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69B1 - 컵 누룽지 - Google Patents

컵 누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69B1
KR102549669B1 KR1020220054875A KR20220054875A KR102549669B1 KR 102549669 B1 KR102549669 B1 KR 102549669B1 KR 1020220054875 A KR1020220054875 A KR 1020220054875A KR 20220054875 A KR20220054875 A KR 20220054875A KR 102549669 B1 KR102549669 B1 KR 10254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nurungji
dried
onio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환
Original Assignee
박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환 filed Critical 박상환
Priority to KR102022005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9Coating with non-edibl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용기, 찹쌀과 멥쌀을 배합한 후, 밥을 지은 후, 지은 밥알로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만들고 나서, 제1 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누룽지 가루를 만든 다음, 누룽지 가루에 찹쌀 풀을 첨가하여 만든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들어 용기 내에 담긴 건조 누룽지, 분말 스프 및 건더기 스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컵 누룽지{Cup scorched rice}
본 발명은 컵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스프를 섞어 전자 레인지를 통해 쉽게 데워 먹을 수 있는 컵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지을 때 밥의 일부가 솥바닥에 눌어붙어 생성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누룽지는 보통 재래식 밥솥에 밥을 지을 경우 밥솥의 밑바닥에 놓인 쌀이 그대로 눌어붙어 생성된 것이다. 이러한 누룽지는 간식으로 먹거나 물을 부어 다시 끓인 상태의 것을 밥 대용으로 먹기도 한다.
이러한 누룽지는 예전부터 가장 많이 찾던 간식거리이다. 오늘날에도 누룽지는 건강식 간식거리로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누룽지는 사용자가 누룽지를 구매한 후, 그대로 간식으로 먹거나 물에 넣고 끓여서 먹는 형태만을 제공하여 왔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 편하게 누룽지를 먹을 수 있고, 다양한 맛을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새로운 간식 형태의 누룽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누룽지를 간편하게 즐겨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양념과 같이 제공할 수 있는 컵 누룽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룽지를 물에 녹일 때, 쉽게 풀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조 누룽지를 만들고 이를 먹을 수 있는 컵 누룽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컵 누룽지는, 용기; 찹쌀과 멥쌀을 배합한 후, 밥을 지은 후, 지은 밥알로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만들고 나서, 상기 제1 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누룽지 가루를 만든 다음, 상기 누룽지 가루에 찹쌀 풀을 첨가하여 만든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들어 상기 용기 내에 담긴 건조 누룽지; 상기 건조 누룽지와 독립되어 포장되며 상기 용기 내에 담긴 분말 스프; 및 상기 건조 누룽지와 독립되어 포장되며 상기 용기 내에 담긴 건더기 스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누룽지는, 상기 찹쌀과 상기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지어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만든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 누룽지는, 상기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든 누룽지와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든 누룽지를 소정 비율로 병합하여 만든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육수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육수 재료,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육수 재료,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육수 재료,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육수 재료,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육수 재료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육수 재료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육수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육수이며, 상기 양념 분말 가루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양념 분말 가루,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양념 분말 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양념 분말 가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는, 상기 찹쌀과 상기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하나에 죽염 가루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지어 만든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더기 스프는, 건 버섯, 건 해물, 건 야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더기 스프는 삶은 후 건조된 콩 및 삶은 후 건조된 팥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 스프는, 쇠고기, 무, 소금, 양파를 포함하는 제1 분류, 닭고기, 무, 마늘, 파를 포함하는 제2 분류, 땅콩, 아몬드를 포함하는 제3 분류, 찹쌀, 잣, 땅콩 가루를 포함하는 제4 분류, 찹쌀, 녹두, 볶은 검은콩을 포함하는 제5 분류, 들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6 분류, 흰 깨, 검은 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7 분류, 사골 분말, 찹쌀을 포함하는 제8 분류, 오곡, 찹쌀, 아몬드, 땅콩을 포함하는 제9 분류, 팥 ,찹쌀을 포함하는 제10 분류, 호두, 땅콩, 아몬드, 호박씨를 포함하는 제11 분류, 콩, 찹쌀, 땅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2 분류, 황태, 찹쌀, 무, 파, 마늘, 어묵을 포함하는 제13 분류, 새우 분말을 포함하는 제14 분류, 녹두가루, 찹쌀을 포함하는 제15 분류, 단호박 분말, 정제염, 호박씨, 잣, 땅콩, 호두를 포함하는 제16 분류, 사골 분말, 춘장, 돼지고기, 호박, 당근, 양파, 감자, 대파를 포함하는 제17 분류, 사골 분말, 오징어, 무, 파, 부추를 포함하는 제18 분류, 무, 참기름, 황태, 파, 마늘 분말, 정제염, 누룽지 분말, 볶음 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9 분류, 팥 분말, 땅콩, 호두, 잣, 정제염을 포함하는 제20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표고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1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송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2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능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3 분류, 정제염, 정백당, 치킨 엑기스 분말, 치킨 농축액, 정제 소금, 향미증진제, 글리신, 사골 분말, 덱스트린, 마늘 분말, 흑 후추 분말, 대두밀, 우유, 쇠고기, 닭고기, 조개를 포함하는 제24 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분말 스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전자레인지용 컵 용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봉지 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건조 누룽지와 분말 스프와 건더기 스프를 컵 용기에 담고, 사용자는 이를 컵 용기에 섞고 물을 부은 후 전자 레인지에 돌려 손쉽게 누룽지를 간식으로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용기에 담기는 건조 누룽지를 제조할 때 누룽지를 가루 형태로 만든 후 다시 이를 찹쌀 풀을 첨가하여 가공하여, 물을 넣고 끓일 때 쉽게 누룽지가 풀어질 수 잇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다양한 양념의 분말 스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맛을 섞어 다양한 맛을 곁들일 수 있는 컵 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에 들어가는 건조 누룽지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누룽지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에 들어가는 건조 누룽지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누룽지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누룽지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누룽지(100)는 용기(110), 건조 누룽지(120), 분말 스프(130) 및 건더기 스프(140)를 포함한다.
컵 누룽지(100)는 건조 누룽지(120)를 용기(110) 안에 넣고, 분말 스프(130)와 건더기 스프(140)를 그 위에 뿌린 후, 물을 소정 높이까지 부은 후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여 먹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110)는 전자 레인지용 컵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10)는 일반 비닐 봉지 형태의 용기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건조 누룽지(120), 분말 스프(130) 및 건더기 스프(140)를 별도의 조리 용기, 예를 들어 냄비 등에 담고 여기에 물을 붓고 전자레인지 안에 가열하거나, 가스레인지 또는 인덕션에서 가열하여 끓여서 풀어지고 양념이 버무러진 간식 누룽지를 먹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누룽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누룽지(110)는 먼저 찹쌀과 멥쌀을 소정 중량 비율로 배합한다(S11). 바람직하게는 찹쌀과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다. 그런 다음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등을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짓고 제1차 가공 누룽지를 제조한다(S12).
이때 첨가되는 육수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육수 재료,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육수 재료,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육수 재료,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육수 재료,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육수 재료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육수 재료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육수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육수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첨가되는 양념 분말 가루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양념 분말 가루,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양념 분말 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양념 분말 가루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단계에서, 제1차 가공 누룽지는 상기 찹쌀과 상기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하나에 죽염 가루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지어 만들 수도 있다. 죽염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구워 정제한 소금이며, 대나무통에 소금을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봉한 다음, 쇠가마에 넣어 쌓고 소나무 장작불을 태워 여러 번을 반복해서 구운 뒤, 그것을 곱게 갈아서 만들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누룽지 가루를 만든다(S13). 제1 차 가공 누룽지만을 건조 누룽지로 이용하게 되면, 누룽지에 있는 밥알의 크기가 커서 물을 붓고 끓이는 경우, 끓여야 하는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밥알이 잘 풀어지지 않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끓이는 시간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 끓인 누룽지의 온도가 너무 높아 누룽지를 간식으로 먹기에 너무 뜨겁고, 입안을 데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차 가공 누룽지를 작은 크기의 가루로 만들어, 물에 잘 풀어지게 하고, 짧은 시간에 적은 열로 물에 풀어진 누룽지를 만들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가루를 만들 때, 삶은 후 건조된 콩 및 삶은 후 건조된 팥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첨가하여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제1차 가공 누룽지에 건조된 콩 및/또는 건조된 팥 가루가 같이 첨가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누룽지 가루만으로는 누룽지의 씹는 맛을 느낄 수 없고, 마치 미숫가루를 풀어 먹는 형태와 비슷하기에, 기존의 누룽지 본연의 맛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도 해결하기 위해서 누룽지 가루를 밥알 크기 형태로 다시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누룽지 가루에 찹쌀 풀을 첨가하여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S1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2차 가공 누룽지는 누룽지 가루가 아니면서도 밥알 크기의 누룽지 알갱이로 재구성되고, 아울러, 물에도 잘 풀어지는 특성을 갖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가공된 제2차 가공 누룽지는 물을 붓고 끓일 때, 짧은 시간에 적은 열을 가해서 온도가 아주 높지 않은 끓인 누룽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컵 누룽지의 용기(110) 안에 넣을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든 건조 누룽지를 만든다(S15).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더기 스프(130)는 건 버섯, 건 해물, 야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건 버섯은, 송이 버섯, 능이 버섯, 표고 버섯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건 해물은, 새우, 오징어, 문어 등일 수 있다. 야채는 마늘, 무, 양파, 파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더기 스프(130)는 여기에 삶은 후 건조된 콩 및/또는 삶은 후 건조된 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된 콩이나 팥은 소정 크기로 잘라서 쉽게 끓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말 스프(140)는 쇠고기, 무, 소금, 양파를 포함하는 제1 분류,
닭고기, 무, 마늘, 파를 포함하는 제2 분류,
땅콩, 아몬드를 포함하는 제3 분류,
찹쌀, 잣, 땅콩 가루를 포함하는 제4 분류,
찹쌀, 녹두, 볶은 검은콩을 포함하는 제5 분류,
들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6 분류,
흰 깨, 검은 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7 분류,
사골 분말, 찹쌀을 포함하는 제8 분류,
오곡, 찹쌀, 아몬드, 땅콩을 포함하는 제9 분류,
팥 ,찹쌀을 포함하는 제10 분류,
호두, 땅콩, 아몬드, 호박씨를 포함하는 제11 분류,
콩, 찹쌀, 땅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2 분류,
황태, 찹쌀, 무, 파, 마늘, 어묵을 포함하는 제13 분류,
새우 분말을 포함하는 제14 분류,
녹두가루, 찹쌀을 포함하는 제15 분류,
단호박 분말, 정제염, 호박씨, 잣, 땅콩, 호두를 포함하는 제16 분류,
사골 분말, 춘장, 돼지고기, 호박, 당근, 양파, 감자, 대파를 포함하는 제17 분류,
사골 분말, 오징어, 무, 파, 부추를 포함하는 제18 분류,
무, 참기름, 황태, 파, 마늘 분말, 정제염, 누룽지 분말, 볶음 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9 분류,
팥 분말, 땅콩, 호두, 잣, 정제염을 포함하는 제20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표고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1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송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2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능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3 분류,
정제염, 정백당, 치킨 엑기스 분말, 치킨 농축액, 정제 소금, 향미증진제, 글리신, 사골 분말, 덱스트린, 마늘 분말, 흑 후추 분말, 대두밀, 우유, 쇠고기, 닭고기, 조개를 포함하는 제24 분류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분류 분말 스프 내지 제24 분류 분말 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분말 스프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말 스프는 상술한 제1 분류 분말 스프 내지 제24 분류 분말 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의 재료를 혼합한 후 여기에 물을 첨가한 후 끓여, 이 물이 걸쭉하게 될 때가지 농축한 후, 농축된 엑기스를 저온 냉동으로 건조한다. 그런 다음, 건조된 분말을 소정 크기로 소포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건조 누룽지와 분말 스프와 건더기 스프를 컵 용기에 담고, 사용자는 이를 컵 용기에 섞고 물을 부은 후 전자 레인지에 돌려 손쉽게 누룽지를 간식으로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용기에 담기는 건조 누룽지를 제조할 때 누룽지를 가루 형태로 만든 후 다시 이를 찹쌀 풀을 첨가하여 가공하여, 물을 넣고 끓일 때 쉽게 누룽지가 풀어질 수 잇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누룽지는 다양한 양념의 분말 스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맛을 섞어 다양한 맛을 곁들일 수 있는 컵 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컵 누룽지
110 : 용기 120: 건조 누룽지
130: 건더기 스프 140: 분말 스프

Claims (10)

  1. 용기;
    찹쌀과 멥쌀을 배합한 후, 밥을 지은 후, 지은 밥알로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만들고 나서, 상기 제1 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누룽지 가루를 만든 다음, 상기 누룽지 가루에 찹쌀 풀을 첨가하여 만든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들어 상기 용기 내에 담긴 건조 누룽지;
    상기 건조 누룽지와 독립되어 포장되며 상기 용기 내에 담긴 분말 스프; 및
    상기 건조 누룽지와 독립되어 포장되며 상기 용기 내에 담긴 건더기 스프;
    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 누룽지는,
    상기 찹쌀과 상기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지어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만드며,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분쇄하여 가루를 만들 때, 삶은 후 건조된 콩 및 삶은 후 건조된 팥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첨가하여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누룽지는, 상기 제2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든 누룽지와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를 소정 크기로 잘라 만든 누룽지를 소정 비율로 병합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육수 재료,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육수 재료,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육수 재료,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육수 재료,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육수 재료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육수 재료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육수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육수이며,
    상기 양념 분말 가루는, 건표고, 다시마, 무우, 대파, 파, 건새우,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1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닭, 대파, 양파, 생강, 마늘을 포함하는 제2 그룹 양념 분말 가루, 가다랑어포, 다시마를 포함하는 제3 그룹 육수 재료, 쇠고기, 양파, 대추, 후추를 포함하는 제4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무우, 샐러리, 당근, 양파, 양배추, 건고추, 통후추를 포함하는 제5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양파껍질, 말린표고버섯, 통후추, 말린 밴댕이, 무, 다시마, 당근을 포함하는 제6 그룹 양념 분말 가루 및 파뿌리, 생강, 가다랑어포, 통마늘, 대파, 황태 대가리, 양파를 포함하는 제7 그룹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양념 분말 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양념 분말 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가공 누룽지는, 상기 찹쌀과 상기 멥쌀을 1:3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육수 및 양념 분말 가루 중 적어도 하나에 죽염 가루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후 밥을 지어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더기 스프는
    건 버섯, 건 해물, 건 야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건더기 스프는
    삶은 후 건조된 콩 및 삶은 후 건조된 팥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스프는,
    쇠고기, 무, 소금, 양파를 포함하는 제1 분류, 닭고기, 무, 마늘, 파를 포함하는 제2 분류, 땅콩, 아몬드를 포함하는 제3 분류, 찹쌀, 잣, 땅콩 가루를 포함하는 제4 분류, 찹쌀, 녹두, 볶은 검은콩을 포함하는 제5 분류, 들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6 분류, 흰 깨, 검은 깨, 찹쌀을 포함하는 제7 분류, 사골 분말, 찹쌀을 포함하는 제8 분류, 오곡, 찹쌀, 아몬드, 땅콩을 포함하는 제9 분류, 팥, 찹쌀을 포함하는 제10 분류, 호두, 땅콩, 아몬드, 호박씨를 포함하는 제11 분류, 콩, 찹쌀, 땅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2 분류, 황태, 찹쌀, 무, 파, 마늘, 어묵을 포함하는 제13 분류, 새우 분말을 포함하는 제14 분류, 녹두가루, 찹쌀을 포함하는 제15 분류, 단호박 분말, 정제염, 호박씨, 잣, 땅콩, 호두를 포함하는 제16 분류, 사골 분말, 춘장, 돼지고기, 호박, 당근, 양파, 감자, 대파를 포함하는 제17 분류, 사골 분말, 오징어, 무, 파, 부추를 포함하는 제18 분류, 무, 참기름, 황태, 파, 마늘 분말, 정제염, 누룽지 분말, 볶음 콩 분말을 포함하는 제19 분류, 팥 분말, 땅콩, 호두, 잣, 정제염을 포함하는 제20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표고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1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송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2 분류, 마늘 분말, 파, 양파, 능이 버섯, 볶음 콩 분말, 누룽지 분말, 홍합 분말, 새우, 다시마, 쇠고기, 돼지고기, 청경채, 향미증진제, 양배추, 정제소금을 포함하는 제23 분류, 정제염, 정백당, 치킨 엑기스 분말, 치킨 농축액, 정제 소금, 향미증진제, 글리신, 사골 분말, 덱스트린, 마늘 분말, 흑 후추 분말, 대두밀, 우유, 쇠고기, 닭고기, 조개를 포함하는 제24 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분말 스프이며,
    상기 제1 분류 분말 스프 내지 제24 분류 분말 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의 재료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한 후 걸쭉하게 될 때까지 끓여 농축한 후, 농축된 엑기스를 저온 냉동으로 건조하여 만든 분말 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자레인지용 컵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봉지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누룽지.
KR1020220054875A 2022-05-03 2022-05-03 컵 누룽지 KR10254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75A KR102549669B1 (ko) 2022-05-03 2022-05-03 컵 누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75A KR102549669B1 (ko) 2022-05-03 2022-05-03 컵 누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669B1 true KR102549669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875A KR102549669B1 (ko) 2022-05-03 2022-05-03 컵 누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6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336A (ko) * 1997-01-08 1998-10-15 김완태 누룽지를 이용한 컵인스탄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6229A (ko) * 2001-09-24 2003-03-31 윤문병 누룽지 스낵
KR20060081925A (ko) * 2005-01-11 2006-07-14 이인곤 즉석용 퓨전컵불도장 누룽지탕의 제조방법
KR20090038253A (ko) * 2007-10-15 2009-04-20 조희수 숭늉차용 고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336A (ko) * 1997-01-08 1998-10-15 김완태 누룽지를 이용한 컵인스탄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6229A (ko) * 2001-09-24 2003-03-31 윤문병 누룽지 스낵
KR20060081925A (ko) * 2005-01-11 2006-07-14 이인곤 즉석용 퓨전컵불도장 누룽지탕의 제조방법
KR20090038253A (ko) * 2007-10-15 2009-04-20 조희수 숭늉차용 고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8177A (zh) 一种酸菜鱼调料及利用该调料制作酸菜鱼的方法
KR20040033500A (ko) 천연 조미료를 이용한 즉석 죽의 제조방법
CN103948087B (zh) 一种鱼骨开胃山楂花生酱
CN101828725A (zh) 一种虾类食品及其制作方法
KR20090031166A (ko) 고추를 함유한 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1576A (zh) 炒饭的方法
KR101830055B1 (ko) 즉석 육개장의 제조방법
CN101683137A (zh) 一种肉香醇厚、营养丰富的调味料
KR102549669B1 (ko) 컵 누룽지
CN1433710A (zh) 酱肉料、烧烤料、椒盐料、火锅料、炖肉料、炖鸡料、炖鱼料、馅料、卤汁料
KR20170115309A (ko) 즉석 떡볶이의 제조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20200069119A (ko) 해조류를 이용한 간장 떡볶이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80017885A (ko) 쇠고기 육수 조미분과 가쓰오부시 조미분을 이용한 복합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43268A (ko) 현미누룽지 및 다양한 자연재료를 이용한 라면의 제조방법
KR20170137981A (ko) 식용 가능한 라면 수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8538A (ko) 즉석 조리용 김자반 비빔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4118A (ko) 버섯 불고기 비빔밥의 제조방법
KR101827327B1 (ko) 시래기 닭조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래기 닭조림
JP2007068457A (ja) 混ぜご飯の素及びそれを用いた混ぜご飯
KR20160095940A (ko) 즉석 냉동 잡채 및 그 제조방법
CN104783108A (zh) 一种火锅香辣牛肉调味包及其制备方法
KR19990085043A (ko) 감자만두의 제조방법
JP2002325552A (ja) 調味用組成物の製造方法、調理食品又は調理食品用基材
KR100503930B1 (ko) 김치 라이스 소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