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14B1 -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14B1
KR102554114B1 KR1020210165574A KR20210165574A KR102554114B1 KR 102554114 B1 KR102554114 B1 KR 102554114B1 KR 1020210165574 A KR1020210165574 A KR 1020210165574A KR 20210165574 A KR20210165574 A KR 20210165574A KR 102554114 B1 KR102554114 B1 KR 10255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wire
knitted fabr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449A (ko
Inventor
사토시 다구치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7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10B2403/0243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sensor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포의 표면에 선재를 노출시키지 않고 선재를 편성포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고정사를 사용하여 선재를 고정시키는 조작을 실시한다. 상기 조작은, 공침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와, 다른 공침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3스티치를 포개, 상기 제2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고정사가 상기 니들베드갭을 가로지른 상태로 하는 공정D와, 상기 니들베드갭에 상기 선재를 배치하는 공정E와,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F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4스티치를 포개, 상기 제4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고정사의 일부를 상기 선재에 감는 공정G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티치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Description

편성방법{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선재(線材)를 편성포에 고정시키는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함과 아울러, 편성포를 구성하는 편사(編絲)와는 다른 선재를 편성포에 고정시키는 편성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스티치 사이에 선재를 삽입하는 인레이 편성(inlay knitting)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60-199953호 공보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스티치가 선재를 전후에서 샌드위치함으로써 선재가 편성포에 지지되기 때문에, 편성포를 바느질한 것처럼 선재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구비하는 선재는, 편성포의 표면과 이면의 양방에 노출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편성포의 이면에 선재를 감추고자 하는 요청에 부응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선재의 앞쪽과 뒤쪽을 스티치로 샌드위치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편성포에 있어서의 선재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기 쉽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편성포의 표면에 선재를 노출시키지 않고 선재를 편성포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선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성포의 일부인 제1스티치열이 상기 제1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제1피더로부터 공급되는 고정사를 사용하여 상기 선재를 고정시키는 조작을 실시하고,
상기 조작은,
상기 제1니들베드 또는 상기 제2니들베드의 공침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공정A와는 다른 공침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3스티치를 포개, 상기 고정사에 있어서의 상기 제2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부분이 상기 니들베드갭을 가로지른 상태로 하는 공정D와,
상기 니들베드갭에 상기 선재를 배치하는 공정E와,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F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4스티치를 포개, 상기 고정사에 있어서의 상기 제4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부분을 상기 선재에 감는 공정G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티치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2>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제2스티치, 상기 제3스티치 및 상기 제4스티치 중의 적어도 1개가 비틀림 스티치인 형태를 들 수 있다.
<3>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E와 상기 공정F의 사이에,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턱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X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4>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G에 있어서, 상기 선재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사이에 상기 제4스티치를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편성포에 고정되는 고정사를 통하여 선재가 편성포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편성포에 있어서의 고정사가 고정되는 쪽의 반대쪽에 선재가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고정사가 편성포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고정사가 선재에 감겨 있다. 그 때문에, 선재가 편성포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편성포에 있어서의 선재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비틀림 스티치는 풀리기 어려운 스티치이다. 왜냐하면 고정사가 잡아당겨졌을 때에 비틀림 스티치가 작아져, 매듭처럼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형태<2>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포에 대하여 고정사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형태<3>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2스티치에 제4스티치를 편성하기 전에 턱에 의하여 편침의 훅에 고정사를 고정시킴으로써, 제4스티치의 편성이 쉬워진다. 특히 제2스티치가 비틀림 스티치가 아닌 걸림 스티치인 경우에, 턱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고정사에 있어서의 제3스티치로부터 턱 스티치로 연장되는 부분이 선재에 감겨, 고정사에 의한 선재의 지지가 견고해진다.
상기 형태<4>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3스티치 및 제4스티치와 턱 스티치의 사이에 선재가 삽입된다. 그 결과, 고정사에 의한 선재의 지지가 보다 견고해진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편성방법으로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하여 선재(線材)를 편성포에 고정시키는 편성례를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2베드 횡편기의 앞쪽 니들베드를 FB, 뒤쪽 니들베드를 BB로 표기한다. 본 예에서는, BB가 제1니들베드이고, FB가 제2니들베드이다. 물론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가 제1니들베드,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가 제2니들베드이다.
본 예의 선재는, 피더(feeder)로부터 공급이 가능한 편사(編絲)이지만, 편성에는 부적합한 편사이다. 그와 같은 편사로서, 예를 들면 횡편기의 편침(編針)의 훅(hook)에 수납되지 않는 굵기의 편사, 훅에 걸리기 쉬운 몰사(mogol yarn), 또는 리본처럼 폭이 넓은 테이프사(tape yarn) 등을 들 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본 예의 편성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검은 점은 편침을, 알파벳 대문자는 FB, BB의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동그라미 마크는, 편성포(1)의 스티치를 나타낸다. S8에 있어서의 검게 칠한 동그라미 마크는, S8에 있어서 편성된 편성포(1)의 스티치를 나타낸다. 역삼각형 마크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1G)에 고정사(固定絲)(2)를 공급하는 제1피더(8) 및 니들베드갭(1G)에 선재(3)를 공급하는 제2피더(9)를 나타낸다. 상하방향의 직선 화살표는 스티치의 이동을 나타내고, 좌우방향의 직선 화살표는 제2피더(9)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S1에는, BB에 제1스티치열(10)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스티치열(10)은 편성포(1)의 일부이다. 본 예의 편성포(1)는, 행커치프와 같은 한 장짜리의 편성포이다. 이 편성포(1)에서는, FB와 BB의 대향방향에 있어서의 BB측의 면이 표면, FB측의 면이 이면이다. 본 예에서는, 이후의 편성공정에 의하여 편성포(1)의 이면에 선재(3)를 고정시킨다. 본 예와는 다르게, 편성포(1)는 통모양 편성포이더라도 좋다. 통모양 편성포에 선재(3)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베드 횡편기이면, 통모양 편성포의 스티치가 성글게 되지 않는다.
S1에서는, 고정사(2)를 공급하는 제1피더(8)를 이동시켜, 공침(空針)인 FB의 편침(B)에 제1스티치(21)를 편성한다(공정A에 상당). 제1스티치(21)는, 제1피더(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편침(B)을 통과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편성한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이다. 여기에서 본 예의 고정사(2)는, 편성포(1)를 구성하는 편사와는 다른 편사이다. 본 예와는 다르게, 고정사(2)는 편성포(1)를 구성하는 편사와 동일하여도 좋다. 즉 편성포(1)를 편성하는 피더를 사용하여 이하의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고정사(2)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고정사(2)의 실처리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S1에서는, 공침인 FB의 편침(D)에 제2스티치(22)를 편성한다(공정B에 상당). 본 예의 제2스티치(22)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제2스티치(22)는 걸림 스티치(pick-up stitch)이더라도 좋다.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2스티치(22)는, 후술하는 S3에 있어서 BB로 이동될 때에 비틀려, 비틀림 스티치가 된다.
S2에서는, 제1스티치(2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23)를 편성한다(공정C에 상당). 본 예의 제3스티치(23)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본 예와는 다르게, 제3스티치(23)는 비틀림 스티치가 아닌 니트 스티치(knit stitch)이더라도 좋다.
S3에서는, 제3스티치(23)를 BB의 편침(B)에 결합되어 있는 제1스티치열(10)의 스티치(13)(S1 참조)에 포갠다(공정D에 상당). 비틀림 스티치인 제3스티치(23)를 FB에서 BB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스티치(23)는 또 비틀린다. 즉 제3스티치(23)는 2회 비틀린 상태가 된다. 또한 고정사(2)에 있어서의 제2스티치(22)와 제3스티치(23)를 연결하는 부분이 니들베드갭(1G)을 가로지른 상태가 된다.
S4에서는, 제2피더(9)를 이동시켜, 선재(3)를 니들베드갭(1G)에 배치한다(공정E에 상당). 선재(3)는, 제2스티치(22)와 제3스티치(23)를 연결하는 고정사(2)의 상방에서 교차한다.
S5에서는, 제1피더(8)를 일단 편침(C)보다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BB의 편침(C)에 결합되어 있는 제1스티치열(10)의 스티치(19)(S1 참조)에 턱 스티치(tuck stitch)(29)를 형성한다(공정X에 상당). 턱 스티치(29)는, 선재(3)의 바깥쪽, 즉 선재(3)를 사이에 두고 편성포(1)의 반대쪽을 가로질러 편성포(1)에 포개진다. 제3스티치(23)와 턱 스티치(29)를 연결하는 고정사(2)가 선재(3)에 감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사(2) 중에서 제3스티치(23)로부터 턱 스티치(29)를 향하는 부분이 선재(3)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선재(3)의 하방으로부터 선재(3)를 반 바퀴 감은 것처럼 된다. 이 턱 스티치(29)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사(2)가 편침(C)의 훅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기 S6에 있어서의 제4스티치(24)의 편성이 용이해진다.
S6에서는, 제2스티치(2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4스티치(24)를 편성한다(공정F에 상당). 본 예의 제4스티치(24)는 니트 스티치이다. 본 예와는 다르게, 제4스티치(24)는 비틀림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S7에서는, 제2피더(9)를 일단 편침(D)보다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4스티치(24)를 BB의 편침(D)으로 이동시킨다(공정G에 상당). 또한 S7에서는, 제2피더(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4스티치(24)는, FB에서 BB로 이동됨으로써 비틀려, 비틀림 스티치가 된다. 이 S7에 의하여, 제4스티치(24)는 선재(3)의 안쪽, 즉 선재(3)와 편성포(1)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S2에서 편성한 제3스티치(23)는 선재(3)의 안쪽에 배치되고, S5에서 편성한 턱 스티치(29)는 선재(3)의 바깥쪽을 가로지르고 있다. 따라서 선재(3)는, 제3스티치(23) 및 제4스티치와 턱 스티치(29)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사(2)에 있어서의 제3스티치(23)와 턱 스티치(29)를 연결하는 부분, 및 턱 스티치(29)와 제4스티치(24)를 연결하는 부분이 선재(3)에 감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사(2) 중에서 턱 스티치(29)로부터 제4스티치(24)를 향하는 부분이 선재(3)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선재(3)의 하방으로부터 선재(3)를 반 바퀴 감은 것처럼 된다. 그 결과, 고정사(2)에 의한 선재(3)의 지지가 보다 견고해진다.
S1∼S7의 편성은, 편성폭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복수 회 실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1의 편침(D)보다 우측에 있는 위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서, S1∼S7의 편성을 실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S8에서는, 피더(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움직여, 새로운 제1스티치열(10)을 편성한다. 그 결과, 고정사(2)가 제1스티치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1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포(1)에 고정되는 고정사(2)를 통하여 선재(3)가 편성포(1)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편성포(1)의 BB측의 면, 즉 편성포(1)의 앞쪽의 면에 선재(3)가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선재(3)에 감기는 고정사(2)가 편성포(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3)가 편성포(1)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편성포(1)의 소정의 위치에서 어긋나기 어렵다.
실시형태1의 제1변형예로서, S7에 있어서 제2피더(9)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4스티치(24)를 이동시키는 것만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제3스티치(23)와, 턱 스티치(29) 및 제4스티치(24)의 사이에 선재(3)가 삽입된다.
실시형태1의 제2변형예로서, S5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S4를 한 다음에 제2스티치(2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4스티치(24)를 편성한다. 그 후에, S7에 있어서 선재(3)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4스티치(24)를 제1스티치열(10)의 스티치(14)에 포개면 좋다. 이 경우에, 제3스티치(23)와 제4스티치(24)의 사이에 선재(3)가 삽입된다.
<실시형태2>
선재(3)는, 편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재(3)는, 편침의 훅에 걸림으로써 손상될 우려가 있는 선재나, 훅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선재 등을 들 수 있다. 손상의 우려가 있는 선재로서는, 예를 들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실 등을 들 수 있다. RFID 실은, 복수의 통신유닛이 편사의 연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편사이다. 통신유닛은 ID 칩과 안테나선을 구비한다. 훅이 ID 칩에 걸리면 ID 칩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훅이 안테나선을 구부려 버리면 안테나선의 통신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예의 편성방법에서는, 선재(3)가 편침의 훅에 걸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손상되기 쉬운 선재이더라도, 본 예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포(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훅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선재로서는, 금속사(金屬絲)나 모노필라멘트사(monofilament yarn) 등의 딱딱한 선재를 들 수 있다. 본 예의 편성방법에서는, 선재(3)가 편침의 훅에 걸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딱딱한 선재이더라도, 본 예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포(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선재는, 피더로 공급할 수 없는 형태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은 형태로서, 예를 들면 선재의 길이가 짧은 형태, 선재의 굵기가 지나치게 굵은 형태, 또는 구부릴 수 없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에, 선재를 니들베드갭에 공급하는 구성을 횡편기에 탑재하면 좋다. 그와 같은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선재를 파지(把持)하여 니들베드갭에 배치하는 로봇암(robot arm) 등을 들 수 있다.
1 : 편성포
1G : 니들베드갭
13, 14, 19 : 스티치
10 : 제1스티치열
2 : 고정사
21 : 제1스티치, 22 : 제2스티치, 23 : 제3스티치,
24 : 제4스티치, 29 : 턱 스티치
3 : 선재
8 : 제1피더
9 : 제2피더

Claims (4)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선재(線材)를 고정시키기 위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성포의 일부인 제1스티치열이 상기 제1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제1피더로부터 공급되는 고정사(固定絲)를 사용하여 상기 선재를 고정시키는 조작을 실시하고,
    상기 조작은,
    상기 제1니들베드 또는 상기 제2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공정A와는 다른 공침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3스티치를 포개, 상기 고정사에 있어서의 상기 제2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부분이 상기 니들베드갭을 가로지른 상태로 하는 공정D와,
    상기 니들베드갭에 상기 선재를 배치하는 공정E와,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F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상기 제4스티치를 포개, 상기 고정사에 있어서의 상기 제4스티치와 상기 제3스티치를 연결하는 부분을 상기 선재에 감는 공정G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티치는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인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티치, 상기 제3스티치 및 상기 제4스티치 중의 적어도 1개가 비틀림 스티치인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E와 상기 공정F의 사이에,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에 턱 스티치(tuck stitch)를 형성하는 공정X를 구비하는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G에 있어서, 상기 선재와 상기 제1스티치열의 사이에 상기 제4스티치를 배치하는 편성방법.
KR1020210165574A 2020-12-04 2021-11-26 편성방법 KR102554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1651 2020-12-04
JP2020201651A JP7217732B2 (ja) 2020-12-04 2020-12-04 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49A KR20220079449A (ko) 2022-06-13
KR102554114B1 true KR102554114B1 (ko) 2023-07-10

Family

ID=8165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74A KR102554114B1 (ko) 2020-12-04 2021-11-26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17732B2 (ko)
KR (1) KR102554114B1 (ko)
CN (1) CN114592268B (ko)
DE (1) DE102021213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829A1 (ko)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팅장치, 전극 조립체, 배터리 셀, 전극 조립체 가공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배터리 셀의 제조방법
DE102022206760A1 (de) 2022-07-01 2024-01-04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system zur Detektion einer Fehlbenutzung eines Sicherheitsgur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953A (ja) 1984-03-19 1985-10-09 田中繊維工業株式会社 編物地
GB2233989B (en) * 1989-07-11 1993-12-01 Courtaulds Plc Structured knitted fabrics
TW480299B (en) * 2000-01-26 2002-03-2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JP5032872B2 (ja) * 2007-03-29 2012-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された編地
JP5865730B2 (ja) * 2012-02-28 2016-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リンジ付編地の編成方法
TWI585255B (zh) * 2013-04-02 2017-06-0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編織物之編織方法、及編織物
JP2015074836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EP3034665B1 (de) * 2014-12-18 2024-01-24 KARL MAYER STOLL R&D GmbH Flachstrick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Einstreifen und Einlegen von Schuss-, Kett- und/oder Flottfäden
JP2016211088A (ja) 2015-04-30 2016-12-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6257565B2 (ja) * 2015-09-09 2018-0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固定方法
TWI629389B (zh) * 2016-06-08 2018-07-11 艾尼特國際有限公司 於預設編織區段內堆疊有連續線材的雙面織物
JP2018003176A (ja) 2016-06-28 2018-01-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6501741B2 (ja) * 2016-09-07 2019-04-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3218014U (ja) 2018-07-05 2018-09-13 アニッ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Aknit・International Ltd. 連続的線材を編込んで湾曲した形状を形成する両面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7732B2 (ja) 2023-02-03
DE102021213665A1 (de) 2022-06-09
JP2022089327A (ja) 2022-06-16
CN114592268B (zh) 2023-10-10
KR20220079449A (ko) 2022-06-13
CN114592268A (zh)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114B1 (ko) 편성방법
KR950000477B1 (ko) 벤트부가 있는 원통형 편포
CN102264962B (zh) 针织纱的防脱散方法及针织物
KR10134766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990452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319969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EP1408145B1 (en)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JP4791898B2 (ja) 編み終わり側に開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447399B1 (en) Knitting method o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yarn feeders and a corresponding knitted fabric
US6655175B1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s
JP5695978B2 (ja) ホール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101813857B1 (ko) 편사의 고정방법
US6079232A (en) Widening method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12188772A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6211394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EP4306697A1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KR20240052690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662847B2 (ja) 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431509A2 (en) Outside widen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JP2024034121A (ja) 編成方法
KR20240031119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40052674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23144972A (ja) 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