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020A -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1020A KR20240021020A KR1020220099463A KR20220099463A KR20240021020A KR 20240021020 A KR20240021020 A KR 20240021020A KR 1020220099463 A KR1020220099463 A KR 1020220099463A KR 20220099463 A KR20220099463 A KR 20220099463A KR 20240021020 A KR20240021020 A KR 202400210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nonwoven fabric
- pla
- based elastic
- waterproofing ag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681 magnes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88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HPBZFOKBAGZBL-UHFFFAOYSA-N (3-hydroxy-2,2,4-trimethylpent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C(C)(C)COC(=O)C(C)=C JHPBZFOKBAGZ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4 anti-foa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도장할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처리된 도장면을 에폭시 하도제로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에폭시 하도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하고, 상기 PLA 부직포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추가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가 도포된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을 차열 도료 상도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PLA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방수층의 철거나 재시공시에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수층의 균열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며 강도가 우수한 PLA 부직포를 방수 도장면 사이에 포설하여 방수시공을 함으로써, 도장면의 균열을 방지하고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매년 반복되는 하절기와 동절기를 거치면서 온도 변화에 따른 침투수의 동결이나 부식 또는 대기나 햇빛에 의한 변질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은 외부로부터 노출된 습기와 열 차단을 위한 방수공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방수공사는 건물의 구성 부분, 구성 재료나 방수제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우레탄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과 더불어 이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복합 방수공법 등이 상황에 맞게 적용되고 있다.
이 중 도막 방수공법은 하절기의 고온에서 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지만, 동절기의 동결에 의해 방수층의 부식과 탈락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하여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고무계, 에틸렌초산비닐계 등과 같은 합성섬유 계열의 복합시트를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포설하여 시공하는 복합시트 방수시공 방법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복합시트 방수시공 방법은 방수층의 횡방향 균열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복합시트와 방수제의 접착력을 통해 방수제가 복합시트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여 복합시트와 방수제가 일체화되지 못하므로 방수층이 상하 방향으로 층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합수지가 합성수지 계열로 이루어짐으로써 철거나 재시공시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물성이 향상된 친환경 소재인 PLA 부직포를 이용하여 방수 도막 시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법에 대한 기술분야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시트 방수시공 방법에 있어서 방수층의 상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친환경 소재의 복합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 도장할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처리된 도장면을 에폭시 하도제로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에폭시 하도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하고, 상기 PLA 부직포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도포된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을 차열 도료 상도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 또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LA 부직포는, 인장강도가 550 내지 650 kg/cm2 범위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LA 부직포는,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전 영역에 걸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 중 (D) 단계는, (D1)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교번하여 노출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를 격자형으로 적치하는 단계; (D2) 상기 PLA 부직포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3)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 중 상기 (D1) 단계에서 노출된 도장면에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를 격자형으로 적치하되, 상기 (D1) 단계에서 적치된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와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적치하는 단계; 및 (D4) 상기 PLA 부직포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LA 부직포는, 다수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절개선을 따라 절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절첩된 상태로 적치되는 경우,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 중 (D) 단계는, (D21)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PLA 부직포를 상기 절개선을 따라 소정의 부분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적치하는 단계; (D22) 상기 PLA 부직포가 절첩된 절첩영역을 제외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23) 상기 PLA 부직포의 절첩된 부분을 본래 위치로 펼치는 단계; 및 (D24) 상기 펼쳐진 PLA 부직포 상면의 전체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의 순서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LA 부직포는, 다수개의 행과 열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PLA 부직포의 절개선은, 상기 PLA 부직포 중 절첩되는 부분인 절첩부가 서로 이격된 열 내에서만 형성되되, 동일 열에 형성되는 절첩부는 서로 이격된 행에 형성되고, 상기 절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LA 부직포는, 상기 절첩부가 절첩영역으로 절첩된 상태로 절첩된 절첩부의 단부측 PLA 부직포 단부가 내측으로 말리는 방향으로 롤링된 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PLA 부직포를 도장면에서 전개시 상기 절첩부가 절첩된 상태로 전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는, 도장면의 PH 값이 7 내지 9로 유지되고, 평행함수율을 6% 이하로 유지되도록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물, 분산제, 소포제, 착색안료, 체질안료, 조용제, 증점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에멀젼 50 내지 68 중량%, 물 10 내지 2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 0.5 내지 1 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0 중량%, 체질안료 15 내지 35 중량%, 조용제 1 내지 2 중량%, 증점제 0.1 내지 1.5 중량% 및 첨가제 0.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열 도료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화합물, 탄산칼슘, 안티몬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하도제는,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C) 단계에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250 내지 350 ㎛의 두께로 도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D) 단계에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350 내지 500 ㎛의 두께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열도료 상도제는,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은, 친환경적인 PLA(Poly Lactic Acid)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방수층의 철거나 재시공시에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력, 신도 및 모듈러스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PLA 부직포를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포설하여 방수시공을 수행함으로써, 방수층의 균열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할 때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PLA 부직포를 적치시킴으로써,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의 층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시공 방법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시공 방법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그에 따른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강도가 우수한 PLA 부직포를 방수 도장면 사이에 포설하여 방수시공을 함으로써, 도장면의 균열을 방지하고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시공 방법에 따른 방수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은, (A) 도장할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와, (B) 상기 표면처리된 도장면을 에폭시 하도제로 도포하는 단계와, (C) 상기 에폭시 하도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와, (D)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하고, 상기 PLA 부직포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와, (E) 상기 도포된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을 차열 도료 상도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장할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S110)
본 단계는 도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틈새나 홈 등을 보강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장면은 고압세척기나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이물질, 먼지 등을 깨끗이 제거하며 균열 등으로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이나 용매를 이용하는 것은 되도록이면 삼가하는 것이 좋다. 이때 바닥면에 수분이나 용매 등이 잔존하면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장면의 PH 값이 7 내지 9로 유지되고, 평행함수율을 6% 이하로 유지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틈새나 홈은 에폭시로 메꾸어주며, 크랙이 심한 부분이나 신축 줄눈은 V-커팅 후 폴리에틸렌 백업재를 넣고, 수성 탄성 실란트로 실링하고 표면 조정 후 도장하며, 벽면과 접한 부위 등의 가장자리는 V-커팅한다.
표면처리된 도장면을 에폭시 하도제로 도포하는 단계(S120)
본 공정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도장면의 표면강도를 증진시키고 후속 도장되는 수성 탄성 방수제와의 부착력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되고 균열부위 등이 보강된 도장면에 도장용 붓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수용성 에폭시 하도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에폭시 하도층(100)을 형성한다. 이때 하도층(100)의 도포 두께는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하도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S130)
이어서 상기와 같이 도포된 에폭시 하도층(100) 상면에 수용성 수성 탄성 방수제를 도장용 붓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을 형성한다. 이때, 수성 탄성 방수제는 대략 250 내지 350 ㎛의 두께로 도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 또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수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물, 분산제, 소포제, 착색안료, 체질안료, 조용제, 증점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수용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50 내지 68 중량%, 물 10 내지 2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 0.5 내지 1 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0 중량%, 체질안료 15 내지 35 중량%, 조용제 1 내지 2 중량%, 증점제 0.1 내지 1.5 중량% 및 첨가제 0.1 내지 1.5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탄성 방수제의 조성물에 대하여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하고(S140), 상기 PLA 부직포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S150)
이어서, 상기와 같이 도포된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 위에 PLA 부직포(300)를 적치시킨 후, PLA 부직포(300)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함으로써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PLA 부직포(300)를 포설하여 시공함으로써, 방수층의 균열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PLA(Poly Lactic Acid)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방수층의 철거나 재시공시에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한다. PLA 부직포(300)의 경우 식물성인 옥수수에서 추출한 섬유를 주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이 복합시트로 합성수지 계열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LA 부직포(300)의 경우 강력, 신도 및 모듈러스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방수층의 균열 및 탈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LA 부직포(300)는 인장강도가 550 내지 650 kg/cm2 범위일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PLA 부직포(300)를 포설하여 시공함으로써 방수층의 횡방향 균열은 방지할 수 있으나, PLA 부직포(300)와 방수제의 접착력을 통해 방수제가 PLA 부직포(300)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여 PLA 부직포(300)와 방수제가 일체화되지 못하므로 방수층이 상하 방향으로 층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방식으로 PLA 부직포(300)를 적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300)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에 따라 형성된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PLA 부직포(300)는 다수의 개구부(310)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PLA 부직포(300)는,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전 영역에 걸쳐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게 되면,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과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의 층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300)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에 따라 형성된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먼저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이 교번하여 노출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300)를 격자형으로 적치한다. 이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여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 중 상기 단위 PLA 부직포(300)가 적치된 이외의 영역에는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과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이 연속적으로 방수제가 접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 영역 중 이전 단계에서 단위 PLA 부직포(300)가 적치되지 아니한 영역에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300)를 격자형으로 적치한다. 이때 추가로 적치하는 단위 PLA 부직포(300)와 이미 적치된 단위 PLA 부직포(300)는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적치한다. 이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여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B)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과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 및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B)은 상하 방향으로 방수제가 연속적으로 접하여 형성되므로 방수층과 방수층의 층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횡 방향으로는 단위 PLA 부직포(30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적치되게 되므로, 방수층의 횡 방향 균열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B)은 PLA 부직포 상부로 350 내지 500 ㎛의 두께로 도포된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PLA 부직포(300)의 적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그에 따라 형성된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LA 부직포(300)는, 다수의 절개선(A)이 형성되어 절개선을 따라 절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PLA 부직포(300)가 절첩된 상태로 적치되는 경우,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본 구현예의 시공방법은, 먼저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PLA 부직포(300)를 절개선(A)을 따라 소정의 부분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적치한다. 즉 B1 부분을 A1 영역으로, B3 부분을 A3 영역으로 절첩한다. 이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가 절첩된 절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여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 중 상기 PLA 부직포(300)가 절첩되어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이 노출된 영역 즉, 즉 B1, B3 영역 등은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의 상면과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이 연속적으로 방수제가 접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의 절첩된 부분을 본래 위치로 펼친 후, 펼쳐진 PLA 부직포(300) 상면의 전체를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여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B)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1차 수성 탄성 방수층(200)과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A) 및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B)은 상하 방향으로 방수제가 연속적으로 접하여 형성되므로 방수층과 방수층의 층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는, 다수개의 행과 열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PLA 부직포(300)의 절개선(A)은 상기 PLA 부직포(300) 중 절첩되는 부분인 절첩부가 서로 이격된 열 내에서만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즉, B1, B3. B5 및 D2, D4는 서로 이격된 열에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동일 열에 형성되는 절첩부, 즉 B1, B3. B5 또는 D2, D4는 서로 이격된 행에 형성되고, 상기 절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노출되거나 절첩되는 절첩영역이 동일한 열 및 동일한 행에만 형성되게 되므로, 방수제의 도포 작업을 동일한 열 또는 동일한 행을 따라 롤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용이하게 도포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300)는, 상기 절첩부가 절첩영역으로 절첩된 상태로 절첩된 절첩부의 단부측 PLA 부직포(300)를 단부가 내측으로 말리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롤 형태의 PLA 부직포(300)가 전개될 때 회전방향이 절첩부가 절첩되는 방향과 일치하여, 롤링된 PLA 부직포(300) 사이에 약간의 접착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절첩부가 절첩된 상태로 전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LA 부직포(300)를 도장면에서 전개시 상기 절첩부가 절첩된 상태로 전개되게 되어 작업자가 절첩부를 절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절첩부의 파악이 익숙하지 아니한 미숙련공도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차열 도료 상도제로 도포하는 단계(S160)
상기와 같이 PLA 부직포(300)의 적치 및 2차 수성 탄성 방수층(400)의 형성이 완료되면, 이어서 상기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상에 열 차단을 위한 차열 도료 상도제를 도포하여 차열층(500)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차열 도료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화합물, 탄산칼슘, 안티몬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층(500)은,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수용성 탄성 방수제의 조성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50 내지 68 중량%, 물 10 내지 2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 0.5 내지 1 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0 중량%, 체질안료 15 내지 35 중량%, 조용제 1 내지 2 중량%, 증점제 0.1 내지 1.5 중량% 및 첨가제 0.1 내지 1.5 중량%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아크릴 에멀젼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용성 탄성 방수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에멀젼은 수성 분산 고분자 물질(아크릴 에스테르, 메타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며 신율과 방수성능이 우수하다.
이를 위하여 아크릴계 에멀젼은 고형분이 40 내지 55%인 것을 사용하여, 방수제 전체의 대략 50 내지 70중량% 범위내에서 다른 조성물과의 조성비를 고려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인 경우는 충전제 대비 결합제의 부족현상으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도막의 옥외 폭로에 따른 내후성이 부족하게 되어 방수특성 뿐아니라 도막의 노화로 인한 소지면과의 접착력이 부족하여 방수도막의 이탈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에멀젼이 70중량% 이상인 경우는 에멀젼 노화현상이 촉진되어 도막의 내구성, 내마모성 등이 부족하여, 장기적으로 도막 방수제로서의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워지면, 경제적인 면에서 방수 도장제의 원가 상승이 수반된다.
그러나, 상기한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은 고형분이 40 내지 55%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함량으로서, 고형분의 함량이 높은 에멀젼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에멀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분산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수용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과 체질 안료가 혼합되어 있는 동안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체질 안료가 잘 분산되어 있거나 습윤이 유지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장제에 있어서의 분산의 상태는 최종 경화 도막의 물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내마모성, 도막의 이색 발생, 색분리 현상, 평활성, 광택, 내후성 등의 여러가지 도막의 물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분산제를 0.1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는 무기질 충전제의 분산력과 습윤력의 부족으로 저장중에 침전현상이나, 뭉침 현상이 발생하며, 1.0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도장재의 내수성, 내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소포제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포제는 에멀젼과 체질안료의 혼합 제조시 발생하는 기포를 억제하며, 현장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기포의 탈포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0.5 내지 1중량% 범위로 미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가 1중량% 이상 과량 첨가되면, 방수도막의 내수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소포제는 도막 형성시 기포에 의한 도막결합, 즉 들뜸현상, 부풀음 현상을 방지하고 형성된 도막의 내부와 외부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도막의 견고함과 강한 결합을 부여하여 인장강도, 접착강도의 손실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착색안료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착색안료는 색상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며, 안료 자체는 고가이고 또한 첨가량이 많을수록 착색효율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므로, 상기 착색안료의 첨가량은 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는 요구하는 색상이 발현되지 어렵고, 10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성 첨가물의 함량이 저하되어, 방수도막의 강도, 신율, 내후 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 체질안료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체질안료는 탄산칼슘을 주로 사용하며, 아크릴 에멀젼과 작용하여 견고한 도막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체질 안료는 15 내지 35중량%을 사용하는데 15중량 %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는 충전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35중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는 방수도막의 탄성이 발현되지 못한다.
또한 사용되는 탄산칼슘의 평균입자는 도포면의 절감을 결정하는 것으로 일 반적으로 0.5 내지 200㎛ 사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한 입자의 크기는 0.5 내지 10㎛ 범위이다.
그리고 상기 조용제는 도막 결합제의 최저 도막 형성온도(MFFT)를 조절함으로써 도장환경을 조절하여 방수도막의 특성 및 견고한 경화 도막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0.1 내지 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함유량이 0.1중량% 이하인 경우는 도막형성에 조용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며, 2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결합제인 아크릴 에멀젼의 유화 안정성을 해치게 되어 에멀젼의 안정성 저해와 도막의 결함을 수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점제(동결 안정제)는 다가 알콜계 용제를 사용하며 0.01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중량% 이하 로 사용하는 경우는 동결 안정성 효과가 없고, 1.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경화 방수 도막의 내수성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증점제는 사용되는 에멀젼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첨가량이 증가할 경우도 있다. 즉, 점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증점제는 도장 특성에 따라 한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가능하면 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점제의 사용은 도장제의 작업성을 부여하고, 도막의 살오름을 좋게하며, 제품의 도장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함유량은 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며, 0.1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증점 효과가 거의 없으며, 1.5중량% 이상 사용시 유동성이 부족하고, 기포 발생시 소포성이 떨어져 균일한 도막 형성이 어려워 균일한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기타 첨가제로는 장기 저장시 체질 안료가 침전되는 등, 제품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pH 안정제, 점도 안정제 등과 같은 각종 안정제와, 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부제 등이 포함되며, 첨가량은 각각 소량의 첨가에 의해서도 충분한 성능발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 적으로 0.1 내지 1.5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강도가 우수한 PLA 부직포를 방수 도장면 사이에 포설하여 방수시공을 함으로써, 도장면의 균열을 방지하고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의 층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에폭시 하도층
200 : 1차 수성 탄성 방수층
300 : PLA 부작포 310 : 개구부
400 :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400A :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400B :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500 : 차열 도료층
A : 절개선
300 : PLA 부작포 310 : 개구부
400 :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400A : 하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400B : 상부 2차 수성 탄성 방수층 500 : 차열 도료층
A : 절개선
Claims (15)
- (A) 도장할 표면을 표면처리 하는 단계;
(B) 상기 표면처리된 도장면을 에폭시 하도제로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에폭시 하도제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에 PLA 부직포를 적치하고, 상기 PLA 부직포 상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추가 도포된 수성 탄성 방수제 상면을 차열 도료 상도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 또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는,
인장강도가 550 내지 650 kg/cm2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는,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전 영역에 걸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 중 (D) 단계는,
(D1)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교번하여 노출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를 격자형으로 적치하는 단계;
(D2) 상기 PLA 부직포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3)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 중 상기 (D1) 단계에서 노출된 도장면에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를 격자형으로 적치하되, 상기 (D1) 단계에서 적치된 사각 형상의 단위 PLA 부직포와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적치하는 단계; 및
(D4) 상기 PLA 부직포가 격자형으로 적치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는,
다수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절개선을 따라 절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절첩된 상태로 적치되는 경우,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 중 (D) 단계는,
(D21) 상기 (C) 단계의 수성 탄성 방수제가 도포된 도장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PLA 부직포를 상기 절개선을 따라 소정의 부분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적치하는 단계;
(D22) 상기 PLA 부직포가 절첩된 절첩영역을 제외한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
(D23) 상기 PLA 부직포의 절첩된 부분을 절첩 전 상태로 펼치는 단계; 및
(D24) 상기 펼쳐진 PLA 부직포 상면의 전체 도장면을 수성 탄성 방수제로 도포하는 단계;의 순서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LA 부직포는, 다수개의 행과 열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PLA 부직포의 절개선은,
상기 PLA 부직포 중 절첩되는 부분인 절첩부가 서로 이격된 열 내에서만 형성되되, 동일 열에 형성되는 절첩부는 서로 이격된 행에 형성되고, 상기 절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도장면의 PH 값이 7 내지 9로 유지되고, 평행함수율을 6% 이하로 유지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50 내지 68 중량%와;
물 10 내지 20 중량%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와;
소포제 0.5 내지 1 중량%와;
착색안료 5 내지 10 중량%와;
체질안료 15 내지 35 중량%와;
조용제 1 내지 2 중량%와;
증점제 0.1 내지 1.5 중량%; 및
첨가제 0.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 도료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화합물, 탄산칼슘, 안티몬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하도제는,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C) 단계의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250 내지 350 ㎛의 두께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D) 단계의 상기 수성 탄성 방수제는,
350 내지 500 ㎛의 두께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도료 상도제는,
40 내지 60 ㎛의 두께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9463A KR20240021020A (ko) | 2022-08-09 | 2022-08-09 |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9463A KR20240021020A (ko) | 2022-08-09 | 2022-08-09 |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1020A true KR20240021020A (ko) | 2024-02-16 |
Family
ID=9005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9463A KR20240021020A (ko) | 2022-08-09 | 2022-08-09 |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1020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6216A (ko) | 2005-09-29 | 2007-04-03 | 차민수 | 재생우레탄시트를 보호층으로 하는 다층 도막 방수시공방법 |
KR102008963B1 (ko) | 2019-02-19 | 2019-08-09 | 주식회사 에이지엠코리아 |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
2022
- 2022-08-09 KR KR1020220099463A patent/KR202400210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6216A (ko) | 2005-09-29 | 2007-04-03 | 차민수 | 재생우레탄시트를 보호층으로 하는 다층 도막 방수시공방법 |
KR102008963B1 (ko) | 2019-02-19 | 2019-08-09 | 주식회사 에이지엠코리아 |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11566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with high solar reflectivity | |
US4390570A (en) | Fluid roof system | |
CN108952041A (zh) | 一种建筑外墙拉毛饰面结构及其修复施工方法 | |
US20120088052A1 (en) | Water-Base Acrylic Premanufactured Waterproofing Material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 Same | |
KR100982820B1 (ko) |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 |
KR102200896B1 (ko) |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복합시트 시공방법 | |
AU653157B2 (en) | An aqueous tiecoat composition | |
EP2612973B1 (de) | Funktionsschicht einer Gebäudehülle und Gebäudehülle mit einer Funktionsschicht | |
KR102525769B1 (ko) |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 |
KR101291114B1 (ko) | 탄성고분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664501B1 (ko) | 방수 시공을 위한 복합조인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방수섬유시트 방수 공법 | |
KR101408630B1 (ko) |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 |
KR20240021020A (ko) | Pla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 방수시공 방법 | |
KR102213597B1 (ko) | 열 차단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방수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 시공방법 | |
EP1967667B1 (en) | Roofing tile | |
DE2702330C3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roßflächigen elastischen fugenlosen Beschichtung | |
KR102218074B1 (ko) | 염해 방지용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시공 방법 | |
KR102155472B1 (ko) | 우수한 투수성 및 차열성을 가진 도막형 바닥재 및 이의 시공 방법 | |
CN207846913U (zh) | 钢柱饰面结构 | |
KR20210094354A (ko) | 천연석 발수 도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
KR102165326B1 (ko) | 방수 코팅제 | |
KR101955282B1 (ko) |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
CN108396877A (zh) | 一种平面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 |
KR20130004682A (ko) | 100% 냉공법이 가능한 아스팔트 방수시트, 도막형 프라이머, 아스팔트 실란트 및 벽체용 도막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
KR20110006085A (ko) | 콘크리트의 표면 강화 코팅재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중성화 및 염해 방지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