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762B1 -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762B1
KR102123762B1 KR1020190104283A KR20190104283A KR102123762B1 KR 102123762 B1 KR102123762 B1 KR 102123762B1 KR 1020190104283 A KR1020190104283 A KR 1020190104283A KR 20190104283 A KR20190104283 A KR 20190104283A KR 102123762 B1 KR102123762 B1 KR 10212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eight
agent
parts
pig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규
천성국
김대원
마영길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Priority to KR102019010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가 1500 내지 4500 mPa·s 이며, 밀도가 1.10 내지 1.25 g/㎤인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제;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 차열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포함하며, 차열 성능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Thermal shield and waterproof paint composition with high durability and high chemical resistance}
본 발명은 차열성능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가 현실화 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공장 등의 대규모 산업설비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노력 뿐만 아니라,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 또한 시도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에 의해 여름에는 냉방, 겨울에는 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천연 가스, 석유 등의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의 경우 온도 상승에 의해 냉방 기기 사용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 실내 온도가 증가할수록 냉방 기기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건축 구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콘크리트 건물은 적외선을 흡수하며, 건물 외벽 뿐 아니라 실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지붕, 옥상등에서 적외선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차열 효과가 미미한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3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열 효과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수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착성이 우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은 점도가 1500 내지 4500 mPa·s 이며, 밀도가 1.10 내지 1.25 g/㎤인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제;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 차열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21 내지 24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차열안료는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클로로실란 및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차열안료는 산화철 및 산화크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는 착색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150 내지 250 중량부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1 중량부의 차열안료 및 30 내지 60 중량부의 착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은 점도가 1500 내지 4500 mPa·s 이며, 밀도가 1.10 내지 1.25 g/㎤인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제;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 차열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혼합함으로써, 방수 효과 및 차열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은 내수성 및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부착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은 점도가 1500 내지 4500 mPa·s 이며, 밀도가 1.10 내지 1.25 g/㎤인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제;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 차열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은 상술한 제 1제 및 제 2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차열 효과 및 방수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점도가 1500 내지 4500 mPa·s 이며, 밀도가 1.10 내지 1.25 g/㎤, 좋게는 점도가 1650 내지 4000 mPa·s 이며, 밀도가 1.14 내지 1.20 g/㎤인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방수능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도막의 시공 시 발림성 등이 우수하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좋게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21 내지 24%일 수 있으며,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여 우수한 방수효과와 함께 견고한 도막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은 NCO기의 원자량의 합에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개수를 곱한 값을 전체 평균 분자량으로 나누어 %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150 내지 250 중량부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제는 도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유기 용제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 자일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 1제는 100 중량부의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대비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적정 수준으로 제어하여 균일한 도포를 방해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가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추후 제 1제와의 혼합으로 우레탄의 형성 시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결합함으로써,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가 공유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강하고 견고한 도막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분자량(Mw)이 1000 내지 5000, 좋게는 2000 내지 4500 일 수 있으며, 수산기가가 40 내지 70㎎ KOH/g, 좋게는 45 내지 60㎎ KOH/g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가 도막내에 균일한 분포를 유도하며,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차열안료는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개질을 통하여 상술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의 분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입자의 뭉침 등과 같은 제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상의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는 비닐기 및 실란기를 포함하는 분자량 400 이하의 화합물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클로로실란 및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열안료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기능을 가진 안료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좋게는, 상기 차열안료는 철, 크롬, 알루미늄, 코발트, 아연, 티타늄, 니켈, 안티몬, 망간, 실리콘, 아연 및 비스무트 등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차열 안료는 ASAHI 社의 Cobalt blue 1199, Cobalt blue 1024, Cobalt blue 1201, Cobalt blue 1202, Cobalt blue 1040, Cobalt blue green 1250, Green 2500, Green 2024, Green 2090, Yellow 5150, Yellow 5500, Yellow 5970, Brown 4128, Brown 4080, Brown 4123, Black 3702, Black 3250LM, Balck 3300, Black 3402, Black 6301, Black 6340 및 Black 6350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열안료는 산화철 또는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및 산화안티몬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산화철 또는 산화크롬일 수 있으며, 이때 산화철 Fe2O3, 산화크롬은 Cr2O3일 수 있다. 즉,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어서 상기 차열안료는 상술한 산화철 또는 산화크롬을 상술한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는 착색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는 살오름을 좋게 하여 평활성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구형의 체질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착색안료와 바륨설페이트 등의 체질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6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중량부의 착색안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 도막의 은폐력 저하를 가져오고 범위를 초과하면 도막간의 층간 부착성 및 광택 및 색의 선명도가 저하되고, 기계적물성이 떨어질 뿐아니라 도료의 가격 상승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제 2제는 분산제, 침전방지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레벨링제, 용제 및 소포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각 첨가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자명하나,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각각 0.1 내지 5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 2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1 중량부의 표면개질된 차열안료가 포함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열안료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 차열 성 능이 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과량 적용 될 경우 에는 상도 베이스 코트 및 상도 클리어 코트 부분까지 떠올라 전체적으로 혼탁한 외관을 제공 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BYK-Chemie사 의 DISPERBYK-9076 또는 DISPERBYK-9077 등을 단독 또는 흔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분산제는 적정범위를 벗어나 적은 양이 첨가되는 경우 안료의 분산 효율을 크게 떨어 뜨려 안료의 재웅집 현상을 쉽게 유발하여 도료의 용용시 도막에 크래터링 유발, 도막의 내연마성 불량 및 광택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 투명도의 지나친 증가로 인해 도막의 은폐력이 저하되고 가격이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분산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전방지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침전방지제는 유기 또는 무기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기물로서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전방지제는 상기 적정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안료의 침전을 방지할 수 없고, 상기 적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성이 나빠져 작업효율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UV안정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3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UV 안정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등의 자외선 안정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범위보다 소량 포함되는 경우 직사광선이 비추는 옥상 환경에서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범위보다 다량 첨가되는 경우 내수성 및 내산성 등의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알킬페놀, 알킬렌비스페놀, 알킬페놀티오에테르 및 방향족 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시판되는 도료용 산화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가 적정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가 다량 첨가되는 경우 도막 표면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실리콘계 소포제, 미네랄오일계 소포제, 폴리머계 소포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포제가 적정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탈포 작용이 미미하여 도막 내에 기포가 포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소포제가 다량 첨가되는 경우 표면이 균일하지 못한 도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불소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알킬, 폴리알킬비닐에테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벨링제가 적정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평활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레벨링제가 다량 첨가되는 경우 도막에 크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은 상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을 상도로 이용하고, 중도 및 하도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열 도료 조성물의 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차열 도막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차열 도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을 상도로 사용하여 형성된 도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차열안료의 제조
먼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8 g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70 g을 혼합하고 차열안료인 Black 3300 10g을 함침한 뒤, 3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고상 성분을 분리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차열안료를 제조하였다.
2. 제 1제 및 제 2제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조성을 만족하도록 제 1제 및 제 2제의 조성을 각각 혼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22%이고, 점도가 약 2500 mPa·s 이며, 밀도가 1.16 g/㎤인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분자량이 약 3000이며, 수산기가가 56 ㎎ KOH/g인 것을 이용하였다.
물질명 첨가량(g)
제 1제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40
Toluene(용제) 60
제 2제 아크릴 폴리올 수지 58
TiO2(착색안료) 23.88
표면개질된 Black 3300(차열안료) 0.2
Disper BYK-9076(분산제, BYK사) 0.6
PANGEL AD(침전방지제) 1.1
MIANTO S(산화방지제, 미원상사) 0.2
CINASORB-1600(UV안정제) 0.9
EFKA FL 3670(레벨링제, BASF사) 0.1
Toluene(용제) 3
Xylene(용제) 2.8
DMC(di-methyl carbonate)(용제) 10
EFKA SI 2038 (소포제, BASF사) 0.35
[제조예 2]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22.3%이고, 점도가 약 3000 mPa·s 이며, 밀도가 1.18 g/㎤인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제조예 3]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7.6%이고, 점도가 약 1300 mPa·s 이며, 밀도가 1.13 g/㎤인 액상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9.6%이고, n-부틸이소시아네이트 용매에 용해된 상태이며, 고형분 함량이 약 90%이고, 점도가 약 400인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되지 않은 Black 6340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표면개질된 차열안료를 0.03 g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표면개질된 차열안료를 1 g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 분자량이 약 1000이고, 수산기가 58㎎ KOH/g인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이용하여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크릴 폴리올 수지로 분자량이 약 10000이고, 수산기가 49 ㎎ KOH/g인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이용하여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크릴 폴리올 수지 대신 동량의 분자량이 약 4500인 아크릴 수지를 첨가하고, 제 2제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KONIX PP-2000, KPX社)을 10g 더 첨가하여 차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막의 물성확인
1.내수성 확인
가로×세로가 20×20㎝인 아크릴판에 두께가 40 ㎛가 되도록 제 1제 및 제 2제를 동량 혼합한 각 제조예의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늘에서 일주일간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된 도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막을 정제수에 10일간 함침한 후, 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 등이 발생하였는지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를 5점척도로 표 2에 나타내었다.(5점: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 등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건조후 도막과 유사함~1점: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이 많이 발생함)
2. 내산성 확인
가로×세로가 20×20㎝인 아크릴판에 두께가 40 ㎛가 되도록 제 1제 및 제 2제를 동량 혼합한 각 제조예의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늘에서 일주일간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된 도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막을 탄산(H2CO3)이 5 중량% 포함된 수용액에 7일간 함침한 후, 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 등이 발생하였는지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를 5점척도로 표 2에 나타내었다.(5점: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 등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건조후 도막과 유사함~1점:도막의 들뜸, 크랙, 갈라짐이 많이 발생함)
3. 부착성 확인
ASTM D3359에 따라 건조된 도막을 2cm 간격으로 6개씩 서로 교차되게 칼로 긁어 25개의 칸을 만들어 3M 투명 테이프로 그 부위에 접착을 시킨 후 그 떨어진 정도에 따라 6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다.(5B:박리가 전혀 일어나지 않음~0B:66%이상 박리가 일어남)
4. 차열성능평가
외부를 기준으로 측정한 가로×세로×높이가 30㎝×20㎝×20㎝이며, 지붕이 개방된 각 1㎝ 두께의 스티로폼 재질의 상자를 준비한다. 여기에, 상부면을 완전히 덮는 크기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판을 준비하고, 여기에 제조예에서 제조된 차열 도료 조성물을 두께가 50 ㎛가 되도록 도포하고 7일간 자연풍으로 건조하여 완전히 경화된 도막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스티로폼 재질의 상자에 상기 금속판을 올리고, 글루건을 이용하여 공기유입을 최대한 차단하고, 상기 금속판보다 수직방향으로 30㎝ 높은 곳에 적외선 램프(오스람 社, 250W)로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디지털 온도계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다.
  물성측정 차열성능평가
내수성 내산성 부착성 초기온도 30분 후
제조예 1 5 5 4B 22.3 30.1
제조예 2 5 5 4B 22.0 31.5
제조예 3 4 3 2B 21.9 34.6
제조예 4 4 3 3B 22.4 33.9
제조예 5 2 1 1B 22.1 33.8
제조예 6 3 3 2B 21.8 39.7
제조예 7 4 3 1B 23.2 35.4
제조예 8 3 2 2B 22.4 34.8
제조예 9 4 3 3B 21.8 36.6
제조예 10 3 2 1B 22.1 36.4
표 2를 참고하면,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차열 도료 조성물이 내수성 및 내산성이 우수하여, 약산성의 빗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어 건물 옥상, 지붕 등의 외벽에 사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장기간 도막을 유지할 수 있고, 차열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점도가 1650 내지 4000 mPa·s 이며, 밀도가 1.14 내지 1.20 g/㎤이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21 내지 24%인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제; 및
    평균 분자량(Mw)이 2000 내지 4500인 아크릴 폴리올 수지,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차열안료, 착색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0.5 중량부의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차열안료 및
    30 내지 60 중량부의 착색안료를 포함하는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실란계 표면개질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클로로실란 및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안료는 산화철 및 산화크롬을 포함하는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액상 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150 내지 250 중량부의 용제를 포함하는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8. 삭제
KR1020190104283A 2019-08-26 2019-08-26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Active KR10212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83A KR102123762B1 (ko) 2019-08-26 2019-08-26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83A KR102123762B1 (ko) 2019-08-26 2019-08-26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62B1 true KR102123762B1 (ko) 2020-06-17

Family

ID=7140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283A Active KR102123762B1 (ko) 2019-08-26 2019-08-26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31B1 (ko) * 2021-10-05 2022-03-04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차열성능 및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건물 내외부용 수성 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357B1 (ko) 2022-05-12 2022-12-27 조남석 차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2607219B1 (ko) * 2023-06-23 2023-11-30 삼창엔지니어링(주) 차열 우레탄을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20240021020A (ko) *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지엘코팅스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995A (ja) * 1999-05-19 2000-11-28 Origin Electric Co Ltd 塗料組成物
JP2009155552A (ja) * 2007-12-27 2009-07-16 Nippon Paint Co Ltd 無溶媒2液型塗料組成物
JP2010261023A (ja) * 2009-04-06 2010-11-18 Midori Anzen Co Ltd 遮熱塗料
KR101243829B1 (ko) * 2012-09-25 2013-03-20 우림매스틱공업주식회사 차열 도막방수 조성물과 우레탄폼 단열재를 적층하여 방수와 차열 및 단열효과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단열방수재 및 패시브복합 단열방수공법
KR101795356B1 (ko) 2017-05-17 2017-11-08 이헌구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열반사 및 차열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995A (ja) * 1999-05-19 2000-11-28 Origin Electric Co Ltd 塗料組成物
JP2009155552A (ja) * 2007-12-27 2009-07-16 Nippon Paint Co Ltd 無溶媒2液型塗料組成物
JP2010261023A (ja) * 2009-04-06 2010-11-18 Midori Anzen Co Ltd 遮熱塗料
KR101243829B1 (ko) * 2012-09-25 2013-03-20 우림매스틱공업주식회사 차열 도막방수 조성물과 우레탄폼 단열재를 적층하여 방수와 차열 및 단열효과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단열방수재 및 패시브복합 단열방수공법
KR101795356B1 (ko) 2017-05-17 2017-11-08 이헌구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열반사 및 차열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31B1 (ko) * 2021-10-05 2022-03-04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차열성능 및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건물 내외부용 수성 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357B1 (ko) 2022-05-12 2022-12-27 조남석 차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KR20240021020A (ko) *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지엘코팅스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KR102788113B1 (ko) * 2022-08-09 2025-03-31 주식회사 지엘코팅스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KR102607219B1 (ko) * 2023-06-23 2023-11-30 삼창엔지니어링(주) 차열 우레탄을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762B1 (ko)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건물 옥상 방수용 차열 도료 조성물
TWI481677B (zh) 常溫硬化性近紅外線遮蔽塗佈劑及使用其之近紅外線遮蔽膜以及其製造方法
KR102207388B1 (ko) 옥상 또는 지붕용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를 사용한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KR100933526B1 (ko) 건축자재의 도장에 사용되는 에너지 절감형 투명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 방법
CA2293356C (en) Method of forming hydrophilic inorganic coating film and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KR100918085B1 (ko) 차열 및 단열 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용 단열 및 차열 구조체 시공방법
EP2116579B1 (en) Composite particle and uses thereof
EP3256535B1 (en) Elastomeric silicone emulsion for coating applications
US20050126441A1 (en) Composition of a thermaly insulating coating system
KR101814012B1 (ko) 친환경 열차단 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US20050215685A1 (en) Infrared reflective wall paint
JP2000129172A (ja) 遮熱性塗料及びその塗装方法
KR102178441B1 (ko) 태양광 발전모듈용 유리의 코팅을 위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
CN102690559A (zh) 一种水性隔热防腐涂料
KR1024249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외벽의 내자외선 성능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인 외벽 수성 페인트
WO2015079638A1 (ja) 水性の遮熱性塗料組成物
US8691376B2 (en) Self-decontaminating inorganic coatings containing semiconductor metal oxide nanoparticles
KR102062012B1 (ko) 차열성능이 우수하고 성능 유지력이 향상된 친환경 차열 도료
US20120107604A1 (en) Composite particles,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layer, printing ink,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coated article and resin film having coating layer
CN106519950B (zh) 风挡橡胶漆及其制备方法
KR101801857B1 (ko) 열차단성과 자발 세정력이 우수한 건축용 패널
JP4522579B2 (ja) 複合体、該複合体からなる塗膜で被覆された基材、塗膜付き基材の製造方法
CN117343590A (zh) 一种高防护型水性户外木用底面合一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446253B1 (ko) 차단열 방수 도장방법
JP2013081941A (ja) 防汚塗膜の形成方法及び防汚塗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