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040B1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040B1
KR102561040B1 KR1020180087967A KR20180087967A KR102561040B1 KR 102561040 B1 KR102561040 B1 KR 102561040B1 KR 1020180087967 A KR1020180087967 A KR 1020180087967A KR 20180087967 A KR20180087967 A KR 20180087967A KR 102561040 B1 KR102561040 B1 KR 10256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horizontal support
ribs
upper horizont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545A (ko
Inventor
박성욱
민옥렬
소원섭
조용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0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캐리어의 상부지지구조물 코너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무게는 줄인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최소한의 리브 구성을 통해 상측 수평지지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 코너부의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캐리어의 강성을 확보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불필요한 재료 투입량을 줄여 캐리어의 무게를 저감하고, 후드 래치 리텐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캐리어의 강성을 확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Carrier of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캐리어의 상부지지구조물 코너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무게는 줄인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한 집합체를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및 팬 슈라우드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는 범퍼빔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도 1에는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C)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C)의 상측 수평지지부(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리어(C)는 상측 수평지지부(10)와 상측 수평지지부(10)의 아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20)와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 20)를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수직지지부(30, 4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 패널(50)과 전면 패널(5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을 위한 서포트 패널(60)과, 수직지지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범퍼빔 장착을 위한 범퍼빔 스테이(70)로 이루어진다.
특히, 캐리어(C) 상부의 상측 수평지지부(10)의 강성은 후드 래치 리텐션 강성 확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측 수평지지부(10)의 내측에는 강성이 보강되도록 리브(11)를 배치하게 되고, 종래의 상측 수평지지부(10)의 리브 구조는 크로스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형태의 리브(11)가 반복적으로 일괄 적용된 경우, 하중 전달 루트가 적절하기 않아 후드 래치 리텐션 강성 확보 불가 하며, 캐리어(C)의 상측 수평지지부(10)와 수직지지부(30, 40)의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즉,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 중앙에 고 하중이 인가되면, 코너부에서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드 래치 리텐션 강성 확보를 위한 리브를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코너부에 추가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측 수평지지부(10)를 구성하는 재료, 일예로 플라스틱 투입량 과다로 인하여 원가 및 중량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5942호(2015.07.1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최소한의 리브 구성을 통해 상측 수평지지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 코너부의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캐리어의 강성을 확보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전면 패널(5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에는, 상단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R)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되, 상기 리브(R)는,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쇄시키는 제1 리브(R1); 및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제2 리브(R2);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차량 폭 방향 단부에 하방으로 꺾인 구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코너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R2)는, 상기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코너부(120)의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연장되는 구조가 반복되되, 이웃하는 제2 리브(R2)와의 상측 이격 거리가 하측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1 리브(1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리브(R1)는,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측 중앙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갈수록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 리브(112); 및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제1-2 리브(112)와 이웃하여 형성되며, "X"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1-1 리브(111);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리브(R2)는, 상기 제2-1 리브(12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2-1 리브(121)를 가로지르는, 제2-2 리브(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 리브(122)는, 상기 제2-1 리브(121) 중 상기 몸체(110)에 최대 근접 배치되는 제2-1a 리브(121a)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몸체(110)에 최대 이격 배치되는 제2-1d 리브(121d)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 리브(122)는, 직선형 또는 상기 코너부(120)에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리브(112)는, 복수 개가 반복 형성되되, 상기 제1-2 리브(112)의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1-2 리브(112)의 상단은 상단면의 중심에 근접 또는 맞닿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리브(112)는, 복수 개가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되, 복수의 제1-2 리브(112)의 하단은 이격 배치되고, 상단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1 리브(111)는, 복수 개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되, 차량 폭 방향 너비가 상기 코너부(120)에 근접할수록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1 리브(111)는, "X" 자형 중심이 상기 코너부(120) 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리브(R1)는, 상기 제1-1 리브(111)와 제1-2 리브(112) 사이 및 상기 제1-1 리브(111)와, 제2 리브(R2) 사이에, 하단면과 상단면에 수직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3 리브(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리브(R1)는, 차량 후방 측의 상하 길이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방으로 함몰된 살빼기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중앙에, 후드를 고정 시키는 후드 래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최소한의 리브 구성을 통해 상측 수평지지부의 코너부의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재료 투입량을 줄여 캐리어의 무게를 저감하고, 후드 래치 리텐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캐리어의 강성을 확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몸체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후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몸체 중앙 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코너부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의 코너부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리브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1000)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000)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아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 패널(500)과, 헤드램프의 장착을 위해 전면 패널(50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서포트 패널(600)과, 범퍼빔 장착을 위해 수직지지부(300, 40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범퍼빔 스테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1000)는 무게를 줄이면서도 후드 래치 리텐션 시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차량 폭 방향 양측 코너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1000)의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1000)의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1000)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코너부(120)에 방사형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중앙에서 발생된 하중으로 인한 응력이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플라스틱 투입량을 축소하고, 후드 래치 리텐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차량의 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하되, 리브(R)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몸체(110)와, 몸체(110)의 차량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한 쌍의 코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차량 폭 방향 중앙에는 후드 래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리브(R)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연결 및 지지하여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리브(R)는 몸체(110)상에 구비된 제1 리브(R1)와, 코너부(120)상에 구비된 제2 리브(R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R1)는 복수 개가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몸체(110) 상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리브(R2)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에 구성된 코너부(120) 상에 형성되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제1 및 제2 리브(R1, R2)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몸체(110) 중앙 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몸체(1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몸체(110)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마련되는 중앙 부분을 말한다. 몸체(110)는 차량의 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에 구비되는 제1 리브(R1)는, 몸체(110)의 하단면과 상단면을 연결하는 제1-1 리브(111), 제1-2 리브(112) 및 제1-3 리브(113)와 같이 세 가지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1 리브(111)는 한 쌍의 리브가 서로 크로스되어 단면이 "X"자 형태로 마련되며, 몸체(110)의 하단면과 상단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1 리브(111)는 몸체(11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각각 제1-1a 리브(111a), 제1-1b 리브(111b), 제1-1c 리브(111c) 및 제1-1d 리브(111d)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1 리브(111)가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4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가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1 리브(111)의 차량 폭 방향 길이는, 코너부(120)에 가까울수록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1a 리브(111a)의 차량 폭 방향 길이가 가장 길고, 제1-1d 리브(111d)의 차량 폭 방향 길이가 가장 짧도록 구성된다. 이는 몸체(110)의 중앙에서 발생된 응력이 제1-1 리브(111)를 통해 감쇄하도록 하되 제1-1d 리브(111d)로 갈수록 감쇄 효율을 증가시켜 제1-1a 리브(111a)의 초기 감쇄력 증가로 인한 몸체(110)의 변형이나 파손을 예방하면서도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1-1 리브(111)는, "X" 자형 중심이 코너부(120) 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몸체(110) 단부 측으로 제1-1 리브(111)의 무게 중심이 치우치도록 구성하여 몸체(110)의 단부로 갈수록 감쇄 성능을 점점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1 리브(111)는 몸체(110) 전체에 반복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120) 측에 인접한 양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1 리브(111)가 코너부(120) 측에 인접한 양측에만 배치되는 경우,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 제1-1 리브(111) 사이의 중심 영역에는 제1-2 리브(112)가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2 리브(112)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하단이 서로 거리를 두고 마련되나, 상단이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단면의 중심에 모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리브(112)는 몸체(110)의 중앙에서 양측에 각각 제1-2a 리브(112a)와, 제1-2b 리브(112b)가 마련되며, 제1-2a 리브(112a)와 제1-2b 리브(112b)의 상단은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단면 중심에 모여 결합되고, 하단은 각 제1-2a 리브(112a)와, 제1-2b 리브(112b)가 서로 거리를 두고 마련된다. 또한, 제1-2 리브(112)는 하방으로 갈수록 몸체(110)의 단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a 리브(112a)가 몸체의 중앙측에 배치된 경우 제1-2a 리브(112a)의 경사각은 제1-2b 리브(112b)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제1-2b 리브(112b)의 하단은, 후술하는 제1-3 리브(113)의 하단과 만나게 된다.
도면상에는 제1-2 리브(112)가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가감 형성될 수 있다.
제1-2 리브(112)는 몸체(110)의 중앙 특히 중앙 상측에서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응력을 감쇄시킴은 물론 상기 중앙 응력이 몸체(110)의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10)의 양단부로 분리 전달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3 리브(113)는 제1-1 리브(111)의 차량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리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1-3 리브(113) 중 차량 중앙측에 배치되는 제1-3a 리브(113a)는 수평한 구조의 몸체(110)의 하단면과 상단면에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2b 리브(112b)의 하단과 제1-1a 리브(111a)의 하단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수직하여 몸체(110)의 상단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수직 리브(113) 중 몸체(110)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3b 리브(113b)는 몸체(11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1d 리브(111d)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3b 리브(113b)는 수평한 구조의 몸체(110)의 하단면과 상단면에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코너부(120)에 가장 근접 위치하는 제1-1d 리브(111d)와 상측 수평지지부(110)의 하단면이 결합하는 지점에서 수직하여 상단면까지 연장되는 구조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코너부(120)의 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코너부(12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120)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코너부(120)는 몸체(11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코너부(120)의 끝단이 차량용 캐리어(1000)의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코너부(120)는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하고, 꺾인 구조가 되도록, 하단면이 완만히 굴곡 되도록 마련되고, 상단면은 수직 절곡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코너부(120)상에는 제2 리브(R2)가 구비된다. 코너부(120)에 구비되는 제2 리브(R2)는, 코너부(120)의 하단면과 상단면을 연결하는 제2-1 리브(121) 및 제2-2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리브(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120)의 굴곡진 하단면의 접선에 수직하여 상단면까지 연장되는 구조의 리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중앙에는 후드 래치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드를 열고 닫는 리텐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그 응력이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중앙에 전달되고, 제1 리브(R1)를 통해 일정부분 감쇄된 후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 사이 연결부에서 응력은 서서히 제거된다. 따라서 응력 집중부 즉, 캐리어의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의 연결부인 코너부(120)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단면에 수직하여 연장되는 리브가 반복되는 제2-1 리브(121)를 적용하되, 제2-1 리브(121)는 응력의 분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너부(120) 상에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1 리브(121)는 이웃하는 제2-1 리브와의 하단 이격거리가 상단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제2-1 리브(121)는 크로스 구조를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응력의 분산 효과가 크기 때문에 강성 확보가 보다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크로스형 리브(11) 구조가 일괄 적용된 종래의 상측 수평지지부(10)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1 리브(121)가 적용된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강성을 비교하면, 플라스틱 중량이 916g에서 792.7g으로 13.5% 감소하게 되며, 변형량이 27.45mm에서 23.03mm으로 16.1%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VMS(von Mises stress) 응력이 122.19MPa에서 121.95MPa로 0.2% 감소하게 된다.
제2-2 리브(122)는 코너부(120)의 하단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 제2-1 리브(121)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2 리브(122)를 통해 제2-1 리브(121)의 강성을 보강하여, 응력을 보다 분산시키고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2 리브(122)는 하나의 제2-1 리브(121)의 상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2-1 리브(121)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2 리브(122)는 몸체(110)에 가장 가까운 제2-1a 리브(121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11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제2-1d 리브(121d)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리브(122)는 위 한 쌍의 제2-1a 및 제2-1d 리브(121a, 121d) 사이에 위치하는 제2-1b 및 제2-1c 리브(121b, 121c)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2 리브(122)가 코너부(120)의 하단면과 평행한 경우의 예를 들었으나, 제2-1 리브(121)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제2-2 리브(125) 또는 다른 곡률의 정도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코너부(120)에 형성된 제2 리브(R2)의 구성을 통해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재료 투입량을 축소함에 따라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고, 후드 래치 리텐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캐리어(10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리브(R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추가적으로 제1 리브(R1)는 중량이 감소되도록, 차량 후방 측(R11)에는 차량 전방으로 움푹 패인 살빼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 후방 측(R11)이란,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개방된 방향의 차량 후방 측 끝단을 말한다. 즉 제1 리브(R1)는 차량 후방 측(R11) 상하 길이방향 중앙이 차량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 살빼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리브(R1)의 상단 또는 하단의 전후 너비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과 대응되는 너비로 마련되나, 상하 길이방향 중앙부는 차량 전방으로 함몰되어 상단 또는 하단의 전후 너비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리브(R2)에는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응력의 분산을 위한 핵심 구성이므로, 강성 확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살빼기부(115)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상측 수평지지부
200 : 하측 수평지지부
300 : 좌측 수직지지부
400 : 우측 수직지지부
110 : 중앙부 120 : 코너부
R : 리브 R1 : 제1 리브
R2 : 제2 리브
111 : 제1-1 리브 112 : 제1-2 리브
113 : 제1-3 리브
115 : 살빼기부
121 : 제2-1 리 브 122 : 제2-2 리브

Claims (13)

  1.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전면 패널(5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에는,
    상단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R)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되,
    상기 리브(R)는,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쇄시키는 제1 리브(R1); 및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제2 리브(R2)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차량 폭 방향 단부에 하방으로 꺾인 구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코너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R2)는,
    상기 코너부(120)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코너부(120)의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제2 리브(R2)와의 상측 이격 거리가 하측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1 리브(121); 및
    상기 제2-1 리브(121) 중 상기 몸체(110)에 최대 근접 배치되는 제2-1a 리브(121a)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몸체(110)에 최대 이격 배치되는 제2-1d 리브(121d)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2 리브(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리브(122)는, 상기 제2-1a 리브(121a)와 제2-1d 리브(121d)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1 리브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차량용 캐리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R1)는,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상측 중앙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갈수록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 리브(112); 및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양단부로 전달되는 응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제1-2 리브(112)와 이웃하여 형성되며, "X"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1-1 리브(111);
    를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리브(122)는,
    직선형 또는 상기 코너부(120)에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리브(112)는,
    복수 개가 반복 형성되되, 상기 제1-2 리브(112)의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1-2 리브(112)의 상단은 상단면의 중심에 근접 또는 맞닿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리브(112)는,
    복수 개가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되, 복수의 제1-2 리브(112)의 하단은 이격 배치되고, 상단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리브(111)는,
    복수 개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되, 차량 폭 방향 너비가 상기 코너부(120)에 근접할수록 좁게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리브(111)는,
    "X" 자형 중심이 상기 코너부(120) 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R1)는,
    상기 제1-1 리브(111)와 제1-2 리브(112) 사이 및 상기 제1-1 리브(111)와, 제2 리브(R2) 사이에, 하단면과 상단면에 수직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3 리브(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R1)는,
    차량 후방 측의 상하 길이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방으로 함몰된 살빼기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는,
    중앙에, 후드를 고정 시키는 후드 래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KR1020180087967A 2018-07-27 2018-07-27 차량용 캐리어 KR10256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67A KR102561040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67A KR102561040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45A KR20200012545A (ko) 2020-02-05
KR102561040B1 true KR102561040B1 (ko) 2023-07-31

Family

ID=6951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967A KR102561040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0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578A (ja) * 2002-05-04 2005-08-18 ベ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横支持体
US20100244487A1 (en) * 2009-03-26 2010-09-30 Faurecia Bloc Avant Motor vehicle front-end panel comprising a structural frame and a bumper
KR101371167B1 (ko) * 2008-01-22 2014-03-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보강 부재를 구비한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942B1 (ko) 2008-09-18 2015-07-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20160058303A (ko) * 2014-11-14 2016-05-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커플러 및 그의 보강리브 설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578A (ja) * 2002-05-04 2005-08-18 ベ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横支持体
KR101371167B1 (ko) * 2008-01-22 2014-03-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보강 부재를 구비한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
US20100244487A1 (en) * 2009-03-26 2010-09-30 Faurecia Bloc Avant Motor vehicle front-end panel comprising a structural frame and a bu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45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1169B (zh) 汽车电池安装结构
US10351178B2 (en) Dash panel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le
US20030184124A1 (en) Front vehicle frame structure
KR101090805B1 (ko) 차량용 리어 휠 하우징 보강유닛
GB2318552A (en) Motor vehicle structural member
KR102561040B1 (ko) 차량용 캐리어
KR102359711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장치
CN107709142B (zh) 上部回转体
US9539872B2 (en) Mounting unit of shock absorber for vehicle
CN103153672B (zh) 车辆用燃料箱
CN215204343U (zh) 减震塔以及车辆
CN204998331U (zh) 一种客车发动机悬置系统
JP5716361B2 (ja) エンジンルーム構造
US9493131B2 (en) Structure for front of vehicle body
CN102700616A (zh) 一种汽车车身后裙板
CN112614660B (zh) 车载移动式变压器散热器支架结构
KR101210153B1 (ko)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CN219096825U (zh) 车身前部结构及具有其的车辆
CN217945048U (zh) 搁物板总成和车辆
KR102347757B1 (ko) 화물 컨테이너용 방진장치
KR0131020B1 (ko) 자동차의 변속기를 고정시키는 구조
KR102400178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1272034B1 (ko) Fem캐리어의 보강구조
CN215051022U (zh) 一种高速剑杆织机及其机架结构
KR101910872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