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831B1 -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831B1
KR102583831B1 KR1020160158462A KR20160158462A KR102583831B1 KR 102583831 B1 KR102583831 B1 KR 102583831B1 KR 1020160158462 A KR1020160158462 A KR 1020160158462A KR 20160158462 A KR20160158462 A KR 20160158462A KR 102583831 B1 KR102583831 B1 KR 10258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area
metal layer
insulating fil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633A (ko
Inventor
이루다
이득수
이정훈
정지현
이재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831B1/ko
Priority to EP17192303.0A priority patent/EP3327783B1/en
Priority to US15/807,955 priority patent/US10475874B2/en
Priority to CN202210017923.2A priority patent/CN114335130A/zh
Priority to CN201711204179.2A priority patent/CN108110031B/zh
Publication of KR2018005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33A/ko
Priority to US16/667,874 priority patent/US10790349B2/en
Priority to US17/003,045 priority patent/US11322573B2/en
Priority to US17/712,497 priority patent/US116785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영역에서의 신호배선들에 인가되는 응력을 줄여 신호배선들을 보호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표시장치는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처리기에서 표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Portable) 혹은 모바일(Mobile) 기기에서는 더욱 얇고, 더 가벼우며, 전력 소비가 작은 표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의 구조적인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최근에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플라스틱이나 메탈 호일(metal hoil)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센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표시장치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이하, 간단히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을 포함한다. 베젤영역(ZA)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영역으로 링크영역(LA), 벤딩영역(BA) 및 패드영역(P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영상이 표시되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을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입력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과,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AA)에는, 게이트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막(PAS), 패시베이션막(PAS) 상에 형성되는 평탄화막(PL),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뱅크(BN)가 배치된다. 뱅크(BN) 상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층(ENC)이 배치된다.
인캡슐레이션층(ENC) 상부에는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터치전극들(Rx)을 포함하는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링크영역(LA)과 벤딩영역(BA)에는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들(도시생략)과, 복수의 제 1 터치전극들(Tx)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과, 복수의 제 2 터치전극들(Rx)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이 배치된다.
링크영역(LA)은 액티브 영역과 벤딩영역(BA)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으로, 링크영역(LA)에는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벤딩영역(BA)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은 기판(SUB) 상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된다.
벤딩영역(BA)에는 링크영역(LA)으로부터 패드영역(PA)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은 기판(SUB)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GI)과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된다. 제 1 절연막(INS1)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패드영역(P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공급받거나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들이 형성된다. 패드들은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도시 생략)와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도시 생략)와,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은 기판(SUB)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종래의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기판(SUB)은 연성의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플렉서블한 영역으로 유연성을 갖는 영역이다. 벤딩영역(BA)은 표시장치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벤딩 방향에 따라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응력에 의해 데이터 라인 또는 라우팅 배선들(이하, 신호배선이라 함)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신호배선이 단선되면, 신호공급이 중단되므로 표시기능 또는 터치기능에 이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벤딩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신호배선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력을 많이 발생시키는 게이트 절연막(GI)을 벤딩영역(BA)에서 제거하는 대신 벤딩영역(BA)의 신호배선 하부에 유기절연 물질로 된 제 1 절연막(INS)을 배치하고, 신호배선 상부에는 평탄화막(PL)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벤딩영역(BA)의 신호배선 하부에 응력감소를 위한 제 1 절연막(INS1)이 하나의 마스크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정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벤딩영역에서의 신호배선들에 인가되는 응력을 줄여 신호배선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1개의 마스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 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상기 링크영역으로부터 상기 벤딩영역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선에 연결되는 제 2-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 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을 커버하는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선에 연결되는 제 2-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며, 상기 제 4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커버하는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및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을 커버하는 제 4 유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1 금속층과,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과, 상기 제 2-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과, 상기 제 2-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신호라인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하며, 상기 제 4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을 커버한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상기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2 신호라인은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2 신호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신호라인과 상기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3 신호라인은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3 신호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링크패턴, 제 1 라우팅 배선, 및 제 2 라우팅 배선 각각의 상측 및 하측에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1 절연층 및 평탄화막이 배치되므로, 유연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패턴, 제 1 라우팅 배선, 및 제 2 라우팅 배선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크랙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 기판과 제 2 금속층 사이에 액티브 영역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평탄화층이 배치되므로, 추가의 마스크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종래에 비해 1개의 마스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링크패턴이 제 1 데이터 링크패턴과 제 2 데이터 링크패턴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이 2개의 층으로 이루어 지므로 2개의 전기경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벤딩시 벤딩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신호라인에 크랙 또는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하나에 의해 전기적 경로가 유지되므로, 크랙 또는 단선에 의한 제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1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도 5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a는 도 7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b는 도 7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
도 11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
도 12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2 변형예의 단면도,
도 12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2 변형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1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이 복잡해 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터치센서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2, 14, 16)와 표시패널(DIS)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및 타이밍 콘트롤러(16)를 포함하며,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표시패널(DIS)의 화소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게이트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표시패널(DIS)의 화소들을 선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6)는 호스트 시스템(19)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 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텔레비전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Home Theater System),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9)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DIS)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6)로 전송한다.
표시패널(DIS)의 화소 어레이는 데이터라인들(D1~Dm, m은 양의 정수)과 게이트라인들(G1~Gn,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정의된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 각각은 자기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IS)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과,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화소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DT),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세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각각의 화소는 고전위 전원 전압원과 저전위 전원 전압원에 연결되어, 전원 발생부(도시생략)로부터 각각 고전위 전원 전압(EVDD)과 저전위 전원 전압(EVSS)을 공급받는다.
화소를 구성하는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소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는 애노드 전극(ANO), 캐소드 전극(CAT), 및 애노드 전극(ANO)과 캐소드 전극(CAT)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TFT(DT)와 접속된다. 유기발광층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고,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과 데이터 패드(D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제 2 터치전극(Rx)에 연결되는 베젤영역 배치의 제 2 라우팅 배선(RW)과 제 2 터치패드(T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을 포함한다. 베젤영역(ZA)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영역으로 링크영역(LA), 벤딩영역(BA) 및 패드영역(P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영상이 표시되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을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입력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과,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AA)에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막(PAS), 패시베이션막(PAS) 상에 형성되는 평탄화막(PL),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뱅크(BN)가 배치된다. 뱅크(BN) 상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층(ENC)이 배치된다.
기판(SUB)은 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실란 (polysilane), 폴리실록산 (polysil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폴리카르보실란(polycarbosila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polyethylacrylate),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metacrylat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 사이클릭 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 고분자(PFA), 스타이렌아크릴나이트릴코폴리머(SA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및 패시베이션막(PAS)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PL)은 기판(SUB)의 상부를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막(PL)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층(ENC) 상부에는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터치전극들(Rx)을 포함하는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제 1 터치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들(Rx) 사이에는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1 절연막(INS1)이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그들의 교차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터치전극들(Rx) 상부에는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도록 유기 절연막으로 된 제 2 절연층(INS2)이 배치된다.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2 터치전극들(Rx)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링크영역(LA)에는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금속층(M1)으로 된 데이터 라인(DL)과, 제 1 터치전극(Tx) 및 제 2 터치전극(Rx)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은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베젤영역(ZA)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할 때 같이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 제 1 절연막(INS1)은 제 1 터치전극(Tx)과 제 2 터치전극(Rx)을 절연시키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고, 제 2 절연막(INS2)은 제 2 터치전극(Rx)을 보호하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다. 제 1 및 제 2 절연막(INS1, INS2)은 평탄화막(PL)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벤딩영역(BA)에는 기판(SUB) 상에 액티브 영역(PL)에 평탄화막(PL)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평탄화막(PL)이 배치되고, 평탄화막(PL) 상에는 링크영역(LA)에서 제 1 금속층(M1)으로 된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데이터 링크패턴(DLP)과, 액티브 영역(AA)의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Tx, Rx)에 연결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6b에서는 제 2 라우팅 배선(RW)만이 도시됨).
패드영역(P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공급받거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들이 형성된다. 패드들은 데이터 패드(DP)와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DP)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며, 데이터 라인(DL) 형성시 형성되는 제 1 금속층(M1)과,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과, 액티브 영역(AA)의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Tx, Rx)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의 제 2 금속층(M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금속층(M1, M2)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기판(SUB) 의 벤딩 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금속층들(M1, M2) 각각은 금 (Au), 은 (Ag), 알루미늄 (Al)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금속층(M1, M2)을 형성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몰리브덴 (Mo), 크롬 (Cr), 티타늄 (Ti), 니켈 (Ni), 네오디뮴 (Nd), 구리(Cu), 및 은 (Ag) 과 마그네슘 (Mg) 의 합금 등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링크패턴(DLP), 제 1 라우팅 배선(TW), 및 제 2 라우팅 배선(RW) 각각의 상측 및 하측에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1 절연층(INS1) 및 평탄화막(PL)이 배치되므로, 유연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패턴(DLP), 제 1 라우팅 배선(TW), 및 제 2 라우팅 배선(RW1)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크랙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BA)의 기판(SUB)과 제 2 금속층(M2) 사이에 액티브 영역(AA)의 평탄화층(PL)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는 평탄화층(PL)이 배치되므로, 종래에 비해 1개의 마스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8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 데이터 링크패턴(DLP) 및 데이터 패드(D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제 2 터치전극(Rx)에 연결되는 베젤영역 배치의 제 2 라우팅 배선(RW)과 제 2 터치패드(R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을 포함한다. 베젤영역(ZA)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영역으로 링크영역(LA), 벤딩영역(BA) 및 패드영역(P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영상이 표시되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을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입력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과,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AA)에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막(PAS), 패시베이션막(PAS) 상에 형성되는 평탄화막(PL),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뱅크(BN)가 배치된다. 뱅크(BN) 상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층(ENC)이 배치된다.
기판(SUB)은 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은 제 1 실시예의 플렉서블 기판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및 패시베이션막(PAS)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PL)은 기판(SUB)의 상부를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막(PL)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층(ENC) 상부에는 제 1 절연막(INS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터치전극들(Rx)을 포함하는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제 2 터치전극들(Rx) 상부에는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도록 유기 절연막으로 된 제 2 절연층(INS2)이 배치된다. 제 1 절연막(INS1)은 제 1 터치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들(Rx) 사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거나 교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2 터치전극들(Rx)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링크영역(LA)에는 기판(SUB) 상의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금속층(M1)으로 된 데이터 라인(DL)과,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어 제 1 절연막(INS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데이터 링크패턴(DLP)과, 제 1 터치전극(Tx) 및 제 2 터치전극(Rx)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배치된다(도 8b에는 제 2 라우팅 배선(RW)만이 도시되어 있음).
도 8a 및 도 8b에서 제 1 절연막(INS1)은 제 1 터치전극(Tx)과 제 2 터치전극(Rx)을 절연시키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고, 제 2 절연막(INS2)은 제 2 터치전극(Rx)을 보호하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다. 제 1 및 제 2 절연막(INS1, INS2)은 평탄화막(PL)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벤딩영역(BA)에는 기판(SUB) 상에 액티브 영역(PL)의 평탄화막(PL)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평탄화막(PL)이 배치되고, 평탄화막(PL) 상에는 링크영역(LA)에서 제 1 금속층(M1)으로 된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데이터 링크패턴(DLP)과, 액티브 영역(AA)의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Tx, Rx)에 연결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은 데이터 링크패턴(DLP)과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8b에서는 제 2 라우팅 배선(RW)만 도시되고, 제 1 라우팅 배선(TW)은 생략됨).
패드영역(P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공급받거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들이 형성된다. 패드들은 데이터 패드(DP)와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DP)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과,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는 데이터 링크패드(DLP)의 제 2 금속층(M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과, 액티브 영역(AA)의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Tx, Rx)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의 제 2 금속층(M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금속층(M1, M2)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기판(SUB) 의 벤딩 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금속층(M1, M2)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벤딩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링크패턴(DLP), 제 1 라우팅 배선(TW), 및 제 2 라우팅 배선(RW) 각각의 상측 및 하측에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2 및 제 1 절연막(INS2, INS1)이 배치되므로, 유연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패턴(DLP)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크랙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BA)의 기판(SUB)과 제 2 금속층(M2) 사이에 액티브 영역(AA)의 평탄화층(PL)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는 평탄화층(PL)이 배치되므로, 종래에 비해 1개의 마스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 제 1 및 제 2 데이터 링크패턴들(DLP1, DLP2), 및 데이터 패드(D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제 2 터치전극(Rx)에 연결되는 베젤영역 배치의 제 2 라우팅 배선(RW)과 제 2 터치패드(R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을 포함한다. 베젤영역(ZA)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영역으로 링크영역(LA), 벤딩영역(BA) 및 패드영역(P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영상이 표시되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물체의 터치 또는 근접을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입력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과,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AA)에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막(PAS), 패시베이션막(PAS) 상에 형성되는 평탄화막(PL),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뱅크(BN)가 배치된다. 뱅크(BN) 상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층(ENC)이 배치된다.
기판(SUB)은 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은 제 1 실시예의 플렉서블 기판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및 패시베이션막(PAS)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PL)은 기판(SUB)의 상부를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막(PL)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층(ENC) 상부에는 제 1 절연막(INS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터치전극들(Rx)을 포함하는 터치센서가 배치된다. 제 2 터치전극들(Rx) 상부에는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도록 유기 절연막으로 된 제 2 절연층(INS2)이 배치된다. 제 1 터치전극들(Tx) 및 제 2 터치전극들(Rx)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링크영역(LA)에는 기판(SUB) 상의 게이트 절연막(GI) 상에서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금속층(M1)으로 된 데이터 라인(DL)과, 데이터 라인(DL)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어 벤딩영역(BA)의 평탄화막(PL) 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과,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을 커버하는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어 제 1 절연막(INS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에 연결되는 제 3 금속층(M3)으로 된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과,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을 커버하는 제 1 절연막(INS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에 연결되는 제 3 금속층(M3)으로 된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이 배치된다(도 10b에는 제 1라우팅 배선(TW)의 제 1 층 및 제 2 층은 생략되어 있음).
도 10a 및 도 10b에서 제 1 절연막(INS1)은 제 1 터치전극(Tx)과 제 2 터치전극(Rx)을 절연시키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고, 제 2 절연막(INS2)은 제 2 터치전극(Rx)을 보호하기 위한 유기 절연막이다. 액티브 영역(AA)에서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Tx, Rx)의 교차부에만 제 1 절연막(INS1)이 형성될 경우, 링크영역(LA), 벤딩영역(BA) 및 패드영역(PA)에서, 상부의 제 2 절연막(INS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벤딩영역(BA)에는 기판(SUB) 상에 액티브 영역(PL)의 평탄화막(PL)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평탄화막(PL)이 배치되고, 평탄화막(PL) 상에는 링크영역(LA)에서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과, 링크영역(LA)에서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 3 금속층(M2)으로 된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과,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며 링크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을 커버하는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며, 링크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금속층(M3)으로 된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이 배치된다.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은 평탄화막(PL)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은 제 1 절연막(INS1)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10b에서는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 및 제 2 층(RW2)만 도시되고, 제 1 라우팅 배선(TW)의 제 1 층 및 제 2 층은 생략됨).
패드영역(P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공급받거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들이 형성된다. 패드들은 데이터 패드(DP)와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DP)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과,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금속층(M1)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층(M2), 및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2 금속층(M2) 상에 배치되는 제 3 금속층(M3)으로 이루어진다. 즉, 데이터 패드(DP)는 게이트 절연막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 제 2 금속층(M2) 및 제 3 금속층(M3)을 포함하는 3중층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터치패드들(TP, RP)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과,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금속층(M1)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층(M2), 및 제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2 금속층(M2) 상에 배치되는 3 금속층(M3)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터치패드(TP) 및 제 2 터치패드(RP)는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금속층(M1), 제 2 금속층(M2) 및 제 3 금속층(M3)으로 이루어진다(도 10b에서는 제 2 터치패드 (RP)만 도시되고, 제 1 터치패드(TP)는 생략됨).
제 1 내지 제 3 금속층(M1, M2, M3)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기판(SUB) 의 벤딩 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금속층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도시생략),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1 절연막(INS1) 및 평탄화막(PL)이 각각 배치되고,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도시생략),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유기 절연물질로 된 제 2 절연막(INS2) 및 제 1 절연막(INS1)이 각각 배치되므로 유연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 및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에 가해지는 응력과,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 및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크랙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벤딩영역(BA)에 위치하는 데이터 링크패턴(DLP)이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과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1 라우팅 배선(TW)이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TW1)과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TW2)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라우팅 배선(RW)이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벤딩영역(BA)에 벤딩이 발생할 때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과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의 어느 하나,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도시생략)과 제 1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도시생략)의 어느 하나,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과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의 어느 하나가, 벤딩 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크랙 또는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하나에 의해 전기적 경로가 유지되므로, 크랙 또는 단선에 의한 제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BA)의 기판(SUB)과 제 2 금속층(M2) 사이에 액티브 영역(AA)의 평탄화층(PL)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평탄화층(PL)이 배치되므로, 종래에 비해 1개의 마스크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 제 1 및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1, DLP2), 및 데이터 패드(D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제 2 터치전극(Rx)에 연결되는 베젤영역(ZA) 배치의 제 2 라우팅 배선(RW)과 제 2 터치패드(R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도 11b에서 제 1 라우팅 배선(TW)의 제 1 층 및 제 2 층과 제 1 터치패드(TP)의 구성은 생략됨).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제 3 금속층(M3)이 제 1 절연층(INS1)을 관통하는 다수의 콘택홀을 통해 다수의 위치에서 제 2 금속층(M2)에 연결되는 것(즉,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는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이 벤딩영역(BA)에서 제 1 절연막(INS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에 연결되고, 제 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 라우팅 배선들의 제 2 층(RW2)이 벤딩영역(BA)에서 제 1 절연막(INS1)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 1 및 제 2 터치 라우팅 배선들의 제 1 층(RW1)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2 금속층(M2)과 제 3 금속층(M3)이 동시에 크랙에 의해 단선되더라도 다수의 콘택홀을 통해 제 2 금속층(M2)과 제 3 금속층(M3)이 서로 연결되므로, 단선구간을 피해 다양한 경로를 거쳐 신호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는 제 3 실시예에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제 3 실시예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벤딩에 의한 크랙 발생으로 인한 제품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는 도 9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2 변형예의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과 베젤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 제 1 및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1, DLP2), 데이터 패드(D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9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제 2 변형예의 단면도로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제 2 터치전극(Rx)에 연결되는 베젤영역(ZA) 배치의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 및 제 2 층(RW2)과 제 2 터치패드(TP, RP)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도 12b에서 제 1 라우팅 배선(TW)의 제 1 층 및 제 2 층과 제 1 터치패드(TP)의 구성은 생략됨).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베젤영역(ZA)의 평탄화막(PL)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a, DLP1b)으로 이루어지고, 제 3 금속층(M3)으로 된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a, DLP2b, DLPc)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a, DLP1b)은 제 2 데이터 링크패턴(DLP2b)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제 2 데이터 링크패턴들(DLP2a와 DLP2b; DLP2b와 DLP2c)은 제 1 데이터 링크패턴(DLP1a; DLP1b)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 2 금속층(M2)으로 된 및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RW1a, RW1b)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제 3 금속층(M3)으로 된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RW2a, RW2b, RW2c)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1 층들(RW1a, RW1b)은 제 2 층(RW2b)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 2 층들(RW2a와 RW2b; RW2b와 RW2c)은 제 1 층들(RW1a; RW1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발명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2 금속층(M2)과 제 3 금속층(M3)이 동시에 크랙에 의해 단선되더라도 다수의 콘택홀을 통해 제 2 금속층(M2)과 제 3 금속층(M3)이 서로 연결되므로, 단선구간을 피해 다양한 경로를 거쳐 신호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는 제 3 실시예에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제 3 실시예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벤딩에 의한 크랙 발생으로 인한 제품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베젤영역에 배치되는 신호라인으로서 데이터 라인과 터치 라우팅 배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패드영역으로 연장되어 표시신호, 전원공급신호, 터치신호 등 각종 신호를 공급 및 수신하는 모든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청구범위 기재의 신호라인은 데이터 라인과 터치 라우팅 배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이 바형(bar shape)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예시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SUB: 기판
PL: 평탄화막(제 1 유기 절연막, 제 2 유기 절연막)
BN: 뱅크 ENC: 인캡슐레이션층
INS1: 제 1 절연막(제 3 유기 절연막)
INS2: 제 2 절연막(제 4 유기 절연막)
M1, M2, M3: 금속층
DL: 데이터 라인(제 1 신호라인)
DLP: 데이터 링크패턴(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DLP1: 제 1 데이터 링크패턴(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DLP2: 제 2 데이터 링크패턴(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DP: 데이터 패드(제 1 신호패드)
Tx: 제 1 터치전극(제 2 신호패드)
Rx: 제 2 터치전극(제 3 신호패드)
TW: 제 1 라우팅 배선(제 2 신호라인)
RW: 제 2 라우팅 배선(제 3 신호라인)
RW1, RW1a, RW1b: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1 층(제 3 신호라인)
RW2, RW2a, RW2b, RW2c: 제 2 라우팅 배선의 제 2 층(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TP: 제 1 터치패드(제 2 신호패드) RP: 제 2 터치패드(제 3 신호패드)

Claims (15)

  1.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 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은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상기 링크영역으로부터 상기 벤딩영역으로 연장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선에 연결되는 제 2-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5.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 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을 커버하는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은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선에 연결되는 제 2-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4 유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9.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베젤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젤영역으로 연장되는 제 1 신호라인을 커버하는 제 1 유기절연막;
    상기 기판의 벤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형성시에 형성되는 제 2 유기 절연막;
    상기 액티브 영역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유기 절연막 상부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층 상에서 제 3 유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벤딩영역 상의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및 제 3 신호라인들을 커버하는 제 3 유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및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을 커버하는 제 4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영역과 상기 벤딩영역 후단에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은 제 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은 제 2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1 금속층과, 상기 제 1-1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1 금속층과,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연결되는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1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신호패드;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2 금속층과, 상기 제 1-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2 금속층과, 상기 제 2-2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신호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3 금속층과, 상기 제 1-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신호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3 금속층과, 상기 제 2-3 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영역에서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3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신호패드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 제 2 신호라인 및 제 3 신호라인을 커버하며,
    상기 제 4 유기 절연막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베젤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 상기 제 2 및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을 커버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유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신호라인에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과 상기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은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1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1 신호라인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상기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2 신호라인은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2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2 신호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 3 신호라인과 상기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제 3 신호라인은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된 제 3 신호라인 보조 링크패턴은 제 3 신호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60158462A 2016-11-25 2016-11-25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8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62A KR102583831B1 (ko) 2016-11-25 2016-11-25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EP17192303.0A EP3327783B1 (en) 2016-11-25 2017-09-21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5/807,955 US10475874B2 (en) 2016-11-25 2017-11-09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202210017923.2A CN114335130A (zh) 2016-11-25 2017-11-27 显示装置
CN201711204179.2A CN108110031B (zh) 2016-11-25 2017-11-27 柔性电致发光显示装置
US16/667,874 US10790349B2 (en) 2016-11-25 2019-10-29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7/003,045 US11322573B2 (en) 2016-11-25 2020-08-26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7/712,497 US11678545B2 (en) 2016-11-25 2022-04-04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62A KR102583831B1 (ko) 2016-11-25 2016-11-25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33A KR20180059633A (ko) 2018-06-05
KR102583831B1 true KR102583831B1 (ko) 2023-09-27

Family

ID=5999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62A KR102583831B1 (ko) 2016-11-25 2016-11-25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475874B2 (ko)
EP (1) EP3327783B1 (ko)
KR (1) KR102583831B1 (ko)
CN (2) CN1081100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89B1 (ko) * 2016-10-31 2024-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83831B1 (ko) 2016-11-25 202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7168580A (zh) * 2017-05-16 2017-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板及其显示屏
KR102370450B1 (ko) * 2017-07-0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946317B (zh) * 2017-11-20 2020-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阵列基板及制备方法、显示基板、显示装置
KR102500553B1 (ko) * 2018-02-12 2023-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59746B2 (en) * 2018-03-09 2023-05-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593459B1 (ko) * 2018-04-18 202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40726B1 (ko) * 2018-04-18 2024-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920870A (zh) * 2018-05-18 2022-01-1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KR102601818B1 (ko) * 2018-07-19 2023-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N109062442B (zh) * 2018-08-16 2021-08-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148720B (zh) * 2018-08-23 2020-09-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装置
KR102538829B1 (ko) * 2018-09-18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0065938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KR102578168B1 (ko) 2018-10-01 2023-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6269B1 (ko) 2018-10-05 2023-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3991A (ko) * 2018-11-09 2020-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343746A (zh) * 2018-12-18 2019-02-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组件及其制造方法
KR102670355B1 (ko) * 2018-12-28 2024-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200088953A (ko) *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287368B (zh) * 2019-01-17 2024-02-06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11023085B2 (en) * 2019-03-07 2021-06-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974454B2 (en) * 2019-03-11 2024-04-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00118920A (ko) 2019-04-08 2020-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5659A (ko) * 2019-05-24 2020-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164311A (zh) * 2019-05-29 2019-08-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0265569A (zh) * 2019-06-10 2019-09-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210001277A (ko) * 2019-06-2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1535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4008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13506A (ko) 2019-07-26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6451A (ko) * 2019-08-30 2021-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77334A1 (zh) * 2019-10-23 2021-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797352B (zh) * 2019-11-08 2022-10-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10085356A (ko)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3161385A (zh) * 2019-12-31 2021-07-23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跨越弯曲区域的连接电极的显示装置
CN111261679B (zh) * 2020-01-17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KR20210130333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검사방법
US11640963B2 (en) * 2020-05-19 2023-05-0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768693A (zh) * 2020-06-24 2020-10-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20014365A (ko) 2020-07-23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7157761A (zh) * 2022-03-30 2023-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20240019539A (ko) * 2022-08-04 2024-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914B1 (ko) * 2010-10-29 2012-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474064B1 (ko) * 2012-09-11 2014-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40647B1 (ko) * 2012-11-30 2019-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812B1 (ko) *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740035B2 (en) * 2013-02-15 2017-08-22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5961B1 (ko) * 2013-12-24 2020-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095449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JP6289286B2 (ja) * 2014-06-25 2018-03-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295614B1 (ko) * 2014-09-29 2021-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7834B1 (ko) * 2014-11-30 2021-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4258844A3 (en) 2014-09-30 2023-11-15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05257B1 (ko) * 2015-01-28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8711B1 (ko) * 2015-04-27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61385B2 (en) * 2016-02-12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I740908B (zh) 2016-03-11 2021-10-01 南韓商三星顯示器有限公司 顯示設備
KR102536250B1 (ko) * 2016-03-17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283574B2 (en) * 2016-03-25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bending area capable of minimizing manufacturing defects
KR102514411B1 (ko) * 2016-03-31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83831B1 (ko) 2016-11-25 202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7783B1 (en) 2022-08-03
US20220231112A1 (en) 2022-07-21
US10475874B2 (en) 2019-11-12
KR20180059633A (ko) 2018-06-05
CN108110031B (zh) 2022-01-28
EP3327783A1 (en) 2018-05-30
US10790349B2 (en) 2020-09-29
US20180151662A1 (en) 2018-05-31
US11678545B2 (en) 2023-06-13
US20200066824A1 (en) 2020-02-27
CN114335130A (zh) 2022-04-12
CN108110031A (zh) 2018-06-01
US20200388667A1 (en) 2020-12-10
US11322573B2 (en)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831B1 (ko)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421143B1 (ko) 표시 장치
KR102423476B1 (ko) 표시 장치
US11106297B2 (en)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2016013214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CN110045884B (zh) 具有触摸屏的显示设备
US11579719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9928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10032608A (ko) 표시 장치
KR20180052830A (ko) 표시모듈
KR102646488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00039264A (ko) 표시장치
KR2018006934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표시 장치
CN117529164A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