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153B1 -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153B1
KR101210153B1 KR1020100104888A KR20100104888A KR101210153B1 KR 101210153 B1 KR101210153 B1 KR 101210153B1 KR 1020100104888 A KR1020100104888 A KR 1020100104888A KR 20100104888 A KR20100104888 A KR 20100104888A KR 101210153 B1 KR101210153 B1 KR 10121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vehicle
side member
cros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547A (ko
Inventor
박기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1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며, 서로 분리 제작된 제1 사이드 멤버 및 제2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의 각 일단을 모두 연결하며, 쇽 업쇼바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쇽 업쇼바의 입력점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멤버를 직선화할 수 있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SHOCK ABSORB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 업쇼바의 입력점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고객이 중요시 여기는 사항은 연비, 주행 안정성, 시스템 보호 등의 요소이다.
이에,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최대한 저중심으로 설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서스펜션 마운팅부의 입력점의 강성이 향상되어야 하며, 시스템 보호를 위해서는 충돌 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종래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 멤버(110)와, 사이드 멤버(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크로스 멤버(130)로 구성되고, 이 때, 쇽 업쇼바(S')는 사이드 멤버(110)의 일측에 결합된 마운팅 브라켓(145)에 장착된다.
쇽 업쇼바(S')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마운팅 브라켓(145)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 너트(N')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145)에서 지지된다.
그런데, 종래 쇽 업쇼바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마운팅 브라켓(145)이 사이드 멤버(110)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쇽 업쇼바(S')를 장착하기 위해 사이드 멤버(110)가 직선화되지 못하고 내측으로 급격히 형상이 변화되어야만 하므로 충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쇼바의 입력점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멤버를 직선화할 수 있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에 따라, 차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며, 서로 분리 제작된 제1 사이드 멤버 및 제2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의 각 일단을 모두 연결하며, 쇽 업쇼바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사이드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크로스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쇽 업쇼바가 장착되기 위한 쇽 업쇼바 장착홈이 형성된 크로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크로스 멤버에는 수소 탱크가 직접 마운팅되기 위한 수소 탱크 마운팅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쇽 업쇼바는 리어 쇽 업쇼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쇽 업쇼바의 입력점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멤버를 직선화할 수 있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는 도 2의 X'-X'선 단면도, (b)는 도 2의 Y'-Y'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7의 (a)는 도 5의 X-X선 단면도, (b)는 도 2의 Y-Y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사이드 멤버(10) 및 제2 사이드 멤버(20)와, 차체의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크로스 멤버(30)와, 제1 사이드 멤버(10) 및 제2 사이드 멤버(20)와 크로스 멤버(30)의 각 일단을 모두 연결하며 쇽 업쇼바(S)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4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쇽 업쇼바(S)는 리어 쇽 업쇼바이나 프론트 쇽 업쇼바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사이드 멤버(10)와 제2 사이드 멤버(20)는 서로 분리 제작되고 연결 부재(4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사이드 멤버를 구성한다.
크로스 멤버(30)는 제1 사이드 멤버(10) 및 제2 사이드 멤버(20)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 때, 크로스 멤버(30)에는 연료 전지 차량이 경우 수소 탱크가 직접 마운팅되기 위한 수소 탱크 마운팅부(35)가 형성된 것이 좋다. 즉, 종래의 경우 수소 탱크는 크로스 멤버(130)의 외주면에 별도로 마련된 수소 탱크 브라켓(135, 도 1 참조)을 매개로 장착된 반면,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 멤버(30)에 마련된 수소 탱크 마운팅부(35)에 직접 마운팅된다. 이에, 종래의 수소 탱크 브라켓(135)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 부재(40)는 분리 제작된 제1 사이드 멤버(10)와 제2 사이드 멤버(2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제1 사이드 멤버(10) 및 제2 사이드 멤버(20)를 크로스 멤버(3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40)는 단면이 'T'자로 이루어지며, 제1 사이드 멤버(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연결부(41)와, 제2 사이드 멤버(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연결부(42)와, 크로스 멤버(30)의 일단이 삽입되는 크로스 연결부(43)로 구성된다.
제2 연결부(42)는 제1 연결부(41)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크로스 연결부(43)는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의 사이에서 크로스 멤버(30)를 향해 연장된다.
이 때, 크로스 연결부(43)에는 쇽 업쇼바(S)가 장착되기 위한 쇽 업쇼바 장착홈(45)이 형성되어 있어, 쇽 업쇼바(S)의 상단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쇼바 장착홈(45)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 너트(N)에 의해 쇽 업쇼바 장착홈(45)에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40)가 제1 사이드 멤버(10), 제2 사이드 멤버(20), 크로스 멤버(30)를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연결 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쇽 업쇼바(S)가 장착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145)이 외팔보 형태로 사이드 멤버의 일측에 설치되었던 종래와 달리 쇽 업쇼바(S)가 장착되기 위한 부분(쇽 업쇼바 장착홈(45))이 크로스 연결부(43)에 형성되어 쇽 업쇼바(S)로 입력되는 외부 에너지가 'T'자 모양의 연결 부재(40)로 분산되기 때문에 입력점 강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쇽 업쇼바(S)가 사이드 멤버의 일측에 장착되지 않고 연결 부재(40)의 크로스 연결부(43)에 장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측의 제1 사이드 멤버(10) 및 제2 사이드 멤버(20)의 형상이 급격이 내측으로 휘어질 필요가 없이(급격한 형상 변화가 불필요함) 직선화가 가능하므로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제1 사이드 멤버 20 : 제2 사이드 멤버
30 : 크로스 멤버 35 : 수소 탱크 마운팅부
40 : 연결 부재 41 : 제1 연결부
42 : 제2 연결부 43 : 크로스 연결부
45 : 쇽 업쇼바 장착홈

Claims (4)

  1. 차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며, 서로 분리 제작된 제1 사이드 멤버 및 제2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크로스 멤버의 각 일단을 모두 연결하며, 쇽 업쇼바가 장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사이드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크로스 멤버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쇽 업쇼바가 장착되기 위한 쇽 업쇼바 장착홈이 형성된 크로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에는 수소 탱크가 직접 마운팅되기 위한 수소 탱크 마운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쇽 업쇼바는 리어 쇽 업쇼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KR1020100104888A 2010-10-26 2010-10-26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KR10121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88A KR101210153B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88A KR101210153B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547A KR20120043547A (ko) 2012-05-04
KR101210153B1 true KR101210153B1 (ko) 2012-12-07

Family

ID=4626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888A KR101210153B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5088A (zh) * 2015-06-26 2017-01-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悬架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5088A (zh) * 2015-06-26 2017-01-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悬架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547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4503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6235622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9616737B2 (en) Link device for a motor vehicle cradle
CN106043458B (zh) 汽车的后部车身构造
KR100974554B1 (ko) 차량의 언더바디 프레임
JP2009190523A (ja) 車両の水素タンク搭載構造
US8616568B2 (en) Structure of vehicle subframe
KR20200054932A (ko) 봄베 고정 구조
US20140232146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rear spring seat
KR101210153B1 (ko) 차량의 쇽 업쇼바 장착 구조
CN204821019U (zh) 汽车扭转梁后桥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4709354B (zh) 车身加强结构
US10577021B2 (en) Vehicle sub-frame
EP3042835B1 (en) Motorcycle
JP201019525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102097145B1 (ko) 측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차량의 서스펜션 아암
CN107839423B (zh) 汽车悬架及汽车
KR101807135B1 (ko) 리어플로어 조립체
CN211032864U (zh) 轻型全地形车车架
CN205396350U (zh) 一种震动幅度小的三轮车
CN201863936U (zh) 摩托车前导流罩总成及其摩托车
CN210707626U (zh) 一种汽车前后围横梁
KR101294081B1 (ko)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CN101927806B (zh) 摩托车前导流罩支架及其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