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262B1 -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262B1
KR102573262B1 KR1020200143035A KR20200143035A KR102573262B1 KR 102573262 B1 KR102573262 B1 KR 102573262B1 KR 1020200143035 A KR1020200143035 A KR 1020200143035A KR 20200143035 A KR20200143035 A KR 20200143035A KR 102573262 B1 KR102573262 B1 KR 10257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ce
extract
rice water
cooking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915A (ko
Inventor
고수영
Original Assignee
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영 filed Critical 고수영
Priority to KR102020014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262B1/ko
Priority to PCT/KR2020/018588 priority patent/WO2022092426A1/ko
Publication of KR2022005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2200/00Special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뜨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쌀뜨물 맛술은 저온 숙성 및 가열 살균된 쌀뜨물과 제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비린내 및 잡내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감칠맛이 뛰어나며,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므로 사용 시 사용량 조절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COOKING WINE HAVING RICE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쌀뜨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육류 또는 어패류 요리에 와인 또는 청주 등의 술을 첨가하는 방법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와인 또는 청주는 직접 음용과 요리용이 구분 없이 활용되는 바 요리주(料理酒) 즉, 직접 음용되지 않고 요리에만 활용되는 맛술과는 구별된다. 요리 전용주로서의 맛술로는 일본의 미린(みりん)을 들 수 있는데, 미린은 단맛이 강한 곡주(穀酒)로서, 재료의 잡향을 탈취하고 조직을 연화하며 풍미, 특히 단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미린과 같은 종래의 맛술은 찐 찹쌀, 쌀누룩(米麴) 및 소주(燒酒)를 혼합, 숙성하여 제조하며, 숙성과정에서 찹쌀의 전분이 엿당으로 당화(糖化)되어 단맛을 나타내게 되는데, 찐 찹쌀과 쌀누룩을 혼합하여 전분의 당화 및 발효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양조주(釀造酒)로 분류될 수 있으나, 완성된 맛술에 함유된 알코올의 대부분은 혼합된 소주에 기함유된 알코올이라는 점에서는 혼성주(混成酒)로 분류될 수 있다.
맛술은 수백년 전부터 요리주로서 활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설탕 등 요리용 감미료가 흔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맛술의 주요 사용목적이 요리의 단맛을 내는데 있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설탕의 직접 사용량은 줄이면서도 요리의 풍미는 유지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효과 이외에 항균 효과, 저혈당 등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5296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의 누린내나 잡내, 또는 어패류의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고, 항균 활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간편한 맛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 내지 8℃에서 1일 내지 15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저온 숙성된 혼합물을 50 내지 100℃에서 5 내지 60초간 가열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쌀뜨물은 미세척된 쌀을 1차 수세하여 1회 세척된 쌀을 얻는 단계; 1회 세척된 쌀을 2차 수세하여 2회 세척된 쌀과 제1 살뜨물을 얻는 단계; 2회 세척된 쌀을 3차 수세하여 3회 세척된 쌀과 제2 쌀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살뜨물과 제2 쌀드물을 혼합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살뜨물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쌀뜨물의 제조 시 제1 쌀뜨물과 제2 쌀드물의 혼합 비율은 3:7 내지 7:3 부피 비율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피 추출물은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상온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얻는 단계; 제1 추출물이 제거된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및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등액을 얻고, 얻어진 상등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피 추출물의 제조 시 열수 추출은 50 내지 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숙성하는 단계의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매실원액, 녹차 분말, 산수유 열매 분말, 감초근 추출물, 대파 추출물, 식초 및 정제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파 추출물은 대파 및 폴리갈락투로나아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효소 반응을 수행하여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대파 추출물에 말토덱스트린 및 정제염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에서 살균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파 추출물은 상기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90 내지 11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상기 맛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쌀뜨물 맛술은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은 저온 숙성 및 가열 살균된 쌀뜨물과 제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비린내 및 잡내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감칠맛이 뛰어나며,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므로 사용 시 사용량 조절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 및 추가적 효과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또는" 또는 "및"의 사용은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및/또는"을 의미한다. 게다가, "동반하는"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동반하다" 및 "동반되는"의 사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섹션의 제목은 단지 체계화하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대상 물질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 내지 8℃에서 1일 내지 15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저온 숙성된 혼합물을 50 내지 100℃에서 5 내지 60초간 가열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은 쌀뜨물과 제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쌀뜨물과 제피 추출물을 혼합하고, 이를 저온에서 숙성한 다음, 연속적으로 가열 살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온 숙성은 혼합물을 3 내지 8℃에서 1일 내지 15일간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4 내지 6℃에서 3일 내지 15일간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4 내지 6℃에서 3일 내지 10일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온도 및 시간 조건 하에서 저온 숙성을 수행함으로써 맛술의 비린내 및/또는 잡내 제거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살균은 저온 숙성된 혼합물에 5 내지 60초간 50 내지 100℃의 열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45초간 60 내지 100℃의 열을 가하거나, 또는 15 내지 30초간 70 내지 95℃의 열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온도 및 시간 조건 하에서 가열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맛술의 저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쌀뜨물은 육류나 어패류로부터 유래되어 누린내나 잡내 및/또는 비린내를 발생시키는 아민 화합물과 결합하여 이취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미세척된 쌀을 1차 수세하여 1회 세척된 쌀을 얻는 단계;
1회 세척된 쌀을 2차 수세하여 2회 세척된 쌀과 제1 살뜨물을 얻는 단계;
2회 세척된 쌀을 3차 수세하여 3회 세척된 쌀과 제2 쌀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살뜨물과 제2 쌀드물을 혼합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살뜨물을 얻는 단계.
구체적으로, 맛술 제조 시 사용되는 쌀뜨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미세척된 쌀과 동일한 중량의 물을 가하고, 3~5회 교반하여 1회 세척하고 세척된 물을 제거한 다음, 1회 세척 시 사용된 양과 동량의 물을 다시 가하고 10~20회 교반함으로써 쌀을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2회 세척된 쌀로부터 세척된 물(즉, 제1 쌀뜨물)을 분리하여 따로 마련하고, 연속적으로 상기 2회 세척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세척을 수행하여 세척된 물(즉, 제2 쌀뜨물)을 분리마련하였다. 분리 마련된 제1 쌀뜨물과 제2 쌀뜨물을 혼합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쌀뜨물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쌀뜨물 제조 시 미세척된 쌀의 1차 수세 시 얻어지는 쌀뜨물은 배제하고, 2차 및 3차 수세 시 얻어지는 제1 및 제2 쌀뜨물만을 사용하여 맛술을 제거함으로써 미세척 쌀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쌀뜨물에 함유하는 조단백, 조지방, 섬유질, 탄수화물 등을 비롯하여 비타민 B1, B2 및 전분질 등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맛술 제조 시 사용되는 쌀뜨물은 제1 쌀뜨물과 제2 쌀뜨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맛술 제조 시 사용되는 상기 쌀뜨물은 제1 쌀뜨물과 제2 쌀뜨물을 3:7 내지 7:3의 부피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4:5 내지 5:4의 부피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피 추출물은 육류와 어패류의 누린내나 잡내 및/또는 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맛술에 항균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상온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얻는 단계;
제1 추출물이 제거된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및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등액을 얻고, 얻어진 상등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피 1 중량부에 대하여 4~6 중량부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상온(19~23℃)에서 12~48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 추출물을 얻고; 제1 추출물이 제거된 제피 1 중량부에 대하여 2~4 중량부의 증류수를 재첨가하고, 50~100℃, 구체적으로는 70~90℃에서 30분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함께 여과하고, 10,000~15,000 rpm으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 건조시켜 맛술 제조를 위한 수용성 제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피 추출물을 상기와 같이 상온 추출 공정과 열수 추출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온 추출 공정 또는 열수 추출 공정을 단독으로 수행하여 얻어지는 제피 추출물과 대비하여 높은 이취 제거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맛술 제조방법의 숙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혼합물은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 이외에 매실원액, 녹차 분말, 산수유 열매 분말, 감초근 추출물, 대파 추출물, 식초 및 정제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실원액은 매실을 설탕에 재우거나 절여 만든 액으로서, 그 자체로 높은 당도를 가지므로, 맛술에 단맛을 제공하는 한편, 매실 고유의 향미를 부여할 수 있고, 소화 촉진 및 해독 등의 약리 효과를 맛술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분말은 녹차 잎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맛술에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고, 동시에 맛술의 식음 시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산수유 열매 분말은 산수유 열매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간 건강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초근 추출물은 감초의 뿌리로부터 유래된 추출물로서, 상기 감초는 완화, 진통, 해독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추출물은 뇌세포보호, 항염 등의 효능과 함께 장 건강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식초는 맛술에 함유되어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과 함께 육류 및 어패류의 비린내 및/또는 잡내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대파 추출물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체지방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파 및 폴리갈락투로나아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효소 반응을 수행하여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대파 추출물에 말토덱스트린 및 정제염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에서 살균시키는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대파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반응기에 물을 주입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대파와 폴리갈락투로나아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혼합물의 온도를 40~50℃로 승온하면서 2~3시간 동안 효소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반응이 종료되면 혼합물의 온도를 90~110℃로 승온하고 2~4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혼합물에 대한 열처리를 수행한 다음, 이를 다시 50~7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파에 특정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발효를 수행한 후 이를 열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추출물의 체내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에 말토덱스트린 및 정제염을 첨가하고, 60~100℃에서 5~3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살균된 대파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쌀뜨물 맛술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쌀뜨물 및 제피 추추룰을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은 상술된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저온 숙성되고 가열 살균된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함유하므로 비린내 및 잡내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감칠맛이 뛰어나며,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쌀뜨물 맛술은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종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맛술은 병에 주입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 경우 양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 육류나 어패류가 침지될 수 있도록 상당량의 맛술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침지 후 남는 맛술을 처리하는데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은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어 육류나 어패류에 이취를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양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은 통상의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의 위쪽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압력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관, 상기 압력용기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한 분사노즐의 개폐를 행하는 누름버튼,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충진되는 소정 압력의 압축가스,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는 가공체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용기, 분사노즐, 흡입관 및 누름버튼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용기에 사용하는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압축가스는 이산화탄소나 프레온가스, LPG, LNG 등의 다양한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환경오염의 영향이 적은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가스는 본 발명에 쌀뜨물 맛술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성분으로 구성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압력의 압력가스를 본 발명에 따른 쌀뜨물 맛술과 함께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충진하고, 사용하기 전에 압력용기를 일정 횟수 이상 흔들어주는 것에 의하여 압축가스와 상기 쌀뜨물 맛술을 충분하게 혼합시킨 다음,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분사노즐을 개방시키면, 압축가스가 분사됨에 따라 식용유도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쌀뜨물 맛술이 압축가스와 혼합되어 분무상태로 분사되는 원리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쌀뜨물 맛술의 가공 형태를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맛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일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쌀 1kg과 물 1kg을 반응기에 넣고 3~5회 교반하여 1회 수세한 후 수세한 물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1회 수세된 쌀에 물 1kg을 주입하고 10~20회 교반하여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2회 세척된 쌀로부터 세척된 물(즉, 제1 쌀뜨물)을 분리하여 따로 마련하고, 연속적으로 상기 2회 세척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세척을 수행하여 세척된 물(즉, 제2 쌀뜨물)을 분리마련하였다. 분리 마련된 제1 쌀뜨물과 제2 쌀뜨물을 1:1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쌀뜨물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제피 추출물의 제조
반응기에 제피 1kg를 넣고, 증류수 5kg을 주입한 후 24 시간 동안 상온(21±1℃)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여 1차 추출물을 얻었다. 그런 다음, 잔류한 제피에 증류수 3kg을 다시 주입하고 80℃에서 1 시간 동안 중탕한 다음, 이를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준비된 1차 및 2차 추출물을 함께 여과하고, 12,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수용성 제피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대파 추출물의 제조
반응기에 물 49.85㎏을 주입하고, 약 5㎜의 크기로 잘게 절단된 대파 35㎏ 및 폴리갈락투로나아제 0.15㎏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약 45℃로 승온하고 약 2시간 30분 동안 효소 반응시켜 효소 발효물 함유 반응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연속적으로 반응기의 온도를 100℃로 승온하고 약 3시간 동안 유지시켜 효소 발효물을 열처리한 다음, 반응액을 60℃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반응액을 24 메쉬(mesh) 진동체로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대파 추출물 55.25㎏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쌀뜨물 맛술의 제조
제조예 1의 쌀뜨물과 제조예 2의 제피 추출물을 300:1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30kg에 제조예 3의 대파 추출물 1kg, 매실 원액 1.5kg, 식초 1kg 및 정제염(구체적으로 나트륨염) 0.1kg을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5±0.5℃에서 4~5일간 숙성시키고, 80±5℃에서 20±초간 가열 살균하여 쌀뜨물 맛술을 제조하였다.

Claims (10)

  1.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3 내지 8℃에서 1일 내지 15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저온 숙성된 혼합물을 50 내지 100℃에서 5 내지 60초간 가열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쌀뜨물은,
    미세척된 쌀을 1차 수세하여 1회 세척된 쌀을 얻는 단계;
    1회 세척된 쌀을 2차 수세하여 2회 세척된 쌀과 제1 살뜨물을 얻는 단계;
    2회 세척된 쌀을 3차 수세하여 3회 세척된 쌀과 제2 쌀뜨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살뜨물과 제2 쌀뜨물을 혼합하여 맛술 제조를 위한 살뜨물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제1 쌀뜨물과 제2 쌀뜨물의 혼합 비율은 4:5 내지 5:4 부피 비율이고,
    상기 제피 추출물은,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상온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얻는 단계;
    제1 추출물이 제거된 제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및 제2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등액을 얻고, 얻어진 상등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열수 추출은 5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숙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매실원액, 녹차 분말, 산수유 열매 분말, 감초근 추출물, 대파 추출물, 식초 및 정제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대파 추출물은,
    대파 및 폴리갈락투로나아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효소 반응을 수행하여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대파 추출물에 말토덱스트린 및 정제염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에서 살균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효소 발효된 대파 추출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90 내지 11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따른 맛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쌀뜨물 및 제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뜨물 맛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맛술은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뜨물 맛술.
KR1020200143035A 2020-10-30 2020-10-30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035A KR102573262B1 (ko) 2020-10-30 2020-10-30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18588 WO2022092426A1 (ko) 2020-10-30 2020-12-17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035A KR102573262B1 (ko) 2020-10-30 2020-10-30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915A KR20220057915A (ko) 2022-05-09
KR102573262B1 true KR102573262B1 (ko) 2023-08-30

Family

ID=8138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035A KR102573262B1 (ko) 2020-10-30 2020-10-30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3262B1 (ko)
WO (1) WO20220924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42B1 (ko) * 2015-06-19 2016-12-16 농업회사법인인투 주식회사 초피나무 성분을 이용한 소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2308B1 (ko) * 2019-11-11 2020-02-27 유상훈 돼지고기 찌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83A (ko) * 2008-08-22 2010-03-04 김종현 어류의 비린내 제거 방법
KR100959559B1 (ko) * 2009-11-27 2010-05-27 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어 분말이 함유된 추어 카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2175A (ko) * 2011-12-02 2013-06-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저 알코올 요리용 맛술 조성물 및 그의 대량 제조 방법
KR101748131B1 (ko) 2015-09-22 2017-06-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삼채 및 재거리를 포함하는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0879A (ko) * 2015-11-02 2017-05-11 천정권 청결쌀겨 생산및 그 쌀겨를 이용하는 식재료
KR101775634B1 (ko) * 2016-01-27 2017-09-07 (주)지앤에프 대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대파 추출물 함유 조미 소재의 제조방법
KR102152037B1 (ko) * 2020-02-06 2020-09-04 여경옥 개선된 고등어 비린내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42B1 (ko) * 2015-06-19 2016-12-16 농업회사법인인투 주식회사 초피나무 성분을 이용한 소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2308B1 (ko) * 2019-11-11 2020-02-27 유상훈 돼지고기 찌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쌀드물-쌀뜨물발효액 활용'(2014.03.13.), https://blog.naver.com/PostPrint.naver?blogId=570306lms&logNo=802091396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915A (ko) 2022-05-09
WO2022092426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095B1 (ko) 흑울금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흑울금의 추출액과 분말
CN113243514B (zh) 大蒜预处理物及提取物、调味品、它们的制备方法及应用
CN104522809A (zh) 人参、枸杞复合保健饮料及制备方法
CN103232915A (zh) 一种含四叶参的茶米酒及其制备方法
CN106566762A (zh) 一种茶酒酿制工艺
CN112189728A (zh) 一种柑胎小青柑茶的制备方法
JP7341275B2 (ja) 紅参加水分解濃縮液の特定成分強化生産工程
CN104855899A (zh) 麦茶香萝卜泡菜
KR101222394B1 (ko) 솔잎첨가 발효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4046546A (zh) 花椒酒的制备方法
KR102109733B1 (ko) 돼지머리 편육 제조방법
KR102573262B1 (ko) 쌀뜨물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8913B1 (ko)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갈비탕
CN106665998A (zh) 一种单叶杜仲绿茶的制备方法
CN102391928A (zh) 一种桃花酒及其制备方法
KR101702812B1 (ko) 흑마늘 식혜의 제조방법
CN106551033B (zh) 一种茎瘤芥风味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19071A (zh) 一种桑叶茶的制备方法
CN107865328B (zh) 一种客家梅菜风味广式腊肉的生产方法
CN111149958A (zh) 一种复合苦笋汁的制备方法
KR20160063452A (ko) 하수오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
CN111000094A (zh) 一种牛蒡虫草花复合保健饮料的制备方法
KR20190127506A (ko) 발효과실주 및 발효과실주의 제조방법
KR20050054646A (ko) 한방숙성 고기양념액의 제조방법
CN104055137A (zh) 一种剁椒开胃板鸭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