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201B1 -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201B1
KR102558201B1 KR1020207003976A KR20207003976A KR102558201B1 KR 102558201 B1 KR102558201 B1 KR 102558201B1 KR 1020207003976 A KR1020207003976 A KR 1020207003976A KR 20207003976 A KR20207003976 A KR 20207003976A KR 102558201 B1 KR102558201 B1 KR 10255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latex composition
polyisopren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378A (ko
Inventor
코우헤이 사와다
히로마사 미야자키
노리히로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03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0Incorporating sulfur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08K5/31Guanid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10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7/00Use of natural rubber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9/00Use of rubber derived from conjugated diene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4Latex, emulsion or disp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은 하기의 (a)성분 및 (b)성분, (a)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b) 1-o-톨릴비구아니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라텍스 조성물은, 그 성형체의 인장 강도가 높고, 또한, 라텍스 조성물을 종래보다도 긴 기간 보관한 후에도,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Description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폴리이소프렌이 매체에 유화 분산한 고무 라텍스로서 알려져 있고, 각종 용도로 응용이 전개되고 있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예를 들면, 인공 젖꼭지, 풍선(벌룬), 장갑, 손가락 골무, 필름 등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빠뜨릴 수 없는 재료이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의 성형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성형체에 강도 및 탄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의 가황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를 가황하는 데 있어서는, 첨가제로서 가황제 외에, 가황 촉진제 및/또는 가황 촉진 조제 등의 첨가제도 이용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의 성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느 쪽도 통상은 소량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유황계 가황제, 산화아연 및 가황 촉진제를 포함하는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가황 촉진제인 디벤질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의 함유량을 소량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안전성이 우수하고, 성형체의 인장 강도도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9-209229호 공보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하여 성형체를 얻는 공정은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예를 들면, 조성물이 1일 정도 수송, 보관된 후에 실시된다. 성형체를 얻는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2주일 정도 조성물을 계속하여 사용하는 일이 있다. 즉, 라텍스 조성물은 제조하고나서 1일~2주일 정도 경과한 후에 가황하여 성형체를 얻는 일이 있다.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간 경과한 후에 가황하여 얻은 성형체의 인장 강도는 높지만, 해당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예를 들면, 8일간 이상) 경과한 후에 얻은 성형체는 1일간 경과한 후에 얻은 성형체에 비하여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로부터 1일보다도 긴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있어서도,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 라텍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텍스 조성물의 성형체 및 이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라텍스 조성물에 특정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항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한다.
항 1.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의 (a)성분 및 (b)성분: (a)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b) 1-o-톨릴비구아니드를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
항 2.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6질량부인 항 1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
항 3.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9질량부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
항 4.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총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1.5질량부인 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
항 5.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b)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3~100질량부인 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
항 6. 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물을 함유하는 성형체.
항 7. 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함으로써 성형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되는 라텍스 조성물은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로부터 1일보다도 긴 기간이 경과한 후에 성형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함유" 및 "포함하는"의 표현에 대해서는, "함유",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및 "만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은 하기의 (a)성분 및 (b)성분
(a)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b) 1-o-톨릴비구아니드
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을 "라텍스 조성물"로 표기한다.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이소프렌은 예를 들면, 이소프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이다.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는 이소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이 경우, 이소프렌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다. 이소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각종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널리 채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프렌이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공지의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본 발명의 라텍스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라텍스 조성물은 공지의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로 할 수 있다.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의 분산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이소프렌의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물을 분산매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프렌의 분산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는 한은, 분산매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이어도 좋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는 1종 단독으로도 좋고,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이어도 좋다.
폴리이소프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이어도 좋다. 폴리이소프렌이 입자 형상인 경우, 예를 들면, 구형상 입자, 타원 구형상 입자 외에, 불규칙하게 변형된 이형상(異形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프렌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0.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0㎛이다.
폴리이소프렌의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폴리이소프렌의 제조 방법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6-160365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2016-16036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성분은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이다. 이 (a)성분은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황 촉진제로서의 작용을 가진다.
(a)성분은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의 형태를 가진다. (a)성분은 그 밖의 형태이어도 좋다. (a)성분이 입자 형상인 경우에, 그 형상은 구형상, 타원 구형상, 불규칙하게 변형된 이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a)성분이 구형상인 경우에, 그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1~10㎛이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 중에 응집물이 발생하기 어려워서,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는 관점에서, (a)성분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75~3.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의 함유량은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6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4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는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진다. 또한,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성형체에 있어서도,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b)성분은 1-o-톨릴비구아니드이다. 이 (b)성분은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황 촉진제로서의 작용을 가진다.
(b)성분은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의 형태를 가진다. (b)성분은 그 밖의 형태이어도 좋다. (b)성분이 입자 형상인 경우에, 그 형상은 구형상, 타원 구형상, 불규칙하게 변형된 이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b)성분이 구형상인 경우에, 그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1~10㎛이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 중에 응집물이 발생하기 어려워서,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는 관점에서, (b)성분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75~3.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의 함유량은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9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9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는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진다. 또한,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성형체에 있어서도,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총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1.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1.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는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진다. 또한,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성형체에 있어서도,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특히,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총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1.5질량부(바람직하게는 1.1~1.3질량부)로서, (a)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6질량부(바람직하게는 0.3~0.4질량부), 또한 (b)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9질량부(바람직하게는 0.8~0.9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더욱 억제된다.
별도의 관점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b)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3~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3~5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b)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3~100질량부인 경우,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총 함유량은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1.5질량부(바람직하게는 1.1~1.3질량부)를 만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b)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3~100질량부인 경우, (a)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6질량부(바람직하게는 0.3~0.4질량부), 또한 (b)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9질량부(바람직하게는 0.8~0.9질량부)를 만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은 모두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텍스 조성물에서는 (a)성분 및 상기 (b)성분은 모두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분산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의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의 분산매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라텍스 조성물을 장기 보관한 후의 폴리이소프렌 입자의 분리 및 응집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는 관점에서, 라텍스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0~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텍스 조성물은 폴리이소프렌, (a)성분 및 (b)성분 이외에,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이소프렌 라텍스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가황제, 가황 촉진제, 가황 촉진 조제, 안정제,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가황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황계 가황제를 들 수 있다. 유황계 가황제로서는, 분말 유황, 승화 유황, 침강 유황, 콜로이드 유황, 표면 처리 유황 및 불용성 유황 등의 유황; 염화 유황, 이염화 유황, 모르폴린-디설피드, 알킬페놀-디설피드, N, N'-디티오-비스(헥사히드로-2H-아제피논-2), 함인 폴리설피드, 고분자 다황화물 및 2-(4'-모르폴리노디티오)벤조티아졸 등의 유황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황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유황계 가황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유황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드 유황이다.
가황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레인산칼륨 및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 등의 첨가제를 가황제와 함께 병용할 수도 있다. 첨가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황제의 사용량은 라텍스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성형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폴리이소프렌(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이다.
가황 촉진제는 상기 (a)성분 및 (b)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한은 공지의 가황 촉진제를 널리 채용할 수 있다.
가황 촉진 조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화아연 등, 공지의 가황 촉진 조제를 널리 채용할 수 있다. 가황 촉진 조제로서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 및 올레인산칼륨 등의 안정제가 포함되는 산화아연 분산액으로 할 수 있다.
가황 촉진 조제의 사용량은 라텍스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성형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폴리이소프렌(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질량부로 할 수 있다.
pH 조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지의 산 또는 알칼리를 들 수 있고, 라텍스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알칼리가 바람직하다. 알칼리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탄산수소염; 암모니아; 트리메틸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이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면, 라텍스 조성물의 pH가 7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으로 될 정도로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밀크 프로테인 및 그 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밀크 프로테인의 염은 카제인의 금속염이 예시된다. 카제인의 금속염에서의 금속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는 외에, 염으로 될 수 있는 금속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카제인의 금속염으로서, 카제인나트륨염, 카제인칼륨염, 카제인망간염, 카제인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안정제로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 활성제(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도 예시된다.
상기 안정제의 사용량은 라텍스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성형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폴리이소프렌(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7질량부로 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 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등, 공지의 산화 방지제를 널리 채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레인산칼륨 및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등의 첨가제를 산화 방지제와 함께 병용할 수도 있다.
산화 방지제의 사용량은 라텍스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성형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폴리이소프렌(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4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질량부로 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의 각 첨가제는 각각 1종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다른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라텍스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조제 방법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예를 들면, 볼밀, 니더, 디스퍼 등의 공지의 혼합기 또는 분산기를 이용하여 폴리이소프렌과,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제를 사전에 결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을 조제하는 데 있어서, 폴리이소프렌의 원료로서는 상기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을 조제하는 데 있어서,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은 분산액 또는 용액의 어느 쪽의 형태이어도 좋다.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이 분산액 또는 용액인 경우, 용매로서는 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이 분산액인 경우, 분산액 중에는 (a)성분 및 (b)성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레인산칼륨 및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등의 첨가제가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라텍스 조성물은 가황함으로써 가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형상의 형틀 내 등에서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을 실시함으로써 가황물을 포함하는 성형체가 얻어진다.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물을 함유하는 성형체는 상기 라텍스 조성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진다. 특히, 라텍스 조성물은 특정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고나서 1일보다도 긴 기간 경과한 후에 성형했다고 해도 얻어지는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라텍스 조성물의 보관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5℃의 환경 하에서 정치(靜置) 보관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의 보관 장소는 예를 들면, 어두운 곳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는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물을 성형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포함하고, 8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체는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물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함으로써 성형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기의 판 등을 응고제 용액에 침지하여 응고제를 부착시킨 후, 해당 도기의 판을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침지하고, 가열하는 응고 침지법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제 등의 평활한 형틀에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흘려넣고, 가열하는 유연법(流延法) 등을 들 수 있다.
응고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염화바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의 할로겐화 금속; 질산바륨, 질산칼슘 등의 질산염; 아세트산바륨,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아연 등 아세트산염;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응고제는 예를 들면,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응고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은 예를 들면, 100~140℃에서 실시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2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가황에 의해 성형체가 얻어진 후, 예를 들면, 적절한 방법으로 건조 등을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라텍스 조성물의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성형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성형체는 박막 형상, 기판 형상, 필름 형상, 막대 형상, 블록 형상, 섬유 형상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텍스 조성물 및 성형체는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인공 젖꼭지, 풍선(벌룬), 장갑, 손가락 골무, 필름 등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방법]
각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1) 체적 평균 입자 직경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시마즈 제작소제, 형식: SALD-2300)를 이용하여 구했다.
(2) 성형체의 인장 강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조건으로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라텍스 조성물은 25℃ 분위기에서 정치 보관하고, 보관 일수가 1일간(제조 후, 1일째에 상당), 8일간(제조 후, 8일째에 상당), 14일간(제조 후, 14일째에 상당)의 시점에서 이하의 처리에 의해 성형체를 작성하고, 성형체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라텍스 조성물의 보관 일수는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를 보관 0일째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보관 일수를 관리했다. 또한, 성형체의 인장 강도는 JIS K6251:2010에 기초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도기의 판(200㎜×80㎜×5㎜)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내온을 100℃로 설정한 오븐(ESPEC사제, 형식: PVH-231) 내에 5분간 매달고, 건조시켰다. 그 후, 도기의 판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서, 25℃까지 냉각했다.
상기 도기의 판을 질산칼슘 15.0질량%, 탄산칼슘 5.0질량% 및 증류수 80.0질량%로 이루어지는 응고제 용액에 30초간 침지했다. 그 후, 이 판을 꺼내어서 20초간 매달은 후, 내온을 100℃로 설정한 오븐 내에 5분간 매달고, 도기의 판에 응고제를 부착시켰다. 그 후, 응고제가 부착된 도기의 판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서, 25℃로 조정된 실내에서 5분간 매달았다.
상기 응고제가 부착된 도기의 판을 사전 결정 기간 보관시킨 라텍스 조성물에 30초간 침지한 후, 25℃로 조정된 실내에서 2분간 매달고, 도기의 판의 표면에 겔상 필름을 형성시켰다.
상기 겔상 필름이 부착된 도기의 판을 60℃로 설정한 온수 중에 5분간 침지한 후, 25℃로 조정된 실내에서 1분간 매달았다. 그 후, 상기 겔상 필름이 부착된 도기의 판을 100℃로 설정한 오븐 내에 30분간 매달고, 가황 처리를 실시했다. 이어서, 상기 필름이 부착된 도기의 판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서, 25℃까지 냉각하고, 필름의 양면에 탤크를 살포하면서 필름을 도기의 판으로부터 떼어냈다. 필름에 부착된 여분의 탤크를 에어 블로 건으로 제거하고, 필름 형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체를 덤벨 형상 3호형으로 펀칭하여 시험편을 작성했다. 얻어진 시험편은 인장 시험기(시마즈 제작소제, 형식: 오토그래프AGS-J)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500㎜/min으로 당기고, 파단 직전의 인장 강도(단위: MPa)를 측정했다. 또한, 성형체의 두께는 모두 0.25~0.30㎜이었다.
[원료의 조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라텍스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원료를 이하에 나타낸다.
원료(A)
수산화칼륨 1.0질량부와 증류수 99.0질량부를 혼합하고, 1.0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원료(B)
카제인나트륨(와코 준야쿠 공업사가 판매하는 시약) 10.0질량부와 증류수 90.0질량부를 혼합하고, 10.0질량% 카제인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원료(C)
2, 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랙NS-6) 23.8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4.8질량부 및 증류수 71.3질량부를 습식 비드밀(아이멕스사제, 형식: RMB)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23.8질량% 2, 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원료(D)
산화아연(세이도 화학사제, 상품명: 산화아연 2종) 23.6질량부,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가오사제, 상품명: 데몰N) 1.4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및 증류수 74.8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23.6질량% 산화아연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원료(E)
콜로이드 형상 유황(호소이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콜로이드 유황) 23.6질량부,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가오사제, 상품명: 데몰N) 1.4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및 증류수 74.8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23.6질량% 콜로이드 형상 유황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원료(F)
(a)성분인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PX)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75㎛이었다.
원료(G)
(b)성분인 1-o-톨릴비구아니드(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BG)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1-o-톨릴비구아니드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1-o-톨릴비구아니드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3.3㎛이었다.
원료(H)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EZ)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65㎛이었다.
원료(I)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BZ)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2.6㎛이었다.
원료(J)
1, 3-디페닐구아니딘(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D)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1, 3-디페닐구아니딘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55㎛이었다.
원료(K)
1, 3-디-o-톨릴구아니딘(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제, 상품명: 노크셀라DT) 19.0질량부, 18.0질량% 올레인산칼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논설OK-1) 0.2질량부, 25.0질량% 고분자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수용액(니치유사제, 상품명: 폴리스터OM) 3.8질량부 및 증류수 77.0질량부를 상기 습식 비드밀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을 조제했다. 또한, 수분산액 중의 1, 3-디-o-톨릴구아니딘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1.5㎛이었다.
[실시예 1]
1.0L 용적의 폴리프로필렌제 비커에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평균 입자 직경: 1.3㎛, 고형분 농도: 65.0질량%, 분산매: 물)를 291.8질량부 넣었다. 폴리프로필렌제 비커의 내용물을 4매 날개 피치 패들을 장착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원료(A)인 1.0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19.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10질량부), 원료(B)인 10.0질량% 카제인나트륨 수용액을 8.4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4질량부), 원료(C)인 23.8질량% 2, 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수분산액을 1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질량부), 원료(D)인 23.6질량% 산화아연 수분산액을 2.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25질량부), 원료(E)인 23.6질량% 유황 수분산액을 9.7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1.20질량부), 원료(F)인 19질량%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을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 원료(G)인 19질량% 1-o-톨릴비구아니드 수분산액을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 및 증류수 141.2질량부를 폴리프로필렌제 비커에 첨가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3.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질량부)로, 원료(G)를 9.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5.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50질량부)로, 원료(G)를 7.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7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H)인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H)인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H)인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6.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H)인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3]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H)인 19질량%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J)인 19질량% 1, 3-디페닐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5]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원료(I)인 19질량%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수분산액 4.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질량부)로, 원료(G)를 원료(K)인 19질량% 1, 3-디-o-톨릴구아니딘 수분산액 8.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8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2.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20질량부)로, 원료(G)를 10.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F)를 7.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70질량부)로, 원료(G)를 5.0질량부(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5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고형분 농도가 40.0질량%인 라텍스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 성형체의 인장 강도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성형체의
두께
성형체의 인장 강도[MPa]
[㎜] 보관 1일간 보관 8일간 보관 11일간 보관 14일간
실시예 1 0.26 28.9 28.9 28.2 27.0
실시예 2 0.27 26.6 26.7 29.7 29.8
실시예 3 0.29 32.6 27.4 24.9 -
실시예 4 0.27 31.9 27.4 22.9 -
참고예 1 0.26 19.0 - - -
참고예 2 0.26 30.0 20.1 - -
비교예 1 0.29 30.7 18.6 - -
비교예 2 0.25 23.5 12.3 - -
비교예 3 0.26 28.5 20.6 - -
비교예 4 0.26 25.4 19.3 - -
비교예 5 0.25 31.4 21.8 - -
비교예 6 0.27 32.2 22.0 - -
비교예 7 0.28 30.8 15.2 - -
비교예 8 0.27 31.6 17.0 - -
비교에 9 0.28 25.5 12.7 - -
비교예 10 0.26 23.6 20.9 - -
비교예 11 0.26 16.0 11.1 - -
비교예 12 0.26 30.5 21.3 - -
비교예 13 0.26 24.1 16.1 - -
비교예 14 0.27 31.8 16.2 - -
비교예 15 0.28 32.7 16.5 - -
표 1의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은 라텍스 조성물은 보관 개시로부터 8일 이상(예를 들면, 11일 이상) 경과하고나서 성형했다고 해도, 그 성형체의 인장 강도는 보관 1일에서 성형된 성형체의 인장 강도에 대하여 큰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각 비교예에서 얻은 라텍스 조성물은 보관 개시로부터 8일 경과하고나서 성형하면, 그 성형체의 인장 강도는 보관 1일에서 성형된 성형체의 인장 강도에 대하여 큰 저하가 보였다.
따라서, (a)성분(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및 (b)성분(1-o-톨릴비구아니드)을 필수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은, 그 성형체의 인장 강도가 높고, 또한, 라텍스 조성물을 종래보다도 긴 기간 보관한 후에도 성형체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Claims (7)

  1.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의 (a)성분 및 (b)성분
    (a)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b) 1-o-톨릴비구아니드
    를 포함하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6질량부이고,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6~0.9질량부인
    라텍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총 함유량이 폴리이소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0.9~1.5질량부인
    라텍스 조성물.
  3.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의 (a)성분 및 (b)성분
    (a)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b) 1-o-톨릴비구아니드
    를 포함하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b)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3~100질량부인
    라텍스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의 가황물을 함유하는
    성형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조성물을 가황함으로써 성형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07003976A 2017-08-21 2018-08-20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KR10255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8778 2017-08-21
JPJP-P-2017-158778 2017-08-21
PCT/JP2018/030626 WO2019039424A1 (ja) 2017-08-21 2018-08-20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並びに該成形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378A KR20200043378A (ko) 2020-04-27
KR102558201B1 true KR102558201B1 (ko) 2023-07-21

Family

ID=6543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976A KR102558201B1 (ko) 2017-08-21 2018-08-20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67958B2 (ko)
EP (1) EP3674358B1 (ko)
JP (1) JP7141400B2 (ko)
KR (1) KR102558201B1 (ko)
CN (1) CN110997790B (ko)
CA (1) CA3073305A1 (ko)
TW (1) TWI757538B (ko)
WO (1) WO201903942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752A (ja) 2001-03-12 2004-10-28 アレジアン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イソプレン製品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US20050065249A1 (en) 2003-09-24 2005-03-24 Dzikowicz Robert Thomas Accelerator system for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JP2009209229A (ja) 2008-03-03 2009-09-17 Nippon Zeon Co Ltd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及び成形体
US20160108154A1 (en) 2014-10-15 2016-04-21 Kraton Polymers U.S. Llc Accelerator system, a composition comprisi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0474A1 (de) * 1983-11-09 1985-05-15 Akzo Gmbh, 5600 Wuppertal Vulkanisationsverfahren
EP0141473A1 (en) * 1983-11-09 1985-05-15 Akzo N.V. Vulcanization method
EP1830622A4 (en) * 2004-11-30 2011-01-19 Bridgestone Corp RUBBER COMPOSITION FOR A WAVE ABSORBER AND WAVE ABSORPTION SHEET
RU2397184C2 (ru) * 2005-08-05 2010-08-20 Кратон Полимерз Рисёч Б.В. Композиция ускорителя для каучука
CN101395013B (zh) * 2006-03-03 2010-07-21 倍耐力轮胎股份公司 轮胎和可交联的弹性体组合物
US7898396B2 (en) * 2008-01-24 2011-03-01 Immersion Corporation Actuating a tactile sensation in response to a sensed event
EP3378895A1 (en) * 2008-03-14 2018-09-26 Allegiance Corporation Water-based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9023914B2 (en) * 2009-09-17 2015-05-05 Lanxess Deutschland Gmbh Nitrile rubbers and production thereof in organic solvents
US9464174B2 (en) 2010-10-01 2016-10-11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rubber composition
CN102146171B (zh) * 2011-04-15 2012-11-14 华东理工大学 一种橡胶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5783797B2 (ja) * 2011-05-25 2015-09-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JP5838088B2 (ja) * 2011-12-21 2015-12-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718994B (zh) * 2012-06-15 2014-01-01 杨昆 一种气象监测装置及其用途
JP6074113B2 (ja) * 2014-12-24 2017-02-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160365A (ja) 2015-03-03 2016-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合成イソプレン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合成イソプレン重合体ラテックス、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およびディップ成形体
JP2016160366A (ja) 2015-03-03 2016-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合成イソプレン重合体ラテックス
EP3181571B1 (en) * 2015-12-17 2019-07-24 Evonik Degussa GmbH Silicon-containing azodicarboxamides, their preparation and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752A (ja) 2001-03-12 2004-10-28 アレジアン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イソプレン製品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US20050065249A1 (en) 2003-09-24 2005-03-24 Dzikowicz Robert Thomas Accelerator system for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JP2009209229A (ja) 2008-03-03 2009-09-17 Nippon Zeon Co Ltd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及び成形体
US20160108154A1 (en) 2014-10-15 2016-04-21 Kraton Polymers U.S. Llc Accelerator system, a composition comprisi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7958B2 (en) 2022-03-08
EP3674358B1 (en) 2021-12-15
TWI757538B (zh) 2022-03-11
US20200190295A1 (en) 2020-06-18
TW201912694A (zh) 2019-04-01
EP3674358A1 (en) 2020-07-01
JP7141400B2 (ja) 2022-09-22
WO2019039424A1 (ja) 2019-02-28
JPWO2019039424A1 (ja) 2020-09-17
CN110997790A (zh) 2020-04-10
EP3674358A4 (en) 2021-04-28
CN110997790B (zh) 2022-07-08
KR20200043378A (ko) 2020-04-27
CA3073305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9483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 molded body
RU2397184C2 (ru) Композиция ускорителя для каучука
EP3239230B1 (en) Dip-forming latex composition and dip-formed article
JP3517246B2 (ja) 軟質ニトリルゴムの調合物
JP5137831B2 (ja) ラテックス促進組成物
EP3029100B1 (en)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molded article
WO2010098008A1 (ja)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及びディップ成形体
TW201627128A (zh) 浸漬成形品
AU2023282269A1 (en)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with
MXPA06003355A (es) Sistema acelerador para latex sintetico de poli-isopreno.
KR102558201B1 (ko)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성형체 및 해당 성형체의 제조 방법
WO2019173863A1 (en) Compositions for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articles
JPH1161527A (ja) 着脱性に優れたゴム製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9517A (ja) ゴム手袋の製造方法
EP3851484A1 (en) Xanthogen compound dispersion, conjugated-diene-based 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film molded body
TW201634490A (zh) 浸漬成形用合成異戊二烯聚合物乳膠、浸漬成形用組成物及浸漬成形體
TW201615717A (zh) 浸漬成形體之製造方法、及浸漬成形體
JP2016128528A (ja) ディップ成形用ラテックス組成物およびディップ成形品
CN114672082A (zh) 一种羧基丁腈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280130A (zh) 用聚异戊二烯胶乳制备胶乳膜制品的方法
EP4190857A1 (en) Film molded body
JP4350831B2 (ja) 手袋
CN100523073C (zh) 不使用金属氧化物活化剂或锌基促进剂硫化乳胶复合物
JP2002179231A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用ゴム組成物、ベルト及びベルトコンベア
CN112390989A (zh) 天然橡胶手套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