이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배선 레이아웃과는 다른 배선 레이아웃이어도 좋다. 다른 배선층에 배치된 신호선은, 예를 들면, 배선층간 콘택트를 개재해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는, 기판(2), 화소 어레이(3),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4),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5),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구동 제어 신호선(7) 및 보상 신호선(13)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은 제1면(2a)의 측에 화상 표시부(2c)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2c)에는 화소 어레이(3),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 구동 제어 신호선(7) 및 보상 신호선(13)이 배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제어 신호선(4)의 입력단부에는 스위칭 소자(12)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행마다 1개의 디코드 회로(6a)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각 행에 1개의 드라이버 회로(6b)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화소 어레이(3)의 각 행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드라이버 회로(6b), 및 상기 드라이버 회로(6b)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다른 드라이버 회로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 회로(6b)의 입력부에 있어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2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한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고, 다른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6b)의 입력부에 있어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가 2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한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고, 다른쪽이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지 않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 및 디코드 회로(6a)의 출력 신호(DEC)는, 상기 다른 드라이버 회로에 입력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에 있어서의 주사 신호선(5)의 구동 타이밍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된 일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동 제어 신호선(7)은,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제1부분(7a)과, 제2부분(7b)과, 복수의 제3부분(7c)을 포함하고 있다. 제1부분(7a)은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부분(7b)은 제1부분(7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부분(7c)은 제2부분(7b)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부분(7c)은 제2부분(7b)에 대하여 제1부분(7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부분(7a)은 간선부이며, 제2부분(7b)은 간선부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분기부이며, 제3부분(7c)은 분기선부이다. 또, 도 11 및 도 12에서는, 화소 어레이(3)의 각 화소행에 1개의 제3부분(7c)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 제어 신호선(7)은 1개의 제3부분(7c)이 2개 이상의 드라이버 회로(6b)에 입력되도록 라우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부분(7c)의 수가 화소 어레이(3)의 행수보다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의하면,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와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7)을 화상 표시부(2c)에 배치하고,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6)에 선택 신호(A0∼A7) 및 반전 선택 신호(XA0∼XA7)를 공급하는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을, 제1면(2a)의 측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배치되어 있는 화소열(예를 들면, 도 10∼도 12에 나타낸 표시 장치(1D)에 있어서의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6열)에 인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를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시 장치(1D)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N개 존재하고(N은 자연수), N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은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제N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16)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선 선택 신호선(GS0∼GS15)의, 신호 입력 패드(15)에 접속된 일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표시 장치(1D)는 층간 절연막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는 복수층의 배선층을 갖고 있다. 발광 제어 신호선(4) 및 구동 제어 신호선(7)은 복수층의 배선층에 있어서의 다른 배선층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이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하는 개소는,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으로 층간 절연막을 끼우는 구조로 되고, 기생용량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은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교차 개소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에 의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받는다. 표시 장치(1D)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표시 장치에서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 및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동일 레벨(전압)의 화상신호를 입력했을 때에도, 커플링 노이즈의 차에 기인하는 화상신호의 레벨의 변동에 의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접속된 발광부(8)의 화소 노드에 기록되는 전위, 및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접속된 발광부(8)의 화소 노드에 기록되는 전위가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접속된 발광부(8)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접속된 발광부(8)는,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가 다르기 때문에 발광휘도가 다르고, 그 결과, 표시되는 화상에 색얼룩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판(2)의 제1면(2a)의 측에 배치되는 보상 신호선(13)을 갖고 있다. 보상 신호선(13)은, 예를 들면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13a)과,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다. 보상 신호선(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복수의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복수의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보상 신호선(13)에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기 위한 보상 신호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상 신호로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반전 신호(ZGATE_EN), 또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역극성의 신호(CTL_NZ)가 사용된다. 보상 신호는, 예를 들면, 외부의 구동소자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되어도 좋고, 외부의 구동소자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표시 장치(1D) 내에서 생성되어도 좋다.
보상 신호선(13)과 발광 제어 신호선(4)은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과 보상 신호선(13)의 교차 개소에는 기생용량에 의한 용량 커플링이 발생한다. 보상 신호선(13)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는, 이 용량 커플링을 통하여 발광 제어 신호선(4)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 영향을 끼친다. 보상 신호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반전시킨 반전 신호(ZGATE_EN), 또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는 역극성으로 동작하는 신호(CTL_NZ)이기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에 대하여 발광 제어 신호선(4)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저감하도록 영향을 끼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상 신호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끼치는 영향은, 보상 신호가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끼치는 영향보다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0인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상 신호는 실질적으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만 영향을 준다. 이것에 의해,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보상 신호로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반전 신호(ZGATE_EN)를 사용할 경우, 반전 신호(ZGATE_EN)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회로(17)를 사용해서 생성되어 있어도 좋다. 인버터 회로(17)는, 예를 들면, CMOS 인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인버터 회로(17)는, 예를 들면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2c)에 배치되고, 입력부가 구동 제어 신호선(7)에 접속되고, 출력부가 보상 신호선(13)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반전 신호(ZGATE_EN)를 화상 표시부(2c) 내에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반전 신호(ZGATE_EN)를 외부로부터 공급할 경우의 신호선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도 10∼도 12에서는, 구동 제어 신호선(7)과 보상 신호선(13) 사이에 1개의 인버터 회로(17)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 제어 신호선(7)과 보상 신호선(13) 사이에 복수의 인버터 회로(17)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동 제어 신호선(7) 및 보상 신호선(13)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가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복수의 제3부분(7c)의 수와 같고, 복수의 제5부분(13b)과 복수의 제3부분(7c)이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3부분(7c)과 보상 신호선(13)의 제5부분(13b)이 쌍을 이루어서 배치되므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제3부분(7)을 전달하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상기 제3부분(7c)과 쌍을 이루는 제5부분(13b)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의 영향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 및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의 기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a는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며, 도 13b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또, 비교예의 표시 장치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1D)에 대하여, 보상 신호선(13) 및 인버터 회로(17)를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D)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는 선택 신호(A0∼A7)의 전부가 로우레벨이며,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배치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화소 어레이(3)의 제1행 제1열의 화소(도 12에 나타내는 P11에 대응한다) 및 제1행 제7열의 화소(도 12에 나타내는 P17에 대응한다)에 동일 레벨의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 P11의 동작은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있어서의 제2열∼제6열의 화소에 대해서도 개략 같으며, P17의 동작은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있어서의 제8열 이후의 화소에 대해서도 개략 같다.
화소 어레이(3)의 제1열에 배치된 발광 제어 신호선(SL1), 및 화소 어레이(3)의 제7열에 배치된 발광 제어 신호선(SL7)에는, 동일 레벨의 화상신호(Sig1, Sig7)가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에 배치된 디코드 회로(6a)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로우레벨로부터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주사 신호선(GL1)이 활성화된다. 주사 신호선(GL1)이 활성화되면, 화소 어레이(3)의 제1행의 각 화소의 TFT(10a)가 온 상태로 되고, P11, P17의 화소 노드(Vg)에의 발광 제어 신호선(SL1, SL7)의 각각의 전위의 기록이 개시된다. 그 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이레벨로부터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주사 신호선(GL1)이 비활성화되면, P11,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가 유지되지만,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에, 발광 제어 신호선(4)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의 기생용량을 통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화상신호(Sig1)가 ΔSig1만큼 밀려 내려가고, 화상신호S(ig7)가 ΔSig7만큼 밀려 내려간다. 또한, 화상신호(Sig1, Sig7)의 저하에 따라서, P11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1)가 ΔV11만큼 밀려 내려가고,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7)가 ΔV17만큼 밀려 내려간다. 여기에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보다 작기 때문에, ΔSig1은 ΔSig7보다 작아진다. 그것에 따라서, ΔV11은 ΔV17보다 작아지고, P11의 화소 노드(Vg)에 유지되는 전위가 P17의 화소 노드(Vg)에 유지되는 전위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비교예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가 P11과 P17에서 다르고, 그 결과, P11의 발광휘도와 P17의 발광휘도에 차가 발생하여 표시되는 화상에 색얼룩이 발생한다.
도 13b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3b에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에 있어서, 선택 신호(A0∼A7), 주사 신호선(GL1),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a에 나타낸 신호 파형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발광 제어 신호(Sig1, Sig7), 및 화소(P11, P17)의 화소 노드(Vg)의 전위(V11, V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에 의해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용량 커플링을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D)에서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Sig7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Sig1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V17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V11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의 발광 기간에서는, P17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를 P11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의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5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5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14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의 표시 장치(1E)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대하여 보상 신호선(13)의 구성이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D)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표시 장치(1E)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가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복수의 제3부분(7c)의 수보다 적고, 복수의 제5부분(13b)의 선폭이 복수의 제3부분(7c)의 선폭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5부분(13b)의 선폭이 제3부분(7c)의 선폭 이하일 경우와 비교하여, 제5부분(13b)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겹치는 면적을 증대시켜, 제5부분(13b)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3부분(7c)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제5부분(13b)에 의해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변형예의 표시 장치(1E)에 의하면,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와 마찬가지로,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의 표시 장치(1E)에 의하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2c)에 있어서의 배선의 라우팅이 용이해진다. 또, 도 14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이 2개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보상 신호선(13)은 3개 이상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6은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또, 도 15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대하여 보상 신호선(13)의 구성이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D)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이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13a)과,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13b)과,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제4부분(13a)에 대하여 복수의 제5부분(13b)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6부분(13c)을 갖고 있다. 보상 신호선(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복수의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복수의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보상 신호선(13)에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기 위한 보상 신호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상 신호로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역극성의 신호(CTL_NZ)가 사용된다. 보상 신호는 보상 신호선(13)의 제6부분(13c)에 외부의 구동소자, 회로기판 등으로 공급된다. 보상 신호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역극성의 신호(CTL_NZ)이기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에 대하여 발광 제어 신호선(4)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저감하도록 영향을 끼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상 신호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끼치는 영향은, 보상 신호가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끼치는 영향보다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보상 신호로서 사용되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역극성의 신호(CTL_NZ)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는 역극성으로 동작하는 신호이면 좋고, 예를 들면,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정부를 반대로 한 신호이어도 좋고,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정부를 반대로 한 신호를 증폭 또는 감쇠하여 신호 레벨을 변경한 신호이어도 좋다. 또한, 보상 신호의 상승 타이밍은,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상승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보상 신호의 하강 타이밍은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하강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상 신호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의 타이밍 등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의 타이밍 등과는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상 신호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의 타이밍 등을 조정 함으로써 색얼룩의 레벨을 외부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0인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상 신호는 실질적으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만 영향을 준다. 이것에 의해,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신호선(7) 및 보상 신호선(13)은,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가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복수의 제3부분(7c)의 수와 같고, 복수의 제5부분(13b)과 복수의 제3부분(7c)이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교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3부분(7c)과 보상 신호선(13)의 제5부분(13b)이 쌍을 이루어서 배치되므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제3부분(7c)을 전달하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상기 제3부분(7c)과 쌍을 이루는 제5부분(13b)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의 영향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의 기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에 있어서, 선택 신호(A0∼A7), 주사 신호선(GL1),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신호 파형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발광 제어 신호(Sig1, Sig7) 및 화소(P11, P17)의 화소 노드의 전위(V11, V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에 의해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용량 커플링을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F)에서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Sig7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Sig1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V17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ΔV11에 가깝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F)의 발광 기간에서는, P17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를, P11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 의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제6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17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의 표시 장치(1G)는 제2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에 대하여 보상 신호선(13)의 제5부분(13b)의 구성이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F)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표시 장치(1G)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가 구동 제어 신호선(7)의 복수의 제3부분(7c)의 수보다 적고, 복수의 제5부분(13b)의 선폭이 복수의 제3부분(7c)의 선폭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5부분(13b)의 선폭이 제3부분(7c)의 선폭 이하일 경우와 비교하여 제5부분(13b)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겹치는 면적을 증대시켜, 제5부분(13b)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3부분(7c)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제5부분(13b)에 의해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변형예의 표시 장치(1G)에 의하면, 제6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F)와 마찬가지로,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의 표시 장치(1G)에 의하면,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2c)에 있어서의 배선의 라우팅이 용이해진다. 또, 도 17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이 2개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보상 신호선(13)은 3개 이상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9는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또, 도 18에서는,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 이외의 배선을 생략함과 아울러, 발광 제어 신호선, 주사 신호선, 구동 제어 신호선, 및 보상 신호선에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7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는, 제5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D)에 대하여 보상 신호선(13)의 구성이 다르고, 그 밖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이므로, 같은 구성에는 표시 장치(1D)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이 화소 어레이(3)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13a)과,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화소 어레이(3)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13b)과,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제4부분(13a)에 대하여 복수의 제5부분(13b)과 같은 측으로 연장되는 제6부분(13c)을 갖고 있다. 보상 신호선(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보상 신호선(13)에는,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기 위한 보상 신호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상 신호로서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동극성의 신호(CTL_NZ)가 사용된다. 보상 신호는 보상 신호선(13)의 제6부분(13c)에 외부의 구동소자, 회로기판 등으로부터 공급된다.
보상 신호선(13)과 발광 제어 신호선(4)은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과 보상 신호선(13)의 교차 개소에는 기생용량에 의한 용량 커플링이 발생한다. 보상 신호선(13)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는, 이 용량 커플링을 통해서 발광 제어 신호선(4)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 영향을 준다. 보상 신호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와 동극성으로 동작하는 신호(CTL_NZ)이기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선(4)에 대하여 발광 제어 신호선(4)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증대시키도록 영향을 끼친다.
표시 장치(1H)에서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상 신호가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에 끼치는 영향은, 보상 신호가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끼치는 영향보다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에 의하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를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에 있어서, 선택 신호(A0∼A7), 주사 신호선(GL1), 및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a, 도 13b 및 도 16에 나타낸 신호 파형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발광 제어 신호(Sig1, Sig7) 및 화소(P11, P17)의 화소 노드의 전위(V11, V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에 의해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용량 커플링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에 있어서의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H)에서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가 하강할 때의 발광 제어 신호(Sig1)가 밀려 내려가는 양(ΔSig1)을, 발광 제어 신호(Sig7)가 밀려 내려가는 양(ΔSig7)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소전위(V11)가 밀려 내려가는 양(ΔV11)을, 화소전위(V17)가 밀려 내려가는 양(ΔV17)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H)의 발광 기간에서는, P11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를, P17에 있어서의 발광소자(9)의 구동 전류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H)에 의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색얼룩을 억제 가능한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상 신호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를 증폭 또는 감쇠하여 신호 레벨(전압)을 변경한 신호이어도 좋다. 보상 신호의 상승 타이밍은,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상승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보상 신호의 하강 타이밍은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하강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상 신호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 타이밍 등을, 구동 제어 신호(GATE_EN)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 타이밍 등과는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신호의 신호 레벨, 상승 및 하강 타이밍 등을 조정함으로써 색얼룩의 레벨을 외부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상 신호선(13)은,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과 제5부분(13b)의 교차 개소의 수가 0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상 신호는 실질적으로,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을 전달하는 화상신호에만 영향을 준다. 이것에 의해,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구동 제어 신호(GATE_EN)에 기인하는 커플링 노이즈에 효과적으로 가깝게 할 수 있다.
보상 신호선(13)은 제5부분(13b)의 선폭이 제6부분(13c)의 선폭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5부분(13b)의 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제5부분(13b)과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이 겹치는 면적을 증대시켜, 제5부분(13b)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구동 제어 신호선(7)의 제3부분(7c)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제5부분(13b)에 의해서, 제1발광 제어 신호선(4a)과 제2발광 제어 신호선(4b)이 받는 커플링 노이즈의 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상 신호선(13)의 복수의 제5부분(13b)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2c)에 있어서의 배선의 라우팅이 용이해진다. 또, 도 19에서는, 보상 신호선(13)이 2개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보상 신호선(13)은 3개 이상의 제5부분(13b)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9에서는, 제5부분(13b)은 일단이 제4부분(13a)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단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5부분(13b)은 타단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5부분(13b)을 전달하는 보상 신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설계적 변경, 개량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발광부는 자발광형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소자와 백라이트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발광소자는 백라이트가 생략된 반사형의 액정 표시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치지 않고, 본 개시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전자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복합형이고 또한 대형인 표시 장치(멀티 디스플레이), 자동차 경로유도 시스템(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선박 경로유도 시스템, 항공기 경로유도 시스템, 스마트폰 단말, 휴대전화, 태블릿 단말,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전자수첩, 전자사전,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게임기기의 단말장치, 텔레비젼, 상품표시 택, 가격표시 택, 상업용의 프리그래머블 표시 장치, 카 오디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팩시밀리, 프린터, 현금자입출금기(ATM), 자동판매기, 디지털 표시식 손목시계, 스마트워치 등이 있다.
1, 1A, 1B, 1C, 1D, 1E, 1F, 1G, 1H : 표시 장치
2 : 기판
2a : 제1면
2b : 제2면
2c : 화상 표시부
2d : 측면
3 : 화소 어레이
4 : 발광 제어 신호선
4a : 제1발광 제어 신호선
4b : 제2발광 제어 신호선
4c : 제1폭광부
4d : 제2폭광부
5 : 주사 신호선
6 :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
6a : 주사 신호선 어드레스 디코드 회로
6b : 주사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
7 : 구동 제어 신호선
7a : 제1부분
7b : 제2부분
7c : 제3부분
7d : 용량 조정 도체
8 : 발광부
9 : 발광소자
10 : 박막 트랜지스터(TFT)
11 : 용량소자
12 : 스위칭 소자
13 : 보상 신호선
13a : 제4부분
13b : 제5부분
13c : 제6부분
14 : 주사선 선택 신호선
15 : 신호 입력 패드
16 :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17 : 인버터 회로

Claims (18)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은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은 N개 존재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제1열∼제N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주사선 선택 신호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주사선 선택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에 대응하는 열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측에 위치하는 화상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소 어레이,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 및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은 상기 화상 표시부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과 겹치는 부위에 제1폭광부를 갖고 있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의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겹치는 용량 조정 도체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은 상기 용량 조정 도체와 겹치는 부위에 제2폭광부를 갖고 있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각각 적어도 1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으로서,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 또는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와 역극성의 신호가 공급되는 보상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고,
    상기 보상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은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보상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0인 표시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은 인버터 회로를 통해서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수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수와 같고,
    상기 복수의 제3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수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수보다 적고,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선폭이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선폭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은,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4부분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5부분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6부분을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와 역극성의 신호가 외부로부터 상기 제6부분에 공급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수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수와 같고,
    상기 복수의 제3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수가 상기 구동 제어 신호선의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수보다 적고,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선폭이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선폭보다 큰 표시 장치.
  17.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와,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구동하는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사 신호선 구동회로에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으로서,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1부분과는 반대측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부분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면의 측에 배치되는 보상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선은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제1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적고,
    상기 보상 신호선은, 상기 화소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5부분과, 상기 제4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4부분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5부분과 같은 측으로 연장되는 제6부분을 포함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가, 상기 제2발광 제어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5부분의 교차 개소의 수보다 많고,
    상기 주사선 구동 제어 신호와 동극성의 신호가 외부로부터 상기 제6부분에 공급되는 표시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각각 적어도 1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7001165A 2018-06-29 2019-06-28 표시 장치 KR102586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4152 2018-06-29
JPJP-P-2018-124151 2018-06-29
JP2018124151 2018-06-29
JPJP-P-2018-124152 2018-06-29
PCT/JP2019/025990 WO2020004663A1 (ja) 2018-06-29 2019-06-28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542A KR20210019542A (ko) 2021-02-22
KR102586374B1 true KR102586374B1 (ko) 2023-10-10

Family

ID=6898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65A KR102586374B1 (ko) 2018-06-29 2019-06-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30377B2 (ko)
EP (1) EP3816975A4 (ko)
JP (2) JP7036921B2 (ko)
KR (1) KR102586374B1 (ko)
CN (1) CN112384965B (ko)
WO (1) WO2020004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377B2 (en) * 2018-06-29 2022-08-30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EP4068258A4 (en) * 2019-11-29 2022-11-2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NETWORK SUBSTRATE, BILLBOARD, TILE BILLBOARD, AND BILLBOARD ETCHING METHOD
KR20220126329A (ko) * 2021-03-08 2022-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347A1 (ja) 2012-01-10 2013-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170025070A1 (en) 2015-07-22 2017-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851A (ja) * 1997-01-07 1998-07-3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CN100410786C (zh) * 2001-10-03 2008-08-13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型显示装置及其数据线切换电路、开关部驱动电路、扫描线驱动电路
JP4461710B2 (ja) * 2002-05-29 2010-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45637B2 (ja) * 2002-11-25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装置
JP2006251534A (ja) 2005-03-11 2006-09-21 Sharp Corp 表示装置
US20100283931A1 (en) * 2008-04-17 2010-11-11 Satoshi Horiuchi Tft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279145B2 (en) 2009-02-17 2012-10-02 Global Oled Technology Llc Chiplet driver pairs for two-dimensional display
WO2011065045A1 (ja) 2009-11-30 2011-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走査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8624882B2 (en) 2011-02-10 2014-01-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Digital display with integrated computing circuit
KR20140024572A (ko) * 2012-08-20 2014-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판
JP5956600B2 (ja) * 2012-10-30 2016-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WO2014142183A1 (ja) * 2013-03-15 2014-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US9934742B2 (en) 2013-09-26 2018-04-0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2015197543A (ja) * 2014-03-31 2015-11-09 ソニー株式会社 実装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6515090B2 (ja) 2014-04-28 2019-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60002511A (ko) * 2014-06-30 2016-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238214B (zh) * 2014-07-24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04269428B (zh) * 2014-09-16 2017-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显示装置
US10191344B2 (en) 2014-11-21 2019-01-29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CN107077035B (zh) * 2014-11-21 2021-05-18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及显示面板
CN104464533B (zh) * 2014-12-10 2017-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
CN104536176B (zh) * 2014-12-25 2017-07-1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464603A (zh) * 2014-12-30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849928B (zh) * 2015-04-16 2019-04-05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35916B1 (ko) * 2016-09-30 2024-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보더리스 타입의 표시장치
US10957755B2 (en) * 2016-11-15 2021-03-23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gate driving circuit arranged distributively in a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6782416B (zh) * 2017-03-02 2019-12-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6947350U (zh) * 2017-06-29 2018-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7517694U (zh) * 2017-12-05 2018-06-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US11430377B2 (en) * 2018-06-29 2022-08-30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347A1 (ja) 2012-01-10 2013-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170025070A1 (en) 2015-07-22 2017-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6975A1 (en) 2021-05-05
US20210264849A1 (en) 2021-08-26
JP7036921B2 (ja) 2022-03-15
KR20210019542A (ko) 2021-02-22
JPWO2020004663A1 (ja) 2021-06-24
JP7247392B2 (ja) 2023-03-28
US11769446B2 (en) 2023-09-26
US11430377B2 (en) 2022-08-30
WO2020004663A1 (ja) 2020-01-02
US20220375402A1 (en) 2022-11-24
CN112384965B (zh) 2023-04-18
EP3816975A4 (en) 2022-07-06
JP2022071138A (ja) 2022-05-13
CN112384965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4532B (zh) 显示面板以及使用显示面板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080379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groups of signal line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intervals
US20220216291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mission layer
JP7247392B2 (ja) 表示装置
CN113078174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8089445B2 (en) Display apparatus
US1168395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600509A (zh) 折叠oled显示面板
KR102220553B1 (ko) 표시 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3129835A (zh) 显示面板和使用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JP201218139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55538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1020042A1 (ja) 表示装置
WO2021171921A1 (ja) 表示装置
US1136169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20133362A (ko) 표시 장치
KR20200060941A (ko) Oled 표시패널
US11925080B2 (en) Display device
US20240160311A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30387374A1 (en) Display device
US20240162242A1 (en) Display device
JP2017151447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30020073A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6419617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