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93B1 -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93B1
KR102576793B1 KR1020217001386A KR20217001386A KR102576793B1 KR 102576793 B1 KR102576793 B1 KR 102576793B1 KR 1020217001386 A KR1020217001386 A KR 1020217001386A KR 20217001386 A KR20217001386 A KR 20217001386A KR 102576793 B1 KR102576793 B1 KR 10257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slurry
containing powder
treatment tank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775A (ko
Inventor
다이키 히라마에
요시노부 타츠미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8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extr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 C04B7/26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from raw materials containing 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8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e.g. mixing with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60Methods for eliminating alkali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from the raw materials or during the burning process; methods for eliminating other harmfu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2Single element halogens
    • B01D2257/2025Chl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30Incineration a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은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S1)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2)와, 상기 처리조(2)에 부설되어, 상기 처리조(2)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S1)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1)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A1)가 상기 슬러리(S1)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형 산기장치(3)와, 상기 처리조(2)에서 꺼낸 상기 슬러리(S2)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C1)를 얻기 위한 여별 분리 장치(6),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소각재 등의 시멘트 원료화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원료화에 의한 폐기물의 리사이클 처리에 있어서, 염소를 함유하는 폐기물은 그 염소에 의해 시멘트 제조 설비의 막힘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의 폐기물로서 예를 들어 소각재나 시멘트 킬른 더스트(CKD) 등의 염소 함유 분체를 시멘트 원료화할 때에는 탈염 처리에 의해 함유 염소량을 저감시킨 후 사용하고 있다.
소각재 등의 탈염 처리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소각재에 물을 첨가하여 염소를 용출시킨 후 탈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물과의 혼합과 탈수를 반복함으로써 소각재를 여러 번 세정하여 탈염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재 또는 더스트의 세정 현탁액에 이산화탄소를 도입하여 재 또는 더스트에 포함되는 난용성의 프리델씨염(Friedel's salt)으로부터의 염소 이온의 용출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2-3383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3-21112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10-128304호 공보
일반적으로 소각재 등의 염소 함유 분체를 연속적으로 수세 처리할 때에는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슬러리상으로 만든 염소 함유 분체를 수용하고, 교반익에 의한 교반과 함께, 염소 이온의 용출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디스크형 디퓨저(산기반(散氣盤)) 등에서 기포로 만들어 주입하면서 수세하고 이러한 처리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슬러리를 여별 분리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이러한 방법으로 교반을 수행한 슬러리는 필터 프레스 등에서의 여별 분리에 비교적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소각재 등의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여별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번째로,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에 수용하는 염소 함유 분체 도입 공정과,
상기 처리조에 수용한 상기 슬러리를 교반하여 상기 염소 함유 분체에 포함되는 염소를 액상 내에 용출하는 염소 용출 공정과,
상기 염소 용출후의 상기 슬러리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를 얻는 여별 분리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상기 슬러리의 교반을, 상기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행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에 의하면,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의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교반을,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행하므로,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일지라도 처리조내의 저부측에 체류하지 않고 슬러리 전체에 잘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러리에 포함되는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가 넓고 또한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가 형성되고, 염소 용출 공정 후의 여별 분리 공정 시에는 그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가 핵이 되어 비교적 입도가 작은 고상 입자도 함께 적당히 연통된 입자간 공극을 갖는 충전 구조가 되어 액상이 쉽게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염소 용출 공정을 거친 슬러리를 여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여별 분리 공정을 향해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수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염소 용출 공정을 거친 슬러리의 처리조로부터의 반출을 위해 작업자들에 의한 특별한 작업을 요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른 연속적인 수세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3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별 분리 공정에서의 상기 액상의 분리를 필터 프레스에 의해 수행하는 상기 수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여별 분리 공정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탈염 케이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4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소 함유 분체가 소각 비산재, 용융 비산재 및 시멘트 킬른 더스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수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염소를 함유하는 폐기물인, 소각 비산재, 용융 비산재, 시멘트 킬른 더스트 등을 탈염 처리하여 예를 들어 시멘트 원료 등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5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상기 수세 처리가 가능해지는 상기 수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6번째로,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부설되어, 상기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형 산기장치와,
상기 처리조에서 꺼낸 상기 슬러리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를 얻기 위한 여별 분리 장치, 를 구비한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교반하여 그 액상으로 염소를 용출시키는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그 교반을, 처리조에 부설된 통형 산기장치를 이용하여,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켜 수행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슬러리의 교반시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일지라도 처리조내의 저부측에 체류하지 않고 슬러리 전체에 잘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러리에 포함되는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가 넓고 또한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가 형성되고, 염소 용출 공정 후의 여별 분리 공정 시에는 그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가 핵이 되어 비교적 입도가 작은 고상 입자도 함께 적당히 연통된 입자간 공극을 갖는 충전 구조가 되어 액상이 쉽게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염소 용출 공정을 거친 슬러리를 여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7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여별 분리 장치를 향해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염소 용출 공정을 거친 슬러리의 처리조로부터의 반출을 위해 작업자들에 의한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른 연속적인 수세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8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여별 분리 장치는 필터 프레스인 상기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여별 분리 장치에 의한 여별 분리 공정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탈염 케이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9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얻어진 탈염 케이크를 시멘트 제조 설비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를 더 구비하는 상기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염소를 함유하는 폐기물인, 예를 들어 소각 비산재, 용융 비산재, 시멘트 킬른 더스트 등을 탈염 처리하여 얻어진 탈염 케이크를 그대로 시멘트 제조 설비로 반송하여 시멘트 원료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0번째로, 상기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상기 수세 처리가 가능해지는 상기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재 등의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여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각재 등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탈염 처리하여 이것을 시멘트 원료 등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수세 처리의 기본적 구성을 설명하는 플로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도 3은 시험예 2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에서 얻어진 탈염 케이크(C1)의 고상분의 입도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처리 대상으로서는 염소를 함유하는 분체이면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소각 비산재, 용융 비산재, 시멘트 킬른 더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종래에 탈염의 처리의 후 시멘트 원료로서 유효 이용되고 있는 폐기물로서, 전형적인 도시 쓰레기 소각 비산재, 즉 가정 쓰레기 폐기물을 소각 처리할 때에 발생하는 비산재(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소각 비산재”로 칭하기로 함)에는 일반적으로 염소(Cl)가 10질량% ~ 30질량% 정도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고, 또한 가스화 용융로로부터 발생한 비산재(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용융 비산재”로 칭하기로 함)에는 일반적으로 염소가 10질량% ~ 40질량% 정도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한편, 시멘트 킬른 추기 가스에 포함되는 더스트인 시멘트 킬른 더스트에는 일반적으로 염소가 10질량% ~ 40질량% 정도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폐기물의 함유 염소량을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는 0.1질량% ~ 3질량% 정도의 농도, 보다 전형적으로는 0.1질량% ~ 1.5질량% 정도의 농도까지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유 염소량이 저감된 탈염 케이크는 시멘트 원료 등으로서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염소 함유 분체의 염소의 농도는 주지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SO 29581-2 Cement-Test methods-Part 2: Chemical analysis by X-ray fluorescence, 또는 시멘트협회 표준시험방법 JCAS I-05 “형광 X선 분석에 의한 시멘트 내의 염소의 정량 방법” 등을 준용한 형광 X선 분석법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나, 본 발명은 이 도면들과 함께 설명하는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수세 처리의 기본적 구성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도시하였다. 이 플로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세 처리 방법은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에 수용하는 염소 함유 분체 도입 공정(s-1)과, 처리조에 수용한 슬러리를 교반하여 염소 함유 분체에 포함된 염소를 액상 내로 용출시키는 염소 용출 공정(s-2)과, 염소 용출후의 상기 슬러리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를 얻는 여별 분리 공정(s-3)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세 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슬러리의 교반을,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그 처리조에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슬러리와 상기 가스와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일지라도 처리조내의 저부측에 체류하지 않고 슬러리 전체에 잘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리에 포함되는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가 넓고 또한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가 형성되고, 염소 용출 공정 후의 여별 분리 공정 시에는 그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가 핵이 되어 비교적 입도가 작은 고상 입자도 함께 적당히 연통된 입자간 공극을 갖는 충전 구조가 되어 양호한 여과 속도를 발현한다. 이 뛰어난 여과 속도에 의해 상기 여별 분리 공정에서의 소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세 처리 방법에서는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그 수세 처리가 가능하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의 염소 함유 분체의 도입은, 예를 들어 염소 함유 분체와 적어도 물을 포함한 탈염용 세정액을 처리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어지는 여별 분리 공정에서는, 사용하는 여별 분리 장치의 사양에 의해 대체로 배치(batch)식 처리가 일반적인 바, 그 여별 분리 장치의 상류측에 염소 용출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슬러리의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등에 의해 상기의 염소 함유 분체의 도입의 연속성을 방해하지 않고 그 수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여기서 말하는 “연속성”은 반드시 수세 처리물이 시간축상 연속적으로 전혀 끊기지 않고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조업상 상식적인 시간 범위에서 보았을 때,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50분 ~ 100분 동안 정도의 시간 범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의 염소 함유 분체의 도입의 연속성에 의해 수세 처리물에 대해서도 그 생성이 끊기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수세 처리의 조업상의 효율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 구성 설명도를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에는 처리조(2)가 구비되고, 그 처리조(2)에는 염소 함유 분체 공급 장치(21)로부터 공급되는 염소 함유 분체(P1)와 제1 탈염용 세정액 공급 장치(22)로부터 공급되는 제1 탈염용 세정액(W1)이 도입되고,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 공급 장치(23)로부터 공급되는 pH 조정제(pH1)도 도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각 공급 장치(21 ~ 23)로부터는 각 슬러리 재료(P1, W1, pH1)가 처리조(2)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고, 처리조(2)에서, 적어도 염소 함유 분체(P1)와 제1 탈염용 세정액(W1)을 혼합, 슬러리화하여 그 슬러리(S1)를 소정 시간 교반함으로써 염소 함유 분체(P1)에 함유된 염소를 액상으로 용해시켜 용출하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염소 함유 분체(P1)와 제1 탈염용 세정액(W1)을 처리조(2)로 도입하여 혼합, 슬러리화하고 있으나, 별도로 슬러리화한 것을 처리조(2)로 도입하도록 해도 문제는 없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에서는 처리조(2)에서의 처리를 거친 슬러리(S2)는 슬러리 반송 장치(4)를 통해 여별 분리 장치(6)로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여별 분리 장치(6)에서는 슬러리(S2)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함유 염소량이 저감된 탈염 케이크(C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별 분리 장치(6)의 상류측에는 버퍼 탱크(5)를 구비하여 처리조(2)로부터 반송되는 슬러리(S2)를 일단 저장하고, 원하는 타이밍에 소정의 밸브 기구를 갖는 슬러리 공급 밸브(8a)를 열어 소정량씩 여별 분리 장치(6)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버퍼 탱크(5)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염소 함유 분체의 도입의 연속성을 방해하지 않고 그 수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조(2)에서는 적어도 염소 함유 분체(P1)와 제1 탈염용 세정액(W1)을 혼합, 슬러리화하나, 이 때의 염소 함유 분체(P1)와 제1 탈염용 세정액(W1)과의 질량비(W1/P1)는 4 ~ 10이 바람직하고, 4 ~ 7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5가 특히 바람직하다. 질량비(W1/P1)가 4보다 작은 경우, 염소 함유 분체(P1)로부터 염소가 충분히 용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질량비(W1/P1)가 10보다 큰 경우, 이어지는 여별 분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여액량이 많아진다.
처리조(2)에서 염소 함유 분체(P1)와 혼합되어 슬러리(S1)를 구성하는 제1 탈염용 세정액(W1)의 염소 이온 농도는 3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별히 설정되지 않으나, 통상 하천수나 지하수 등이 유래인 공업용수의 염소 농도가 0. 005질량% 정도이다. 제1 탈염용 세정액(W1)의 염소 이온 농도가 3질량%보다 큰 경우, 염소 함유 분체(P1)의 염소 함유량에 따라서는 염소 용출 공정에서 염소 함유 분체(P1)로부터의 염소의 용출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상기 슬러리(S1)의 pH는 바람직하게는 6 ~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10.5,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9이다. 여기서, 슬러리(S1)의 pH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므로 그 가스중의 이산화탄소의 용해에 의해 7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나, 슬러리(S1)에는 pH 조정제(pH1)를 첨가할 수도 있다. pH 조정제(pH1)를 첨가함으로써 슬러리(S1)의 pH를 6 ~ 9로 하여 재나 더스트에 포함되는 난용성의 프리델씨염으로부터의 염소 용출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pH 조정제(pH1)로서는 묽은 황산, 염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에는 처리조(2)에 통형 산기장치(3)가 부설되어 있다. 통형 산기장치(3)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1)를 공급하는 송기관(33)이 연통되어 이러한 가스(A1)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31)과, 노즐(31)을 내부단에 배치하는 원통형의 원통관(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31)을 통해 주입된 가스(A1)는 원통관(32)의 원통 내부의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그 슬러리와 함께 윗쪽으로 상승하여 가스(A1)와 슬러리(S1)의 혼합 분출류가 되어 원통관(32)의 상단 개구부(32a)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원통관(32)의 하단 개구부(32b)를 통해서는, 원통 내부의 슬러리의 윗쪽으로의 상승에 따라 원통관(32)의 원통 내부의 하부측이 상부측에 비해 음압이 됨으로써, 처리조(2)의 저부측에 체류하는 슬러리가 원통관(32)의 원통 내부로 흡인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통형 산기장치(3)의 기구에 의해,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에는 그 하층 및 상층에 걸쳐 가스(A1)가 슬러리(S1)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슬러리와 상기 가스의 혼합 교반류가 형성되어,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 전체를 교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통형 산기장치(3)의 기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즐(31)을 통해 상기 가스(A1)를 주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에어 리프트 효과에 의해 원통관(32)의 원통 내부 및 원통 외부의 슬러리 간에 비중차가 형성되어 원통관(32)의 원통 내부에 상기 슬러리와 상기 가스의 혼합 분출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 분출류 내의 상기 가스의 형상은, 상기 슬러리에 주입하기 위한 노즐(31)의 형상이나 노즐(31)을 통해 주입될 때 또는 주입된 후에 상기 슬러리와 충돌함에 의한 전단 등에 기인하여 임의 직경의 기포상으로 되어 있다. 원통관(32)의 원통 내부를 흐르는 상기 혼합 교반류의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m/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m/초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m/초 이상이다. 이 혼합 교반류의 속도에 상한은 없으나, 처리조(2)로부터 슬러리(S1)가 돌발적으로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15m/초 이하가 바람직하다. 원통관(32)의 원통 내부를 흐르는 상기 혼합 교반류의 속도가 1m/초 미만인 경우, 형성되는 교반류가 약해져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S1) 전체를 교반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통형 산기장치(3)의 원통관(32)은 노즐(31)이 배치된 하단부측에서 상단 개구부(32a)를 향해 그 내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뿔형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단 개구부(32a)를 통한 상기 혼합 분출류의 분출압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통형 산기장치(3)의 원통관(32)의 원통 내부에는 상기 혼합 분출류의 흐름을 일부 차단하도록 돌기부나 스페이서 등의 구조체를 마련하여 그 구조체에 의해 난류 발생 수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캐비테이션 효과에 의한 기포가 쉽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테이션 효과는 유체의 미크로한 국소 영역의 압력차에 의해 진공의 공동이 발생하고 이것이 미세 기포가 되는 현상으로, 널리 일반적으로 유체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캐비테이션 기포는 상기 구조체에 의한 특별한 난류 발생 수단이 없어도 통형 산기장치(3)의 노즐(31)이나 원통관(32)의 형상, 원통관(32)의 상단 개구부(32a)나 하단 개구부(32b)의 형상 등에 의해 상기 슬러리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형 산기장치(3)에서 형성시키는 상기 혼합 분출류나 이를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상기 슬러리와 상기 가스의 혼합 교반류에는 상기 캐비테이션 효과에 의한 기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캐비테이션 효과에 의한 기포는 붕괴시에 수μm 오더의 국소적인 영역에 수GPa에 미치는 고충격압을 발생시키고, 또한 기포 붕괴시에 단열 압축에 의해 미시적으로는 수천℃의 온도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캐비테이션 기포의 붕괴 충격력에 의해 슬러리(S1) 내에 존재하는 고상의 응집체를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캐비테이션 기포의 붕괴시의 가온에 의해 염소 함유 분체(P1)로부터의 염소의 용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처리조(2)에는 보다 효과적인 교반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통형 산기장치(3)가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복수의 통형 산기장치(3)에 의한 상기 혼합 분출류의 분출 방향을 처리조(2)의 상하 방향으로 통일시킴으로써 처리조(2) 내의 전체 교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2)에는 통형 산기장치(3)를 부설함과 함께 나아가 범용의 교반익을 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처리조(2)로부터 슬러리(S1)를 버퍼 탱크(5)로 반송하기 위한 슬러리 반송 장치(4)로서는 스크류 펌프나 모노 펌프 등의 범용의 슬러리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조(2)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부위에 경사를 준 통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처리조(2)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염소 함유 분체(P1) 및/또는 제1 탈염용 세정액(W1)에 의해 증량되어 가는 슬러리(S1)에 대해, 그 증량분에 대해 처리조(2)에서 오버플로우된 슬러리(S2)가 자동적으로 버퍼 탱크(5)로 반송된다.
버퍼 탱크(5)는 소정량의 슬러리(S2)를 저장하고 적절히 여별 분리 장치(6)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기구,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여별 분리 장치(6)로서는, 처리조(2)에서 처리된 슬러리(S2)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할 수 있는 장치이면 가능하고, 예를 들어 필터 프레스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도 여별 분리 장치(6)로서 필터 프레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에서는, 도입된 피처리물을 여포(filter cloth)에 의해 고액 분리하여 통상 50질량% 정도로 함수율이 감소되어 이루어지는 탈수 케이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탈수 케이크의 두께나 수분 함량을 조정하기 위한 압착(피처리물의 도입시의 압착을 “1차 압착”이라고 칭하기도 함)에서의 압력은 0.2MPa ~ 2MPa일 수도 있고, 여포의 칸으로서는 입경 0.1μm 이상의 고상을 포집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고, 압착 방식이나 여포의 종류 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슬러리(S2)의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로의 도입 시에는 소정의 펌프 기구를 갖는 슬러리 공급 펌프(7a)에 의해 슬러리(S2)를 가압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피처리물의 압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슬러리(S2)의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로의 도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로의 슬러리(S2) 도입시에 제거되는 수분이 제1 여액(W3)으로서 배출되므로,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을 소정의 밸브 기구를 갖는 여액 배출 밸브(8c)를 열어 계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에서는 일단 고액 분리하여 얻어진 함수율이 50질량% 정도인 탈수 케이크에 대해 제2 탈염용 세정액(W2)를 이용하여 세정을 수행하고, 이러한 탈수 케이크가 함유하는 액상의 거의 모두를 제2 탈염용 세정액(W2)으로 치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피처리물을 도입한 방향과 순방향으로 세정액을 유통시켜 세정하는 경우는 “정세정”이라고도 칭하고, 피처리물을 도입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세정액을 유통시켜 세정하는 경우는 “역세정”이라고도 칭함). 이에 의해 탈수 케이크로부터의 탈염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제2 탈염용 세정액(W2)의 염소 이온 농도는 상기 제1 탈염용 세정액(W1)보다 염소 이온 농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별히 설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하천수나 지하수 등이 유래인 공업용수의 염소 농도가 0.005질량% 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탈염용 세정액(W2)은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에 부설한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조(61)로부터, 원하는 타이밍에 소정의 밸브 기구를 갖는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 밸브(8b)를 엶으로써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때 소정의 펌프 기구를 갖는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 펌프(7b)에 의해 제2 탈염용 세정액(W2)를 가압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2 탈염용 세정액(W2)의 가압 도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제2 탈염용 세정액(W2)에 의한 탈수 케이크의 세정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탈염용 세정액(W2)에 의한 세정시 또는 세정후에는 상기한 슬러리(S2)의 도입시의 1차 압착의 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수 케이크의 두께나 수분 함량을 조정하기 위한 압착을 실시할 수도 있다(탈수 케이크의 세정시 또는 세정후의 압착을 “2차 압착”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여별 분리 장치(6)에서 제2 탈염용 세정액(W2)에 의한 탈수 케이크의 세정으로 발생한 제2 여액(W4)은, 소정의 펌프 기구로 이루어지는 여액 반송 펌프(7c)에 의해 탈염용 세정액 공급 장치(22)의 저장부로 송액하여 제1 탈염용 세정액(W1)으로서 재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탈염용 세정액을 위한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여액의 재이용에 의해 염소 등의 농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소정의 밸브 기구로 이루어지는 여액 배출 밸브(8c)를 엶으로써 계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여별 분리 장치(6)(필터 프레스)로의 도입시에 발생하는 상기 제1 여액은 염소 등의 농도가 비교적 높아져 있어 기본적으로는 여액 배출 밸브(8c)를 엶으로써 계외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여액(W4)과 같이 탈염용 세정액 공급 장치(22)의 저장부로 송액하여 제1 탈염용 세정액(W1)으로서 재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에서는 여별 분리 장치(6)에서 얻어진 탈염 케이크(C1)는 시멘트 제조 장치(9)로 반송하여 시멘트 원료로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의 반송에는 함수율이 50질량% 정도의 케이크를 반송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 등의 범용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에서는 시멘트 제조 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2)를 상기 통형 산기장치(3)로 공급하여,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1)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시멘트 제조 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열량에 의해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슬러리를 가온할 수 있어 염소 함유 분체(P1)로부터의 염소의 용출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의 교반시 특정의 교반 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일지라도 처리조(2) 내의 저부측에 체류하지 않고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S1) 전체로 잘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러리에 포함되는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가 넓고 또한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가 형성되고, 여별 분리 장치(6)에 의한 여별 분리 공정 시에는 그 비교적 입도가 큰 고상 입자가 핵이 되어 비교적 입도가 작은 고상 입자도 함께 적당히 연통된 입자간 공극을 갖는 충전 구조가 되어 양호한 여과 속도를 발현한다. 이 뛰어난 여과 속도에 의해 여별 분리 장치(6)에서의 소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염소 함유 분체(P1)의 수세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고상 입자에는, 슬러리(S1)에 용해되어 있는 칼슘 성분과 슬러리(S1)에 주입된 가스(A1)중의 이산화탄소와의 화학반응에 의한 탄산칼슘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후술의 실시예에 의하면, 여별 분리 장치(6)로서 필터 프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슬러리의 압입, 정세정(수세), 1차 압착, 역세정(수세), 및 2차 압착까지의 소요 시간 중 그 압입과 역세정 공정에서의 소요 시간 단축이 현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슬러리상의 조성물로부터 여포 등의 여별 분리 부재를 통해 탈수하는 과정에서 그 여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소요 시간은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25분 이하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22분 이하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더 전형적으로는 20분 이하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수세 처리의 조업상의 효율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적인 시험예를 나타내나, 본 발명은 이 시험예들의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도 2에 도시된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에서 처리조(2)의 염소 용출 공정의 설비 사양이 여별 분리 공정의 소요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평가했다.
염소 함유 분체(P1)로서는 가스화 용융로로부터 발생한 용융 비산재(Cl: 12.8질량%, Pb: 2600ppm, Zn: 15600 ppm)를 사용했다(이하, “용융 비산재(P2)”라 함). 또한 용융 비산재(P2)를 슬러리화하기 위한 제1 탈염용 세정액(W1) 및 탈수 케이크를 세정하기 위한 제 2탈염용 세정액(W2)으로서는 수돗물을 사용했다. 또한 처리조(2)로서는 수용량 3.5m3의 것을 사용했다.
여별 분리 장치(6)에는 필터 프레스(여포의 통기도: 1000cm/분 , 여포의 두께: 1.8mm, 여포: 폴리프로필렌의 헤링본 직물)를 사용하고, 슬러리(S1)의 고액비(“제1 탈염용 세정액(W1)/용융 비산재(P2)”의 질량비)는 4로 하고, 여별 분리 장치(6)에서의, 제2 탈염용 세정액(W2)에 의한 세정시의 탈염 케이크(C1)의 고액비(“제2 탈염용 세정액(W2)/용융 비산재(P2)”의 질량비)는 1로 하고,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염 케이크(C1)의 함수율은 50질량%로 했다.
표 1에는 평가에 제공한 각 수준에 대해, 염소 용출 공정의 설비 사양과 각 사양의 경우의 슬러리의 pH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로서는, 가스(A1)의 공급과 슬러리(S1)의 교반을 통형 산기장치(3)에 의해서만 수행하는 수준을 마련하고, 비교예 1로서는, 가스(A1)의 공급을, 통형 산기장치(3)에 대신하여 처리조(2) 내에 설치한 디스크형 산기반에 의해 미세 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수행하고, 슬러리(S1)의 교반을 처리조(2) 내에 배치한 교반익에 의해 수행하는 수준을 마련하고, 비교예 2로서는, 가스(A1)의 공급을 수행하지 않고, 슬러리(S1)의 교반만을 통형 산기장치(3)에 대신하여 처리조(2) 내에 배치한 교반익에 의해 수행하는 수준을 마련하여 각 설비 사양이 여별 분리 공정의 소요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평가했다. 아울러 슬러리(S1)로의 가스(A1)의 공급에는, 실시예 1에서는 통형 산기장치(아쿠아블래스터 AL-1500, 아이엔스사)를, 비교예 1에서는 산기반(테라C형, ELASTOX사)을 사용했다. 나아가 교반익으로는 직경 600mm의 4개 날개식을 사용했다.
염소 용출 공정
가스(A1)의 공급 방법 슬러리(S1)의 교반 방법 슬러리(S1)의 pH
처리조(2)의 사양 공급량(m3/시간) 처리조(2)의 사양 교반 시간(분)
실시예 1 통형 산기장치 100 통형 산기장치 120 10.5
비교예 1 산기반 100 교반익 120 10.5
비교예 2 없음 - 교반익 120 12.0
표 2에는 상기의 수준마다, 여별 분리 공정에서의 소요 시간과, 여별 분리에 따른 여포의 단위 면적(m2) 당 여과 속도(kg/hr)를 정리했다. 아울러 소요 시간은 필터 프레스의 작업 공정에 따른, 하기에 나타낸 압입, 정세정, 1차 압착, 역세정 및 2차 압착의 공정마다 정리했다.
(압입)
필터 프레스의 여포로 둘러싸인 여별 분리실로, 그 여별 분리실의 여포의 둘레가 일부 풀린 도입구에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슬러리를 투입하고, 여포로 여과된 제1 여액(W3)을 배출구측을 통해 배출시키면서 소정의 가압으로 일정량의 슬러리를 가득 채우는 공정/이 시험예에서는 0.3MPa의 가압 조건으로 1개의 여별 분리실 당 대략 20L의 슬러리를 가득 채웠다.
(정세정)
슬러리를 투입한 배관을 통해 제2 탈염용 세정액(W2)으로 세정하는 공정/이 시험예에서는 0.3MPa × 1분 동안으로 각 수준들에 고정 설정하였다.
(1차 압착)
필터 프레스의 여별 분리실을 둘러싸는 여포를 통해 케이크층을 개재하도록 배치된 여판에 소정이 압력을 가하여 탈수 케이크의 두께나 함수율을 조정하는 공정/이 시험예에서는 0.3MPa × 4분 동안으로 각 수준들에 고정 설정하였다.
(역세정)
정세정과는 역방향으로, 필터 프레스의 여별 분리실로부터의 여액의 배출구측의 배관을 통해 제2 탈염용 세정액(W2)을 탈수 케이크에 도입하여 세정하는 공정/이 시험예에서는 제2 여액(W4)의 전기 전도율이 900mS/m가 될 때까지 역세정을 수행하였다(역세정의 여액이 상기 전기 전도율이 되면, 얻어지는 탈염 케이크(C1)의 염소 함유율은 약 0.5질량% 정도로 전망할 수 있음).
(2차 압착)
역세정 후에, 필터 프레스의 여별 분리실을 둘러싸는 여포를 통해 케이크층을 개재하도록 외측에 배치된 여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탈수 케이크의 두께나 수분량을 조정하는 공정/이 시험예에서는 0.7MPa × 4분 동안으로 각 수준들에 고정 설정하였다.
여별 분리 공정
소요 시간(분) 여과 속도(kg/m2/hr)
압입 정세정 1차 압착 역세정 2차 압착 합계
실시예 1 3 1 4 8 4 20 14.1
비교예 1 5 1 4 13 4 27 10.1
비교예 2 7 1 4 16 4 32 9.4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처리조(2)의 사양으로서 통형 산기장치(3)를 이용한 실시예 1에서는 필터 프레스에 의한 여별 분리 공정에서의 소요 시간이 압입에서 3분을 요하고, 역세정에서 8분을 요하여 전체 20분 동안이었음에 반해,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처리조(2)의 사양으로서 산기반과 교반익을 이용한 비교예 1에서는 압입에서 5분을 요하고, 역세정에서 13분을 요하여 전체 27분 동안으로, 보다 시간이 걸리고,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처리조(2)의 사양으로서 교반익만을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압입에서 7분을 요하고, 역세정에서 16분을 요하여 전체 32분 동안으로, 보다 더 시간이 걸렸다. 또한 처리 능력의 지표인 여과 속도(kg/m2/hr)를 구한 바, 실시예 1이 14.1, 비교예 1이 10.1, 비교예 2가 9.4가 되어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처리조(2)에서의 슬러리(S1)의 교반과 가스(A1)의 공급을 통형 산기장치(3)를 이용하여 수행하면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능력이 현저히 향상됨이 밝혀졌다.
[시험예 2]
시험예 1의 각 수준에서 얻어진 탈염 케이크(C1)의 고상분에 대해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입도 분포를 조사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고상분에는 세립이 많고 또한 비교예 2의 고상분에는 조립이 많은 데에 반해, 실시예 1의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는 상대적으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중위에 위치하는 것이었다. 이는 비교예 1에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1)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탄산칼슘이 비교적 입도가 미세한 입자인 바, 산기반과 교반익의 조합의 경우에는 처리조(2)의 전체가 충분히 교반되지 않아 처리조(2)로부터 오버플로우한 것에는 탄산칼슘 입자가 많이 포함되는 것에 기인하고, 비교예 2에서는 교반익만에 의한 교반의 경우에는 염소 함유 분체(P1)로서 사용된 용융 비산재(P2)를 포함한 고상분이 응집 상태 그대로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이에 반해, 통형 산기장치(3)를 이용한 실시예 1에서는 첫번째로는,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S1)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가스(A1)가 슬러리(S1)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슬러리와 가스의 혼합 교반류가 형성되어 처리조(2)에 수용된 슬러리(S1) 전체를 충분히 교반시킬 수 있음에 의해, 나아가 두번째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A1)의 공급에 의해 탄산칼슘 입자가 발생함에 의해 처리조(2)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슬러리(S2)에는 고상분의 고상 입자의 입도 분포가 넓고 또한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가 형성된 것으로 보였다.
1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2 처리조
3 통형 산기장치
4 슬러리 반송 장치
5 버퍼 탱크
6 여별 분리 장치
7a 슬러리 공급 펌프
7b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 펌프
7c 여액 반송 펌프
8a 슬러리 공급 밸브
8b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 밸브
8c 여액 배출 밸브
9 시멘트 제조 장치
21 염소 함유 분체 공급 장치
22 제1 탈염용 세정액 공급 장치
23 pH 조정제 공급 장치
31 노즐
32 원통관
33 송기관
61 제2 탈염용 세정액 공급조
A1, A2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
P1 염소 함유 분체
P2 용융 비산재
S1, S2 슬러리
C1 탈염 케이크
W1 제1 탈염용 세정액
W2 제2 탈염용 세정액
W3 제1 여액
W4 제2 여액
pH1 pH 조정제

Claims (10)

  1.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에 수용하는 염소 함유 분체 도입 공정과,
    상기 처리조에 수용한 상기 슬러리를 교반하여 상기 염소 함유 분체에 포함된 염소를 액상 내로 용출시키는 염소 용출 공정과,
    상기 염소 용출후의 상기 슬러리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를 얻는 여별 분리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염소 용출 공정에서의 상기 슬러리의 교반을, 상기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행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의 상기 처리조에 수용한 상기 슬러리에의 주입은 통형 산기장치에 의해 행하고,
    상기 통형 산기장치는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원통관과 그 일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가 송통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통형 산기장치는, 상기 처리조 내의 하부측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부설되어 있고,
    상기 통형 산기장치의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기 원통관의 원통 내부에 도입됨과 동시에, 상기 원통관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슬러리가 흡인되어 상기 원통 내부로 도입됨에 따라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분출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관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여별 분리 공정을 향해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별 분리 공정에서의 상기 액상의 분리를 필터 프레스에 의해 수행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함유 분체가 소각 비산재, 용융 비산재 및 시멘트 킬른 더스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함유 분체는 상기 처리조에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6. 염소 함유 분체에 적어도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수용량을 갖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부설되어, 상기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된 슬러리의 하층 및 상층에 걸쳐 상기 가스가 상기 슬러리를 끌어들이면서 환류하는,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교반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형 산기장치와,
    상기 처리조에서 꺼낸 상기 슬러리로부터 액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별하여 탈염 케이크를 얻기 위한 여별 분리 장치, 를 구비한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형 산기장치는,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원통관과 그 일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가 송통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통형 산기장치는, 상기 처리조 내의 하부측에 상기 노즐이 배치되도록 부설되어 있고,
    상기 통형 산기장치의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기 원통관의 원통 내부에 도입됨과 동시에, 상기 원통관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슬러리가 흡인되어 상기 원통 내부로 도입됨에 따라 상기 가스와 상기 슬러리의 혼합 분출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관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기 슬러리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에 따라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여별 분리 장치를 향해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별 분리 장치는 필터 프레스인,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얻어진 탈염 케이크를 시멘트 제조 설비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를 더 구비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함유 분체는 상기 처리조에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KR1020217001386A 2018-09-10 2018-09-10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KR10257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3510 WO2020053944A1 (ja) 2018-09-10 2018-09-10 塩素含有粉体の水洗処理方法及び塩素含有粉体の水洗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775A KR20210049775A (ko) 2021-05-06
KR102576793B1 true KR102576793B1 (ko) 2023-09-08

Family

ID=6977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386A KR102576793B1 (ko) 2018-09-10 2018-09-10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41278B2 (ko)
KR (1) KR102576793B1 (ko)
CN (1) CN112672833B (ko)
SG (1) SG11202101617RA (ko)
WO (1) WO2020053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3809B (zh) * 2021-06-01 2022-04-05 广州派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飞灰的资源化处置设备
JP7237133B1 (ja) 2021-11-30 2023-03-1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塩素含有粉体の脱塩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905A (ja) * 2003-04-15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気液溶解タンクの構造
JP2013176740A (ja) * 2012-02-29 2013-09-09 Taiheiyo Cement Corp ごみ焼却灰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5614795B2 (ja) * 2010-01-20 2014-10-2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塩化カリウムの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JP2018001147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サンエイ 汚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8527A (en) * 1970-07-13 1972-09-05 Stam Instr Apparatus for cleaning resilient webs
JPH09234479A (ja) * 1996-03-01 1997-09-09 Chlorine Eng Corp Ltd オゾン反応槽
JP4210456B2 (ja) 1997-07-14 2009-01-2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原料化処理方法
JP2920137B1 (ja) * 1998-02-19 1999-07-19 株式会社テクノフロンティア 飛灰の無毒化と塩の分離と資源化を一貫処理するプロセス
JP4074927B2 (ja) * 1999-08-24 2008-04-16 東 利保 洗浄処理装置
JP3818924B2 (ja) 2002-01-29 2006-09-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灰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2005213527A (ja) * 2004-01-27 2005-08-11 Jfe Engineering Kk 亜鉛水酸化物の脱塩素方法
JP2005289402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ラリータンク
JP5072179B2 (ja) * 2004-12-24 2012-11-14 栗田工業株式会社 廃棄物の脱塩洗浄方法
JP5085027B2 (ja) * 2005-10-17 2012-11-28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塩素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8043426B2 (en) * 2008-05-13 2011-10-25 Abdel-Mohsen Onsy Mohamed Method for treating cement kiln dust
DK2537602T3 (en) * 2010-02-16 2017-10-30 Taiheiyo Cement Corp Method and system for washing combustion ash and dust contained in combustion gas extracted from a cement furnace
JP6603641B2 (ja) * 2016-09-27 2019-11-06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塩素含有粉体処理方法及び塩素含有粉体処理システム
JP6252653B1 (ja) * 2016-10-31 2017-12-2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塩素含有灰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905A (ja) * 2003-04-15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気液溶解タンクの構造
JP5614795B2 (ja) * 2010-01-20 2014-10-2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塩化カリウムの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JP2013176740A (ja) * 2012-02-29 2013-09-09 Taiheiyo Cement Corp ごみ焼却灰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18001147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サンエイ 汚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72833A (zh) 2021-04-16
CN112672833B (zh) 2023-04-04
SG11202101617RA (en) 2021-03-30
JPWO2020053944A1 (ja) 2021-06-03
KR20210049775A (ko) 2021-05-06
JP7041278B2 (ja) 2022-03-23
WO2020053944A1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9945C (zh) 塑料产品的循环使用和清洗压碎塑料的方法及其设备
KR102576793B1 (ko)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방법 및 염소 함유 분체의 수세 처리 시스템
WO2008020507A1 (fr) Procédé de récupération d'un abrasif à partir d'un rejet liquide de boue d'abrasif et appareil associé
EP3302749B1 (en) Multilayer media bed filter with improved backwash
GB1574375A (en) Removal of liquid solid and semi-solid wastes
US6582610B2 (en) Concrete grindings reclamation system
CN209502543U (zh) 一种新型复合污染土壤处理设备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KR102078534B1 (ko) 오염토양의 중금속 제거 및 폐수 재이용방법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JP3816200B2 (ja) 微細粒子を含む液体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13828626A (zh) 重金属-有机污染土壤的淋洗处置工艺
US4211652A (en) Water reclamation process
US6010671A (en) Process for selective recovery of uranium from sludge
CN112317524A (zh) 一种污染土壤淋洗处置系统及方法
CN211612271U (zh) 一种环保型半导体切割研磨水微孔过滤系统
JP2013140021A (ja) 放射性物質汚染土砂の洗浄、減容化方法
JP6164941B2 (ja) 濁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濁水処理方法
WO2013186873A1 (ja) 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KR101694268B1 (ko) 집진시스템
CN108408989A (zh) 铝模板高压清洗系统中的水处理装置
KR101791447B1 (ko) 계면활성화와 에어를 이용한 원유오염 토양 정화 시설
CN100588473C (zh) 除去底灰中含有的氯化物的方法及系统
CN210393743U (zh) 一种碳化硼回收装置
CN112794606A (zh) 一种用于盾构的渣土处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