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06B1 -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06B1
KR102116306B1 KR1020200009185A KR20200009185A KR102116306B1 KR 102116306 B1 KR102116306 B1 KR 102116306B1 KR 1020200009185 A KR1020200009185 A KR 1020200009185A KR 20200009185 A KR20200009185 A KR 20200009185A KR 102116306 B1 KR102116306 B1 KR 10211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late
main body
wir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메탈
Priority to KR102020000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권상장치와 연결되고, 하단이 복수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와이어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안정감 있게 운반물을 옮길 수 있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는, 운반물이 적재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단이 권상장치의 견인고리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200);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Platform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반물이 적재되며, 천장 크레인의 호이스트와 연결되어 안전하게 운반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조선소나 항만, 각종 공장에서 재료나 제품 등의 운반물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사용된다.
이 중 천장크레인(Overhead Crane)은 크레인의 종류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로 공장이나 창고의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상기 천장크레인은 마주보는 벽을 따라 부설된 레일에 직각으로 걸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거더(Girder)과, 상기 빔 상에 권상(捲上) 및 횡행(橫行)장치를 갖는 트롤리(Trolley)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롤리 상에 설치된 권상장치에 운반물을 매달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크레인의 한 종류로서 이를 이용하면 무겁고 부피가 큰 중량물을 건물 내 어느 장소에도 쉽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흔히 사용된다.
한편, 상기 권상장치에 운반물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운반물이 적재되는 플랫폼 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평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랫폼 장치는 운반물이 적재되는 본체(10)와, 하단이 상기 본체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20)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권상장치에 걸기 위한 고리부재(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플랫폼 장치는 승하강 및 이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 영향에 의해 균형이 무너지 쉽게 흔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 운반물이 떨어지는 등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461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이 권상장치와 연결되고, 하단이 복수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와이어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안정감 있게 운반물을 옮길 수 있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는, 운반물이 적재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단이 권상장치의 견인고리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200);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0); 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00)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플레이트(410);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420);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서 상기 제1풀리(420)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풀리(430); 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와이어(300)의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30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완충장치(44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120);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무빙플레이트(120) 사이에 좌우 대칭되게 각각 배치되는 로드셀(130); 상기 로드셀(130)의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12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조절장치(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상기 조절장치(14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가이드스크류(141);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42); 상기 가이드스크류(141)를 회전시키는 모터(143);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00)는 상단이 상기 권상장치와 연결되고, 하단의 양측에 복수의 상기 와이어(300)가 각각 좌우 대칭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양측으로 분산하여 상기 본체(100)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로드셀(130)과 상기 조절장치(140)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무게중심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에 적재된 운반물을 더욱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와이어(300)를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외부 영향으로 인한 충격이나 저항을 분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의 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는 본체(100), 연결플레이트(200), 와이어(300), 완충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운반물이 적재되는 부분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과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은 후술할 복수의 상기 와이어(300)에 의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100)는 경우에 따라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조절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메인프레임(110), 무빙플레이트(120), 로드셀(130) 및 조절장치(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단과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후술할 상기 와이어(300)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와이어(300)들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하기 위한 권상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120)는 납작한 판 형태이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할 상기 조절장치(14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된다.
상기 로드셀(13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바닥부와 상기 무빙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며, 4개로 이루어져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로드셀(130)은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에 적재된 운반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운반물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지를 판단하여 후술할 상기 조절장치(14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로드셀(130)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적재된 운반물의 무게가 일정량을 초과하게 되면 경고음이 울리는 경보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장치(140)은 상기 로드셀(130)의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12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장치(140)은, 가이드스크류(141), 슬라이더(142) 및 모터(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스크류(141)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14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셀(130)과 상기 조절장치(140)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무게중심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에 적재된 운반물을 더욱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연결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중심부가 권상장치의 견인고리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00)는 4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각 꼭지점 부위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와이어(300)는 상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 방향으로 모이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는 상단이 상기 권상장치와 연결되고, 하단의 양측에 복수의 상기 와이어(300)가 각각 좌우 대칭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양측으로 분산하여 상기 본체(100)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와 상기 와이어(300) 사이에는 운반물과 외부 환경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가 받는 충격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완충수단(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00)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완충플레이트(410), 제1풀리(420), 제2풀리(430), 완충장치(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플레이트(4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의 세로 방향 양단 하부에 각각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풀리(420)는 상기 와이어(300)의 감김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1개의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 2개씩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풀리(420)는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의 중심선 부근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풀리(430)는 상기 제1풀리(420)와 마찬가지로 1개의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 2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1풀리(420)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풀리(430)는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의 양단 부근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풀리(42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풀리(430)는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연결플레이트(200) 방향으로 감기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440)는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300)와 결합되어 와이어(300)에 탄성력을 부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장치(440)는 하우징(441)과, 상기 하우징(44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슬라이더(442), 상기 제1슬라이더(442)와 상기 하우징(441) 사이에 장착되는 제1스프링(443), 상기 하우징(44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300)어 타단과 연결되는 제2슬라이더(444),상기 제2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441) 사이에 장착되는 제2스프링(44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완충장치(440)는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가 길이 방향으로 인장됨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443)과 상기 제2스프링(445)이 압축되면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300)는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300)는 4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의 가로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0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완충수단(40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와이어(300)는 상단이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를 지나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300)는 하단에서 상기 제1풀리(420)까지는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풀리(420)에서 상기 제2풀리(430)까지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풀리(430)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200)까지는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1풀리(420)의와 상기 제2풀리(430)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300)를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외부 영향으로 인한 충격이나 저항을 분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메인프레임
120 : 무빙플레이트
130 : 로드셀
140 : 조절장치
141 : 가이드스크류
142 : 슬라이더
143 : 모터
200 : 연결플레이트
300 : 와이어
400 : 완충수단
410 : 완충플레이트
420 : 제1풀리
430 : 제2풀리
440 : 완충장치
441 : 하우징
442 : 제1슬라이더
443 : 제1스프링
444 : 제2슬라이더
445 : 제2스프링

Claims (5)

  1. 운반물이 적재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단이 권상장치의 견인고리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200);
    하단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00)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플레이트(410);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풀리(420);
    상기 완충플레이트(410)에서 상기 제1풀리(420)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풀리(430); 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400)은,
    상기 제1풀리(420)와 상기 제2풀리(430)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와이어(300)의 두 지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30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완충장치(4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120);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무빙플레이트(120) 사이에 좌우 대칭되게 각각 배치되는 로드셀(130);
    상기 로드셀(130)의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12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조절장치(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14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가이드스크류(141);
    상기 무빙플레이트(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스크류(1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42);
    상기 가이드스크류(141)를 회전시키는 모터(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KR1020200009185A 2020-01-23 2020-01-23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KR10211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85A KR102116306B1 (ko) 2020-01-23 2020-01-23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85A KR102116306B1 (ko) 2020-01-23 2020-01-23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06B1 true KR102116306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85A KR102116306B1 (ko) 2020-01-23 2020-01-23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933A (zh) * 2023-05-12 2023-08-01 刘昌智 一种路桥施工装料、卸料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9586U (ko) * 1988-05-19 1989-11-30
KR101704610B1 (ko) 2016-06-02 2017-02-08 (주)호이스트코리아 다기능 하이브리드 호이스트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9586U (ko) * 1988-05-19 1989-11-30
KR101704610B1 (ko) 2016-06-02 2017-02-08 (주)호이스트코리아 다기능 하이브리드 호이스트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933A (zh) * 2023-05-12 2023-08-01 刘昌智 一种路桥施工装料、卸料装置及使用方法
CN116513933B (zh) * 2023-05-12 2023-10-31 刘昌智 一种路桥施工装料、卸料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0221B2 (ja) 天井走行車
KR101873288B1 (ko) 이동식 크레인
CN101323417B (zh) 集装箱门式起重机吊具防摇机构
WO2012055255A1 (zh) 一种集装箱起重机起升机构和集装箱起重机
US11084655B2 (en) Vehicle for moving a container and system allowing such vehicle to move the container
JP6917087B2 (ja) 作業システム
KR102116306B1 (ko) 크레인용 플랫폼 장치
US4949854A (e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JP6380870B2 (ja) クレーン
US4953721A (e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JP7372851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ロープ張設方法
KR20010021248A (ko) 크레인 장치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CN211056539U (zh) X型吊具上架
JP5555440B2 (ja) 岸壁クレーン
JP7070219B2 (ja) クレーン
SU1744047A1 (ru) Кран
CN218619850U (zh) 一种用于加气混凝土砌块吊装输送的行车吊具
JP6996695B2 (ja) トロリおよびトロリによる荷役方法
JP4477205B2 (ja) 吊荷の振れ止め装置
CN219078828U (zh) 一种轨道式集装箱龙门起重机防护装置
RU2034769C1 (ru) Траверса
JP2020152493A (ja) クレーン
JPH0623989U (ja) 吊具昇降装置
JP2015193461A (ja) 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