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662B1 -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 Google Patents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662B1
KR102543662B1 KR1020210001317A KR20210001317A KR102543662B1 KR 102543662 B1 KR102543662 B1 KR 102543662B1 KR 1020210001317 A KR1020210001317 A KR 1020210001317A KR 20210001317 A KR20210001317 A KR 20210001317A KR 102543662 B1 KR102543662 B1 KR 10254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wire rope
telescopic
telescopic chu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277A (ko
Inventor
박종삼
김성재
Original Assignee
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65G11/126Chutes pivotable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자형 텔레스코픽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자형 텔레스코픽 슈트가 수직상태에서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되었을 때 텔레스코픽 슈트의 끝단부를 들어 올리도록 와이어로프로 인장력을 주어 텔레스코픽 슈트의 필요 구조강성의 일부를 분담하고, 슈트 끝단부의 흔들림과 처짐을 방지하는 로프식 장력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는 슈트 와이어로프, 로프클램프, 스토퍼, 지지시브, 가이드 시브, 고정 시브, 움직이는 시브블록, 움직이는 시브블록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무게추 와이어로프, 무게추 가이드프레임, 무게추 가이드 시브, 무게추로 구성된 장력 부가장치를 포함한다. 텔레스코픽 슈트 끝단부에는 스토퍼와 지지시브를 설치한다. 텔레스코픽 슈트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에는 가이드 시브를 연속으로 2개씩 텔레스코픽 슈트의 정면도 중심선에 대칭이 되도록 설치하여 슈트 회전방향 변경시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한다. 장력 부가장치는 무게추가 무게추 와이어로프를 통해 움직이는 시브블록을 잡아당겨 슈트 와이어로프에 항상 균일한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움직이는 시브블록과 무게추는 텔레스코픽 슈트가 신축할 때 발생하는 슈트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화를 흡수한다. 슈트 와이어로프는 메인프레임과 텔레스코픽 슈트 끝단부 사이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텔레스코픽 슈트 끝단 가운데 부분에 로프클램프를 설치하고 이를 멈출 수 있는 스토퍼를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양쪽에 설치한다. 텔레스코픽 슈트가 좌우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X자 형으로 교차설치된 슈트 와이어로프에 기하학적으로 길이 차이가 발생하여 슈트가 회전하는 방향쪽으로 로프가 이동하다가 스토퍼에 의해 멈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느슨한 로프 쪽은 힘을 받지 않게 되고 팽팽한 로프쪽만 힘을 받게되어 텔레스코픽 슈트 끝단부를 들어올리게 되고 텔레스코픽 슈트의 필요 구조강성의 일부를 분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슈트의 회전방향에 따른 슈트 와이어로프의 장력 교번은 메인프레임과 슈트 끝단부 사이에 X자형의 슈트 와이어로프를 교차 배치 및 가이드 시브의 적절한 위치 선정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획득된다. 슈트 와이어로프가 슈트회전시 슈트 끝단부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장력을 주게 되어 슈트 프레임의 필요 구조강성의 일부를 분담하여 슈트 프레임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운전시 슈트 끝단부의 처짐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The chute end tensioning device with alternating function for pendulum type telescopic chute}
본 발명은 석탄을 적재하는 트리퍼용 슈트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을 적재장에 골고루 분포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슈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트리퍼에 대한 것이다. 발명은 입자형 원료 물질을 낙하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 끝단부 로프당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팔보 형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의 끝단에 로프 장력을 주어 처짐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슈트프레임을 경량화 시킬 수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당김)장치에 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석탄 등의 입자형 원료는 선박이나 화차 등으로 수송되어 발전소 보일러로 공급되기 전에 옥외 또는 옥내 저장고에 저장된다.
종래에는 옥외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석탄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우천시 오염수 발생 및 원료의 유실 등의 문제로 옥내 저장고에 저장되는 추세이다.
석탄은 옥내 저장고에 저장될 때 컨베이어벨트로 저장고 지붕근처의 상부로 이송되어 트리퍼에 의해 저장고에 낙하 적재된다.
트리퍼는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석탄을 슈트를 사용하여 저장고에 낙하 저탄 시킨다.
종래의 경우 트리퍼에 장착된 슈트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길이만 신축 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석탄의 낙하 위치가 한 곳에 고정되므로 석탄을 세브론(Chevron) 또는 콘셀(Cone shell) 방식으로만 쌓을 수 있었다. 세브론 또는 콘셀 방식은 석탄 입자의 크기가 작은 석탄은 떨어지는 부위에 계속 쌓이고, 입자의 크기가 큰 석탄은 굴러떨어져 석탄더미의 가장자리에 모이는 현상인 입도분리(Segregation)가 많이 발생된다. 그래서 자중에 의해 압력을 많이 받는 석탄더미 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큰 석탄 입자들 사이의 공극으로 공기(산소)가 원활이 유입되어 자연발화가 자주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연발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석탄의 입도분리가 적게 발생하는 윈드로(Windrow) 방식으로 석탄을 저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트리퍼의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회전이 가능한 타입으로 적용해야 한다. 그런데, 신장된 텔레스코픽 슈트 수단이 수직 위치에서 회전하면 슈트가 외팔보 형태가 되어 큰 구조강성이 필요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텔레스코픽 슈트 프레임이 크고 무거워지게 된다.
그러나, 고공에 설치된 트리퍼 일단의 하부에 크고 무거운 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장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어 쉽지 않다. 첫 번째 제한된 공간으로 인하여 큰 크기의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장착하는 것이 어렵다. 두 번째 무거운 중량의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트리퍼의 일단에 편심 설치하면 트리퍼의 전도추락 위험성을 높이게 되므로 반대쪽 일단에 무거운 카운트 중량을 설치해야 한다. 결국 슈트 무게의 거의 2배의 중량증가가 트리퍼에 발생되며, 이는 옥내 저장장 상부에 있는 저장장 전길이의 트리퍼 주행레일 지지 구조물을 모두 무거워진 트리퍼 하중에 맞추어 설계/설치 되도록 만들므로 많은 무게 및 비용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2143992호(등록일자 2020년 08월 06일) 공개특허 제10-2010-0074555호(공개일자 2010년 07월 02일) 등록특허 제10-1568345호(등록일자 2015년 11월 05일) 등록특허 제10-1355517호(등록일자 2014년 01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의 자연발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트리퍼가 석탄의 입도분리(Segregation)가 작게 발생하는 윈드로(Windrow) 방식으로 저탄하기 위해 장착해야 하는 진자(선회)형 텔레스코픽 슈트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는 슈트 끝단 장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장된 텔레스코픽 슈트장치가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된 상태에서 운전되더라도 슈트장치 끝단부가 처지고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는 상기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이 수직상태에서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될 때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슈트 와이어로프로 슈트 끝단부를 당김지지하여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에 필요한 구조강성의 일부를 분담하고 또 슈트 끝단부의 처짐과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석탄 저탄용 트리퍼에 있어서, 상기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는 도 1의 슈트 측면도 상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구성한다. 슈트 끝단부 대칭의 각 부분은 각 한 쌍의 지지시브와, 한 쌍의 스토퍼와, 로프클램프와, 한 쌍의 가이드시브들과, 한쌍의 고정시브부와, 한쌍의 움직이는 시브블록과, 움직이는 시브블록 가이드 프레임과, 1개의 슈트 와이어로프, 그리고 장력부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시브부와 움직이는 시브블록의 시브 숫자는 인가하려는 로프 장력과 슈트 신축시 발생하는 로프길이 차이를 흡수하기 위한 설계 계산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시브는 상기 슈트와이어로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슈트수단의 단부의 양측에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슈트수단의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로프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시브부는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슈트부재의 단부사이에서 교차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상의 고정시브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한 쌍의 움직이는 시브 블록은 움직이는 시브 블록 가이드 바에 장착되며, 슈트 끝단부에 연결되는 슈트 와이어로프가 고정시브를 지나 움직이는 시브를 감은 후 다시 고정시브 옆의 프레임에 고정됨으로 인해, 고정시브와 움직이는 시브블록은 서로 연결된다. 움직이는 시브 블록은 무게추 와이어로프에 의해 장력 부가장치의 무게추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석탄 적재용 트리퍼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가장치는 도 1의 슈트 측면도상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한다. 단, 무게추는 한 개의 긴 무게추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장력부가장치 대칭의 각부분은 한 개의 무게추 와이어로프 평형바와, 한쌍의 하부 무게추 가이드시브와, 한 쌍의 상부 무게추 가이드 시브와, 2개의 무게추 와이어로프와, 무게추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개의 무게추는 고정시브와 움직이는 시브블록 사이의 슈트와이어 로프 길이변화 발생시 상기 무게추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무게추 와이어로프를 통해 움직이는 시브블록을 자중으로 잡아 당긴다. 이로 인해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가 잡아 당겨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무게추 가이드 시브는 상기 무게추가 상기 움직이는 시브블록을 잡아당기도록 무게추 와이어 로프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리퍼가 석탄을 옥내 저장장에 저탄할 때, 자연발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석탄을 입도분리(Segregation)가 적은 윈드로(Windrow)방식으로 저탄하기 위해 필요한 진자(선회)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경량화 소형화 시킬 수 있다. 이렇게 경량화 소형화된 텔레스코픽 슈트장치는 트리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는 무게추를 사용하여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의 끝단부를 슈트장치 회전방향(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그래서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이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되더라도 텔레스코픽 슈트수단 끝단부가 처지고 흔들리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적재용 트리퍼의 일 실시예,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슈트장치가 일측으로 회전한 동작도,
도 4는 도 3의 동작도에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슈트장치가 타측으로 회전한 동작도,
도 6은 도 5의 동작도에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장력부가장치 및 슈트신축에 따른 장력로프 길이변화 수용방법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적재용 트리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적재용 트리퍼는 운송컨베이어벨트(1)와, 트랜스퍼 컨베이어벨트(10)와, 이송대차(15)와, 메인프레임(20)과,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 및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40)를 포함한다.
석탄이 저장되는 옥내 저장고에는 상부에 한 쌍의 레일(3a, 3b)이 설치되고, 트리퍼는 레일(3a, 3b)을 따라 이동하면서 석탄을 저장고에 저탄한다.
트리퍼의 트랜스퍼 컨베이어벨트(10)는 트리퍼로 석탄을 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1)에서 석탄을 공급받아 저장고에 저탄하기 위하여 석탄을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으로 전달이송시킨다.
이송대차(15)는 저장고에 설치된 한 쌍의 레일(3a, 3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이송대차(15)에는 각 쌍의 레일(3a, 3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바퀴(16a, 16b)를 구비하여 레일(3a, 3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퍼는 옥내 저장고에서 레일(3a, 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20)은 트랜스퍼 컨베이어(10)가 석탄을 슈트수단(30)으로 전달이송 시킬 수 있도록 레일(3a, 3b)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게 트랜스퍼 컨베이어벨트(10)를 수용하며 이송대차(15)의 힌지(17)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때 메인프레임(20)은 레일(3a, 3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이송대차(15)의 힌지(17)에 결합된다. 메인프레임(20)이 이송대차(15)의 힌지(17)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므로 메인프레임(20)이 회전하더라도 이송대차(15)의 힌지(17)에 모멘트는 발생되지 않고 이송대차(15)에는 메인프레임(20)의 무게로 인한 수직력만 전달된다.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은 신축될 수 있다. 석탄을 낙하시킬 때에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을 신장시켜서 석탄을 저장고의 바닥으로 안내한다. 이때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은 석탄의 낙하지점을 저장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여러곳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살표 B와 같이 회전할 수 있게 메인프레임의 일단(21)에 장착된다. 그래서 석탄의 낙하지점을 메인프레임(20)에서 가까운 지점에서 먼 지점까지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게 되고, 석탄을 입도분리가 적은 윈드로(Windrow)방식으로 저탄할 수 있다. 이때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메인프레임(20)에 장착된 슈트회전 유압실린더(35)를 구비한다. 슈트회전 유압실린더(35)가 신축되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 및 도 5와 같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회전하여 기울어지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은 외팔보 형태가 되어 수직일 때 보다 훨씬 큰 구조강성이 필요하게 된다.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40)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될 때 슈트 끝단을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로프 장력으로 당겨 주어 슈트 프레임의 필요한 구조 강성을 분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40)는 도 1의 슈트 측면도 상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대칭(40a, 40b)로 구성된다.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대칭의 각 부분은 슈트 와이어로프(41)와, 로프 클램프(42)와, 한 쌍의 스토퍼(45)와, 한 쌍의 지지시브(45)와, 복수의 고정시브(47)와, 복수의 시브를 내장한 움직이는 시브블록(48)과, 움직이는 시브블록 가이드 프레임(49)과, 그리고 무게추 와이어로프(54)와, 무게추 가이드프레임(51)과, 무게추 가이드 시브(55, 56)와, 무게추(52)로 구성된 장력 부가장치(50)를 구비한다.
슈트 와이어로프(41)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를 슈트가 회전하는 쪽(들어 올려지는)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슈트 와이어로프의 양단(41a, 41b)은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되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까지 연결된다. 즉 슈트 와이어로프(41)는 일단(41a)이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되고 움직이는 시브블록(48)의 시브를 감아 돌아서 고정시브(47)를 지난 후 가이드시브(46)를 지나 대각선으로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로 연결된 이후 타단(41b)이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경로를 역순으로 거쳐 메인프레임(20)에 결합된다.
한 쌍의 지지시브(45)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로 연결되는 슈트 와이어로프(41)를 지지할 수 있게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의 양측에 장착된다.
한 쌍의 스토퍼(43)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스토퍼(43a)와 제2스토퍼(43b)로 결합된다. 이때 스토퍼(43)에는 슈트 와이어로프(41)가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44)이 형성된다.
로프 클램프(42)는 한 쌍의 스토퍼(43)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한 쌍의 스토퍼(43) 사이에 위치한다. 즉 로프 클램프(42)는 로프 클램프(42)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스토퍼(43a, 43b)에 차단되어 로프 클램프(42)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로프 클램프(42)는 슈트 와이어로프(41)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슈트 와이어로프(41)에 결합된다.
가이드시브(46)는 슈트 와이어로프(41)가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와 메인프레임 사이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고, 슈트수단(30)의 회전 방향이 바뀌더라도 슈트 와이어로프(41)가 가이드시브(46)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슈트수단 회전 힌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2개씩 연속으로 메인프레임(20)에 결합한다. 즉 메인프레임(20)에 슈트 와이어로프(41)를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시브가 장착되어, 슈트 와이어로프(41)가 X자로 교차하여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된 고정시브(47)로 안내된다. 슈트 와이어로프(41)는 고정시브(47)을 지나 움직이는 시브블록(48)의 시브를 감아 돌아서 메인프레임(20)에 고정된다. 움직이는 시브블록(48)은 움직이는 시브블록 가이드프레임(49)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장력부가장치(50)의 무게추 와이어로프(54)에 의해 항상 무게추 중량의 힘으로 당겨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신축함에 따라 발생하는 슈트 와이어로프(41)의 길이 차이 문제는 고정시브(47)와 움직이는 시브블록(48)사이에 적용된 로프가닥 수에 비례하여 감소되며, 감소된 거리를 움직이는 시브블록이 움직여 줌으로써 해소된다.
상기의 장력부가장치(50)의 첫 번째 목적은 슈트 와이어로프(41)에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무게추(52)를 사용하는 중력식 구성을 한다. 대칭인 무게추(52)는 일단의 끝에 힌지 결합된 무게추 와이어로프 평형바(53, 53a, 53b)를 통해 2개의 무게추 와이어 로프와 연결된다. 무게추 와이어로프 평형바(53)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수직일때는 2개의 무게추 와이어 로프에 같은 힘이 분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텔레스코픽 슈트 수단이 회전하여 슈트 와이어로프 양단(41a, 41b)의 길이 차이가 일정량 이상나게 되면, 긴 쪽과 연결된 무게추와이어로프 평형바(53, 53a, 53b)가 무게추에 닿게 되어 반대쪽 무게추 와이어 로프(54, 54a, 54b)만 힘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무게추 가이드시브(55, 56)는 무게추 와이어 로프(54, 54a, 54b)가 움직이는 시브블록(48)에 연결되도록 안내한다.
장력 부가장치(50)의 두 번째 목적은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신축시 발생하는 슈트 와이어로프(41)의 길이 변화를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력 부가장치(50)의 무게추(52)는 움직이는 시블블록(48)이 이동되는 거리만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무게추 가이드프레임(5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와 같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신장하여 수직으로 위치할 경우에는 무게추(52)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동일하고,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의 슈트 와이어로프(41, 41)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로프클램프(42)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일측으로 회전하여 일측으로 들릴 경우, 기하학적으로 로프클램프(42)를 기준으로 들리는(회전하는) 방향의 슈트 와이어로프(41a)의 길이가 다른 측 방향의 와이어로프(41b)의 길이보다 긴 길이가 필요하다. 슈트 와이어로프(41)는 길이는 일정한 상태에서 무게추에 의해 당겨지고 있으므로, 로프클램프(42)는 양쪽 와이어로프가 다시 길이 평형이 될 때까지제1스토퍼(45a)쪽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로프클램프(42)가 양쪽로프의 길이 평형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스토퍼(45a)에 의해 차단되므로 로프클램프(42)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들리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45a)에 로프(41a)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킨다. 슈트 와이어로프(41b)는 아직 느슨한 상태이므로 아무런 하중을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타측으로 회전할 경우, 기하학적으로 타측 방향의 와이어로프(41b)의 길이가 일측 방향의 와이어로프(41a)의 길이보다 긴 길이가 필요하다. 슈트 와이어로프(41)는 길이는 일정한 상태에서 무게추에 의해 당겨지고 있으므로, 로프클램프(42)는 양쪽 와이어로프가 다시 길이 평형이 될 때까지제2스토퍼(45b)쪽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로프클램프(42)가 양쪽로프의 길이 평형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2스토퍼(45b)에 의해 차단되므로 로프클램프(42)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들리는 방향으로 제2스토퍼(45b)에 로프(41b)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킨다. 슈트 와이어로프(41a)는 아직 느슨한 상태이므로 아무런 하중을 전달하지 않는다.
즉,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끝단부 양쪽으로 연결된 슈트 와이어로프(41a, 41b)는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이 회전하는 방향쪽 로프만 인장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필요 프레임 구조강성의 일부를 분담하여 텔레스코픽 슈트수단(30)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슈트 끝단부가 처지고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운송컨베이어벨트 3a, 3b: 레일
10 : 트랜스퍼 컨베이어벨트 15 : 이송대차
16a, 16b : 바퀴 17 : 이송대차의 힌지
20 : 메인프레임 21 : 일단
22 : 타단 23 : 전도방지 바퀴
30 : 텔레스코픽 슈트수단 35 : 슈트회전 유압실린더
40 : 슈트 끝단 장력장치
41, 41a, 41b : 슈트 와이어로프 42 : 로프 클램프
43, 43a, 43b : 스토퍼 44: 관통공
45 : 지지시브 46 : 가이드시브
47 : 고정시브 48 : 움직이는 시브블록
49 : 움직이는 시브블록 가이드 프레임
50 : 장력 부가장치 51 : 무게추 가이드프레임
52 : 무게추
53, 53a, 53b: 무게추 와이어로프 평형바
54, 54a, 54b : 무게추 와이어로프
55 : 하부 무게추 가이드 시브 56 : 상부 무게추 가이드 시브

Claims (4)

  1. 슈트 와이어로프를 구비하며, 진자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이 회전하여 외팔보 형태가 되면 텔레스코픽 슈트의 요구되는 구조 강성을 분담하여 슈트 프레임을 경량화 시키고 또 슈트 끝단이 처지고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텔레스코픽 슈트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로 상기 텔레스코픽 슈트의 끝단부를 잡아당기는 장력을 제공하며,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슈트수단의 끝단부의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지지시브와, 상기 슈트수단의 끝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의 일측에 결합된 클램프와, 상기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슈트수단의 끝단부를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를 잡아당기는 장력부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와이어로프가 상기 텔레스코픽 슈트의 끝단부와 텔레스코픽 슈트가 장착된 메인프레임 사이에서 교차 한 후 메인프레임 고정시브로 안내되고, 텔레스코픽 슈트의 회전 각도가 반대가 되어도 슈트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속으로 2개씩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슈트의 길이가 신축할 때 발생하는 슈트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움직이는 시브블록 및 이 움직이는 시브 블록을 잡아당겨 슈트 와이어로프에 항상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는 무게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4. 삭제
KR1020210001317A 2021-01-06 2021-01-06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KR10254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17A KR102543662B1 (ko) 2021-01-06 2021-01-06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17A KR102543662B1 (ko) 2021-01-06 2021-01-06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77A KR20220099277A (ko) 2022-07-13
KR102543662B1 true KR102543662B1 (ko) 2023-06-16

Family

ID=8240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17A KR102543662B1 (ko) 2021-01-06 2021-01-06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550A (ja) 2002-11-20 2004-06-17 Shinagawa Refract Co Ltd 取鍋敷流し込み装置
JP2005179052A (ja) 2003-12-18 2005-07-07 Yuzo Shimizu 吊荷の振れ止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317A (ja) * 1984-10-01 1986-05-01 Mitsubishi Heavy Ind Ltd 積出・陸揚機
KR20100074555A (ko) 2008-12-24 2010-07-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철원료 적치장치의 트리퍼 카
KR101355517B1 (ko) 2012-04-26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장치
KR20140140343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 처리 장치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5-11-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KR102143992B1 (ko) 2019-10-17 2020-08-12 두텍 주식회사 원료 적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료 적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550A (ja) 2002-11-20 2004-06-17 Shinagawa Refract Co Ltd 取鍋敷流し込み装置
JP2005179052A (ja) 2003-12-18 2005-07-07 Yuzo Shimizu 吊荷の振れ止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77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288B1 (ko) 이동식 크레인
NL7909035A (nl) Hefinrichting, zoals armkraan of portaalkraan, voor het hanteren van containers.
JP5672556B2 (ja) バルク材料輸送用コンベア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US6896123B1 (en) Moving head conveyor systems
WO2012055255A1 (zh) 一种集装箱起重机起升机构和集装箱起重机
US4946018A (en) Extensible and retractable chute
KR102543662B1 (ko)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JP6174510B2 (ja) クレーン
KR100649728B1 (ko)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JP2656626B2 (ja) 船舶におけるコンテナ積卸し装置
US4363411A (en) Hammerhead crane with plural shuttle trolleys, a load trolley and movable counterweight means
KR101644523B1 (ko) 타워 크레인
JP5964550B2 (ja) 起重機
KR102116306B1 (ko)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AU2016202844A1 (en) Pylon for a stockpiling bulk device or a combined stockpiling stacker-reclaimer device
KR101604611B1 (ko) 사용후연료 이송장치
US3975044A (en) Reeving system for a scissor-type clamshell bucket
KR100622825B1 (ko)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KR20220069498A (ko) 석탄을 윈드로방식으로 저탄하는 트리퍼
JP5555440B2 (ja) 岸壁クレーン
CN113389166B (zh) 一种护坡砖供应装置
EP0039529A2 (fr) Grue
KR200402249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US1201258A (en) Grapple for hoisting and convey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