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113B1 -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 Google Patents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113B1
KR102574113B1 KR1020230068960A KR20230068960A KR102574113B1 KR 102574113 B1 KR102574113 B1 KR 102574113B1 KR 1020230068960 A KR1020230068960 A KR 1020230068960A KR 20230068960 A KR20230068960 A KR 20230068960A KR 102574113 B1 KR102574113 B1 KR 10257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ified polyurethane
weight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택
노용신
Original Assignee
(주)올바른이엔씨
노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바른이엔씨, 노용신 filed Critical (주)올바른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6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한 발광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An electroluminescence sheet with excellent flexibility and processability}
본 발명은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 조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대체 광원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LED 및 OLED의 광원을 이용한 조명이며, 이러한 조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수명이 길어 LDC 백라이트, 실내등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LED 및 OLED는 프레임이 필요하고 굴곡진 곳에 설치하기 어려우며 가격이 높고 빛 퍼짐과 눈부심이 발생하여 사용에 제약이 있다.
EL(electroluminescence) 시트 또는 발광시트는 형광등의 구조를 평면으로 옮긴 형태로 구성되며, 투명 전극층 사이에 형광층을 삽입함으로써 면발광이 가능하다.
발광시트는 프레임 없이 모든 곳에 설치가 가능하고, 빛 퍼짐과 눈부심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기존의 발광시트는 필름의 상층에 투명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ITO를 코팅한 필름을 사용하는데, ITO 필름은 곡면에 적용하기 어렵고 가공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한 발광시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2-0085727호 한국등록공보 제10-185652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한 발광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시트를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빛 퍼짐과 눈부심이 없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광형 라바콘, 발광형 볼라드 등의 발광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자일렌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개질 폴리우레탄 및 바륨 티타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개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크레실 인산 및 인산 디메틸페놀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바콘; 및 상기 라바콘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발광시트;를 포함하는 발광형 라바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한 발광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시트를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빛 퍼짐과 눈부심이 없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광형 라바콘, 발광형 볼라드 등의 발광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상기 카본층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열, 습기, 수분, 충격, 진동 등이 발광시트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시트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자일렌 수지, 충전제, 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알키드 수지 20~40중량%, 멜라민 수지 5~20중량%, 에폭시 수지 1~10중량%, 자일렌 수지 1~10중량%, 충전제 10~40중량%, 안료 1~10중량% 및 용매 10~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클레이, 탈크,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카올린, 산화아연, 황화아연, 황산바륨, 산화납, 산화철,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카본블랙, 황산구리, 아조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니트로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5~20중량%,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은 5~20중량%인 것이 좋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5~20:10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코팅, 도포, 스프레이, 분사, 함침, 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보호층 위에 형성되며, 실버 플레이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개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실버 플레이크 60~80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5~20중량% 및 개질 폴리우레탄 10~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실버 플레이크 대신에 카본 플레이크, 그래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질 폴리우레탄은 오일-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100:30~5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5~20:10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코팅, 도포, 스프레이, 분사, 함침, 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전극층 위에 형성되며,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개질 폴리우레탄 및 바륨 티타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0~60중량%, 개질 폴리우레탄 20~50중량% 및 바륨 티타네이트 10~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개질 폴리우레탄은 오일-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100:30~5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5~20:10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코팅, 도포, 스프레이, 분사, 함침, 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층은 절연층 위에 형성되며, 카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개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카본 10~40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40~80중량% 및 개질 폴리우레탄 5~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카본으로는 카본 플레이크, 나노카본, 그래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질 폴리우레탄은 오일-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100:30~5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5~20:10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카본층은 코팅, 도포, 스프레이, 분사, 함침, 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층은 카본층 위에 형성되며, 바인더 및 형광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및 형광체의 중량비는 30~70:70~3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40~70중량% 및 개질 폴리우레탄 30~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개질 폴리우레탄은 오일-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100:30~5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ZnS, ZnS:Mn, ZnS:Al, ZnS:Au, ZnS:Cu, ZnS:Cl, Alq3, LiPBO, Zn(PhPy)2, PPP, PF, PF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5~20:10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형광층은 코팅, 도포, 스프레이, 분사, 함침, 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형광층 위에 형성되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크레실 인산 및 인산 디메틸페놀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0~6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30중량%, 트리크레실 인산 10~30중량% 및 인산 디메틸페놀 10~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1,6-HDI),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4-4'-H12MDI), 1,3-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1,3-XDI), 1,3-테트라메틸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1,3-TMXDI),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p-phenylenediisocyanate,PPDI)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디올 1~10중량% 및 폴리올 1~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디올로는 2가의 1,4-부탄디올(butane diol, BDO), 1,6-헥산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0중량부, 개질 폴리우레탄 1~10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개질 폴리우레탄은 오일-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폴리우레탄으로서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및 지방산-개질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100:30~5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 내구성 및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열가공, 열압착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며,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라바콘; 및 상기 라바콘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발광시트;를 포함하는 발광형 라바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시트는 곡면, 곡선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하여 라바콘, 볼라드 등의 기재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시트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빛 퍼짐과 눈부심이 없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시성, 시인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구성, 가공성, 투명성, 방수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광형 라바콘, 발광형 볼라드 등의 발광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보호층은 알키드 수지 30중량%, 멜라민 수지 10중량%, 에폭시 수지 5중량%, 자일렌 수지 5중량%, 실리카 25중량%, 탄산칼슘 5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 및 톨루엔 1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전극층은 실버 플레이크 70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15중량% 및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절연층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50중량%,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30중량% 및 바륨 티타네이트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카본층은 카본 플레이크 30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55중량% 및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형광층은 바인더 및 형광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이때 바인더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60중량% 및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40중량%를 포함하며, 형광체로는 ZnS:Mn을 사용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5중량%,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20중량%, 트리크레실 인산 20중량% 및 인산 디메틸페놀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실시예 2)
멜라민 수지 2중량%를 사용하여 보호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멜라민 수지 25중량%를 사용하여 보호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00중량부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를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 5중량%를 추가하여 보호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30중량% 대신에,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 20중량% 및 실리콘-개질 폴리우레탄 10중량%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대신에 ITO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발광시트의 내구성, 치수변화율 및 내열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내구성은 발광시트를 30℃의 물에 7일간 침지한 후, 발광시트의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치수변화율은 KS K ISO 3759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휘도율은 KS M 608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내열성은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상기 발광시트를 3시간 가열한 후 변도를 관찰하였으며,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내구성 탁월 보통 보통 탁월 탁월 불량
치수변화율(%) 1.3 1.8 1.9 0.6 0.7 3.1
휘도율 88 84 82 94 95 80
내열성 탁월 보통 보통 탁월 탁월 보통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의 발광시트는 내구성, 치수변화율, 휘도율 및 내열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4 및 5는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
반면 비교예 1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보호층;
    상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 위에 형성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자일렌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개질 폴리우레탄 및 바륨 티타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개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크레실 인산 및 인산 디메틸페놀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트.
  6. 라바콘; 및
    상기 라바콘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1항의 발광시트;를 포함하는 발광형 라바콘.
KR1020230068960A 2023-05-30 2023-05-30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KR10257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960A KR102574113B1 (ko) 2023-05-30 2023-05-30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960A KR102574113B1 (ko) 2023-05-30 2023-05-30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113B1 true KR102574113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960A KR102574113B1 (ko) 2023-05-30 2023-05-30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1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21A (ko) * 2000-01-19 2000-07-05 김대용 다이렉트 프린팅 기법을 사용한 전계발광 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30483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윈켐 유연성을 갖는 대면적 전계발광 시트
KR20120085727A (ko) 2009-08-19 2012-08-0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6528B1 (ko) 2016-04-12 2018-06-20 최훈석 유기발광표시모듈용 복합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21A (ko) * 2000-01-19 2000-07-05 김대용 다이렉트 프린팅 기법을 사용한 전계발광 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30483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윈켐 유연성을 갖는 대면적 전계발광 시트
KR20120085727A (ko) 2009-08-19 2012-08-0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6528B1 (ko) 2016-04-12 2018-06-20 최훈석 유기발광표시모듈용 복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65B1 (ko) 접착 필름
CN102015287B (zh) 柔性基板
US6905634B2 (en) Heat curable thermosetting luminescent resins
CN101218285B (zh) 白色预浸料、白色层压板和覆金属箔的白色层压板
US8470388B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their manufacture
AU2003249759B2 (en) Photocurable thermosetting luminescent resins
US9035547B2 (en) Marking having electroluminescent lighting effect,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100195337A1 (en) Electroluminescent arrangement on textile materials
JP539077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WO2014021698A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CN101766055A (zh) 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547645A (zh) 包括压敏粘合粘接剂层的防飞散构件
CN101150899A (zh) 照明式开关和照明式开关的制造方法
CN110684459B (zh) 一种阻燃型uv-潮气双重固化聚氨酯丙烯酸酯三防漆
KR102574113B1 (ko)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발광시트
KR20180120548A (ko) 엘이디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210137257A (ko)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KR101409743B1 (ko)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123762B1 (ko)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WO2015108385A1 (ko) 배리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11192A (ko) 기판 및 표시 소자
JP5593784B2 (ja) 積層体
US20060255718A1 (en) Dispersion type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5135829B2 (ja) 透明電極付複合材料基板
KR100982382B1 (ko) 박막트랜지스터형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