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873B1 -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873B1
KR102583873B1 KR1020160038319A KR20160038319A KR102583873B1 KR 102583873 B1 KR102583873 B1 KR 102583873B1 KR 1020160038319 A KR1020160038319 A KR 1020160038319A KR 20160038319 A KR20160038319 A KR 20160038319A KR 102583873 B1 KR102583873 B1 KR 102583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otating body
spool
bel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226A (ko
Inventor
토모히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6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2Reciprocating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guiding member
    • A01K89/01143Reversely threaded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1Reciprocating mechanisms including eccentric cams reciprocating the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콤팩트화할 수 있는 왕복 이동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오실레이팅 기구(31)는, 제1 풀리(37)와 제2 풀리(39)와 벨트(41)와 슬라이더(43)를 구비한다. 제1 풀리(37)는, 핸들(13)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풀리(39)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풀리(37)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벨트(41)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에 걸쳐지고, 제1 풀리(37)의 회전을 제2 풀리(39)에 전달한다. 슬라이더(43)는, 벨트(41)와 계합하고, 벨트(41)의 작동에 수반하여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RECIPROCATION MECHANISM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낚싯줄을 스풀에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스풀을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고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는, 주로, 회전 구동체(제1 회전체)와, 회전 종동체(縱動體)(제2 회전체)와, 중간 전달체(회전 전달체)와, 접동체(이동체)를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체는, 핸들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회전 종동체는, 회전 구동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중간 전달체는, 회전 구동체의 회전을 회전 종동체에 전달한다. 접동체는, 스풀축에 설치되고, 회전 종동체와 계합(係合)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55848호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접동체는, 회전 종동체와 계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종동체는, 계합 돌기를 가지고 있다. 접동체는, 계합 돌기가 계합하는 캠(cam) 홈을 가지고 있다. 캠 홈은, 종장(縱長)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회전 구동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종동체가 회전하면, 회전 종동체의 계합 돌기가, 접동체의 캠 홈이 연장되는 방향, 즉 스풀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동체의 캠 홈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접동체가, 스풀축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접동체의 캠 홈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접동체의 전후 방향의 이동량, 즉 스풀의 스트로크양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접동체의 캠 홈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면 할수록, 스풀의 스트로크양이 커진다.
그렇지만, 접동체의 캠 홈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면, 접동체도,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전 종동체의 계합 돌기를, 이 접동체의 캠 홈이 연장되는 범위에서 이동시키려고 하면, 회전 종동체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스풀의 스트로크양을 크게 하기 위하여는, 왕복 이동 기구가,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형화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콤팩트화할 수 있는 왕복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와, 회전 전달체와, 이동체를 구비한다. 제1 회전체는,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회전체는, 스풀축이 연장되는 스풀축 방향을 따라 제1 회전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회전 전달체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에 걸쳐지고, 제1 회전체의 회전을 제2 회전체에 전달한다. 이동체는, 회전 전달체와 계합하고, 회전 전달체의 작동에 수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본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핸들의 감기 조작이 행하여지면, 이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제1 회전체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2 회전체가, 회전 전달체를 통하여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 전달체와 계합하는 이동체가,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본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간격을 스풀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체의 스풀축 방향의 이동량, 즉 스풀의 스트로크양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간격을 크게 하면 할수록, 스풀의 스트로크양이 커진다. 이와 같이,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 기구의 크기를 변경하는 일 없이, 스풀의 스트로크양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 기구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계합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체는, 회전 전달체 및 이동체를 계합한다.
이 경우, 회전 전달체 및 이동체가, 계합체에 의하여 계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전달체의 작동 시에, 이동체를 계합체에 의하여 확실하게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 전달체는, 환상부(環狀部)와, 환상부의 외주부(外周部)에 설치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체는, 볼록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 계합체를, 회전 전달체의 볼록부를 통하여, 회전 전달체의 환상부의 외주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 전달체는, 환상부와, 환상부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체는,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계합한다.
이 경우, 계합체를, 회전 전달체의 볼록부를 통하여, 회전 전달체의 환상부의 외주부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이동체는, 스풀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체는, 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홈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 홈부가 스풀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홈부의 길이를 변경하는 일 없이,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간격을 스풀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스트로크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 기구를 확실하게 콤팩트화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 전달체는, 환상부와, 환상부의 내주부(內周部)에 설치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체는, 오목부에 맞물리는 제1 톱니부를 가진다.
이 경우, 제1 회전체의 회전을, 제1 톱니부 및 오목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회전 전달체의 환상부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제2 회전체는, 오목부에 맞물리는 제2 톱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회전체의 회전을, 제2 톱니부 및 오목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회전 전달체의 환상부로부터 제2 회전체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 및 회전 전달체를 수용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에 의하여, 벨트가 가이드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가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장해가 생기고, 벨트에 느슨함 등이 생겼다고 하여도,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로부터의 계탈(係脫)(맞물림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 전달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으로부터의 회전을, 제1 회전체에 전달한다.
이 경우, 구동축 및 제1 회전체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구동축으로부터의 회전을, 회전 전달 기구에 의하여 제1 회전체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 기구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오실레이팅 기구의 측면도.
도 3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단면도(도 2의 절단선 III-III의 위치).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합 핀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합 핀의 계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스피닝 릴의 개략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1)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1)은, 릴 본체(11)와, 핸들(13)과, 회전 구동 기구(15)와, 스풀축(17)을 가지는 스풀(19)과, 로터(21)와, 오실레이팅 기구(31)(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방향을 "전방(도 1의 좌측)",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후방(後方)(도 1의 우측)"으로 표현하는 일이 있다. 또한, 릴 본체(11)가 낚싯대에 장착되는 측을 "상방(上方)(도 1의 상측(上側))", 릴 본체(11)가 낚싯대에 장착되는 측과는 반대의 방향을 "하방(下方)(도 1의 하측(下側))"으로 표현하는 일이 있다.
또한, 스풀축(17)이 연장되는 방향(스풀축 방향), 피니언 기어(27)가 연장되는 방향(피니언 기어 축 방향), 및 가이드축(51)이 연장되는 방향(가이드축 방향)은,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이다. 이 때문에, 이러한 방향을, 이하에서는 "축 방향"으로 표현한다.
릴 본체(11)는, 핸들(13) 및 로터(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릴 본체(11)는, 스풀(19)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핸들(13)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예를 들어,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에,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구동 기구(15)는, 핸들(13)의 회전을 로터(21) 및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전달한다. 회전 구동 기구(15)는, 구동축(23)과 구동 기어(25)와 피니언 기어(27)를 가진다.
구동축(23)은, 핸들(13)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23)은, 핸들(1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 기어(25)는, 페이스 기어를 가진다. 구동 기어(25)는, 구동축(23)과 일체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27)는, 구동 기어(25)에 맞물리는 통상(筒狀)의 기어이다. 피니언 기어(27)는,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27)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7)이 관통한다. 로터(21)는, 피니언 기어(27)와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피니언 기어(27)에 연결된다.
스풀(19)은, 릴 본체(11)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스풀축(17)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때, 로터(21)가 스풀(19)의 외주 측에서 회전하고, 스풀(19)이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9)에는, 낚싯줄이 균일하게 감긴다. 구체적으로는, 스풀축(17)의 일단부(一端部)에는, 스풀(19)이 연결된다. 스풀축(17)의 타단부(他端部)에는, 오실레이팅 기구(31)가 연결된다. 이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의하여, 스풀축(17)은, 피니언 기어(27)의 내주부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31)는, 스풀(19)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설치된다. 오실레이팅 기구(31)는, 핸들(13)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축(17)을 통하여, 스풀(19)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31)는, 하우징(33)과, 회전 전달 기구(35)와, 제1 풀리(37)(제1 회전체의 일례)와, 제2 풀리(39)(제2 회전체의 일례)와, 벨트(41)(회전 전달체의 일례)와, 슬라이더(43)(이동체의 일례)와, 계합 핀(49)(계합체의 일례)과, 가이드축(51)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하우징(33)을 생략하고, 도 2에서는 하우징(33)을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33)은, 제1 풀리(37), 제2 풀리(39), 및 벨트(41)를 수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3)은, 한 쌍의 제1 구멍부(33a)와, 한 쌍의 제2 구멍부(33b)와, 안내 구멍부(33c)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구멍부(33a)는, 제1 풀리(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제2 구멍부(33b)는, 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1 구멍부(33a)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한 쌍의 제2 구멍부(33b)는, 제2 풀리(3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안내 구멍부(33c)는, 계합 핀(49)을 안내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3)을 제1 풀리(37)의 회전축 및/또는 제2 풀리(39)의 회전축(예를 들어, 도 2의 지면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안내 구멍부(33c)는, 벨트(41)를 따르도록, 비원형상(非圓形狀) 예를 들어 대략 타원형상(楕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구멍부(33c)에는, 계합 핀(49)이 삽통(揷通)된다.
회전 전달 기구(35)는, 구동축(23)으로부터의 회전을, 제1 풀리(37)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35)는, 제1 기어(35a)와, 제2 기어(35b)를 가진다. 제1 기어(35a)는, 구동축(2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기어(35b)는, 제1 기어(35a)에 맞물린다. 제2 기어(35b)에는, 축부(36)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풀리(37)는, 핸들(13)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풀리(37)는, 제1 원통부(37a)와 제1 톱니부(37b)를 가진다. 제1 원통부(37a)는, 하우징(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원통부(37a)의 양단부(兩端部)가, 한 쌍의 제1 구멍부(3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제1 원통부(37a)의 내주부에는, 축부(36)가 삽통된다. 제1 원통부(37a)는, 축부(36)와 일체 회전 가능하다. 제1 톱니부(37b)는, 제1 원통부(37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제2 풀리(39)는, 제1 풀리(3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풀리(39)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풀리(37)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풀리(39)는, 제2 원통부(39a)와 제2 톱니부(39b)를 가진다. 제2 원통부(39a)는, 하우징(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2 원통부(39a)의 양단부는, 하우징(33)의 한 쌍의 제2 구멍부(33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제2 톱니부(39b)는, 제2 원통부(39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덧붙여, 제2 원통부(39a)는, 중실(中實)의 원기둥부여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41)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에 걸쳐지고, 제1 풀리(37)의 회전을 제2 풀리(39)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벨트(41)는, 환상부(41a)와, 한 쌍의 볼록부(41b)와, 복수의 오목부(41c)를 가진다. 환상부(41a)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에 걸쳐지는 부분이다. 한 쌍의 볼록부(41b)는,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는, 계합 핀(49)이 계합한다. 복수의 오목부(41c)는, 환상부(41a)의 내주부에 설치된다. 복수의 오목부(41c)에는, 제1 풀리(37)의 제1 톱니부(37b) 및 제2 풀리(39)의 제2 톱니부(39b)가 맞물린다.
슬라이더(43)는, 벨트(41)와 계합하고, 벨트(41)의 작동에 수반하여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3)는, 슬라이더 본체(44)와 제1 장착부(45)와 제2 장착부(47)를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44)에는, 홈부(44a)가 설치된다. 홈부(44a)는, 스풀축(17)과 어긋나는 방향, 예를 들어 스풀축(1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부(44a)에는, 벨트(41)의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 고정된 계합 핀(49)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44)는, 계합 핀(49)을 통하여, 벨트(41)와 계합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장착부(45)에는, 스풀축(17)이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스풀축(17)의 단부(후단부)가, 제1 장착부(45)에 형성된 비원형 구멍부(45a)에, 고정 수단 예를 들어 나사 부재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장착부(47)에는, 가이드축(51)이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더(43)가 가이드축(5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축(51)이 제2 장착부(47)에 삽통된다.
계합 핀(49)은, 벨트(41) 및 슬라이더(43)에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핀(49)의 일단부는, 고정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벨트(41)의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 고정된다. 계합 핀(49)의 타단부는, 하우징(33)의 안내 구멍부(33c)에 삽통되고, 슬라이더(43)의 홈부(44a)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벨트(41)의 작동 시에, 계합 핀(49)이 벨트(41)와 함께 이동하면, 계합 핀(49)은 홈부(44a)를 따라 이동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51)은, 슬라이더(43)를 축 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축(51)은, 축 방향을 따라, 릴 본체(11)에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동작>
여기에서는, 상술한 오실레이팅 기구(31)의 동작을 설명한다.
핸들(13)을 회전시키면, 구동축(23)과 함께 구동 기어(25)가 회전한다. 그러면,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7)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하여 로터(21)가 스풀(19)의 외주 측에서 회전한다.
한편으로, 핸들(13)을 회전하였을 경우에는, 구동축(23)과 함께 회전 전달 기구(35)(제1 기어(35a) 및 제2 기어(35b))가 작동한다. 그러면, 구동축(23)의 회전이, 회전 전달 기구(35)를 통하여, 제1 풀리(37)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가, 벨트(41)를 통하여 회전한다.
여기에서,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가 회전하면, 벨트(41)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에 걸쳐진 상태로,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 때에는, 계합 핀(49)의 일단부는, 벨트(41)와 함께,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의 둘레를 이동한다. 또한, 이 때에는, 계합 핀(49)의 타단부는, 슬라이더(43)의 홈부(44a)에 계합한 상태로, 홈부(44a)를 따라 왕복 이동한다(도 2 및 도 3의 화살표를 참조). 그러면, 슬라이더(43)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43)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슬라이더(43)가 고정된 스풀축(17)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즉, 스풀(19)이, 로터(21)에 대하여 왕복 이동한다. 이 때에는 로터(21)가 스풀(19)의 외주 측에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 로터(21)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9) 상에 감긴다.
<특징>
(1) 본 오실레이팅 기구(31)는, 제1 풀리(37)와 제2 풀리(39)와 벨트(41)와 슬라이더(43)를 구비한다. 제1 풀리(37)는, 핸들(13)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풀리(39)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풀리(37)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벨트(41)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에 걸쳐지고, 제1 풀리(37)의 회전을 제2 풀리(39)에 전달한다. 슬라이더(43)는, 벨트(41)와 계합하고, 벨트(41)의 작동에 수반하여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서는, 핸들(13)의 감기 조작이 행하여지면, 이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제1 풀리(37)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2 풀리(39)가, 벨트(41)를 통하여 회전한다. 그러면, 벨트(41)와 계합하는 슬라이더(43)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서는,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의 간격을 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43)의 축 방향의 이동량, 즉 스풀(19)의 스트로크양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간격을 크게 하면 할수록, 스풀(19)의 스트로크양이 커진다. 이와 같이, 스풀축(17)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실레이팅 기구(31)의 크기를 변경하는 일 없이, 스풀(19)의 스트로크양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풀축(17)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실레이팅 기구(31)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2) 본 오실레이팅 기구(31)는, 계합 핀(49)을 더 구비한다. 계합 핀(49)은, 벨트(41) 및 슬라이더(43)를 계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벨트(41) 및 슬라이더(43)가, 계합 핀(49)에 의하여 계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벨트(41)의 작동 시에, 슬라이더(43)를 계합 핀(49)에 의하여 확실하게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3)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벨트(41)는, 환상부(41a)와,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볼록부(41b)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 핀(49)은, 볼록부(41b)에 계합한다.
이 경우, 계합 핀(49)을, 벨트(41)의 볼록부(41b)를 통하여, 벨트(41)의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4)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벨트(41)는, 환상부(41a)와,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볼록부(41b)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 핀(49)은,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 계합한다.
이 경우, 계합 핀(49)을, 벨트(41)의 볼록부(41b)를 통하여, 벨트(41)의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5)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슬라이더(43)는, 스풀축(17)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44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 핀(49)은, 홈부(4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홈부(44a)에 계합한다.
이 경우, 홈부(44a)가 스풀축(17)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홈부(44a)의 길이를 변경하는 일 없이,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의 간격을 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스트로크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풀축(17)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실레이팅 기구(31)를 확실하게 콤팩트화할 수 있다.
(6)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벨트(41)는, 환상부(41a)와, 환상부(41a)의 내주부에 설치되는 오목부(41c)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풀리(37)는, 오목부(41c)에 맞물리는 제1 톱니부(37b)를 가진다.
이 경우, 제1 풀리(37)의 회전을, 제1 톱니부(37b) 및 오목부(41c)의 맞물림에 의하여, 벨트(41)의 환상부(41a)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7) 본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제2 풀리(39)는, 오목부(41c)에 맞물리는 제2 톱니부(39b)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풀리(37)의 회전을, 제2 톱니부(39b) 및 오목부(41c)의 맞물림에 의하여, 벨트(41)의 환상부(41a)로부터 제2 풀리(39)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8) 본 오실레이팅 기구(31)는, 하우징(3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3)은, 제1 풀리(37), 제2 풀리(39), 및 벨트(41)를 수용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33)에 의하여, 벨트(41)가 가이드되기 때문에, 슬라이더(43)(스풀축(17))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장해가 생기고, 벨트(41)에 느슨함 등이 생겼다고 하여도, 제1 풀리(37) 및 제2 풀리(39)로부터의 계탈(맞물림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31)에 있어서는, 회전 전달 기구(35)(예를 들어, 제1 기어(35a) 및 제2 기어(35b))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전달 기구(35)는, 핸들(13)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23)으로부터의 회전을, 제1 풀리(37)에 전달한다.
이 경우, 구동축(23) 및 제1 풀리(37)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구동축(23)으로부터의 회전을, 회전 전달 기구(35)에 의하여 제1 풀리(37)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합 핀(49)이,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 고정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볼록부(141b)를 벨트(141)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141b)에 계합 핀(149)을 계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계합 핀(149)의 일단부(149a)가, 비원형상 예를 들어 구형상(矩形狀)으로 형성된다. 볼록부(141b)에는, 계합 핀(149)의 일단부(149a)가 계합 가능한 구멍부(141c)가 설치된다. 계합 핀(149)의 일단부(149a)는, 고정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구멍부(141c)에 고정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합 핀(49)이, 한 쌍의 볼록부(41b)의 사이에 고정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계합 핀(49)을, 벨트(41)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다른 실시예 (A)에서는, 계합 핀(49)이, 볼록부(41b)에 계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핀(249)을, 볼록부(241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계합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계합 핀(249)의 일단부(249a)는, 볼록부(241b)에 설치된 구멍부(241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계합 핀(249)의 일단부(249a)는, 예를 들어 원형상(圓形狀)으로 형성된다. 또한, 계합 핀(249)의 타단부(249b)는, 홈부(244a)의 한 쌍의 벽부에 각각 별도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직선부(249c)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계합 핀(249)이 벨트(241)와 함께 이동하면, 계합 핀(249)의 일단부(249a)가 구멍부(241c)에 있어서 회전하면서, 계합 핀(249)의 타단부(249b)가 홈부(244a)의 벽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오실레이팅 기구(31)를 기능시킬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트(41)에 있어서 환상부(41a)의 외주부에 한 쌍의 볼록부(41b)가 설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환상부(41a)의 외주 전체에 복수의 볼록부(41b)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1: 스피닝 릴
11: 릴 본체
13: 핸들
31: 오실레이팅 기구
33: 하우징
35: 회전 전달 기구
35a: 제1 기어
35b: 제2 기어
37: 제1 풀리
37b: 제1 톱니부
39: 제2 풀리
39b: 제2 톱니부
41: 벨트
41a: 환상부
41b: 볼록부
41c: 오목부
43: 슬라이더
44a: 홈부
49, 149, 249: 계합 핀

Claims (9)

  1.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이고,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스풀축이 연장되는 스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회전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에 걸쳐지고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을 제2 회전체에 전달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작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벨트 부재 및 상기 이동체에 계합(係合)하는 계합체
    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계합체를 통하여 상기 벨트 부재와 계합하고,
    상기 벨트 부재는, 환상부(環狀部)와, 상기 환상부의 외주부(外周部)에 설치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체는, 상기 볼록부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체는, 한 쌍의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스풀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체는, 상기 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홈부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의 내주부(內周部)에 설치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제1 톱니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제2 톱니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 및 상기 벨트 부재를 수용 가능한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으로부터의 회전을, 상기 제1 회전체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
    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8. 삭제
  9. 삭제
KR1020160038319A 2015-05-29 2016-03-30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583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0581 2015-05-29
JP2015110581A JP6558957B2 (ja) 2015-05-29 2015-05-29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226A KR20200067226A (ko) 2020-06-12
KR102583873B1 true KR102583873B1 (ko) 2023-10-04

Family

ID=5608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319A KR102583873B1 (ko) 2015-05-29 2016-03-30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0017B2 (ko)
EP (1) EP3097781B1 (ko)
JP (1) JP6558957B2 (ko)
KR (1) KR102583873B1 (ko)
CN (1) CN106172289B (ko)
MY (1) MY177759A (ko)
TW (1) TWI681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8447B2 (ja) * 2017-06-27 2021-07-2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22097274A (ja) * 2020-12-18 2022-06-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2101312A (ja) * 2020-12-24 2022-07-06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この往復移動機構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20167742A (ko) * 2021-06-14 2022-12-21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스피닝 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48A (ja) 2007-08-31 2009-03-1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0865B (sv) * 1975-07-03 1977-01-31 Abu Ab Linspridningsanordning vid en haspelrulle
JPS52101788U (ko) * 1976-01-28 1977-08-02
JPS5918863A (ja) * 1982-07-19 1984-01-31 タマパツク株式会社 ゲ−トの開閉方法及び装置
JPS5918863U (ja) * 1982-07-27 1984-02-04 河野 正春 チエ−ン駆動操作によるリ−ル
JPH0547583Y2 (ko) * 1988-09-05 1993-12-15
JPH0521663U (ja) 1991-09-09 1993-03-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イング機構
JPH0686467U (ja) * 1993-05-27 1994-12-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GB2280581B (en) 1993-08-04 1996-12-11 Shimano Kk Spinning reel
JP3199351B2 (ja) * 1995-07-04 2001-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CN1198300A (zh) * 1997-05-05 1998-11-11 查理斯·C·沃斯公司 钓鱼卷线器及收缩线装置
US6179236B1 (en) * 2000-02-18 2001-01-30 Jang Deok-Soo Device for driving a spinning reel for fishing
TW504366B (en) * 2000-12-04 2002-10-01 Shimano Kk Displaying device for fishing reel
US20030122010A1 (en) * 2001-12-31 2003-07-03 Wiest Timothy A. Uniform oscillation system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4299180B2 (ja) * 2003-08-27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7189982A (ja) * 2006-01-20 2007-08-0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ギア部品装着構造
GB201200912D0 (en) 2012-01-19 2012-02-29 Airbus Operations Ltd Fastener receptacle strip
CN104322469A (zh) * 2014-10-17 2015-02-04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一种可变速的钓鱼用纺车式卷线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48A (ja) 2007-08-31 2009-03-1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72289A (zh) 2016-12-07
TW201701756A (zh) 2017-01-16
US20160345561A1 (en) 2016-12-01
TWI681715B (zh) 2020-01-11
JP2016220621A (ja) 2016-12-28
EP3097781B1 (en) 2018-09-26
JP6558957B2 (ja) 2019-08-14
EP3097781A1 (en) 2016-11-30
KR20200067226A (ko) 2020-06-12
MY177759A (en) 2020-09-23
US9770017B2 (en) 2017-09-26
CN106172289B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873B1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7500631B2 (en) Gear mounting structure for fishing reel
JP2016220621A5 (ko)
TWI604789B (zh) 釣魚用捲線器的往復移動機構
JP2016165255A (ja)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釣り用リール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JP6818083B2 (ja) 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10327431B2 (en) Reciproc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5364041A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201910689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0679563B (zh) 纺车式卷线器
JP200707507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931398A (en) Long stroke spinning reels
KR102005125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015084765A (ja) 両軸受型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用釣糸案内部材
JP533097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1106537A (ja) 魚釣用リールの歯車取付構造
KR0136364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드래그장치
JP200228187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424254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713540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9980026133A (ko) 롱스트로크 스피닝 릴
JP200116968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