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19A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119A
KR20240031119A KR1020230113347A KR20230113347A KR20240031119A KR 20240031119 A KR20240031119 A KR 20240031119A KR 1020230113347 A KR1020230113347 A KR 1020230113347A KR 20230113347 A KR20230113347 A KR 20230113347A KR 20240031119 A KR20240031119 A KR 2024003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yarn
needle bed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 구보타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3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2Thread-feeding devices for 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횡편기상에서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풀리지 않도록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에 의하여,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의 시단인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베이스 편사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앵커 스티치를 편성한다.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 제1스티치를 편성한다.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에 감는다.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에 의하여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를 조인다. 그 후에,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편성포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횡편기의 니들베드에서 드로 스레드(draw thread)로 이루어지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그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의 편성에는, 드로 스레드와는 다른 베이스 편사가 사용된다. 편성포의 본체인 베이스 편성포부는,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편성된다. 여기에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기점으로서 편성되는 것이므로, 편성포의 편성 후에 편성포로부터 제거된다. 즉 완성된 편성포에 있어서는, 편성시작부가 편성포의 시단이 된다.
일반적인 편성시작부의 편성방법에서는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편성시작부가 풀리기 쉽다. 특허문헌1은, 베이스 편사를 사용하여 풀림방지용의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그 스티치열의 일부의 스티치를 편성시작부에 포갬으로써, 편성시작부가 풀리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41905호 공보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은 편성포에 있어서도, 편성시작부의 끝실은 수작업으로 묶어 풀리지 않도록 처리하여야만 한다.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던 이 처리를 횡편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횡편기상에서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풀리지 않도록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1니들베드와 마주 보는 제2니들베드와, 제1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드로 스레드에 의하여 편성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편성포의 시단인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편성범위 외로부터 편성범위 내를 향하여 상기 제1급사구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앵커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에 감는 공정C와,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의 루프형상을 작게 하여, 상기 제1스티치에 의하여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를 조이는 공정D와,
상기 공정D 다음에,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공정E를 구비한다.
<2> 상기 <1>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서는, 비틀린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은,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를 상대적으로 래킹시키는 래킹기구이고,
상기 공정D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를 상대적으로 래킹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하여도 좋다.
<4>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은,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편사를 파지하는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D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사를 상기 그리퍼에 파지시켜, 상기 그리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하여도 좋다.
<5> 상기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베이스 편사를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 스티치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사를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X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 제1스티치와, 그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가 편성됨과 아울러,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에 제1스티치가 감긴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제1스티치의 싱커루프에 텐션이 가해짐으로써, 제1스티치에 의하여 제2스티치가 조여진다. 이 상태에서 편성시작부가 편성됨으로써, 베이스 편사에 있어서의 제2스티치가 편성시작부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편성포의 편성 후에 수작업으로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풀리지 않도록 처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2>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비틀린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제2스티치가 편성된다. 이 경우에, 제1스티치의 2개의 싱커루프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제2스티치를 조이는 제1스티치가 움직이기 어렵다. 따라서 베이스 편사의 고정이 더욱 강고해진다.
상기 <3>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특별한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범용의 횡편기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래킹기구는, 대부분의 횡편기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4>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베이스 편사를 그리퍼로 직접 잡아당겨 제1스티치의 루프형상을 작게 한다. 그 결과, 당겨지고 있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대한 부하가 저감된다.
상기 <5>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앵커 스티치의 근방에서 커터에 의하여 베이스 편사가 절단된다. 그 결과, 수작업에 의한 절단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편성포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제1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도1에 계속되는 제2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1에 있어서 형성된 앵커 스티치와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기재되어 있는 커터에 의한 베이스 편사의 절단공정의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2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제1편성공정도이다.
도6은, 도5에 계속되는 제2편성공정도이다.
이하에,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와 제1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시작부가 편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기 전에,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성이 이루어진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도1, 2의 편성공정도 및 도3의 루프도에 의거하여,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예를 설명한다. 4베드 횡편기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한다. 이하에, 하부 앞쪽 니들베드, 하부 뒤쪽 니들베드, 상부 앞쪽 니들베드 및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각각 FD, BD, FU 및 BU로 표기한다. FD와 BD는 서로 대향(對向)하고 있다. FD의 상부에 배치되는 FU와, BD의 상부에 배치되는 BU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FD, FU는 제1니들베드, BD, BU는 제2니들베드이다. 이 횡편기는 래킹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고, FD, FU와 BD, BU는 상대적으로 래킹이 가능하다. 본 예와는 다르게,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여도 좋다.
도1, 2의 좌측 칸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우측 칸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 있다. 우측 칸의 검은색 점은, FD, BD 및 BU의 편침을 나타낸다. 도1, 2에서 FU의 스티치는 생략되어 있다. FD와 BD의 사이에는 니들베드갭(6g)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칸의 동그라미 마크는 스티치를, V자 마크는 걸림 스티치를, 역삼각형 마크는 제1급사구(9)를 나타낸다. 각 편성공정의 편성동작에 관계하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스티치는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다. 편침의 좌측에 나타내는 『I』자 모양의 세로막대는, 니들베드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기준선이다. BD, BU가 래킹되면, FD, FU의 기준선과 BD, BU의 기준선이 좌우로 어긋난다.
도1의 스텝S1에는, FD와 BD에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이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웨이스트 편성포(waste 編成布)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된다.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은, 드로 스레드(5Y)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후의 스텝에 있어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도2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부(3)가 편성된다.
도1의 스텝S2에서는, FD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일부를 BU로 이동시킨다. 또한 스텝S2에서는, 베이스 편사(1)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FD에 복수의 앵커 스티치(anchor stitch)(10)를 편성한다(공정A). 앵커 스티치(10)의 수는 1개여도 좋다. 제1급사구(9)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편성범위 외로부터 편성범위 내를 향하여 이동하고 있다. 앵커 스티치(10)는, 공침(空針)에 형성되는 걸림 스티치로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다. 베이스 편사(1)는, 드로 스레드(5Y)와는 다른 편사이다.
또한 스텝S2에서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BD의 공침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B).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스티치(11)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다. 제1스티치(11)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스티치(50)보다도 우측에 있어도 좋다. 스티치(50)는, FD로부터 BU로 이동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스티치 중 우단(右端)의 스티치이다.
상기한 스텝S2는, 소위 실넣기 공정이다. FD에 있어서의 복수의 앵커 스티치(10)를 포함하는 부분을 실넣기부(19)라고 부른다. 베이스 편사(1)는, 후공정에 있어서 흰색 화살표의 위치에서 절단된다.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일부를 BU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실넣기부(19)는 통모양의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실넣기부(19)가 이후의 편성을 방해하기 어렵다.
스텝S3에서는, BU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스티치 중 우단의 스티치(50) 이외의 스티치를 FD로 되돌린다. 이 공정에 의하여, 실넣기부(19)가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에 눌린다. 또한 앵커 스티치(10)와 제1스티치(11)를 연결하는 편사(1A)의 상방에 있어서, 스티치(50)와 스티치(51)를 연결하는 편사(5A)가 교차된다. 스티치(51)는, FD로 되돌려진 복수의 스티치 중 우단에 있는 스티치이다. 환언하면 스티치(51)는, 스텝S1의 시점에서 스티치(50)의 좌측 옆의 스티치이다. 편사(1A) 및 편사(5A)는 모두 FD와 BD의 사이를 지나, 니들베드갭(6g)을 가로지르는 교차사이다.
또한 스텝S3에서는, 제1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BD의 공침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추가 스티치(13)를 편성한다. 이 공정에 의하여, 편사(1A) 및 편사(5A)의 상방에 있어서, 제1스티치(11)와 추가 스티치(13)를 연결하는 편사(1B)가 교차되고, 제1스티치(11)가 비틀린 상태가 된다. 추가 스티치(13)에 의하여 제1스티치(11)가 비틀린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에서 스텝S3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구성은 그리퍼(4)이다. 그리퍼(4)는, 실시형태1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퍼(4)의 구성과 용도는, 후술하는 실시형태4에 있어서 설명한다.
스텝S4에서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스티치(12)를 편성한다(공정C). 도3의 루프도는, 스텝S4가 종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앵커 스티치(10)와 제1스티치(11)와 제2스티치(1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도3에는, FD의 편침과 BD의 편침이 1개씩 나타나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D의 편침에 앵커 스티치(10)가 결합되고, BD의 편침에 제2스티치(12)가 결합되어 있다. 제2스티치(12)는, 비틀린 제1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스티치(12)의 2개의 싱커루프(sinker loop)(121, 122)에는, 제1스티치(11)가 감겨 있다.
또한 도1의 스텝S4에서는, 제2스티치(12)의 편성 후에, BD에 결합되는 추가 스티치(13)를 FD의 공침으로 이동시킨다. 이 추가 스티치(13)의 이동은, 스텝S5를 실시하기 전의 준비이다.
스텝S5에서는, 제1급사구(9)를 제2스티치(12)보다도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FD, FU에 대하여 BD, BU를 상대적으로 래킹한다(공정D). 본 예에서는, BD, BU를 우측방향으로 래킹하고 있다. S5의 래킹에 의하여, 도3에 나타내는 BD의 편침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스티치(11)의 싱커루프(111)(도1의 스텝S3의 편사(1A)에 상당)는 FD에 결합되는 앵커 스티치(10)에 연결되고, 제1스티치(11)의 싱커루프(112)(도1의 스텝S3의 편사(1B)에 상당)는 FD에 결합되는 추가 스티치(13)(도1의 스텝S4 참조)에 연결된다. 따라서 BD와 함께 제1스티치(1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싱커루프(111, 112)에 텐션이 가해져, 제1스티치(11)의 루프형상이 작아진다. 루프형상이 작아진 제1스티치(11)에 의하여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121, 122)가 조여져, 베이스 편사(1)의 제2스티치(12)가 고정된다.
스텝S5에 있어서 제1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래킹 시에 제1급사구(9)로부터 베이스 편사(1)가 인출되기 어려워진다. 제1급사구(9)가 베이스 편사(1)의 인출을 억제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 래킹 전의 제1급사구(9)의 이동은 필요 없다. 그러한 기구의 구체적인 예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21-17291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편사를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롤러이다.
도2의 스텝S6에서는, 스티치(50)를 도1의 S1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던 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2스티치(12)를 FD의 공침으로 이동시킨다. 이 스텝S6 후에, BD 및 BU의 래킹피치가 0으로 되돌아간다. 계속되는 스텝S7에서는, 제1급사구(9)를 제2스티치(12)보다도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1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 스티치열(2)을 편성한다(공정E). 고정 스티치열(2)은, FD에 있어서의 제2스티치(12)보다도 좌측에 있는 모든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한다. 상기 모든 스티치에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스티치와 앵커 스티치(10)가 포함된다. 고정 스티치열(2)은, 편성시작부(3)의 일부이다. 편성시작부(3)의 편성방법은 공지된 것으로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 스티치열(2)의 복수의 스티치를 전후의 니들베드에 나눈 후에,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고정 스티치열(2)과 자루편성된 부분에 의하여 편성시작부(3)가 형성된다.
스텝S8에서는, 고정 스티치열(2)의 1개 간격의 스티치를 BD로 이동시킨다. 스텝S8은, 공지의 편성시작부(3)의 편성방법의 일부이다. 본 예에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스텝S8에 있어서 FD와 BD에 결합되어 있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에도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편성시작부(3)를 편성한다.
본 예의 편성예에 의하면, 베이스 편사(1)가 편성시작부(3)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그 때문에, 편성포의 편성 후에 수작업으로 편성시작부의 끝실이 풀리지 않도록 처리할 필요가 없다.
횡편기가 베이스 편사(1)를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도1의 S2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앵커 스티치(10)의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 편사(1)를 커터에 의하여 절단하여도 좋다(공정X). 베이스 편사(1)를 절단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도2의 스텝S8 다음이다.
베이스 편사(1)의 절단순서의 일례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4에는, 베이스 편사(1)와 니들베드(6)와 홀딩장치(7)와 커터(8)가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4의 좌우방향이 니들베드(6)의 길이방향이고, 상측방향이 니들베드갭(6g)의 상방이다. 니들베드갭(6g)은, FD와 BD 사이의 간격으로서, 편침에 의하여 편성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홀딩장치(7)는, 베이스 편사(1)의 시단(始端)을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외측에서 홀딩하는 장치이다. 커터(8)는, 니들베드갭(6g)의 상방에 배치되고,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앵커 스티치(10)는, 도1의 스텝S2에 있어서의 좌단(左端)의 앵커 스티치(10)이다.
도4(A)에는, 도2의 스텝S8이 종료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앵커 스티치(10)는 이미 니들베드(6)로부터 제거되어, 니들베드갭(6g)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터(8)는 베이스 편사(1)를 절단할 수 없다.
도4(B)에서는, 홀딩장치(7)를 상승시켜, 앵커 스티치(10)로부터 홀딩장치(7)로 연장되는 베이스 편사(1)에 각도가 생기게 한다. 이 동작에 의하여, 베이스 편사(1)에 있어서의 앵커 스티치(10)의 근방의 부분이 니들베드갭(6g)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도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8)를 앵커 스티치(10)의 근방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커터(8)에 의하여 앵커 스티치(10)의 근방의 위치에서 베이스 편사(1)를 절단할 수 있다. 그 외에, 도4(A)의 전, 즉 제1급사구(9)가 홀딩장치(7)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단계에서, 베이스 편사(1)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기구를 베이스 편사(1)의 하방에 배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 경우에, 홀딩장치의 상승 없이 베이스 편사(1)를 절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실시형태1과는 다른 순서로 제1스티치(11)와 제2스티치(12)를 편성하는 편성예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를 보는 방법은 도1, 2와 같다.
도5의 스텝S1에는, FD와 BD에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이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스텝S2에서는, FD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5)의 일부를 BU로 이동시킨다. 또한 스텝S2에서는, 베이스 편사(1)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FD에 복수의 앵커 스티치(10)를 편성한다(공정A 상당). 또한 스텝S2에서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BD의 공침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B 상당).
스텝S3에서는, 제1급사구(9)를 제1스티치(11)보다도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1스티치(11)를 FD로 이동시킨다. 이 스텝S3에 의하여, 제1스티치(11)가 비틀린 상태가 된다.
스텝S4에서는, BU에 결합되는 스티치 중에서 제1스티치(11)보다도 좌측의 스티치를 FD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12)를 편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에 제1스티치(11)가 감긴다. 또한 스텝S4에서는, 제2스티치(12)의 우측에 걸림 스티치(14)를 편성한다. 걸림 스티치(14)는, 다음의 스텝S5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스텝S5에서는, 제1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 스티치(15)와 턱스티치(tuck stitch)(16)를 편성한다. 걸림 스티치(15)는, 제2스티치(12)와 걸림 스티치(14) 사이의 공침에 형성된다. 턱스티치(16)는, 제2스티치(12)에 포개진다.
도6의 스텝S6에서는,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스티치(12)와 걸림 스티치(15)와 걸림 스티치(14)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고정 스티치열(2)을 편성한다. 스텝S7에서는, 고정 스티치열(2)을 BD의 공침으로 이동시킨 후에, BD, BU를 우측방향으로 래킹시킨다. 래킹방향은 좌측방향이어도 좋다. 래킹에 의하여, 제1스티치(11)(도5의 스텝S3)의 루프형상이 작아져, 제1스티치(11)가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를 조인다.
스텝S7 이후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과 동일하게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편성시작부(3)를 편성하면 좋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3에서는,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에 의하여 제1스티치(11)를 편성하는 편성예를 설명한다. 『스플릿 편성』은, 니들베드(P)의 편침(p)에 결합되는 스티치(R)를 편침(p)과 대향하는 니들베드(Q)의 스티치(q)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스티치(R)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S)를 편침(p)에 편성하는 공지의 편성을 말한다. 본 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1을 참조한다.
본 예에서는, 도1의 스텝S2에 있어서 앵커 스티치(10)를 편성한 후에, 스티치(50)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한다.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스티치(50)는 BD로 이동되고, 스티치(50)로부터 인출되는 제1스티치(11)가 편성된다. 이 제1스티치(11)는, 스티치(50)로부터 인출되지만, 스티치(5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1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12)를 편성한다. 제2스티치(12)는 제1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에 제1스티치(11)가 감긴다. 이 상태에서 BD, BU를 래킹시킴으로써,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가 제1스티치(11)를 조인다.
<실시형태4>
실시형태4에서는, 제1스티치(11)의 싱커루프를 직접 잡아당기는 편성예를 도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4에서는, 도1의 S1∼S3을 실시한다. 본 예의 횡편기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그리퍼(4)를 구비한다. 그리퍼(4)는, 제1급사구(9)와는 독립하여,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퍼(4)는, 니들베드갭(6g)에 있어서 베이스 편사(1)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퍼(4)는, 스텝S3의 편사(1B)를 파지한다. 계속하여 제1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추가 스티치(13)를 편침으로부터 제거함과 아울러 제2스티치(12)를 편성한다. 마지막으로 그리퍼(4)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편사(1B)를 잡아당긴다. 그 결과, 도3에 나타내는 제1스티치(11)의 루프형상이 작아져, 제1스티치(11)가 제2스티치(12)의 싱커루프(121, 122)를 조인다. 본 예의 방법에서는, 제1스티치(11) 이외의 스티치에 과잉의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가 없다.
1 : 베이스 편사
1A, 1B : 편사
10 : 앵커 스티치
11 : 제1스티치 111, 112 : 싱커루프
12 : 제2스티치 121, 122 : 싱커루프
13 : 추가 스티치 14, 15 : 걸림 스티치
16 : 턱스티치 19 : 실넣기부
2 : 고정 스티치열
3 : 편성시작부
4 : 그리퍼
5 :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
5A : 편사 5Y : 드로 스레드
50, 51 : 스티치
6 : 니들베드 6g : 니들베드갭
7 : 홀딩장치
8 : 커터
9 : 제1급사구

Claims (5)

  1.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1니들베드와 마주 보는 제2니들베드와, 제1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드로 스레드(draw thread)에 의하여 편성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베이스 편사(base 編絲)에 의하여 편성포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편성범위 외로부터 편성범위 내를 향하여 상기 제1급사구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앵커 스티치(anchor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베이스 편사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sinker loop)에 감는 공정C와,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의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의 루프형상을 작게 하여, 상기 제1스티치에 의하여 상기 제2스티치의 싱커루프를 조이는 공정D와,
    상기 공정D 다음에,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공정E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서는, 비틀린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은,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를 상대적으로 래킹(racking)시키는 래킹기구이고,
    상기 공정D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를 상대적으로 래킹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구성은,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편사를 파지하는 그리퍼(gripper)이고,
    상기 공정D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사를 상기 그리퍼에 파지시켜, 상기 그리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싱커루프에 텐션을 가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베이스 편사를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 스티치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사를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X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230113347A 2022-08-31 2023-08-29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40031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8159 2022-08-31
JP2022138159A JP2024034119A (ja) 2022-08-31 2022-08-31 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119A true KR20240031119A (ko) 2024-03-07

Family

ID=8984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347A KR20240031119A (ko) 2022-08-31 2023-08-29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34119A (ko)
KR (1) KR20240031119A (ko)
CN (1) CN117626512A (ko)
DE (1) DE10202320827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905A (ja) 2015-02-02 2016-08-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8007B2 (ja) 2020-04-23 2024-02-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用の糸状体の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905A (ja) 2015-02-02 2016-08-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26512A (zh) 2024-03-01
DE102023208271A1 (de) 2024-02-29
JP2024034119A (ja)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0393A1 (en)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KR20130098897A (ko)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EP2423362A1 (en) Set up method of knitted fabric
US6892555B2 (en)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EP2447399B1 (en) Knitting method o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yarn feeders and a corresponding knitted fabric
EP2568066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EP1990451A1 (en) Method of forming increase and knitted fabric where increases are formed inner side of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knitted fabric
KR102554114B1 (ko) 편성방법
KR101813857B1 (ko) 편사의 고정방법
KR101844741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JP3099304B2 (ja) 解れ止め方法
EP2418310B1 (en) Joining method of adjacent knitted fabric parts, and knitted fabric
KR20240031119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13019062A (ja)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9990077454A (ko) 코늘이기방법
KR20230139787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41402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EP263677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KR20240052690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H10245751A (ja) 伸縮性に優れた伏せ目処理方法
KR20240052674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662847B2 (ja) 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22191048A1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00303327A (ja) 増目の編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