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048B1 - 점안제 - Google Patents

점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048B1
KR102582048B1 KR1020197034667A KR20197034667A KR102582048B1 KR 102582048 B1 KR102582048 B1 KR 102582048B1 KR 1020197034667 A KR1020197034667 A KR 1020197034667A KR 20197034667 A KR20197034667 A KR 20197034667A KR 102582048 B1 KR102582048 B1 KR 10258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op
salt
eye
concentra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027A (ko
Inventor
다카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0170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820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3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703A/ko
Publication of KR2019014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61K31/5513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 A61K31/5517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condensed with five-membered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midazobenzodiazepines, triazol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 어드히어런스의 향상, 예를 들어, 점안 횟수의 저감을 가져오는 것에 더하여,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장용한 채로의 점안을 가능하게 하는,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안제
본 발명은,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이하, 「본 발명의 점안제」라고도 한다)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의 표면에 외부로부터의 알레르겐(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는 물질)이 부착하여, 결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증상이며, 주로 일년내내 증상이 나타나는 통년성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특정한 계절만 증상이 나타나는 계절성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그 주요한 원인의 하나는 화분(花粉)에 인한 것이고, 특히 초봄에 날리는 삼나무 화분에 의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매년 매우 많은 사람이 발증한다고 말해지고 있다.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의하면, 삼나무 화분에 의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비산된 화분 입자가 결막낭 내에 침입한 후, 누액에 의해 화분 외벽이 파열되어, 용출된 알레르겐이 결막 조직으로 이행하여 비만 세포 상의 항체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발증한다고 생각된다. 누액 중에서는 화분 외벽의 파열은 일어나기 쉽고, 화분 외벽의 파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pH나 온도와 같은 물리화학적인 영향에 더하여, 누액 중의 성분(리소자임이나 단백질, 다양한 분해 효소 등)에 의한 영향이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항알레르기 점안액에 있어서도, 그 종류에 따라서는, 종래의 약리 작용 외에도 화분 외벽의 파열이나 알레르겐의 용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3에 의하면, 점안액에 포함되는 첨가제에 대해서도, 화분 외벽의 파열이나 알레르겐의 용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PBS(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는 화분 외벽의 파열을 촉진할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으므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에서의 인산 또는 그의 염 등의 첨가에는 일정한 염려가 있었다.
비특허문헌 4에는, 현재,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제로서 일본에서 출시되고 있는, 에피나스틴 염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그 용법·용량은 통상 1회 1적, 1일 4회 점안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복약 어드히어런스의 관점에서, 점안제로서 1일 4회의 점안은, 일상 생활에 있어서 수시간 점안할 수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보다 적은 점안 횟수가 바람직하고, 점안 횟수를 1일 4회 미만, 구체적으로는, 1일 1회 또는 2회로 저감한 점안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소프트 콘택트 렌즈(SCL)를 장용한 채로 점안할 수 있는 점안제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비특허문헌 5에는, 일본에 있어서는, 에피나스틴 염산염과 동일하게 히스타민 H1 길항약으로서 알려진 케토티펜 푸마르산염, 레보카바스틴 염산염, 올로파다딘 염산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이 항알레르기 점안약으로서 인가되어 있지만, 모두 1일 4회 점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히스타민 H1 길항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 점안약에 대해서는, 1일 1회 또는 2회 점안으로, 1일 4회 점안과 동일한 정도의 치료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알레르기·면역 2010, Vol. 17, No. 2, 124-129 알레르기·면역 2011, Vol. 18, No. 2, 82-87 알레르기·면역 2016, Vol. 23, No. 2, 124-130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 첨부 문서 알레르기 2014, Vol. 6, No. 8, 1103-1109
따라서, 복약 어드히어런스의 향상, 예를 들어, 점안 횟수의 저감을 가져오는 것에 더하여,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장용한 채로의 점안을 가능하게 하는, 유효 성분으로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를 제공하는 것은 흥미 깊은 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복약 어드히어런스의 향상, 예를 들어, 점안 횟수의 저감을 가져오는, 유효 성분으로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를 찾아내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바, 0.1%(w/v)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점안 횟수를 줄여도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해 충분한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 인산 또는 그의 염을 이용해도 화분 외벽의 파열이나 알레르겐의 용출에 대한 영향이 최소한인 것, 또한, SCL의 변형을 야기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2) 점안제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075체적 몰농도 이하인, (1)에 기재된 점안제.
(3)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점안제.
(4)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5) 추가로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6)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안에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7) 1일 1회 또는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8)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9) 1안당 1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10)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염산염, 완충제로서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점안제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075체적 몰농도 이하이며,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고, 1안당 1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더욱이,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1)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 방법.
(12) 1일 1회 또는 2회 점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의 치료 방법.
(13)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의 치료 방법.
(14) 1안당 1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의 치료 방법.
(15)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16)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의 사용.
(17)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1%(w/v)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첨가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고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에 방부 효력을 부여하는 방법.
(18)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1%(w/v)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첨가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고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에 방부 효력을 유지하는 방법.
(19)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변형을 억제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은 이하도 제공한다.
(20)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21) 점안제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075체적 몰농도 이하인, (20)에 기재된 점안제.
(22)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인, (20) 또는 (21)에 기재된 점안제.
(23)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고,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24)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안에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에 기재된 점안제.
(25)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20)∼(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26) 추가로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20)∼(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제.
한편, 상기 (1) 내지 (26)의 각 구성은, 임의로 2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안 횟수를 줄여도 충분한 치료 효과를 갖는, 유효 성분으로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콘택트 렌즈에 흡착한다고 여겨지는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안에 점안 가능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이란, 화학명 (±)-3-Amino-9,13b-dihydro-1H-dibenz[c,f]imidazo[1,5-a]azepine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또한 하기 식:
[화학식 1]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에피나스틴은 라세미체여도 되고, 광학 이성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에피나스틴은 염이어도 되고,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염산, 브로민화 수소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아세트산,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석신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토산, 글루쿠론산, 테레프탈산, 메테인설폰산, 알라닌, 락트산, 마뇨산, 1,2-에테인다이설폰산, 이세티온산, 락토비온산, 올레산, 갈산, 파모산, 폴리갈락투론산, 스테아르산, 타닌산,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황산 라우릴, 황산 메틸, 나프탈렌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에피나스틴의 염으로서는, 일염산염(에피나스틴 염산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은, 그 함유량이 0.1%(w/v)보다 낮으면, 충분한 약효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점안량이나 점안 횟수를 늘리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복약 어드히어런스의 관점에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은 0.1%(w/v)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이론적으로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을 0.1%(w/v) 초과하게 하면, 더욱 점안 횟수를 감소시킬 가능성도 있지만(예를 들어, 2일에 1회),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에 따라서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변형시키는 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 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즉, 유효 성분인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은, 약효 효과, 점안 횟수, 소프트 콘택트 렌즈에 대한 영향의 유무, 복약 어드히어런스 등의 다양한 요소를 감안한 다음, 그 밸런스를 취한 농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w/v)」는, 본 발명의 점안제 100mL 중에 포함되는 대상 성분의 질량(g)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의 염이 함유되는 경우, 그 값은 에피나스틴의 염의 함유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하여 배합되는 경우, 그 값은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함유량이다. 이하,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마찬가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용액 중에서 완충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상태는 용액의 pH에 의존하지만, 점안제를 조제할 때의 원료로서는, 인산, 인산 삼나트륨, 인산이수소 나트륨, 인산수소 나트륨(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 삼칼륨, 인산이수소 칼륨, 인산수소 이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이나트륨이다. 인산 또는 그의 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수화물인 경우, 그 수화수는 통상 배위할 수 있는 수이면 되고, 인산 또는 그의 염의 수화물이란, 예를 들어 1수화물, 2수화물, 3수화물, 4수화물, 5수화물, 6수화물, 7수화물, 8수화물, 9수화물, 10수화물, 11수화물, 12수화물, 1/2수화물, 3/2수화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75체적 몰농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0.075체적 몰농도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07체적 몰농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체적 몰농도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0.001∼0.075체적 몰농도도 바람직하고, 0.005∼0.07체적 몰농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0.05체적 몰농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0.01체적 몰농도, 0.02체적 몰농도, 0.03체적 몰농도, 0.04체적 몰농도, 0.05체적 몰농도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이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농도는 이들을 합계한 체적 몰농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인산이수소 나트륨 0.03체적 몰농도와 인산수소 나트륨 0.045체적 몰농도를 배합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점안제에 함유되는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는 0.075체적 몰농도로 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를 나타내는 「체적 몰농도」는, 각종 인산염의 원료가 되는 염이나 수화물이 다양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지표로서 「PO4 3-」의 몰수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점안제 1L 중에 포함되는 대상 성분의 물질량(mol)을 「체적 몰농도」로 한 것으로, 「mol/L」 또는 「M」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 및 「인산 농도」는, 본 발명의 점안제 1L 중에 포함되는, 인산, 인산염, 인산의 1가 이온, 인산의 2가 이온, 인산의 3가 이온이 모두 「PO4 3-」로서 존재했을 경우의 체적 몰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안제에, 인산이수소 나트륨 2수화물 1.0g을 함유시켰을 경우의 인산 농도는 0.064M이며, 또한 본 발명의 점안제에, 인산이수소 나트륨 2수화물 0.3g과 인산수소 나트륨 12수화물 1.0g을 함유시켰을 경우의 인산 농도는 합산하여 0.047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안제 중에 함유되는, 해리되는 인산염은 본 발명의 점안제 중의 「인산 농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효 성분인 에피나스틴의 인산염을 함유하는 경우는, 그 인산염은 모두 해리되는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점안제 중의 「인산 농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과 병용하여,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그 외의 완충제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어, 붕산 또는 그의 염, 붕사, 트로메타몰, 탄산 또는 그의 염 혹은 유기산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어도 된다.
붕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붕산, 붕산 나트륨, 붕산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탄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유기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시트르산, 아세트산, ε-아미노카프로산, 글루콘산, 푸마르산, 락트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말레산, 말산, 아미노산류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과 병용하여, 그 외의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완충제의 함유량은, 완충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1∼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w/v)가 더욱 바람직하고, 0.1∼1%(w/v)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인산 또는 그의 염과는 별도로, 완충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다」란, 점안제 중의 염화 벤잘코늄의 함유량이 문자 그대로 제로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는, 안과용 제제로서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의약품의 첨가제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등장화제, 점조제, 계면활성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pH 조절제 등을 가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고, 적량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등장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온성 등장화제나 비이온성 등장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등장화제로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등장화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소르비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로서, 이온성 등장화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염화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등장화제를 2종 이상 함께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의 함유량은, 등장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1%∼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3%(w/v)가 더욱 바람직하고, 0.5∼2%(w/v)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점조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점조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점조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프탈레이트, 카복시메틸에틸 셀룰로스, 아세트산 프탈산 셀룰로스,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바이닐알코올, 카복시바이닐 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하이알루론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점조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점조제의 함유량은, 점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5%(w/v)가 바람직하고, 0.01%∼3%(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계면활성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계면활성화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양이온성 계면활성화제, 음이온성 계면활성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화제로서는, 알킬아민염,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부가물, 지방산 트라이에탄올아민 모노에스터염, 아실아미노에틸다이에틸아민염, 지방산 폴리아민 축합물, 알킬이미다졸린, 1-아실아미노에틸-2-알킬이미다졸린, 1-하이드록실에틸-2-알킬이미다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 염화 벤잘코늄은 양이온성 계면활성화제의 성질을 갖고 있지만, 이것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활성화제로서는, 레시틴 등의 인산 지질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화제로서는, 스테아르산 폴리옥실 4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라이올레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실 5 피마자유, 폴리옥실 9 피마자유, 폴리옥실 15 피마자유,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폴리옥실 40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실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 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42) 폴리옥시프로필렌(67) 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54) 폴리옥시프로필렌(39) 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196) 폴리옥시프로필렌(67) 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20) 글라이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라이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터;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00 석신산 에스터(비타민 E TPG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계면활성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계면활성화제의 함유량은, 계면활성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1∼1%(w/v)가 바람직하고, 0.05∼0.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0.2%(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안정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안정화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안정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에데트산,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안정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안정화제의 함유량은, 안정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5%(w/v)가 바람직하고, 0.01%∼3%(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항산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항산화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항산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아황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항산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항산화제의 함유량은, 항산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5%(w/v)가 바람직하고, 0.01%∼3%(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pH 조절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pH 조절제는,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pH 조절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산 또는 염기이며,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 인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등,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은 완충제로서 사용되어도 되지만, pH 조절제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의 pH는, 의약품으로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4.0∼8.5 또는 4.0∼8.0의 범위 내이며, 6.0∼8.0이 바람직하고, 6.5∼7.5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pH는, 6.7∼7.3이지만, 6.7, 6.8, 6.9, 7.0, 7.1, 7.2, 7.3도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의 침투압비는, 의약품으로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0.5∼2.0이며, 0.7∼1.6이 바람직하고, 0.8∼1.4가 보다 바람직하고, 0.9∼1.2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있어서, 그 구성 성분이 모두 용해 또는 일부 현탁되어 있어도 되지만, 구성 성분이 모두 용해되어 있는 액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이외의 점안제에 이용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란,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그 증상의 모든 치료(예를 들어, 개선, 경감, 진행의 억제 등) 및 그 예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로 나누어 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안당 1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로 나누어 점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점안제를 1일 2회로 나누어 점안하는 경우에는, 그 점안 간격은 적어도 1시간 이상이 좋고, 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3시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1적은, 통상, 약 0.01∼약 0.1mL이며, 약 0.015∼약 0.07mL가 바람직하고, 약 0.02∼약 0.05mL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0.03mL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하드 콘택트 렌즈 장용 시에 있어서도,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 시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함수성 또는 비함수성의 구별을 묻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복 사용되는 렌즈 외에, 1일 착용 렌즈, 1주간 착용 렌즈, 2주간 착용 렌즈 등의 시판되는 모든 소프트 콘택트 렌즈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의 용기는, 멀티 도즈형 용기, 1회 사용분의 유닛 도즈형 용기 또는 PFMD(Preservative Free Multi Dose) 용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한편, 용기의 소재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범용되는 점안제의 용기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지제 용기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제, 폴리프로필렌(PP)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코폴리머제, 폴리염화 바이닐제, 아크릴제, 폴리스타이렌제, 폴리환상 올레핀 코폴리머제 등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 용기의 재질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면, 폴리에틸렌은 그 밀도에 의해 분류되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제,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제 등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범용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수에 각 성분을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침투압, pH 등을 소정의 범위로 조정하고, 여과 멸균 또는 가열 멸균 처리하는 것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제제예 및 각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제예를 나타낸다. 한편, 하기 제제예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량은 제제 100mL 중의 함량이다.
제제예 1
에피나스틴 염산염 0.1g
인산이수소 나트륨 2수화물 1.0g(0.064M)
염화 나트륨 0.5g
묽은 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7.0
(제제예 1에 포함되는 인산 농도: 0.064M)
제제예 2
에피나스틴 염산염 0.1g
인산이수소 나트륨 2수화물 0.3g(0.019M)
인산수소 나트륨 12수화물 1.0g(0.028M)
염화 나트륨 0.5g
묽은 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7.0
(제제예 2에 포함되는 인산 농도: 0.047M)
1. 화분 외벽의 파열 억제 시험
(1) 피험 제제의 조제
이하의 농도가 되도록, 에피나스틴 염산염, 인산 또는 그의 염, 염화 나트륨을 물에 용해하고, pH 조절제(염산 및/또는 수산화 나트륨)와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mL로 하고, 여과 멸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의 제제를 조제했다.
실시예 1
에피나스틴 염산염 0.1%(w/v)
염화 나트륨 0.5%(w/v)
인산 농도 0.075M
묽은 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7.0
실시예 1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5 및 비교예 1∼2의 제제를 조제했다. 각 피험 제제의 농도에 대해,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일본에서 출시되어 있는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를 비교예 3으로 했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2
(2) 시험 방법
삼나무 화분 입자를 약 3μL씩 채취하여,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파종했다. 그 후, 각 웰에 피험 제제 50μL를 적하하고, 직후에 혈구 계산반을 이용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토털 화분수를 계측했다. 추가로, 경시적으로 적하 5분 후 및 10분 후에 파열된 화분수를 마찬가지로 현미경하에서 계측했다.
화분 파열률은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했다.
화분 파열률(%)=(적하 5분 후 또는 10분 후까지 파열된 화분수)/(피험 제제 적하 직후의 토털 화분수)×100
(3)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3
표 2에 나타나듯이, 인산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화분 외벽의 파열이 진행되는 것,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은 농도 의존적으로 화분 외벽의 파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 및 일정 범위의 인산 농도에 대해서, 일정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화분 외벽의 파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아울러, 0.075체적 몰농도 초과의 인산 농도를 함유하는 0.1%(w/v) 에피나스틴 염산염 용액에서는,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와 동일한 정도의 화분 외벽의 파열률을 얻을 수 없음도 시사되었다.
2. 소프트 콘택트 렌즈(SCL) 변형 시험
본 발명의 점안제에 의한 SCL의 변형의 유무를 검토했다.
(1) 피험 제제의 조제
피험 제제로서, 상기의 「1. 화분 외벽의 파열 억제 시험」에서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3(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을 선택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하의 비교예 4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4
에피나스틴 염산염 0.15%(w/v)
염화 나트륨 0.5%(w/v)
인산 농도 0.05M
묽은 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7.0
(2) 시험 방법
SCL에 각 피험 제제 50μL를 적하하고, 10분 후에 약액을 제거한 후에 생리 식염수로 세정했다. 이것을 1사이클로 하여, 7사이클 반복했다. SCL의 직경 및 베이스 커브를 측정했다.
직경 변형량 및 베이스 커브 변형량은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직경 변형량(mm)=(7사이클 후의 직경)-(사용 전의 직경)
베이스 커브 변형량(mm)=(7사이클 후의 베이스 커브)-(사용 전의 베이스 커브)
(3)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4
표 3에 나타나듯이,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고농도가 되면, SCL의 변형을 야기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3. 알레르기성 결막염 모델을 이용한 약효 평가 시험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항알레르기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모르모트를 이용하여 실험적 알레르기성 결막염 모델을 작성하여, 본 발명의 점안제의 치료 효과를 검토했다.
피험 제제로서, 상기의 「1. 화분 외벽의 파열 억제 시험」에서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3(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을 이용했다. 모르모트에게 피험 제제를 점안 후, 알레르기를 야기할 때까지의 시간을 바꾸는 것에 의해, 각 피험 제제의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점안 후 8시간의 시점과, 비교예 3에 있어서의 점안 후 4시간의 시점에서, 거의 동일한 정도의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즉, 실시예 2의 제제는, 비교예 3의 제제에 비해 치료 효과의 지속 시간이 약 2배이다. 따라서, 실제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교예 3의 점안 횟수가 1일 4회인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점안제의 점안 횟수는 1일 2회로 충분함이 시사되었다.
4. 안내(眼內) 동태 시험
점안 후의 안내 동태를 평가하기 위해, 동물에게 본 발명의 점안제를 점안하고, 점안 후의 결막 중 농도를 측정했다.
(1) 피험 제제의 조제
피험 제제로서 상기의 「1. 화분 외벽의 파열 억제 시험」에서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3(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을 선택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완충제로서 트로메타몰을 포함하는, 이하의 비교예 5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5
에피나스틴 염산염 0.1%(w/v)
염화 나트륨 0.76%(w/v)
트로메타몰 0.25%(w/v)
묽은 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7.0
(2) 시험 방법
각 피험 제제 5μL를 래트에게 1회 점안 투여하고(n=5), 점안 후 1시간 및 4시간 후에, 도살 처분 후의 안구를 적출했다. 그 결막 중의 에피나스틴 농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산출했다.
(3)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5
표 4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점안제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 에피나스틴은 결막 중에 길게 체류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제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교예 3의 점안 횟수는 1일 4회인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점안제의 점안 횟수는 그보다 적게 끝마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피험 제제에 함유되는 첨가제가, 에피나스틴의 결막 중에서의 체류 시간에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어, 완충제로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우수함이 시사되었다.
5. 방부 효력 시험
본 시험은, 제17 개정 일본약방에 기재된 보존 효력 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했다.
(1) 피험 제제의 조제
실시예 1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6∼7 및 비교예 6의 제제를 조제했다. 각 피험 제제의 농도에 대해, 표 5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6
(2) 시험 방법
접종균으로서 이하의 균주를 사용했다.
세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8739(E. coli라고도 한다)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P. aeruginosa라고도 한다)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S. aureus라고도 한다)
효모균 및 곰팡이류:
칸디다, Candida albicans ATCC 10231(C. albicans라고도 한다)
흑색 누룩곰팡이,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16404(A. brasiliensis라고도 한다)
각 제제로 이루어지는 시험 시료 중의 균액 농도가 105∼106개/mL(5균종 모두)가 되도록, 접종균액을 시험 시료에 접종했다. 구체적으로는, 107∼108cfu/mL가 되도록 접종균액을 조제하고, 이 접종균액을 105∼106cfu/mL가 되도록, 실시예 6∼7 및 비교예 6의 제제로 이루어지는 시험 시료에 각 접종균액을 접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시료로 했다. 이들 시료를 차광하 20∼25℃에 보존하고, 각 샘플링 포인트(7일 후, 14일 후, 또는 28일 후)에 있어서, 각 시료로부터 마이크로피펫으로 1mL를 채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했다. 각 샘플링 포인트에서는, 시료 용액의 뚜껑을 열어 샘플링을 실시하고, 뚜껑을 닫는 조작을 행했다.
(3)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의 시험 결과는, 생균수를 측정했을 때의 균수(A)에 대한 접종 시의 균수(B)의 비(B/A)의 상용대수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이 「1」인 경우에는, 검사 시의 생균수가 접종균수의 10%로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시험의 합부 판정에 대해, 세균종(E. coli, P. aeruginosa, S. aureus)에 대해서는, 파종 7일 후에 1.0 이상, 또한 14일 후 또는 28일 후에 3.0 이상인 것, 및 진균종(C. albicans, A. brasiliensis)에 대해서는, 파종 7일 후와 비교하여 파종 14일 후 또는 28일 후의 수치가 감소하고 있지 않는 것을 모두 만족시켰을 때에 적합으로 했다. 한편, 표 중의 "N.D."는 측정을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7
표 6에 나타나듯이,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실시예 6∼7의 제제는,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균에 대해서도 충분한 방부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서, 비교예 6의 제제는, 충분한 방부 효과를 갖지 않음이 나타났다. 이것에 의해, 0.05%(w/v) 초과, 적어도 0.1%(w/v) 이상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제는,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함이 시사되었다.
6. 인간에 있어서의 약효 평가 시험
인간에 있어서의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항알레르기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시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점안제의 치료 효과를 검토했다. 치료 효과의 비교 대조에는, 비교약 1(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을 이용했다.
(1) 피험 제제의 조제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완충제로서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 및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점안제로서, 또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제(치료약 1)를, 범용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제했다. 한편, 상기 점안제(치료약 1)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는 0.075체적 몰농도 이하가 되도록 조제했다.
(2) 시험 방법
무증상기의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68명)를 대상으로 하여, 미리 피험자마다의 지적(至適) 항원 농도를 결정한 후, 2군(A군: 비교약 1 선행군, B군: 치험약 1 선행군)에게 무작위로 할당하고, 2회의 내원에서 치험약을 이중맹검법하에서 점안한 후에 항원 유발을 행했다.
1회째 내원에서, A군에서는 항원 유발 8시간(1일 2회 투여하는 경우의 점안 간격에 상당) 전에 플라시보 점안액을 편안에 1적 점안하고, 항원 유발 4시간(1일 4회 투여하는 경우의 점안 간격에 상당) 전에 비교약 1을 타안에 1적 점안했다. B군에서는 항원 유발 8시간 전에 치험약 1을 편안에 1적 점안하고, 항원 유발 4시간 전에 플라시보 점안액을 타안에 1적 점안했다. 14일 이상 띄운 2번째 내원에서는, A군과 B군에서 투여 약제를 크로스오버시켰다.
(3) 항원 유발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의 평가 방법
안 소양감(搔痒感) 및 결막 충혈(안구 결막 충혈 및 안검 결막 충혈)에 대해, 증상의 중도(重度)에 기초한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 스코어를 붙이는 것에 의해 평가했다. 한편, 안 소양감의 스코어는 0∼4의 5단계, 결막 충혈의 스코어는 0∼6(안구 결막 충혈 0∼3과 안검 결막 충혈 0∼3의 합계 스코어)의 7단계이다.
(4) 시험 결과 및 고찰
항원 유발 후의 3시점(3분, 5분 및 10분 후)의 평균의 안 소양감 스코어, 및 항원 유발 후의 3시점(5분, 10분 및 20분 후)의 평균의 결막 충혈 스코어를 표 7에 나타낸다. (한편, 표 중의 "Mean"은 평균치, "SD"는 표준 편차, "N"은 샘플수를 나타내고, 이들은 범용적인 통계 처리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9120730939-pct00008
표 7에 나타나듯이, 치료약 1은 인간에서의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해서 높은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더욱이 치료약 1은, 비교약 1과 비교하여 치료 효과의 지속 시간이 약 2배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실제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교약 1의 점안 횟수가 1일 4회인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점안제의 점안 횟수는 1일 2회로 충분함이 시사되었다.
또한 치료약 1은, 비교약 1과 비교하여 유효 성분이 고농도임에도 불구하고, 본 시험 중에 있어서 부작용은 발현하고 있지 않아, 의약품으로서 충분히 인용(忍容)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완충제로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염화 벤잘코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및 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고, 1안당 1적 또는 2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안제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075체적 몰농도 이하인, 점안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인, 점안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점안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점안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프트 콘택트 렌즈 장용안에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7. 유효 성분으로서 0.1%(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염산염, 완충제로서 인산이수소 나트륨 및 인산수소 나트륨, 등장화제로서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용의 점안제로서, 점안제 중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075체적 몰농도 이하이며,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고, 1안당 1적을 1회로 하여 1일 2회 점안되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7034667A 2017-05-01 2017-12-27 점안제 KR10258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1958A KR20230136703A (ko) 2017-05-01 2017-12-27 점안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1391 2017-05-01
JP2017091391 2017-05-01
PCT/JP2017/046857 WO2018203424A1 (ja) 2017-05-01 2017-12-27 点眼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958A Division KR20230136703A (ko) 2017-05-01 2017-12-27 점안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027A KR20190140027A (ko) 2019-12-18
KR102582048B1 true KR102582048B1 (ko) 2023-09-21

Family

ID=640170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958A KR20230136703A (ko) 2017-05-01 2017-12-27 점안제
KR1020197034667A KR102582048B1 (ko) 2017-05-01 2017-12-27 점안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958A KR20230136703A (ko) 2017-05-01 2017-12-27 점안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4) JP6487609B1 (ko)
KR (2) KR20230136703A (ko)
TW (1) TW201841620A (ko)
WO (1) WO2018203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424A1 (ja) * 2017-05-01 2018-11-08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剤
TWI798452B (zh) * 2019-06-17 2023-04-1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US20240058356A1 (en) * 2020-12-24 2024-02-22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containing epi-nastine or salt thereof and containing sulfur-based antioxid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424A1 (ja) 2017-05-01 2018-11-08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4516A1 (de) * 1999-11-12 2001-05-17 Boehringer Ingelheim Int Epinastin-haltige Lösungen
US7247623B2 (en) * 2005-08-19 2007-07-24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dry eye disease with non-drying antihistamines
CN101036659A (zh) * 2006-03-13 2007-09-19 张文静 一组盐酸依匹斯汀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491876A (zh) * 2014-12-23 2015-04-08 中国药科大学 含玻璃酸钠的依匹斯汀滴眼液及其制备方法
JP6134853B1 (ja) * 2016-10-28 2017-05-24 参天製薬株式会社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424A1 (ja) 2017-05-01 2018-11-08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3424A1 (ja) 2018-11-08
JP2022185062A (ja) 2022-12-13
KR20190140027A (ko) 2019-12-18
TW201841620A (zh) 2018-12-01
JP6487609B1 (ja) 2019-03-20
KR20230136703A (ko) 2023-09-26
JP2019123714A (ja) 2019-07-25
JP2020125318A (ja) 2020-08-20
JPWO2018203424A1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32920B (zh) 抑制軟性隱形眼鏡變質之眼科用組成物
KR102582048B1 (ko) 점안제
TWI751136B (zh) 含多佐胺與溴莫尼定之醫藥組成物
JP6178028B1 (ja) ドルゾラミドとチモロールと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20240054409A (ko)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US20190076442A1 (en) Preservative fr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phthalmic administration containing bimatoprost and timolol
JP2023093601A (ja) 眼科用製品
CN103565734B (zh) 一种苄达赖氨酸滴眼液及其制备方法
Hopes et al. Preservative-free treatment in glaucoma is a sensible and realistic aim for the future
RU2662067C2 (ru) Прозрачный водный раствор
JP7247278B2 (ja) 水性医薬組成物
US20210177753A1 (en)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brinzolamide and brimonidin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JPWO2019022225A1 (ja) アルカフタジ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水性医薬組成物
AU2010236505B2 (en) Aqueous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therapeutic agents
JP6877613B2 (ja) 防腐効果のある医薬の組合せ
JP7337791B2 (ja) デスロラタジ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Faria et al. Efeitos do uso tópico do conservante cloreto de benzalcônio e ciclosporina na conjuntiva de coelhos: estudo histomorfométrico
JP6702754B2 (ja) ドルゾラミドを含有する防腐剤
JP2016034936A (ja) 角膜上皮障害治療剤の組み合わせ
JP2022173166A (ja)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JP2020070297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変質を抑制する眼科用組成物
CN102526738A (zh) 一种复方眼用制剂、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