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901B1 -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901B1
KR102568901B1 KR1020210010782A KR20210010782A KR102568901B1 KR 102568901 B1 KR102568901 B1 KR 102568901B1 KR 1020210010782 A KR1020210010782 A KR 1020210010782A KR 20210010782 A KR20210010782 A KR 20210010782A KR 102568901 B1 KR102568901 B1 KR 10256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llagen
weight
part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747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부산세광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산세광식품 filed Critical (주)부산세광식품
Priority to KR102021001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에 함유된 콜라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분자로 이루어진 어류 유래의 피쉬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인체 흡수율이 높고 콜라겐의 효능을 재대로 발휘할 수 있으며, 맛과 식감 등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Fish cake containing fish collage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에 함유된 콜라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분자로 이루어진 어류 유래의 피쉬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인체 흡수율이 높고 콜라겐의 효능을 재대로 발휘할 수 있으며, 맛과 식감 등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묵은 어육 내지 연육을 소금과 함께 갈아 고기갈이 하여 고기 풀을 만든 후에 전분, 조미료 등과 같은 부재료를 혼합하여 적당한 모양으로 성형한 후 가열, 냉각시켜 탄력을 지닌 겔(gel) 상태로 만든 가공제품이다.
어묵은 다른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대중적인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어묵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여 여러 형태의 조리에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깻잎, 우엉, 호박, 떡 등을 어묵반죽에 첨가하여 제조한 수제어묵과, 어묵을 외피로 하여 내부에 카레, 감자, 치즈 등을 넣어 만든 어묵 고로케와 같은 베이커리형 어묵을 통한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시도함으로써, 주부 층은 물론 젊은 층의 입맛을 공략해 간식을 넘어 식사대용으로까지 자리를 잡고 있다.
또한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밀가루와 합성첨가물을 넣지 않고 만든 프리미엄 어묵 시장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어묵은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맛, 형태 등을 변화시킨 맞춤형 전략으로 어묵의 소비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어묵 제조 기술에 관한 연구는 그 발전이 미진한 상태에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8311호에서는 (a) 식용 가능한 어패류를 사용하여 연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연육,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 곡물 분말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마련된 반죽을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가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각각 (b1) 죽순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에서 마련된 죽순 분말에서 증류수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층액에서 제1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b3) 상기 단계 (b2)에서 추출된 제1 수용성 식이섬유를 제외한 펠렛형 제1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b4) 상기 단계 (b3)에서 추출된 펠렛형 제1 불용성 식이섬유에 3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25℃에서 2시간 두고, 다시 상층액에서 제2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b5) 상기 단계 (b4)에서 추출된 제2 수용성 식이섬유를 제외한 펠렛형 제2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단계 (b)에서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제1 수용성 식이섬유 및 제2 수용성 식이섬유이고,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2 불용성 식이섬유이며,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연육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콜라겐(collagen)은 경단백질로 무척추, 척추동물 등의 다세포동물에 널리 분포하며 양적으로도 가장 많이 발견되며, 프롤린, 옥시 프롤린, 글리신, 글루타민산등으로 구성된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천여 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가늘고 긴 띠의 형상을 지닌 단백질이다.
포유류에서는 전체 단백질의 약 1/4을 차지하며 뼈와 피부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 된 단백질로서 특히, 사람의 몸에서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 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고, 특히 피부 속 진피 층의 구성 성분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고분자인 그 자체로서도 사용되나 최근에는 저분자화된 콜라겐 펩티드가 다양한 식품,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콜라겐 펩티드 제조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나 젤라틴 또는 콜라겐을 제조할 때, 소 혹은 유사 반추 동물의 뼈나 껍질을 사용하여 기능성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용 원료를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발병을 계기로 한국식품안전청, 유럽 식품안정청, 미국 식품안정청 및 일본 후생성 등에서는 광우병 발병 위험이 큰 나라로부터 해당 원료를 수입하거나 반입 또는 사용을 금지하게 되었다.
또한, 돼지나 닭과 같은 가축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도 돼지 콜레라(Swine fever)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Pathogenic avian influenza) 등의 발병으로 인하여 점차 그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광우병, 돼지콜레라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천연의 해양성 생물이나 식물 유래의 콜라겐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에 대한 관련기술의 개발 또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어류의 비늘이나 껍질이나 비늘에서의 콜라겐 펩티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어류 비늘이나 껍질로부터 유래한 콜라겐이나 그 가수분해물들은 우피와 돈피로부터 유래한 콜라겐에 비하여 특유의 냄새, 색깔 등 때문에 식품, 화장품 또는 의약품 소재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 있어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시급하다.
그리고 돼지껍데기와 닭발에 콜라겐이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음식 콜라겐은 분자량 자체가 너무 커서 흡수되기가 힘들다. 따라서 콜라겐에서 가장 중요한건 분자 크기에 따른 흡수율인데, 같은 양의 콜라겐을 먹어도 흡수율에서 10배에서 수백 배의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분자량이 가장 작은 것을 골라야 한다.
시중에 나온 제품들을 보면 피쉬콜라겐의 체내 흡수율은 약 82%, 동물콜라겐 약 2%로 약 40배 정도 차이가 난다. 펩타이드화 되지 않은 콜라겐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콜라겐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쉽지 않으며, 반대로 펩타이드 콜라겐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기 어려우며, 콜라겐으로 흡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콜라겐은 체내에서 만들 수 있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점 만들어지는 양이 감소하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20대 때부터 줄어들기 시작해서 30대에는 10대 절반 이하가 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콜라겐이 부족하면 주름이나 피부 탄력이 떨어지는 등 피부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면역력 약화는 물론 골절이 되기도 쉬워지는 등 건강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피부 처짐 등의 피부 쇠퇴의 원인이 되고, 혈관 기능 저하되며, 연골과 뼈가 약해지고 관절통의 원인이 되고, 면역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06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436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육류에 함유된 콜라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분자로 이루어진 어류 유래의 피쉬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인체 흡수율이 높고 콜라겐의 효능을 재대로 발휘할 수 있으며, 맛과 식감 등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은 연육을 마련하는 단계와; 피쉬 콜라겐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검은콩 발효물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연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쉬 콜라겐 5~20중량부와, 상기 검은콩 발효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육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배합육을 성형하여 어묵 성형체를 마련한 다음 가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있어서, 피쉬 콜라겐 분말은 생선비늘을 효소 분해한 다음, 여과, 정제 및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있어서, 피쉬 콜라겐 분말은 생선 껍질을 흑초에 함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을 포함하는 피쉬 콜라겐 원료를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끓인 생선 껍질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있어서, 피쉬 콜라겐 원료는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 100중량부와, 아로니아 열매 1~10중량부와, 복령 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있어서, 검은콩 발효물은 검은콩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태에서 분쇄한 다음, 흑효모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의하면, 육류에 함유된 콜라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분자로 이루어진 어류 유래의 피쉬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인체 흡수율이 높고 콜라겐의 효능을 재대로 발휘할 수 있으며, 맛과 식감 등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은 크게 연육을 마련하는 S1단계와, 피쉬 콜라겐 분말을 마련하는 S2단계와, 검은콩 발효물을 마련하는 S3단계와, 상기 연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쉬 콜라겐 5~20중량부와, 상기 검은콩 발효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육을 마련하는 S4단계와, 상기 배합육을 성형하여 어묵 성형체를 마련한 다음 가열 처리하는 S5단계와, 상기 가열 처리된 어묵 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단계는 식용 가능한 어패류를 사용하여 연육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냉동 연육을 15~20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해동된 연육에 식염을 투입하여 염용성 단백질을 용출시킨다.
상기 S2단계는 피쉬 콜라겐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쉬 콜라겐 분말은 생선비늘을 효소 분해한 다음, 여과, 정제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생선 껍질을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생선 콜라겐 분말은 분자량이 1,000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콜라겐이기 때문에 인체 흡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후자의 생선 콜라겐 분말은 생선 껍질을 흑초에 함침하여 전처리하는 S2-1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을 포함하는 피쉬 콜라겐 원료를 물에 넣고 끓이는 S2-2단계와, 끓인 생선 껍질을 분쇄하는 S2-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S2-1단계의 생선 껍질은 연어 껍질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초는 현미, 수수 등 여러 곡물을 발효시켜서 만들고 향이 좋다하여 예로부터 향초(香醋)로도 불리워지며, 오랜 숙성 기간을 거쳐 흑초는 다양한 아미노산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숙성되는데, 혈액의 점도를 낮춰 고지혈증과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피로회복과 혈액 균형을 맞춘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지방 제거에 흑초가 좋다고 알려져 다이어트에 애용되었고,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병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흑초는 피쉬 콜라겐의 비린 맛과 냄새를 없애주는 역할과, 생선 껍질의 조직을 연화시켜 인체에 흡수하기 좋은 저분자 콜라겐 형성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초는 산도 4.5%의 흑초와 물을 1 : 2~5의 중량비로 희석하며, 함침시간은 1~3시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함침이 완료되면 생선 껍질을 꺼내서 물로 세척한다.
상기 S2-2단계는 전처리된 생선 껍질을 포함하는 피쉬 콜라겐 원료를 물에 넣고 1~3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로서, 여기서 피쉬 콜라겐 원료는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 100중량부와, 아로니아 열매 1~10중량부와, 복령 5~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블랙 초크베리로 알려져 있으며 페놀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 당뇨예방 및 간 보호기능을 하는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선 껍질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풍미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아로니아 열매는 아로니아 열매를 소금에 1~2일 동안 절인 다음 세척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떫은 맛을 없애주기 때문이다.
상기 복령은 동의보감에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고[甘] 폐경, 비경, 심경, 방광경에 작용. 소변을 잘 보게 하고 비를 보하며 담을 삭이고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를 통해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생선 껍질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풍미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S2-3단계에서는 끓인 생선 껍질을 냉동 건조한 다음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S3단계는 검은콩 발효물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검은콩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태에서 분쇄한 다음, 흑효모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검은콩 발효물은 고소한 맛과 영양성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검은콩은 신장을 강화시키고, 해독력이 뛰어나 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며, 파괴된 인체 조직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주고, 비타민E와 불포화지방산이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검은콩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비만 체질을 개선하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피부 미용과 노화 방지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S4단계는 연육과, 소맥분과, 전분과, 피쉬 콜라겐과, 검은콩 발효물과 첨가제 등을 혼합한 배합육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합육은 상기 연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밀가루 10~30중량부와, 전분 10~30중량부와, 상기 피쉬 콜라겐 5~20중량부와, 상기 검은콩 발효물 1~10중량부와, 식염, 설탕, 대두유, D-소르비톨,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적어도 1종이 선택되는 첨가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5단계는 상기 배합육을 성형하여 어묵 성형체를 마련한 다음 가열 처리하는 것으로서, 가열 처리는 110~180℃의 기름을 이용할 수 있다.
기름으로 가열 처리된 어묵 성형체는 탈유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기름을 제거한 다음, 다단식 냉각기 등을 이용하여 10℃ 이하가 되도록 냉각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1. 냉동 연육을 해동한 다음 식염을 투입하여 염용성 단백질을 용출시킨 연육을 마련한다.
2. 연어 껍질을 산도 4.5%의 흑초와 물을 1 : 5의 중량비로 희석한 흑초 수용액에 2시간 동안 함침하여 전처리한 다음 물로 세척한다.
3. 전처리된 생선 껍질 100중량부와, 1일 동안 소금에 절인 아로니아 열매 5중량부와, 복령 5중량부를 물에 넣고 2시간 동안 끓인 다음, 냉동 건조 및 분쇄하여 피쉬 콜라겐 분말을 마련한다.
4. 검은콩을 물에 2일 동안 담궈서 불린 상태에서 습식 분쇄한 다음, 습식 분쇄된 검은콩 100중량부에 설탕 50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흑효모(A. pullulans) 균주를 접종하고 7일 동안 발효하여 검은콩 발효물을 마련한다.
5. 다음으로, 연육 100중량부와, 밀가루 15중량부와, 전분 15중량부와, 피쉬 콜라겐 10중량부와, 검은콩 발효물 5중량부와, 식염 1중량부, 설탕 3중량부, D-소르비톨 0.1중량부, L-글루타민산나트륨 0.05중량부를 혼합한 배합육을 마련하고, 3 ℃의 온도에서 1일 동안 저온 숙성한다.
그 다음 숙성된 배합육을 소정 크기로 성형한 다음 120℃의 기름에 튀기고, 탈유하여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피쉬 콜라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연어 껍질을 전처리하지 않고, 아로니아 열매 및 복령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에 끓여서 제조한 피쉬 콜라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검은콩 발효물 대신 대두단백 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어묵의 맛 내지 풍미, 식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의로 선정된 100명의 패널로 하여금 각 어묵을 각각 시식하도록 하고, 7점 평점법(7점에 가까울수록 '아주 좋다' 1점에 가까울수록 '아주 나쁘다')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 값을 평균 값으로 하여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맛 내지 풍미 6.3 6.0 4.1 5.9
식감 6.5 5.8 5.7 6.3
종합 기호도 6.4 5.9 4.5 6.1
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어묵은 비교예 1 내지 3의 어묵에 비해 특히 맛, 식감 및 종합 기호도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본 발명의 피쉬 콜라겐을 넣은 것이 피쉬 콜라겐을 생략한 비교예 1에 비해 맛, 식감 및 종합 기호도에서도 더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는데, 특히 식감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비교예 2의 경우 연어 껍질을 전처리하는 과정과 끓일때 아로니아 열매와 복령을 넣지 않고 제조한 피쉬 콜라겐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비린 맛으로 인해 맛과 풍미에 대해 최저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 3에서는 검은콩 발효물을 넣지 않았는데, 실시예 1과 대비할 때 맛이나 식감 등에서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식감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합적인 기호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연육을 마련하는 단계와;
    피쉬 콜라겐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검은콩 발효물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연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쉬 콜라겐 5~20중량부와, 상기 검은콩 발효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육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배합육을 성형하여 어묵 성형체를 마련한 다음 가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쉬 콜라겐 분말은 생선비늘을 효소 분해한 다음, 여과, 정제 및 건조한 것이고,
    상기 피쉬 콜라겐 분말은,
    생선 껍질을 흑초에 함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을 포함하는 피쉬 콜라겐 원료를 물에 넣고 끓이는 단계와;
    끓인 생선 껍질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전처리된 생선 껍질 100중량부와, 아로니아 열매 1~10중량부와, 복령 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발효물은,
    검은콩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태에서 분쇄한 다음, 흑효모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KR1020210010782A 2021-01-26 2021-01-26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10256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82A KR102568901B1 (ko) 2021-01-26 2021-01-26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82A KR102568901B1 (ko) 2021-01-26 2021-01-26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47A KR20220107747A (ko) 2022-08-02
KR102568901B1 true KR102568901B1 (ko) 2023-08-21

Family

ID=8284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82A KR102568901B1 (ko) 2021-01-26 2021-01-26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014A (ja) * 2000-09-18 2002-03-26 Shiga Yoko 魚肉練り製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338B1 (ko) * 2008-07-07 2011-10-07 샘표식품 주식회사 해양 생물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펩타이드
KR20200018181A (ko) 2018-08-10 2020-02-19 박규완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4369B1 (ko) 2020-05-19 2021-01-19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이취와 점도가 개선된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014A (ja) * 2000-09-18 2002-03-26 Shiga Yoko 魚肉練り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47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635B1 (ko) 도토리를 포함한 식물성고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8782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27224B1 (ko) 치킨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치킨의 제조방법
Fan et al. Conventional use and sustainable valorization of spent egg-laying hens as functional foods and biomaterials: A review
KR101946892B1 (ko) 돼지머리 시즈닝 분말
KR102213217B1 (ko) 도토리 분말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101247559B1 (ko) 오리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리육포
KR102034101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KR101482857B1 (ko) 콜라겐 및 콘드로이친 편육으로 형성된 국수면의 고명 제조방법
KR102104208B1 (ko) 돼지머리 육가공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8901B1 (ko) 피쉬 콜라겐이 함유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101848880B1 (ko) 흑우버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우버거 스테이크
KR20110048905A (ko) 마 감자탕의 제조방법
KR102449003B1 (ko) 한우 비선호육 활용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 제품
KR101914976B1 (ko) 내장탕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장탕
KR102035272B1 (ko) 식용곤충 고형식품 제조방법
KR101264966B1 (ko) 돈피 콜라겐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790706B1 (ko) 돼지족발 미역국 제조방법 및 돼지족발 미역국
KR20130137577A (ko) 고추장 소스를 이용한 반건어물 구이
KR101642106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육수 제조방법
KR100899307B1 (ko) 버거용 양고기 패티의 제조방법
KR101801156B1 (ko) 장어 살과 뼈를 포함한 쿠키조성물, 이를 이용한 쿠키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066B1 (ko) 오리갈비의 제조방법
KR102439029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습식분쇄물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가된 소시지의 조성물
KR102612055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쿠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